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871B1 -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871B1
KR101496871B1 KR1020130076332A KR20130076332A KR101496871B1 KR 101496871 B1 KR101496871 B1 KR 101496871B1 KR 1020130076332 A KR1020130076332 A KR 1020130076332A KR 20130076332 A KR20130076332 A KR 20130076332A KR 101496871 B1 KR101496871 B1 KR 10149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urveillance camera
candidate
new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470A (ko
Inventor
최진원
정기택
Original Assignee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8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감시카메라가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상응하는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단계-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System for arranging security camera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가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감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BIM/GIS 기반 정량적 Green 정주환경 성능 평가 방법론 연구 및 평가 프로그램개발 연구(세부과제번호: 2011-0028498)의 결과물로서 도출된 것이다.
최근에는 영상인식기술이 발전과 대규모 플랫폼과의 접목으로 인해 감시 카메라 분야의 기술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범죄나 도난 사고 등을 예방하거나 방범, 보안, 교통 방제 등을 위하여 감시 카메라(예를 들면, CCTV 카메라 등)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감시 카메라는 고가인 경우가 많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예산 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주어진 감시카메라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그럼에도 종래에는,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10-2012-0135393 (울타리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 처리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감시 영역(울타리 주위)에 감시 카메라를 분산 배치하는 등 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사람이 각자의 경험이나 안목에 의한 정성적 판단에 의존하여 왔으며,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에 의해 감시카메라의 배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한편, 건물 내부와 같이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감시의 필요성이 큰 구역(예를 들면, 출입구, 엘리베이터 등)이 명확한 경우와 달리, 야외 지역은 단순히 감시 영역이 넓다는 점뿐만 아니라 각종 건물 등의 장애물이 많고 그 배치도 복잡하여 사각 지역을 파악하기가 힘들고, 사람이 지나다니는 정도나 범죄 발생 가능성도 각 구역마다 다르다는 특성으로 인해 객관적, 정량적 기준에 의해 감시 카메라를 배치할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개수의 감시 카메라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에 의해 배치함으로써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감시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 등 구조물의 배치나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공간 내의 각 구역의 감시 필요성 정도를 고려하여 제한된 개수의 감시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a)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상응하는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단계-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b)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f)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신규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신규 카메라를 기존 감시 카메라에 추가하는 단계 및 (g)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소정의 반복 회수만큼, 상기 (c)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각각의 후보 시선방향마다,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방향을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선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 식에 의해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1
(여기서, P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r(a)는 격자 영역 a와 상기 후보 격자 영역간의 거리, k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임)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a)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 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단계-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은,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 별로 할당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및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생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 중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상응하는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입력모듈-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 생성모듈,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커버점수 산출모듈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은,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각각의 후보 시선방향마다,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고,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방향을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선방향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아래 식에 의해,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2
(여기서, P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r(a)는 격자 영역 a와 상기 후보 격자 영역간의 거리, k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임)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 생성모듈,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 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커버점수 산출모듈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은,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은,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 별로 할당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를 입력 받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은,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 중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던 영역을 가능한 한 줄이고, 신규로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되는 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에 의한 감시의 필요성이 높은 구역을 객관적,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그러한 감시 필요성이 높은 구역을 가능한 한 넓게 커버할 수 있도록 감시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대상 공간 정보를 가시화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대상 공간이 격자 영역으로 구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대상 공간 상에 기 배치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대상 공간에 신규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 가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해저드 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해저드 맵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기존 감시 카메라가 도 4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신규 카메라가 배치된 경우 신규 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입력모듈(110),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 가중치 생성모듈(140), 커버점수 산출모듈(150) 및 제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 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모듈(110),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 가중치 생성모듈(140), 커버점수 산출모듈(150) 및/또는 제어모듈(16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입력모듈(110),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 가중치 생성모듈(140), 커버점수 산출모듈(150) 및/또는 제어모듈(16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입력모듈(110),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 가중치 생성모듈(140) 및/또는 커버점수 산출모듈(15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모듈(110)은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110)은 외부의 공간모델러(200; 예를 들면, 아키스페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공간정보를 임포트(import)하거나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에 포함된 소정의 공간정보 DB(미도시)로부터 상기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는 상기 대상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상 공간 내의 각종 오브젝트(예를 들면, 장애물, 벽, 건물 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은 2D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대상 공간 정보를 가시화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공간(10) 대한 정보에는 상기 대상 공간(10)에 위치한 각종 구조물이 폴리곤(Polygon)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빗금(▨)으로 표시되는 영역은 구조물에 의해 점유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대상 공간(10)은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대상 공간(10)이 격자 영역으로 구분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공간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의 단위 격자 영역(예를 들면, 12)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 공간(10)을 구분하는 각각의 격자 영역의 크기와 모양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대상 공간은 육각형으로 된 벌집 모양의 단위 격자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격자 영역은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단위 영역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개별 격자 영역은 각각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이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격자 영역은 고유한 해저드 값(위험 지수)이나 가중치 등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격자 영역을 표현하는 정보(예를 들면, 격자의 모양이나 크기, 간격 등에 관한 정보 또는 개별 격자 영역의 크기, 모양, 위치 등에 관한 정보)는 상기 입력모듈(110)로 입력되는 상기 대상 공간에 관한 정보에 포함할 수도 있지만, 상기 대상 공간에 관한 정보와는 별도로 입력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모듈(110)은 기존에 배치된 한 대 이상의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감시 카메라의 배치정보(예를 들면, 배치된 위치, 향하고 있는 시선방향) 및 기기정보(가시거리, 화각, 해상도에 관한 정보나 모델 타입 등)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은 기존에 배치된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은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을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대상 공간 상에 기 배치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공간(10) 상에 기존 감시 카메라(13-1 내지 13-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120)은 기존 감시 영역(14-1 내지 14-3)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감시 영역(14-1 내지 14-3)에는 건물에 의한 사각영역이 제거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은 상기 대상 공간(10)에서 상기 대상 공간(10)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10)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는 배치 가능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대상 공간(10)에서 구조물 영역(도 2의 빗금 영역) 및 기존 감시 영역(도 4의 빗금 영역)을 제거한 영역일 수 있다. 생성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배치 가능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을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치 가능 영역 내의 격자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치 불가 영역은 소정의 제한 구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구역은 소정의 법규나 가이드 라인에 의해 결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모듈(110)은 제한 구역에 관한 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130)은 상기 제한 구역을 더 제거하여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모듈(110)은 신규로 추가할 감시 카메라에 관한 정보(추가될 감시카메라의 개수, 신규 감시 카메라 각각의 기기정보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입력모듈(110)이 하나의 해저드 맵 데이터만을 입력 받는 경우에는 가중 계수의 입력은 생략될 수 있다.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10)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영역의 위험지수는 해당 영역이 감시될 필요성을 나타내는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해저드 맵 데이터는 범죄 발생 통계량 혹은 유동 인구의 통계량일 수도 있으며, 소정의 기준 지점(예를 들면, 경찰서, 방범소가 위치한 지점 등)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서로 다른 해저드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10)을 구분하는 격자 영역 별 위험지수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대상 공간 및 격자 영역 별로 설정되는 해저드 맵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해저드 맵 데이터에서 상기 대상 공간(10) 중 구역(21)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지수는 1, 구역(22)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4, 구역(23)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1, 구역(24)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2, 구역(25)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1, 구역(26)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3, 구역(27)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2, 구역(28)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격자 영역의 위험 지수는 4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해저드 맵 데이터 중에서는 격자 영역 별 위험지수로 표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그 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은 소정의 공간(도 2에 도시된 대상 공간이 아님)에 대한 위험지수를 등고선과 유사한 형식으로 표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의 명도(혹은 채도)에 상응하는 수치로 위험 지수가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해저드 맵 데이터도 별도의 변환/처리 과정을 통하여 격자 영역 별 위험지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모든 해저드 맵 데이터는 격자 영역 별 위험지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입력된 상기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10)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예를 들면, 12)의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만약 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개의 해저드 맵이 입력된 경우,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각각의 격자 영역마다 다음의 식에 의해 해당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3
(여기서,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αi는 i번째 해저드 맵 데이터의 가중 계수, Hi(a)는 i번째 해저드 맵 데이터에 포함된 격자 영역 a의 위험지수)
예를 들어, 2개의 해저드 맵 데이터(제1 해저드 맵 데이터 및 제2해저드 맵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며, 제1해저드 맵 데이터에서 상기 대상 공간(10) 상의 임의의 격자 영역(예를 들어, 12)에 해당하는 위험지수가 10이고, 제2 해저드 맵 데이터에서 상기 격자영역(예를 들어, 12)에 해당하는 위험지수가 12이며, 또한 제1해저드맵 데이터의 가중 계수가 2이고, 제2해저드 맵 데이터의 가중 계수가 3인 경우,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상기 격자 영역(예를 들어, 12)의 가중치를 10ㅧ2+12ㅧ3=56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상기 대상 공간(10)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10)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 영역에 상응하는 가중치는 소정의 최소 값(예를 들면,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10)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대상 공간(10)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 중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최소값(예를 들면, 0)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해저드 값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 및 구조물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140)은 기존 감시 영역 및 구조물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 영역에 상응하는 가중치는 모두 제1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 영역에 상응하는 가중치는 모두 제2값(예를 들어, 1)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상기 배치 가능 영역(도 5 참조)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이하, '후보 격자 영역'이라고 함) 별로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임의의 후보 격자 영역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는 해당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기존 감시 카메라가 도 4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신규 카메라가 배치된 경우 신규 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되는 추가 감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신규 카메라(15)가 도 8과 같은 위치 및 시선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상기 신규 카메라(15)가 배치되었을 때의 커버 영역에서 기존 감시카메라(13-1)에 의해 커버되던 영역(14-1)과 겹치는 영역을 제거하여 추가 커버 영역(16)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규 커버 영역(16)에 관한 정보는 상기 신규 커버 영역(16)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추가 커버 영역(16) 내에 포함되는 격자 영역을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임의의 후보 격자 영역에 새로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새로 설치될 감시카메라의 시선 방향은 0도에서 360도 사이 중 어느 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하나의 후보 격자 영역에 감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한대이지만,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360도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감시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매 10도에 해당하는 방향을 신규 감시 카메라가 설치될 후보 시선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하나의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후보 시선 방향(예를 들면, 매 10도)마다,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모든 후보 시선방향에 대한 커버 점수가 산출되고 나면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높은 커버 가지는 후보 시선방향을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을 대표하는 시선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추후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카메라가 배치되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 방향(즉,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을 대표하는 시선방향)이 신규 카메라가 배치될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입력모듈(110)을 통해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이 입력된 경우,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상기 신규 카메라가 소정의 후보 격자 영역에 소정의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과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던 기존 감시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이 소정의 후보 격자 영역에 소정의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추가로 커버되는 신규 감시 영역을 판단한 이후,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상기 신규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 및 상기 후보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150)은 각각의 신규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의 총합을 커버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감시카메라와 사물과의 거리가 멀수록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해당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음 식에 의해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4
(여기서, P는 상기 후보 격자 영역 및 상기 후보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 A는 상기 후보 격자 영역 및 상기 후보 시선방향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경우에 추가로 커버될 감시 영역, a는 감시 영역 A에 포함된 격자 영역,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r(a)는 격자 영역 a와 상기 후보 격자 영역간의 거리, k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임)
모든 후보 격자 영역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가 산출된 후,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신규 배치 영역에 상응하는 격자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배치 영역을 대표하는 시선 방향(즉, 상기 신규 배치 영역에 후보 시선방향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시선방향)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대의 신규 카메라가 새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모듈(160)은 모든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60)은 임의의 신규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결정하고 나면, 해당 위치 및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신규 카메라를 기존 카메라 중 하나로 보고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60)은 복수의 신규 감시카메라를 물리적 성능이 높은 순에서부터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160)은 복수의 신규 감시카메라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각각의 신규 감시카메라의 화각 및 시야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신규 감시카메라가 커버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모듈(160)은 커버 가능 영역이 가장 큰 신규 감시카메라부터 낮은 순으로 신규 감시카메라가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던 영역을 가능한 한 줄이고, 신규로 설치되는 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되는 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저드 맵을 도입하여 감시 카메라에 의한 감시의 필요성이 높은 구역을 객관적,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그러한 감시 필요성이 높은 구역을 가능한 한 넓게 커버할 수 있도록 감시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대상 공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00).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의 가중 계수를 입력 받아(S1100),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S1200).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기존에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를 입력 받고(S1300),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400).
이후,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00).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600).
이후,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모든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고(S1700),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후보 격자 영역을 신규 감시카메라 C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S1800).
한편,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단계 1700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격자 영역 L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해당 후보 격자 영역 L 상의 모든 후보 시선 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산출하고(S1710), 가장 커버 점수가 큰 후보 시선 방향을 상기 후보 격자 영역 L의 커버 점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장 큰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 방향을 신규 감시카메라 C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 L에 배치될 경우의 시선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S1720).
한편,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단계 1710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시선 방향 D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 카메라 C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 L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 D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카메라 C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S1711), 상기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 D의 커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1712).
한편,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모든 신규 감시카메라의 배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1900),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신규 카메라 C를 기존 카메라 중 하나로 보고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S2000).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a)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상응하는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단계-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b)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f)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결정된 상기 신규 배치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신규 카메라를 기존 감시 카메라에 추가하는 단계; 및
    (g)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소정의 반복 회수만큼, 상기 (c) 단계 내지 상기 (f)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각각의 후보 시선방향마다,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방향을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선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 식에 의해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5
    (여기서, P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에 포함된 격자 영역,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r(a)는 격자 영역 a와 상기 후보 격자 영역간의 거리, k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임)
  7.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a)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 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은,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단계-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은,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 별로 할당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및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생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 중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제공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이 제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1.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상응하는 해저드 맵 데이터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를 입력 받는 입력모듈-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 데이터는,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각 영역에 대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 생성모듈;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커버점수 산출모듈;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은,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배치 위치, 시야거리, 시선방향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존 감시 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존감시영역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는 각각의 후보 시선방향마다,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고,
    가장 높은 커버 점수를 가지는 후보 시선방향을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선방향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시선방향에 상응하는 커버 점수를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로 설정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시야거리 및 화각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않은 커버가능영역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는 사각영역과 상기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점수 산출모듈은, 아래 식에 의해, 상기 신규 카메라가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상기 후보 시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식]
    Figure 112013058753084-pat00006
    (여기서, P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커버 점수,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는 상기 후보 시선방향의 감시 영역 A에 포함된 격자 영역, w(a)는 격자 영역 a의 가중치, r(a)는 격자 영역 a와 상기 후보 격자 영역간의 거리, k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임)
  16. 복수의 격자 영역으로 구분되는 대상 공간에 감시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대상 공간에서 상기 대상 공간 내에 기 배치된 기존 감시카메라에 의해 커버되는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대상 공간 내의 구조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조물 영역을 포함하는 배치 불가 영역이 제거된 배치 가능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배치가능영역 생성모듈;
    상기 기존 감시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 생성모듈;
    상기 배치 가능 영역에 포함된 각각의 후보 격자 영역 마다,
    상기 후보 격자 영역에 신규 감시카메라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신규 감시카메라에 의해 추가로 커버될 수 있는 추가 감시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격자 영역의 커버 점수를 산출하는 커버점수 산출모듈; 및
    상기 후보 격자 영역 중 가장 커버 점수가 높은 격자 영역을 상기 신규 감시 카메라가 배치될 신규 배치 영역으로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은,
    N개(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여기서, 각각의 해저드 맵은,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 별로 할당된 소정의 위험지수를 포함함-를 입력 받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중치 생성모듈은,
    상기 N개의 해저드 맵 및 각 해저드 맵에 대한 가중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 중 상기 기존 감시 영역 및 상기 구조물 영역에 포함된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최소값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 격자 영역의 임시 가중치를 상기 대상 공간에 포함된 각각의 격자 영역의 가중치로 설정하는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KR1020130076332A 2013-07-01 2013-07-01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9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32A KR101496871B1 (ko) 2013-07-01 2013-07-01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32A KR101496871B1 (ko) 2013-07-01 2013-07-01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70A KR20150003470A (ko) 2015-01-09
KR101496871B1 true KR101496871B1 (ko) 2015-03-02

Family

ID=5247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32A KR101496871B1 (ko) 2013-07-01 2013-07-01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7418B2 (en) 2021-06-11 2023-02-21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placement based on access tier attribu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521B1 (ko) * 2015-04-15 2017-03-03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장비 배치장치 및 방법
KR102369799B1 (ko) * 2015-12-16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JP6768380B2 (ja) * 2016-07-13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CN106803926B (zh) * 2016-12-22 2019-05-03 南京师范大学 一种顾及多种监控任务的视频传感器部署优化方法
KR102024695B1 (ko) * 2017-11-20 2019-09-25 (주)포스트미디어 감시카메라 배치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JP7285101B2 (ja) * 2019-03-26 2023-06-01 セコム株式会社 設置支援装置及び設置支援プログラム
JP7285105B2 (ja) * 2019-03-27 2023-06-01 セコム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CN112418079B (zh) * 2020-11-20 2021-08-31 浙江科技学院 基于安全等级的地图分析与寻优路径算法结合的工业建筑视频监控安装方法
CN113643149B (zh) * 2021-07-07 2024-03-19 国网四川省电力公司 一种面向全覆盖监控的变电站监控布局优化方法及装置
CN114390248A (zh) * 2021-12-06 2022-04-22 深圳供电局有限公司 图像采集设备的布点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103161A (zh) * 2022-06-22 2022-09-23 重庆紫光华山智安科技有限公司 基于视频推进的巡防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6781869B (zh) * 2023-08-17 2023-11-03 北京泰豪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监控视野分析的安防监控系统分布管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01A (ko) * 1998-07-22 2000-02-15 구자홍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물체감시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79953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 영역 설정을 통한 객체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88919A (ko) * 2011-02-01 2012-08-09 주식회사 영국전자 울타리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01A (ko) * 1998-07-22 2000-02-15 구자홍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물체감시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79953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 영역 설정을 통한 객체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88919A (ko) * 2011-02-01 2012-08-09 주식회사 영국전자 울타리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7418B2 (en) 2021-06-11 2023-02-21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placement based on access tier attribu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70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871B1 (ko) 감시카메라 배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Bang et al. Image augmentation to improve construction resource detection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cut-and-paste, and image transformation techniques
CN110069071B (zh) 无人机导航方法与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20080133190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planning a security array of sensor units
CN112166438A (zh) 确定性标记数据生成和人工智能训练途径
EA031704B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птималь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системы видеомониторинга леса
CN111338382A (zh) 一种安全态势引导的无人机路径规划方法
CN104349134A (zh) 用于为监视相机选择位置和朝向的方法和系统
US9471845B1 (en) Background modeling for imaging surveillance
JP679136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1390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monitoring
CN106096567A (zh) 基于图像识别技术的人群安全指数计算方法及装置
US20230138084A1 (en) Sensor optimization
CN110362923B (zh) 基于三维可视域分析的三维监控覆盖率方法及监控安装方法和监控系统
Biedermann et al. Using Raspberry Pi for scientific video observation of pedestrians during a music festival
CN111405253B (zh) 户外变电站一次设备监视摄像头选点布置方法、系统及介质
JP7127361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1506112A (zh) 基于海上油气田设备设施的无人机倾斜摄影方法
JP4610005B2 (ja) 画像処理による侵入物体検出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eddy et al. Camera positioning for global and local coverage optimization
KR102585665B1 (ko) 위험 상황 분석 및 위험 객체 수색 시스템
WO2008032325A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ptimizing coverage
CN117523437A (zh) 一种用于变电站近电作业现场实时风险识别方法
US20090171628A1 (en) Planning a sensor array in accordance with tempo-spatial path estimation of potential intruders
CN115953033B (zh) 城市安全事件的事中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