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95B1 -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95B1
KR102369795B1 KR1020150181082A KR20150181082A KR102369795B1 KR 102369795 B1 KR102369795 B1 KR 102369795B1 KR 1020150181082 A KR1020150181082 A KR 1020150181082A KR 20150181082 A KR20150181082 A KR 20150181082A KR 102369795 B1 KR102369795 B1 KR 10236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mage
screen
real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649A (ko
Inventor
정두원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95B1/ko
Priority to US15/373,602 priority patent/US10203932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4Even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하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1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도처에 설치되어 있고,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에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여 녹화, 저장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감시카메라의 설치 대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 받아 감시 대상 영역을 감시하는 다채널 영상 표시 장치 등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면에 여러 채널의 영상을 고정된 레이아웃에 따라 보여주기 때문에 특정 채널의 영상에서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영상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3452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모든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과 구별되는 별도의 화면에 이벤트에 관한 실시간 영상뿐만 아니라, 해당 이벤트의 시초가 될 수 있는 이벤트 발생 영상까지 반복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이벤트에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하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1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의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들에서 일 영역에 상기 이벤트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배치할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부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다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과 구별되는 제2 화면에 표시하는 제2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하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든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과 구별되는 별도의 화면에 이벤트에 관한 실시간 영상뿐만 아니라, 해당 이벤트의 시초가 될 수 있는 이벤트 영상까지 반복적으로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이벤트에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가 설치된 예시적인 환경과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가정 하에,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화면의 예시이다.
도 5는 제2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은 영상 제공 장치(10)와 감시 대상 영역(3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surveillance camera)(21 내지 27)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일 수 있다. 렌즈는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이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이하 영상으로 설명함)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촬영 대상 공간에 대한 통상의 RGB로 구성된 영상, 적외선 영상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영상 등을 제공하는 카메라 일 수도 있다.
한편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이벤트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 수단은 예컨대, PIR센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벤트 검출 수단은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센서 등과 같이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검출 수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된 전/후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및/또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감시 대상 영역(30)에 사각(死角) 이 존재하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의 화각(畵角)의 합이 감시 대상 영역(30)과 같거나 감시 대상 영역(30)보다 커지도록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를 배치할 수도 있다.
감시 대상 영역(30)은 관리자의 관리가 필요한 다양한 공간일 수 있다. 예컨대, 감시 대상 영역(30)은 사무실, 공공시설, 주택과 같이 물품 도난의 우려가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감시 대상 영역(30)은 공장, 발전소, 설비실과 같이 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는 공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정보 및/또는 획득한 영상을 영상 제공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용 광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SM) 네트워크, 범용 패킷 무선 네트워크(general packet radio network; GPRS),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거대도시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셀룰러 네트워크,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초 광 대역(Ultra Wide band),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는 정보 수신부(100),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 표시 제어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정보 수신부(100)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의 제1 화면(301)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300)는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의 제1 화면(301)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의 제2 화면(401)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표시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제1 화면(301) 및 제2 화면(40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 수신부(100),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 표시 제어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 등의 분류는 편의상/기능상의 분류일 뿐, 각각의 구성이 물리적으로 명확히 나뉘어진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들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상호 중복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다른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 제어부(300)와 디스플레이부(400) 하나의 표시부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이벤트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제공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정보는 이벤트를 감시한 감시카메라(21 내지 27)의 ID, 이벤트 발생 시간 및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는 감시카메라(21 내지 27)에 포함된 이벤트 검출 수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검출 수단이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인 경우, 사람의 검출 여부에 대한 정보 즉 "검출됨" 또는 "검출되지 않음"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검출 수단이 온도, 습도 등의 측정 수단이 경우, 해당 측정값에 관한 정보, 측정값이 기준 값으로부터 벗어난 정도 및 그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발생 또는 미발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정보 수신부(100)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이벤트를 검출한 모든 감시카메라를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감시 대상 영역(30)이 은행, 금고 등과 같이 엄격한 감시가 필요한 공간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이벤트를 기 설정된 임계 횟수 이상 검출한 감시카메라를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감시 대상 영역(30)이 창문이 열려있어 바람에 의한 물체의 미세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집과 같이 상대적으로 완화된 감시가 필요한 공간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인접한 두 개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동시에 이벤트 검출한 경우에만, 해당 카메라들을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방법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가 추출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의 제1 화면(301)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300)는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제1 화면(30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간 영상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영상을 획득한 시간과, 제1 화면(301) 또는 제2 화면(401)에서 해당 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의 차이가 근소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영상은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대상 영역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이벤트에 대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서 이벤트 영상은 영상 제공 장치(10)에 기 저장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벤트 영상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이벤트 감지 카메라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획득되어 영상 제공 장치(10)에 저장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영상은 이벤트 발생 시점 10분 전부터 이벤트 발생 후 5분 후까지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400)의 제1 화면(301) 및 제2 화면(401)은 물리적으로 분리 된 두 개의 화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 화면 내에 구분된 영역을 의미할 수 도 있다. 예컨대, 제1 화면(301) 및 제2 화면(401)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PIP(Picture in Picture)방식으로 구성된 두 개의 창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들에서 일 영역에 이벤트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역은 하나의 화면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00)는 정보 수신부(100)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301)의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에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배치할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부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다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의 일 영역에는 이벤트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에는 감시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순서에 따라 해당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화면(301)에 실시간 영상을 표시할 여분의 자리가 없는 경우, 기존의 실시간 영상에 갈음하여 새로운 이벤트를 감지한 실시간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제1 화면(301)에 항상 가장 최신의 이벤트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가 감시 대상 영역(30)설치된 예시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감시 대상 영역(30)에 외부인의 침입이 발생하였고, 외부인은 경로(210)에 따라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인체 감지 센서가 이벤트 검출 수단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외부인이 이동한 경로에 따라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정보 수신부(100)는 감시카메라(21 내지 27)가 감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인이 이동한 경로(210)를 참조하면, 각 감시카메라는 감시카메라(21), 감시카메라(22), 감시카메라(23), 감시카메라(24), 감시카메라(25) 및 감시카메라(26) 순으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고, 정보 수신부(100)는 전술한 순서대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에서는 도 2의 예시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가정 하에, 표시 제어부(300)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화면(301)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각 감시카메라(21 내지 26)가 외부인을 감지한 시점을 각각 t1 내지 t6라고 가정한다. 또한 각 감시카메라(21 내지 26)가 획득한 영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한 것을 각각 211, 221, 231, 241, 251 및 261이라고 가정하고, 210, 213, 223, 233, 243, 253 및 263은 각 시간 대에 해당 감시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부분 영상을 의미한다고 가정한다. 부분 영상은 특정 시작 시점부터 특정 종료 시점까지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부분영상 213의 경우, 시점 t1부터 시점 t4까지 감시카메라 21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화면(301)은 네 개의 영역(310, 320, 330 및 340)으로 나누어져 있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가정 하에, 각 시간대 별 제1 화면(301)에 표시되는 영상은 표 1과 같을 수 있다.
영역
시간
310 320 330 340 비고
t 1~t 2 210 213 - -
t 2~t 3 210 213 223 -
t 3~t 4 210 213 223 233
t 4~t 5 210 243 223 233 공간부족
t 5~t 6 210 243 253 233
t 6 210 243 253 263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에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배치할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부터 기존의 실시간 영상들을 표시 순서의 역순으로 한 영역씩 옮겨서 표시하고, 가장 마지막 영역에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 이후에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시간대 별 제1 화면(301)에 표시되는 영상은 표 2와 같을 수 있다.
영역
시간
310 320 330 340 비고
t 1~t 2 210 213 - -
t 2~t 3 210 213 223 -
t 3~t 4 210 213 223 233
t 4~t 5 210 223 233 243 213 제외
t 5~t 6 210 233 243 253 223 제외
t 6 210 243 253 263 233 제외
표 1 및 표 2에서는 동일 카메라의 상이한 시간대에 촬영된 영상이 상이한 영역에 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 카메라가 촬영한 상이한 시간대의 영상들이 차례로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의 제2 화면(40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300)는 정보 수신부(100)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벤트 식별 마크는 해당 실시간 영상 위에 표시되는 마크일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식별 마크는, 해당 실시간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윤곽선을 볼드(Bold) 처리하거나, 채색 처리하거나 또는 깜박임 처리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5는 제2 화면(401)의 예시로, 제2 화면(401)이 아홉 개의 영역(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 및 490)으로 나누어진 것을 도시한다.
제2 화면(401)은 제1 화면(301)과 달리, 각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변경되지 않는다. 예컨대, 첫 번째 영역(410)은 첫 번째 감시카메라(21)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이, 두 번째 영역(420)은 두 번째 감시카메라(22)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이 고정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표시 제어부(300)는 제2 화면(401)에 표시되는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411 내지 416)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자는 제2 화면(401)을 통하여 전체적인 감시가 가능함과 동시에,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을 중점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영상 제공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부(1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이벤트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장치(10)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제공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정보 수신부(100)가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 및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카메라를 추출할 수 있다. (S52)
이 때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이벤트를 검출한 모든 감시카메라를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이벤트를 기 설정된 임계 횟수 이상 검출한 감시카메라를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는 인접한 두 개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동시에 이벤트 검출한 경우에만, 해당 카메라들을 이벤트 감지 카메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가 추출한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카메라는 후술하는 표시 제어부(300)에 의해 제1 화면(301)에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영상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가 추출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301)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300)는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제1 화면(301)에 표시할 수 있다.(S53)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들에서 일 영역에 이벤트 영상 즉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200)에 의해 추출된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300)는 정보 수신부(100)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300)는 제1 화면(301)에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배치할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부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다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300)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21 내지 27)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2 화면(401)에 표시할 수 있다.(S54) 이 때 표시 제어부(300)는 정보 수신부(100)가 수신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벤트 식별 마크는 해당 실시간 영상 위에 표시되는 마크일 수 있다. 또한 식별 이벤트 마크는, 해당 실시간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윤곽선을 볼드(Bold) 처리하거나, 채색 처리하거나 또는 깜박임 처리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영상 제공 장치
100: 정보 수신부
200: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
210: 경로
211: 감시카메라 21이 획득한 영상
221: 감시카메라 22가 획득한 영상
231: 감시카메라 23이 획득한 영상
241: 감시카메라 24가 획득한 영상
251: 감시카메라 25가 획득한 영상
261: 감시카메라 26이 획득한 영상
300: 표시 제어부
400: 디스플레이부
301: 제1 화면
401: 제2 화면
21 내지 27: 감시카메라
30: 감시 대상 공간

Claims (6)

  1.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하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제1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의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영상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에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배치할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여분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시점부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다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영상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과 구별되는 제2 화면에 표시하는 제2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하는, 영상 제공 방법.
  5.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한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를 추출하는 이벤트 카메라 추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1 화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 중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이벤트를 감지한 최초의 시점 전후에 획득한 이벤트 영상을 반복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순서에 따라 상기 이벤트 감지 카메라가 획득한 실시간 영상을 나머지 영역에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영상 제공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을 제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간 영상 중 이벤트가 발생한 영상에 이벤트 식별 마크를 더 표시하는, 영상 제공 장치.
KR1020150181082A 2015-12-17 2015-12-1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6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82A KR102369795B1 (ko) 2015-12-17 2015-12-1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15/373,602 US10203932B2 (en) 2015-12-17 2016-12-09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obtaining and displaying surveillance images and tracked ev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82A KR102369795B1 (ko) 2015-12-17 2015-12-1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49A KR20170072649A (ko) 2017-06-27
KR102369795B1 true KR102369795B1 (ko) 2022-03-03

Family

ID=5906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82A KR102369795B1 (ko) 2015-12-17 2015-12-17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03932B2 (ko)
KR (1) KR102369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109B2 (en) * 2016-05-11 2020-10-27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ffloading different information based on event trigger type
KR102634188B1 (ko) * 2016-11-30 2024-02-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영상 감시 시스템
JP6833617B2 (ja) * 2017-05-29 2021-02-24 株式会社東芝 移動体追跡装置、移動体追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54951B1 (ko) * 2017-08-31 2019-03-06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US20190342525A1 (en) * 2018-05-03 2019-11-07 Sensormatic Electronics, LLC Video summariz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227641B1 (ko) * 2019-02-26 2021-03-12 이정무 다중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 영상 관리 서버, 다중 영상 표시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DE102019117943A1 (de) * 2019-07-03 2021-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Fehlerverwaltungsvorrichtung, Computerprogramm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Fehlerverwaltung für ein Fahrzeug
KR102125022B1 (ko) * 2020-03-31 2020-06-19 김형진 영상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영상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45B1 (ko) * 2003-02-14 2005-05-25 주식회사 디펠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US20080303903A1 (en) * 2003-12-02 2008-12-11 Connexed Technologies Inc. Networked video surveillance system
TWI270019B (en) * 2005-03-31 2007-01-01 Avermedia Tech Inc Interactive e-map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0849689B1 (ko) 2006-11-17 2008-08-01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54375B1 (ko) * 2008-05-06 2010-04-26 (주) 티앤엑스시스템즈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KR101218360B1 (ko) * 2011-03-15 2013-0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45270B1 (ko) 2012-07-20 2013-12-26 (주)경봉 현장 통제 기능이 향상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444006B1 (ko) 2013-01-23 2014-09-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US11165994B2 (en) * 2013-05-13 2021-11-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nalytics-driven summary views for surveillance networks
KR102111169B1 (ko) 2013-12-27 2020-05-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49A (ko) 2017-06-27
US20170177287A1 (en) 2017-06-22
US10203932B2 (en)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795B1 (ko)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46763B1 (ko)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US9813643B2 (en) Thermal recogni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181815A1 (en) Person counting area setting method, person counting area setting program, moving line analysis system, camera device, and person counting program
KR101464344B1 (ko) 감시 영상의 정상 상태 학습을 통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과 이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시스템
US96399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vent from plurality of photographed images
KR20110053820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9981975B (zh) 用于动态屏蔽无人机设备相机捕获的视频和图像的系统和方法
EP342559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7033404A1 (ja) 警備システム及び人物画像表示方法
US20150341569A1 (en) Image switching apparatus, image switching system, and image switching method
JP2016018571A (ja) 画像記憶再生制御装置、画像記憶再生制御方法、画像記憶再生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16900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102166709B1 (ko)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2227A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KR20170070713A (ko) 드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568996B1 (ko)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12082B1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KR20190085376A (ko) 출현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에 따라 차등적으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제공 방법
JP2015001779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KR102333803B1 (ko) 영상 감시 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20110304467A1 (en) Imag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1078336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03116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motion based on a video pattern
US10643304B2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