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529A -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529A
KR20180138529A KR1020180068547A KR20180068547A KR20180138529A KR 20180138529 A KR20180138529 A KR 20180138529A KR 1020180068547 A KR1020180068547 A KR 1020180068547A KR 20180068547 A KR20180068547 A KR 20180068547A KR 20180138529 A KR20180138529 A KR 20180138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out portion
image
movem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943B1 (ko
Inventor
신야 타오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3/00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6Topological mapping of higher dimensional structures onto lower dimensional surfaces
    • G06T3/073Transforming surfaces of revolution to planar images, e.g. cylindrical surfaces to plana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47Fisheye or wide-angle transfor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2Panospheric to cylindrical image trans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23/662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by using master/slave camera arrangements for affecting the control of camera image capture, e.g. placing the camera in a desirable condition to capture a desire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ometry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위치 판정부는,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잘라낸 부분의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판정한다. 결정부는,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을 이동하기 위한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방위 미러, 전체 둘레(all-around) 어안 렌즈 등을 탑재한 전방위 카메라는, 전체 주위의 경관을 촬영하는 촬상장치이다. 전방위 카메라의 잠재적인 응용분야로는 감시 카메라와 로봇 네비게이션으로서의 이용을 들 수 있다. 전방위 카메라는, 360도의 원환 또는 원형 형상을 갖는 어안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 내부의 특정 위치의 화상을 잘라내고, 어안 화상의 왜곡 및 기울기를 조정하여, 잘라낸 화상을 최적의 앵글로 변환해서 표시하는 화상 잘라내기(clipping) 기능이 있다(이 기능을 디워프로 부른다).
일본국 특개 2005-192057호 공보에는, 전방위 카메라가 촬영한 공간 화상에 근거하여 관찰자가 원하는 방향에서 부분 및 확대 화상을 열람 가능하게 하는, 직감적으로 조작성이 좋은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조정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십자 키를 사용하거나 프로토콜 기반의 방향 지정을 통해 행할 경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안 화상 위에 있어서 어안 화상의 잘라낸 부분이 고정량만큼 이동한다. 도 1a는, 어안 화상의 일례, 구체적으로는, 3인의 다른 인물을 포함하는 어안 화상(100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어안 화상(10000)은 잘라낸 부분 10001과 1000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잘라낸 부분 10001과 10002가 같은 이동량만큼, 어안 화상(10000)에 있어서 바로 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어안 화상(10000)의 중심(10003) 부근에 있는 잘라낸 부분 10002는, 이동전에 있어서, 주로 첫 번째 인물의 하반신을 포함하고, 이동후에 있어서는, 그 첫 번째 인물의 얼굴을 주로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어안 화상(10000)의 중심(10003)으로부터 떨어진 잘라낸 부분 10001은 다양하게 변화한다. 이동전에 있어서, 잘라낸 부분 10001의 상부 부분의 일부에 두 번째 인물의 하반신을 포함한다. 이동후에 있어서는, 잘라낸 부분 10001의 하부 부분이 그 두 번째 인물의 얼굴의 일부를 포함하고, 잘라낸 부분 10001의 상부 부분(중심(10003) 근방보다 상부 부분)은, 그 두 번째 인물의 배후에 있는 세 번째 인물을 포함한다. 이것은, 잘라낸 부분 10001이 잘라낸 부분 10002보다 더 크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잘라낸 부분 10001 및 10002가 어안 화상의 어디에 존재하더라도, 잘라낸 부분 10001 및 10002가 어안 화상(10000) 위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고정된 이동량만큼 이동하면, 어안 화상(10000)의 중심(10003) 부근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 10002에 비해, 주변부에 존재하는 화상의 잘라낸 부분 10001이 비교적 작게 보이는 멀리 떨어진 물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잘라낸 부분 10001에 대한 이동량이 잘라낸 부분 10002의 이동량보다 크기 때문에, 잘라낸 부분 10002에 대한 것보다 잘라낸 부분 10001의 미세 조정이 더 어렵다.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보다 적절한 이동량을 결정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는,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잘라낸 부분의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판정부와,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하기 위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어안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촬상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촬상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워프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잘라낸 부분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잘라낸 부분의 이동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잘라낸 부분의 이동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3은 모드 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4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 처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실시형태1을 설명한다. 도 2a는, 촬상장치(1000)의 일례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방위 미러 및 전체 둘레 어안 렌즈를 포함하는 촬상장치(1000)는, 어안 화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다. 촬상장치(1000)는, 정보 처리장치의 일례다. 전체 둘레 어안 렌즈를 사용하는 것은 일례로 생각되며, 각 실시형태는, 시인가능한 정도의 왜곡이 발생하는 렌즈를 사용해서 촬상을 행하는 기술에 적용가능하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안 화상은, 시인가능한 정도의 왜곡이 발생하는 렌즈를 사용해서 촬상된 화상을 포함한다.
촬상장치(1000)의 하우징(1101)은, 전방위 미러 및 전체 둘레 어안 렌즈를 포함한다. 촬상장치(1000)는, 전체 주위의 경관, 즉 360도의 원환 또는 원형 형상을 갖는 어안 화상을 촬영한다. 촬상장치(1000)는, 3가지 다른 설치 방법, 즉 천정 설치, 책상 설치 및 벽 부착 설치 중에서 한 개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전방위 카메라인 촬상장치(1000)는, 설치에 관련되는 모드를 갖는다. 촬상장치(1000)에는, 천정이나 책상에 설치하고, 실내 등을 광범위하게 감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천정 설치/책상 설치 모드와, 벽에 설치하여, 전방이 확 트인 장소를 감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벽 부착 모드가 설치된다. 또한, 촬상장치(1000)에는, 설치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가 설치되는, 범용 모드가 설치된다.
도 2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보처리 시스템은, 촬상장치(10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0)를 포함한다. 촬상장치(10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네트워크(3000)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촬상장치(1000)에 대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포함하는 각종 코맨드를 송신하는 퍼스널컴퓨터(PC), 서버 장치, 태블릿 장치 등의 정보 처리장치다. 촬상장치(1000)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코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송신한다.
도 3a는, 촬상장치(10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촬상장치(1000)는, 중앙처리장치(CPU)(301), 주 기억장치(302), 보조 기억장치(303), 광학계(3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305)를 포함한다. 각 요소는, 시스템 버스(306)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CPU(301)은, 촬상장치(1000)를 제어하는 중앙연산장치다. 주 기억장치(302)는, 예를 들어, CPU(301)의 워크 에어리어와 데이터의 일시적인 기억 장소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이다. 보조 기억장치(303)는, 각종 프로그램, 각종 설정 정보, 촬영된 어안 화상, 각종 코맨드를 기억한다. 보조 기억장치(303)는, 예를 들면, 판독 전용 메모리((RO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의 기억매체다.
광학계(304)는, 전방위 미러, 전체 둘레 어안 렌즈, 촬상소자, 렌즈 구동용의 모터를 포함하고, 주위의 환경을 촬영한다. 네트워크 I/F(305)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 등의 외부의 장치와 네트워크(3000)를 거쳐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CPU(301)이 보조 기억장치(30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촬상장치(1000)의 기능, 및, 도 6, 12, 13 및 1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흐름도의 처리가 실현된다.
도 3b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CPU(311), 주 기억장치(312), 보조 기억장치(313), 입력 I/F(314), 출력 I/F(315), 네트워크 I/F(316)를 포함한다. 각 요소는, 시스템 버스(317)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CPU(311)은, 클라이언트 장치(2000)를 제어하는 중앙연산장치다. 주 기억장치(312)는, 예를 들어, CPU(311)의 워크 에어리어 및 데이터의 일시적인 기억 장소로서 기능하는 RAM이다. 보조 기억장치(313)는, 촬상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 등의 각종 프로그램, 각종 설정 정보, 촬영된 어안 화상, 각종 코맨드를 기억한다. 보조 기억장치(313)는, 예를 들면, ROM, HDD, SSD 등의 기억매체다.
입력 I/F(314)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널의 조작부 등의 입력장치와의 접속에 이용되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접수한다. 출력 I/F(315)는, 액정표시장치(LCD), 스피커, 터치패널 등의 출력장치와의 접속에 이용되며, 출력장치에 정보를 출력한다. 네트워크 I/F(316)는, 촬상장치(1000) 등의 외부의 장치와 네트워크(3000)를 거쳐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CPU(311)이, 보조 기억장치(31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기능 및 처리 등이 실현된다.
도 4a는, 촬상장치(10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촬상장치(1000)는, 촬상부(1001), 화상처리부(1002), 시스템 제어부(1003), 구동제어부(1004), 렌즈 제어부(1005), 영상관리부(1006), 통신제어부(1007)를 포함한다.
촬상부(1001)는, 광학계(304)를 거쳐, 광학계(304)의 촬상소자에 입사한 빛이 변환된 전기신호를 취득한다. 화상처리부(1002)는, 촬상부(1001)에 의해 취득된 광전변환된 신호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 및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처리부(1002)는, 촬상장치(1000)에 포함되는 전용의 프로세서 또는 CPU(301)을 거쳐, 화상처리를 행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제어 코맨드를 해석하고, 코맨드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화상처리부(1002)에 대하여 화질조정의 지시와, 렌즈 제어부(1005)에 대하여 줌 및 포커스 제어의 지시를 행한다.
구동제어부(1004)는, 예를 들어, 광학계(304)의 포커스 렌즈 및 줌렌즈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한다. 구동제어부(1004)는, 렌즈 제어부(100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광학계(304)의 포커스 렌즈 및 줌렌즈 등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한다.
렌즈 제어부(1005)는, 시스템 제어부(1003)로부터 전달된 지시에 근거하여 구동제어부(1004)에게 모터 제어의 지시를 행한다.
영상관리부(1006)는, 보조 기억장치(303)에, 촬영된 어안 화상 등의 화상을 기억하고, 그 화상을 관리한다.
통신제어부(1007)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송신한다. 통신제어부(1007)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로부터 송신된 카메라 제어 코맨드 등의 코맨드를 수신하고, 그 코맨드를 시스템 제어부(1003)에 전달한다. 또한, 통신제어부(1007)는, 코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송신한다.
도 4b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표시 제어부(2001), 입력제어부(2002), 시스템 제어부(2003), 통신제어부(2004)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2001)는, 출력 I/F(315)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장치에 대하여,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화상 및/또는 카메라 제어를 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출력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2001)는, 출력 I/F(315)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장치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화상 및 카메라 제어를 행하기 위한 GUI를 표시한다.
입력제어부(2002)는, 입력 I/F(314)에 접속되어 있는 입력장치를 거쳐,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접수한다. 유저는, 예를 들면, 입력장치를 거쳐, 출력장치에 표시된 GUI를 조작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유저의 GUI 조작에 따라 카메라 제어 코맨드를 생성하고, 그 코맨드를 통신제어부(2004)를 거쳐 촬상장치(100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통신제어부(2004)를 거쳐,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표시 지시를 표시 제어부(2001)에게 행한다.
이렇게,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네트워크(3000)를 거쳐, 촬상장치(1000)로부터의 촬영 화상을 취득하고 촬상장치(1000)에 대한 각종의 카메라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5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가 출력하는 GUI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GUI(4000)은, 어안 화상 표시 영역(4001),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 잘라낸 화상 표시 영역(4003), 콘트롤 버튼(4004)을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GUI(4000)의 표시를, 표시 제어부(2001)에게 지시하고, 출력장치에 표시된 GUI에 대한 입력을, 입력 I/F(314)에 접속된 입력장치를 거쳐 접수한다.
어안 화상 표시 영역(4001)에는,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이 표시된다.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은, 어안 화상 표시 영역(4001)에 표시된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을 나타낸다. 잘라낸 부분은,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것이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의 시스템 제어부(1003)는, 주 기억장치(302)에, 잘라낸 부분이 어디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그 정보를 관리한다. 잘라낸 화상 표시 영역(4003)은,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에서 지정된 영역을,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후 디워프하여 얻어진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콘트롤 버튼(4004)은,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에 대한 이동의 지시에 이용되는 버튼이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어안 화상 표시 영역(4001)에,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을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로부터 잘라낸 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을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후 디워프된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이 나타내는 영역의 화상을 화상 표시 영역(4003)에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콘트롤 버튼(4004)에 조작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 지시를 촬상장치(1000)에 대해 발행하여,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을 이동시킨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으로서, GUI(4000)을 출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있어서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GUI(4000)에 있어서 콘트롤 버튼(4004)이 선택을 검지하면,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을 십자 키 중에서 눌러진 키가 표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맨드를 발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3)는, 발행한 코맨드를, 통신제어부(2004)를 거쳐, 촬상장치(100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로부터,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의 위치를 잘라내고, 디워프한 화상을, 통신제어부(2004)를 거쳐 수신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3)는, 잘라낸 화상 표시 영역(4003)에, 수신한 잘라낸 화상의 디워프된 화상을 표시한다.
도 6은, 디워프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을 참조하여, 촬상장치(1000)가 실행하는 디워프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10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로부터, 콘트롤 버튼(4004)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 잘라낸 부분(4002)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화상 위에서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렇게, 시스템 제어부(1003)는,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부(위치 판정수단)로서도 기능한다.
스텝 S110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화상으로부터, 스텝 S11000에서 특정한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에 있는 영역에 대하여 화상 잘라내기를 행한다.
스텝 S110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11001에서 잘라낸 화상에 대해 기하변환을 행하여, 잘라낸 화상을 사각형 화상으로 보정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이동후의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의 정보와 보정 결과인 사각형 화상을,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이동후의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을 표시하여, 잘라낸 부분 지정 프레임(4002)을 이동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보정 결과인 사각형 화상을, 잘라낸 화상 표시 영역(4003)에 표시한다.
도 7은, 방향 지정을 통한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는,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5000)이 표시된다. 점(5001)은, 어안 화상(5000)의 중심점이다. 점선(5002)은, 상하 방향의 이동에 의해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점(5001)이 천이하는 위치를 연결하는 선을 나타낸다. 점선(5002)은, 어안 화상(5000)의 중심점(5001)에 중심을 둔 원형 형상을 갖는다.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점(5001)은, 잘라낸 부분(4002)에 대응하는 어안 화상(5000)의 디워프된 영역인 사각형의 화상(4003)의 중심점(5001)에 대응하는 점이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로서,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1)의 좌표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위치 판정부(1003)에 의해 판정된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4002)을 이동하기 위한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화살표(5003)는, 한번의 상하 방향의 이동(예를 들면, 콘트롤 버튼(4004)의 상부 또는 하부 버튼을 1회 선택했을 경우의 이동)에서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촬상장치(1000)가 범용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1003)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잘라낸 부분(4002)의 1회의 이동에서의 이동량을,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한다.
도 8은, 방향 지정을 통한 잘라낸 부분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는,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6000)이 표시된다. 점(6001)은, 어안 화상(6000)의 중심점이다. 점선(6002)은,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해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점(6001)이 천이하는 위치를 연결하는 선을 나타낸다. 점선(6002)은 어안 화상(6000)의 중심점(6001)에 중심을 둔 원형 형상을 갖는다. 화살표(6003)는, 한번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서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점(6001)으로부터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1회의 이동에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이 감소한다(화살표 6003의 길이가 감소한다).
촬상장치(1000)가 천정 설치/책상 설치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1003)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잘라낸 부분(4002)의 점(6001)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1회의 이동에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줄인다. 촬상장치(1000)가 천정 또는 책상에 설치될 경우, 촬상장치(1000)가 촬영하는 어안 화상(6000)의 원주 부근은, 중심(6001) 부근에 비해, 비교적 작게 반사되는 멀리 떨어진 물체를 피사체로서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촬상장치(1000)가 천정 설치/책상 설치 모드의 경우,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하는 어안 화상(6000)의 원주 부근의 이동량을 줄임으로써, 원주 부근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천정 설치/책상 설치 모드에서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영상(6000) 내에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이하의 식 1을 사용하여, 어안 영상(600) 내에서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이동량=기본 이동량[픽셀수/1회의 이동 지시]*좌표의 가중 계수 …(식 1)
식 1을 참조하면, 기본 이동량은, 촬상장치(1000)가 범용 모드일 경우에, 1회의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시의 이동량이다. 기본 이동량은 미리 값이 정해져 있다. 보조 기억장치(303)는, 미리 기본 이동량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식 1을 참조하면, 좌표의 가중 계수는, 어안 화상(6000)의 좌표마다 결정된 파라미터이며, 좌표와 어안 화상(6000)의 중심 좌표(6001) 사이 거리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좌표의 가중 계수는, 좌표와, 어안 화상(600)의 중심 좌표(6001)와, 어안 화상(6000)의 반경의 관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좌표의 가중 계수를, 이하의 식 2를 사용해서 결정한다.
좌표의 가중 계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k-1)*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6001)으로부터의 거리[픽셀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 …(식 2)
식 2를 참조하면, 상수 k는, 어안 화상의 원주 위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이, 어안 화상(6000)의 중심(6001)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의 1/k배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보조 기억장치(303)는, 미리 k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또한, 다음과 같은 식 3을 사용하여, 좌표의 가중 계수를 결정해도 된다.
좌표의 가중 계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k)-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6001)로부터의 거리[픽셀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k) …(식 3)
도 9의 예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부(1003)는, 좌표 6004 및 6005에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의 좌표가 존재할 경우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도 9의 예를 참조하면, k=2, 기본 이동량[픽셀수/1회의 이동 지시]=100, 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1000으로 가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및 2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어안 화상(6000)의 중심(6001)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중심 좌표에서의 이동량=100*(1000/((2-1)*0+1000))=100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어안 화상(6000)의 중심(4005)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4002)을, 100픽셀만큼 이동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2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어안 화상(6000)의 원주에 존재할 경우에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원주 좌표 상에서의 이동량=100*(1000/((2-1)*1000+1000))=50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어안 화상(6000)의 원주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50픽셀만큼 이동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2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좌표 6004에 존재할 경우에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좌표 6004에서의 이동량=100*(1000/((2-1)*300+1000))≒77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좌표 6004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77픽셀만큼 이동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2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좌표 6005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좌표 6005에서의 이동량=100*(1000/((2-1)*800+1000))≒56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4002)의 중심(4006)이 좌표 6005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56픽셀만큼 이동시킨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2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의 어안 화상(6000)의 중심(6001)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가 감소하도록,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2 이외의 식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의 어안 화상(6000)의 중심(60001)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잘라낸 부분(4002)의 위치가 감소하도록,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다음 식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4002)의 이동량을 결정해도 된다.
이동량=(미리 정해진 상수)/(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6001)으로부터의 거리)2
도 10은, 잘라낸 부분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는,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7000)이 표시된다. 점(7001)은 어안 화상(7000)의 중심점이다. 점선(7002)은, 잘라낸 부분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의해 잘라낸 부분의 중심점(7001)이 천이하는 위치를 연결한 선을 나타낸다. 점선(7002)은 어안 화상(700)의 중심점(7001)에 중심을 둔 원형 형상을 갖는다. 화살표(7003)는, 한번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도 10의 예를 참조하면,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점(7001)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1회의 이동에 있어서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이 증가한다(화살표(7003)의 길이가 증가한다).
촬상장치(1000)가 벽 부착 설치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1003)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점(7001)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증가시킨다. 촬상장치(1000)가 벽에 설치될 경우, 촬상장치(1000)가 촬영하는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1)의 부근은, 원주 부근에 비교하여, 비교적 작게 반사된 멀리 떨어진 물체를 피사체로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촬상장치(1000)가 벽 부착 설치 모드의 경우,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하는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1) 부근의 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중심(7001) 부근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벽 부착 설치 모드에서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영상(7000) 내에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의 결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식 1을 사용하여, 어안 영상(7000) 내에서의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그러나, 시스템 제어부(1003)는, 좌표의 가중 계수의 값으로서,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값과 다른 값을 이용한다. 이 경우의 좌표의 가중 계수는, 어안 화상(7000)의 좌표마다 결정된 파라미터이며, 좌표와 어안 화상(7000)의 중심 좌표(70001)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좌표의 가중 계수는, 좌표들과, 어안 화상(7000)의 중심 좌표(7001)와, 어안 화상(7000)의 반경의 관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4(후술한다)를 사용하여, 식 1에서 이용되는 좌표의 가중 계수를 결정한다. 식 3을 참조하면, 상수 k는, 어안 화상의 중심(7001)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이, 어안 화상(7000)의 원주에 존재하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의 1/k배가 되는 것을 나타낸다.
좌표의 가중 계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1-k)*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7001)로부터의 거리[픽셀수]+k*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 …(식 4)
시스템 제어부(1003)는, 또한, 다음과 같은 식 5를 사용하여, 좌표의 가중 계수를 결정해도 된다.
좌표의 가중 계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7001)로부터의 거리[픽셀수])/(어안 화상의 반경[픽셀수]*k) …(식 5)
도 11의 예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어부(1003)는, 좌표 7004 및 7005에 잘라낸 부분의 중심 좌표가 존재할 경우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도 11의 예를 참조하면, k=2, 기본 이동량[픽셀수/1회의 이동 지시]=100, 어안 화상의 반경=1000픽셀로 가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및 4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어안 화상)7000)의 원주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원주 좌표에서의 이동량=100*(1000/((1-2)*1000+2*1000)=100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어안 화상(7000)의 원주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100픽셀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4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01)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중심 좌표 상에서의 이동량=100*(1000/((1-2)*0+2*1000)=50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1)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50픽셀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4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좌표 7004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좌표 7004에서의 이동량=100*(1000/((1-2)*100+2*1000)≒53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좌표 7004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53픽셀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4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좌표 7005에 존재할 경우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통해 결정한다.
좌표 6005에서의 이동량=100*(1000/((1-2)*400+2*1000)≒63
즉, 시스템 제어부(1003)는, 잘라낸 부분의 중심이 좌표 7005에 존재할 경우, 1회의 이동에 따라, 잘라낸 부분을 63픽셀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4를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1)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잘라낸 부분의 위치가 증가하도록,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시스템 제어부(1003)는, 식 1, 식 4 이외의 식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어안 화상(7000)의 중심(70001)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잘라낸 부분의 위치가 증가하도록,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해도 된다.
이동량=(미리 정해진 상수)/(어안 화상의 반경-어안 화상의 중심 좌표로부터의 거리)2
도 12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스텝 S80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의 설치 조건 및 조작에 근거하여, 촬상장치(1000)의 모드를 결정한다.
스텝 S81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주 기억장치(302)에 기억되어 있는 잘라낸 부분의 정보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중심 좌표가, 촬상장치(1000)에 의해 촬영된 어안 화상의 어느 좌표에 존재하는지를 특정한다.
스텝 S82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2000)로부터, GUI(4000)의 콘트롤 버튼(4004)에 대한 조작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 지시를 접수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03)는, 접수한 이동 지시가 나타내는 이동 방향을 특정한다.
스텝 S83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8000에서 결정한 모드와, 스텝 S8100에서 특정한 잘라낸 부분의 중심의 좌표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8200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잘라낸 부분을 결정한 이동량만큼 이동시키고, 이동후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정보를 주 기억장치(302)에 기억한다.
도 13은, 촬상장치(1000)의 모드 결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3을 참조하여, 스텝 S8000의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스텝 S80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콘트롤 버튼(4004)에 대해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이, 미리 정해진 조작(긴 버튼 누름, 연타 및 기타 연속조작을 포함한다) 중 한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있어서 콘트롤 버튼(4004)에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이, 미리 정해진 조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8001에서 YES), 스텝 S8002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003)는,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있어서 콘트롤 버튼(4004)에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이 미리 정해진 조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8001에서 NO), 스텝 S8003의 처리로 진행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콘트롤 버튼(4004)에 대해 조작이 행해진,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예를 들면, 3초간 등), 콘트롤 버튼(4004)에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이 미리 정해진 조작이 아닌 것으로 판정해도 된다.
스텝 S80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의 모드를, 도 2a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범용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스텝 S80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의 설정 상태 및 설치 상황을 확인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보조 기억장치(303)에 기억된 촬상장치(1000)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상태 및 설치 상황을 확인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0)에 포함되는 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을 확인해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화상에 근거하여,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을 확인해도 된다. 스텝 S80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8003에서 확인한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이 벽 부착 설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가 스텝 S8003에서 확인한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이 벽 부착 설치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8004에서 YES), 스텝 S8005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부(1003)가, 스텝 S8003에서 확인한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이 벽 부착 설치가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8004에서 NO), 스텝 S80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80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의 모드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벽 부착 설치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스텝 S80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촬상장치(1000)의 모드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천정 설치/책상 설치 모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는,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부분의 중심의 좌표를, 잘라낸 부분의 위치로서 특정하고, 특정한 위치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촬상장치(1000)는,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보다 적절한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000)는,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는 모드에 따라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촬상장치(1000)는, 촬상장치(1000)의 설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 2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는, 어안 화상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는, 어안 화상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 이외에, 잘라낸 부분의 화각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도,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도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도 14는, 잘라낸 부분의 이동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스텝 S9000 내지 S9200의 처리는, 도 13의 스텝 S8000 내지 S8200의 처리와 유사하다.
스텝 S93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9000에서 결정한 모드와, 스텝 S9100에서 특정한 잘라낸 부분의 중심의 좌표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이동량을 잠정 이동량으로서 특정한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스텝 S94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9300에서 특정한 잠정 이동량과, 잘라낸 부분의 화각(잘라낸 부분의 사이즈)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잘라낸 부분의 화각은, 예를 들면, 잘라낸 부분의 영역과, 디워프된 잘라낸 부분의 영역의 가로 폭이다.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잠정 이동량과, 잘라낸 부분의 화각에 근거하여, 이하의 식 6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이동량=잠정 이동량*(잘라낸 부분의 화각/잘라낸 부분으로서 설정가능한 최대 화각) …(식 6)
시스템 제어부(1003)는, 예를 들면, 잘라낸 부분의 화각이 작을수록 이동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다른 식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950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1003)는, 스텝 S9400에서 결정한 이동량만큼, 스텝 S9200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킨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는, 잘라낸 부분의 위치 이외에, 잘라낸 부분의 화각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촬상장치(1000)는, 잘라낸 부분의 화각에 적절한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 3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및 2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가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장치(2000)는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2000)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본 실시형태의 촬상장치(10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도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하드웨어 구성 및 기능 구성도 실시형태 1과 유사하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부(2003)는, 아래와 같이 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가 촬영한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를 특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0)로부터 잘라낸 부분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위치를 특정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촬상장치(1000)로부터 촬상장치(1000)의 모드의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3)는, 취득한 모드의 정보와, 특정한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식 1 및 2를 사용하는 방법과, 식 1 및 식 4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3)는, 콘트롤 버튼(4004)이 조작되었을 때에, 촬상장치(1000)에 대하여 결정한 이동량의 정보를 송신하여, 잘라낸 부분의 이동을 지시한다.
실시형태 1 및 2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는, 잘라낸 부분의 정보를 관리하고, 결정한 이동량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장치(2000)가 잘라낸 부분의 정보를 관리하고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켜도 된다. 그 경우, 시스템 제어부(2003)는, 주 기억장치(312)에 잘라낸 부분의 정보를 기억하고, 그 정보를 관리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GUI(4000)의 콘트롤 버튼(4004)을 사용한 선택 조작을 검지하면, 검지한 조작에 근거하여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3)는 이동후의 잘라낸 부분의 정보를 촬상장치(1000)에 송신한다.
촬상장치(1000)는, 송신된 잘라낸 부분의 정보가 나타내는 영역을 디워프하고, 디워프한 화상을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는, 수신한 디워프된 화상을 잘라낸 화상 표시 영역(4003)에 표시한다. 시스템 제어부(2003)가 이동후의 잘라낸 부분의 정보가 나타내는 영역을 디워프해도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처리라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면, ASIC)에 의해서도 실현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촬상장치(10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0)의 기능 구성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하드웨어로서 촬상장치(10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0)에서 구현해도 된다.
실시형태 1 내지 3에 따르면, 촬상장치(1000) 및 클라이언트 장치(2000) 등의 단체의 정보 처리장치가,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거쳐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장치가, 잘라낸 부분의 1회의 이동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결정해도 된다. 그 경우, 복수의 정보 처리장치 각각의 CPU가, 각 정보 처리장치의 보조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연계해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기능과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처리를 실현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되는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된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따르면,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잘라낸 부분의 보다 적절한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9)

  1.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잘라낸 부분의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판정부와,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하기 위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정부는,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잘라낸 부분의 중심의 위치를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로서 판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의 좌표에 대해서 정해진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에 관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 지시가 내려졌을 때의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어안 화상의 중심과 상기 좌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정해지는 정보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와, 상기 잘라낸 부분의 화각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 지시가 내려졌을 때의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와, 상기 어안 화상을 촬상한 촬상장치의 설치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 지시가 접수되는 경우, 상기 지시에 의해 지정된 방향으로,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이동량만큼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부를 더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1회의 상기 지시에 대응하는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어안 화상을 촬상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인 정보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상기 어안 화상을 촬상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와 통신가능한 정보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잘라낸 부분의 화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도 짧은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이동량보다도 작은 이동량을,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으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어안 화상의 중심 위치인 정보 처리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어안 화상을 촬상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가 천정 또는 책상에 설치되고,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이동량보다도 작은 이동량을,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으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도 짧은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이동량보다도 큰 이동량을,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으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어안 화상의 중심 위치인 정보 처리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어안 화상을 촬상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가 벽에 설치되고,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잘라낸 부분이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거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의 이동량보다도 큰 이동량을,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으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장치.
  18. 정보 처리장치가 실행하는 정보 처리방법으로서,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잘라낸 부분의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판정하는 위치 판정 단계와,
    상기 위치 판정 단계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하기 위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방법.
  19. 컴퓨터를,
    어안 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잘라낸 부분의 상기 어안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판정부와,
    상기 위치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잘라낸 부분을 이동하기 위한 상기 잘라낸 부분의 이동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80068547A 2017-06-21 2018-06-15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102314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1162 2017-06-21
JP2017121162A JP6938237B2 (ja) 2017-06-21 2017-06-21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529A true KR20180138529A (ko) 2018-12-31
KR102314943B1 KR102314943B1 (ko) 2021-10-20

Family

ID=6268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47A KR102314943B1 (ko) 2017-06-21 2018-06-15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43315B2 (ko)
EP (1) EP3422287B1 (ko)
JP (1) JP6938237B2 (ko)
KR (1) KR102314943B1 (ko)
CN (1) CN109104562B (ko)
MY (1) MY188964A (ko)
SG (1) SG10201804603X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2582B2 (ja) * 2019-03-11 2022-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物体追跡装置および物体追跡方法
CN110086987B (zh) * 2019-04-22 2021-01-0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视角裁剪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136311B (zh) * 2019-10-22 2022-07-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成像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57A (ja) *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空間画像の切出し表示方法及び装置
US20160086306A1 (en) * 2014-09-19 2016-03-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mage generating device, imag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076477A1 (en) * 2015-09-15 2017-03-16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535A (ja) * 2002-07-30 2004-02-26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端末、撮影方法、撮影プログラム
JP4225117B2 (ja) * 2003-05-27 2009-02-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ドアホンシステム
JP2005339313A (ja) * 2004-05-28 2005-12-08 Toshiba Corp 画像提示方法及び装置
JP2007150452A (ja) * 2005-11-24 2007-06-14 Aiphone Co Ltd テレビドアホン装置
JP4853380B2 (ja) * 2007-05-25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テレビインターホン
JP5106335B2 (ja) * 2008-09-24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41514B (zh) 2008-11-12 2014-06-11 Avisonic Technology Corp 魚眼影像校正及減輕透視變形的影像處理方法及相關影像處理裝置
JP5338498B2 (ja) * 2009-06-09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1050038A (ja) * 2009-07-27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再生装置及び撮像装置
JP5347890B2 (ja) * 2009-10-09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13041B2 (ja) 2010-12-24 2014-10-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678324B2 (ja) * 2011-02-10 2015-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US8600194B2 (en) * 2011-05-17 2013-12-03 Apple Inc. Positional sensor-assisted image registration for panoramic photography
CN103703755B (zh) * 2011-07-22 2016-02-10 富士胶片株式会社 全景图像产生方法和图像捕获设备
US20130081028A1 (en) * 2011-09-23 2013-03-28 Royce A. Levien Receiving discrete interface device subtask result data and acquiring task result data
JP6152991B2 (ja) * 2012-04-02 2017-06-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カメラ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JP5962771B2 (ja) * 2012-12-12 2016-08-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移動物体位置姿勢角推定装置及び移動物体位置姿勢角推定方法
US9094540B2 (en) * 2012-12-13 2015-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cing image on imager in multi-lens cameras
JP6160357B2 (ja) 2013-08-15 2017-07-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通信システム
CN104167002B (zh) * 2014-08-28 2017-01-11 中国矿业大学 鱼眼图像的有效区域提取方法
JP6541327B2 (ja) * 2014-10-21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53569B2 (en) * 2015-06-24 2019-07-16 Htc Corporation Crop frame adjust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973711B2 (en) * 2015-06-29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nt-based zooming and panning for video curation
TWI558208B (zh) * 2015-07-14 2016-11-11 旺玖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處理方法、影像處理裝置及顯示系統
JP6455474B2 (ja) * 2016-03-25 2019-01-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21393B1 (en) * 2016-04-29 2017-08-01 Immersive Enterprises, LLC Method for processing and delivering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CN106600548B (zh) * 2016-10-20 2020-01-0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鱼眼摄像头图像处理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057A (ja) * 2003-12-26 2005-07-14 D Link Corp 空間画像の切出し表示方法及び装置
US20160086306A1 (en) * 2014-09-19 2016-03-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Image generating device, image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076477A1 (en) * 2015-09-15 2017-03-16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ouache et al. An Adapted Block Matching method for optical flow estimation in catadioptric images. ICMCS, 2014년 4월, pp. 69-7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4562B (zh) 2021-09-14
US10643315B2 (en) 2020-05-05
KR102314943B1 (ko) 2021-10-20
JP6938237B2 (ja) 2021-09-22
EP3422287B1 (en) 2020-05-13
JP2019009520A (ja) 2019-01-17
SG10201804603XA (en) 2019-01-30
EP3422287A1 (en) 2019-01-02
CN109104562A (zh) 2018-12-28
MY188964A (en) 2022-01-14
US20180374200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54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for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4049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for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301772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of user
US1119069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1587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9074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859717B1 (en) Capturing control apparatus, captur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10102695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0250794B2 (en) Capturing an image using multi-camera automatic focus
US1183197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different in in-focus position
US9955081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imaging range to include target region,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US20190230269A1 (en) Monitoring camera, method of controlling monitoring camera,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138529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US20200213523A1 (en) Control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17310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202101527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45242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50281554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US952581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JP2016111561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9214A (ja) 撮像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6208275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189611A (ja) コンピュータ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7231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