KR102369799B1 -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99B1
KR102369799B1 KR1020150180203A KR20150180203A KR102369799B1 KR 102369799 B1 KR102369799 B1 KR 102369799B1 KR 1020150180203 A KR1020150180203 A KR 1020150180203A KR 20150180203 A KR20150180203 A KR 20150180203A KR 102369799 B1 KR102369799 B1 KR 10236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camera
camera
distance
ceiling
surveillanc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947A (ko
Inventor
추수호
이종경
김지만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는 비콘 통신부, 경보부, 및 주 제어부를 포함한다. 비콘 통신부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대상과 통신함에 의하여, 통신 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부는, 비콘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비콘 통신부로부터의 거리 정보에 따라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Monitoring camera, and method of setting installation position for monitoring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들에 의하여 넓은 지역을 감시할 경우, 감시 카메라들은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였다.
첫째, 설치 요원은 자신의 경험 또는 개략적 계산에 의하여 가상적 설치 위치를 정한다.
둘째, 설치 요원은 상기 가상적 설치 위치에서의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보면서 적절한 설치 위치를 찾는다.
즉, 종래의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는 설치 요원의 경험 또는 개략적 계산에 의하여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감시 카메라들이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되지 못하므로, 감시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안(魚眼) 렌즈를 채용한 360O 광각 카메라들인 경우, 영상의 외곽 영역의 해상도가 저하되므로, 감시되지 못하는 영역이 넓게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시행 착오를 거치면서 위치 조정을 해야 하므로, 설치 요원은 위치 설정에 큰 노고를 들여야만 한다.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128266호 (출원인 : 주식회사 한양 지에스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시 카메라들이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하고, 설치 요원의 노고를 대폭 줄일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는 광학계, 광전 변환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비콘 통신부, 경보부, 및 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계는 렌즈들을 구비한다.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광학계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비콘 통신부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대상과 통신함에 의하여, 상기 통신 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광학계, 상기 광전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및 상기 비콘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상기 비콘 통신부로부터의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제2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와 촬영 대상 영역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각도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최적 거리를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계산한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측정한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적 거리인 경우,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경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제1 감시 카메라와 제2 감시 카메라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최적 거리인 경우,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경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나타나게 된다.
첫째, 감시 카메라들이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감시되지 못하는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어안(魚眼) 렌즈를 채용한 360O 광각 카메라들인 경우, 해상도가 저하되는 외곽 영역이 배제될 수 있게 하는 정확한 설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둘째, 자동적 거리 측정 및 경보 발생에 의하여, 설치 요원은 손쉽게 설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치 요원의 노고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들이 채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1의 제2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3의 제2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설정 방법에 의하여 360O 광각 카메라들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의 설치 위치들을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5의 제4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5의 제4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들(101a 내지 101n)이 채용된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들(101a 내지 101n)은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들(Svid)을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102)에게 전송한다.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102)는, 감시 카메라들(101a 내지 101n)로부터의 아날로그 동영상 신호들(Svid)을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 결과의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DIMAT)를 저장하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DIMAT)를 인터넷(10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04a 내지 104m)에게 전송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DIMAT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102)로부터 인터넷(103)로 전송되는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그리고 참조 부호 DIMA는 인터넷(103)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04a 내지 104m) 각각에 전송되는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가리킨다.
도 2는 도 1의 어느 한 감시 카메라(101n)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101n)는 본체부(21)와 인터페이스부(22)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ACin은 교류 전원을, Sco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도 1의 102)와의 통신 신호를, Sse는 각종 센서들과의 통신 신호를, 그리고 Svid1 및 Svid는 비디오 신호들을 각각 가리킨다.
본체부(21)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 주 제어부(207), 비디오-신호 발생부(208), 구동부(210), 마이크로-컴퓨터(213),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틸팅 모터(Mt), 경보부(215), 및 비콘 통신부(219)를 포함한다.
렌즈들과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들은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주 제어부(207)는 타이밍 회로(2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주 제어부(207)에 입력된다.
주 제어부(207)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 제어부(207)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디오-신호 발생부(208)는 주 제어부(2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비디오 신호(Svid1)로 변환한다.
주 제어부(207)는, 인터페이스부(22)를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도 1의 102)와 통신하면서 비디오-신호 발생부(208)로부터의 비디오 신호(Svid1)를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도 1의 102)에 전송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213)는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패닝 모터(Mp) 및 틸팅 모터(Mt)를 구동한다.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를 구동하고,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며,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필터 모터(Md)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동한다.
패닝 모터(Mp)는 광학계(OPS)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틸팅 모터(Mt)는 광학계(OPS) 및 광전 변환부(OEC)의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킨다.
비콘 통신부(219)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대상과 통신함에 의하여, 통신 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부(207)는, 비콘 통신부(219)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비콘 통신부(219)로부터의 거리 정보에 따라 경보부(215)의 동작을 제어한다. 경보부(215)는 주 제어부(20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경보 신호 예를 들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도 1의 제1 감시 카메라(예를 들어, 101a)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1의 제2 감시 카메라(예를 들어, 101b)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에서 참조 부호 301은 바닥을, 302는 천장을, h는 천장의 높이를,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1
는 제1 감시 카메라(101a) 또는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을, α는 제1 감시 카메라(101a) 또는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촬영 범위의 각도를, 그리고 D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최적 거리를 각각 가리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는 각각 360O 어안 렌즈의 카메라로서 천장(302)에 설치된다.
촬영 대상 영역은 천장(302)에 대응하는 바닥(301)에 위치한다.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거리는 천장(302)에서의 수평 거리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3의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401에서, 제2 감시 카메라(101b)와 촬영 대상 영역(301) 사이의 거리(h), 및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촬영 범위의 각도(α)에 의하여,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최적 거리(D)를 제2 감시 카메라(101b)가 계산한다.
단계 S403에서, 설치 요원에 의하여 제2 감시 카메라(101b)가 이동하는 동안에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함에 의하여,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거리를 제2 감시 카메라(101b)가 측정한다.
단계들 S405와 S407에서,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거리가 최적 거리(D)인 경우, 제2 감시 카메라(101b)가 경보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101a 내지 101n),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나타나게 된다.
첫째, 감시 카메라들(101a 내지 101n)이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감시되지 못하는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어안(魚眼) 렌즈를 채용한 360O 광각 카메라들인 경우, 해상도가 저하되는 외곽 영역(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2
)이 배제될 수 있게 하는 정확한 설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둘째, 자동적 거리 측정 및 경보 발생에 의하여, 설치 요원은 손쉽게 설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치 요원의 노고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설정 방법에 의하여 360O 광각 카메라들(101a 내지 101d)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501a 내지 501d는 각 카메라(101a 내지 101d)의 촬영 대상 영역을 가리킨다. 도 5에서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촬영 대상 영역은 제1 원(501a)을 형성한다.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촬영 대상 영역은 제2 원(501b)을 형성한다.
제1 원(501a)의 중심점과 제2 원(501b)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D)는 제1 원(501a)의 반지름과 제2 원의 반지름을 더한 결과의 길이보다 2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3
만큼 짧다. 상기한 바와 같이,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4
는 제1 감시 카메라(101a) 또는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을 가리킨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S401에 있어서, 천장(302)의 높이를 h, 그리고 제1 감시 카메라(101a) 또는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촬영 범위의 각도를 α라 하면,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제2 감시 카메라(101b) 사이의 최적 거리 D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5
도 6은 도 5의 제1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601은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를, 그리고 602는 벽면을 가리킨다. 도 6에서 도 3 및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제1 감시 카메라(101a)가 벽면(602)에서 이격되어 처음으로 설치될 경우,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설치 위치가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에 대하여 A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제1 감시 카메라(101a)는 최적 거리 A를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6
상기 수학식 2에서 h는 천장(302)의 높이를, 그리고 α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촬영 범위의 각도를 각각 가리킨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7
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설치 요원은 비콘 통신부를 구비한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를 이용한다.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는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다. 이 교차 지점으로부터 제1 감시 카메라(101a)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동안에,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휴대용 단말기(601)는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한다.
제1 감시 카메라(101a)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또한,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휴대용 단말기(601) 사이의 거리가 상기 수학식 2에 의한 이격 거리 A인 경우, 제1 감시 카메라(101a)는 경보한다.
따라서, 설치 요원은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를 사용하여 제1 감시 카메라(101a)를 벽면(602)으로부터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카메라(101a) 및 제2 카메라(101b)의 설치 위치들을 설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601a는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를, 701은 천장과 벽면의 교차 지점을, 703은 설치 요원을, hm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벽면과 천장의 교차 지점까지의 높이를, Amv는 제1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a) 사이의 최적 거리를, 그리고 Dmva는 제2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b) 사이의 최적 거리를 각각 가리킨다. 도 7에서 도 3 및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천장과 벽면의 교차 지점(701)에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를 위치시킴에 대하여 설치 요원(703)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설치 요원(703)은 휴대용 단말기(601a)를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701)에서 hm만큼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601a)가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에서 hm만큼 아래에 위치할 경우, 제1 감시 카메라(101a)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설치 위치와 휴대용 단말기(601a) 사이의 최적 거리 Amv를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8
이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단말기(601b)가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설치 위치에서 hm만큼 아래에 위치할 경우, 제2 감시 카메라(101b)의 최적 설치 위치와 휴대용 단말기(601b) 사이의 최적 거리 Dmva를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09
도 8은 도 5의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5의 제4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에서 참조 부호 Dmh는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휴대용 단말기(601, 601c) 사이의 최적 거리를 가리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카메라(101a)로부터 최적 거리 D만큼 제4 카메라(101d)를 이격시킬 경우, 벽면(602)과 제4 카메라(101d)의 간격은 최적 거리 A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설치 요원은 휴대용 단말기(601a)의 벽면상 위치가 제1 카메라(101a)로부터 Dmh만큼 이격되도록 휴대용 단말기(601a)를 위치시킨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601a)는 제1 카메라(101a)와 Dmh만큼 이격될 때에 경보한다. Dmh는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10
여기에서, 제4 카메라(101d)는, 제1 카메라(101a)와 최적 거리 D만큼 이격되고, 휴대용 단말기(601a)와 최적 거리 A만큼 이격되었을 때, 경보한다.
도 9는 도 5의 제1 감시 카메라(101a)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 5의 제4 감시 카메라(101d)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서 참조 부호 Dmvb는 제4 감시 카메라(101d)와 휴대용 단말기(601d) 사이의 최적 거리를, 603은 설치 요원을, 그리고 Dm은 제1 감시 카메라(101a)와 휴대용 단말기(601d) 사이의 최적 거리를 각각 가리킨다. 참조 부호 601c와 601d는 휴대용 단말기를 가리킨다. 도 9에서 도 5 및 8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천장과 벽면의 교차 지점에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601)를 위치시킴에 대하여 설치 요원(703)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 설치 요원(603)은 휴대용 단말기(601d)를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에서 hm만큼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601d)가 벽면(602)과 천장(302)의 교차 지점에서 hm만큼 아래에 위치함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601a)는 제1 카메라(101a)와 Dm만큼 이격될 때에 경보한다. Dm은 아래의 수학식 6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11
여기에서, 제4 카메라(101d)는, 제1 카메라(101a)와 최적 거리 D만큼 이격되고, 휴대용 단말기(601a)와 최적 거리 Dmvb만큼 이격되었을 때, 경보한다. Dmvb는 아래의 수학식 7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5123424309-pat00012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제1 감시 카메라와 제2 감시 카메라가 블루투스 4.0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함에 의하여, 제1 감시 카메라와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제2 감시 카메라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시 카메라와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최적 거리인 경우, 제2 감시 카메라가 경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나타나게 된다.
첫째, 감시 카메라들이 최적의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감시되지 못하는 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어안(魚眼) 렌즈를 채용한 360O 광각 카메라들인 경우, 해상도가 저하되는 외곽 영역이 배제될 수 있게 하는 정확한 설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둘째, 자동적 거리 측정 및 경보 발생에 의하여, 설치 요원은 손쉽게 설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치 요원의 노고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외의 카메라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1a 내지 101n : 감시 카메라들, 102 : 비디오 리코더,
103 : 인터넷, 104a 내지 104m :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OPS : 광학계, OEC : 광전 변환부,
20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02 : 타이밍 회로,
207 : 주 제어부, 208 : 비디오-신호 발생부,
210 : 구동부, 213 : 마이크로 컴퓨터,
215 : 경보부, 219 : 비콘 통신부,
22 : 인터페이스부, 301 : 바닥,
302 : 천장, h : 천장의 높이,
Figure 112015123424309-pat00013
: 제1 감시 카메라 또는 제2 감시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
α : 제1 감시 카메라 또는 제2 감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각도,
D : 제1 감시 카메라와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최적 거리,
501a 내지 501d : 각 카메라의 촬영 대상 영역,
601, 601a, 601b : 비콘 통신부를 구비한 별도의 휴대용 단말기,
602 : 벽면,
A : 교차 지점과 제1 감시 카메라 사이의 최적 거리,
701 : 천장과 벽면의 교차 지점,
603, 703 : 설치 요원,
hm :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벽면과 천장의 교차 지점까지의 높이,
Amv : 제1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a) 사이의 최적 거리,
Dmva : 제2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b) 사이의 최적 거리,
Dmh : 제1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 601c) 사이의 최적 거리,
Dmvb : 제4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d) 사이의 최적 거리,
Dm : 제1 감시 카메라와 휴대용 단말기(601d) 사이의 최적 거리.

Claims (6)

  1.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에 대응하는 바닥을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통신 대상과 통신함에 의하여, 상기 통신 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발생시키는 비콘 통신부;
    경보부; 및
    상기 비콘 통신부로부터의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가 벽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천장에 처음 설치될 경우,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벽면과 상기 천장의 교차 지점에 위치하는 비콘 통신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교차 지점으로부터 상기 감시 카메라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감시 카메라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비콘 통신하며 상기 감시 카메라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최적 거리인 경우 상기 경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최적 거리는 상기 천장과 상기 바닥 사이의 거리, 상기 감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각도 및 상기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을 기초로 산출되고,
    상기 최적 거리는 상기 천장에서의 수평 거리인, 감시 카메라.
  2. 제1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제2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는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에 대응하는 바닥을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천장과 상기 바닥 사이의 거리, 상기 제1 감시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각도 및 상기 제1 감시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영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외곽 영역의 폭에 대응하는 실제 외곽 폭을 기초로,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최적 거리를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계산함;
    (b)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동안에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서로 비콘 통신함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측정함; 및
    (c)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적 거리인 경우, 상기 제2 감시 카메라가 경보함;을 포함하고,
    상기 최적 거리는 상기 천장에서의 수평 거리인,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는 각각 360O 어안 렌즈의 카메라이고,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은 제1 원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촬영 영역은 제2 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원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원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의 길이는 상기 제1 원의 반지름과 상기 제2 원의 반지름을 더한 결과의 길이보다 2
    Figure 112021117884231-pat00028
    만큼 짧으며,
    상기
    Figure 112021117884231-pat00029
    는 상기 실제 외곽 폭이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천장의 높이를 h, 그리고 상기 제1 감시 카메라 또는 상기 제2 감시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각도를 α라 하면, 상기 제1 감시 카메라와 상기 제2 감시 카메라 사이의 최적 거리 D는
    Figure 112021117884231-pat00016
    의 수학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50180203A 2015-12-16 2015-12-16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KR10236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203A KR102369799B1 (ko) 2015-12-16 2015-12-16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203A KR102369799B1 (ko) 2015-12-16 2015-12-16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947A KR20170071947A (ko) 2017-06-26
KR102369799B1 true KR102369799B1 (ko) 2022-03-03

Family

ID=592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203A KR102369799B1 (ko) 2015-12-16 2015-12-16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2112A (ja) 2006-07-11 2008-01-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266B1 (ko) 2011-10-12 2012-03-27 (주) 한양지에스티 항공사진 촬영 방법
KR101574142B1 (ko) * 2013-01-18 2015-12-03 주식회사 노키온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KR101496871B1 (ko) * 2013-07-01 2015-03-02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2112A (ja) 2006-07-11 2008-01-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947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312B2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camera control method
US8164626B2 (en) Monitoring camera device
JP491031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402025B2 (ja) 複眼撮像装置及び複眼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8259056A (ja) 撮像装置および雲台制御方法
US11102410B2 (en) Camera parameter setting system and camera parameter setting method
JP2021033189A (ja) 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8390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CN106019531A (zh) 相位测距摄像模组及其自动报警方法
CN114554093B (zh) 图像采集系统及目标跟踪方法
KR101704551B1 (ko) 열상 카메라를 채용하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감시 방법
KR20140121345A (ko) 감시카메라 유닛 및 그 구동방법
KR20180138529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JP2007303913A (ja) 異物検知装置、それを用いたロボット装置、異物検知方法および異物検知プログラム
KR102369799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KR101268076B1 (ko) 소리발생 방향 감지에 따른 감시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추정 방법
CN104641277A (zh) 调焦装置以及调焦方法
KR101738514B1 (ko) 어안 열상 카메라를 채용한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JP2006270561A (ja) ハンズフリーモバイルカメラ
JP6136189B2 (ja) 補助撮像装置および主撮像装置
EP3496063B1 (en) Method of maintaining tilt angle, method of controlling tilting, and surveillance camera
KR101471187B1 (ko) 카메라 이동 제어 시스템 및 이동 제어 방법
JP2010004325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2596488B1 (ko) 감시 시스템
JP2006115080A (ja) 監視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