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709B1 -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709B1
KR102166709B1 KR1020190016798A KR20190016798A KR102166709B1 KR 102166709 B1 KR102166709 B1 KR 102166709B1 KR 1020190016798 A KR1020190016798 A KR 1020190016798A KR 20190016798 A KR20190016798 A KR 20190016798A KR 102166709 B1 KR102166709 B1 KR 10216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rounding environment
event
unit
information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985A (ko
Inventor
서창현
Original Assignee
엔씨엔스페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씨엔스페이스(주) filed Critical 엔씨엔스페이스(주)
Priority to KR102019001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7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다양한 장소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예상하여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역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DATA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장소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예상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관제 시스템의 경우, CCTV 등과 함께 센서를 설치하여 영상과 센서가 감지한 감지 값을 관리자가 확인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전반적으로 감시하고, 화재, 범죄 발생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바, 관제 시스템을 확인하는 인력이 항상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인력이 상주하여 관제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더라도 집중력이 항상 유지되는 것은 아니며, 이로 인해 사건 사고는 계속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 인력을 고용하기 위한 인건비와 더불어 해당 관제 시스템에서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를 수습하기 위한 비용을 고려한다면, 종래의 관제 시스템은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0073호(2012.05.18 공개)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다양한 장소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보여지는 특이점을 판단하고, 해당 특이점을 통해 특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예상하여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역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다양한 장소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보여지는 특이점을 판단하고, 해당 특이점을 통해 특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예상하여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역으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링 장치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환경 정보 매칭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 매칭부가 매칭한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환경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 분석부가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가 판단한 경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부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환경 정보 매칭부가 매칭한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는 기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 및 매칭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은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관제 서버가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판단한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장소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보여지는 특이점을 판단하고, 해당 특이점을 통해 특정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예상하여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벤트의 발생 원인을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역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관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관제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은 모니터링 장치(100) 및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100)는 촬영부(110), 감지부(120) 및 제1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관제 서버(200)는 제2통신부(210), 환경 정보 매칭부(220), 저장부(230), 환경 정보 분석부(240) 및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부(11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고, 감지부(120)는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10)는 CCTV Camera PTZ, IP Network Camera, IP Network & Speed Dome Camera, Megapixel/HD Network Camera, 차량번호판인식(LPR;License Plate Recognition) IP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20)가 감지하는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는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조도, 열, 연기, NO2(이산화질소), CO(일산화탄소), CO2(이산화탄소) 등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부(13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및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통신부(210)는 제1통신부(130)로부터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및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30) 및 제2통신부(2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명세서 전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의 경우,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리고 환경 정보 매칭부(2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및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경 정보 매칭부(2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의 촬영 시간 및 날짜와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의 감지 시간 및 날짜를 비교하여, 각각의 시간 및 날짜가 일치되도록 영상 및 환경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 매칭부(22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의 위치 정보와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위치 정보가 일치되도록 영상 및 환경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관리자가 설정한 특정 구역을 의미할 수 있고, gps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매칭부(220)가 매칭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정보 분석부(240)는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감지부(120)가 감지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환경 정보 분석부(240)가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경 정보 분석부(240)는 실시간으로 환경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감지부(120)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저장부(230)가 저장하고 있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부(120)가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즉, 환경 정보 분석부(240)는 환경 정보의 감지 시간 및 날짜를 확인하여, 환경 정보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부(230)가 저장하고 있는 환경 정보의 변화를 확인하여 해당 주변 환경의 환경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분석부(240)가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환경 정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해 특이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특이점이 있다면 해당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이점은 환경 정보의 급격한 변화 등을 의미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로서, NO2(이산화질소), CO(일산화탄소), CO2(이산화탄소) 등의 생성 또는 기준치 이상 생성이라면, 특이점이라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가스 누출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로서, 온도의 경우,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온도가 감지된 경우, 특이점이라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화재 발생 또는 난방 장치 고장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기준치 이하 온도가 감지된 경우, 특이점이라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지역에 난방 장치 고장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발생 내용은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난방 장치 고장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기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은 환경 정보의 급격한 변화,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 등을 의미하는 특이점 발생 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환경 정보가 특정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수치에 도달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저장부(230)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한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할수 있으며, 제2통신부(210)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210)는 환경 정보 매칭부(220)가 매칭한 촬영부(110)가 촬영한 영상 및 감지부(120)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특정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으나, 실제 특정 구역에 특정 이벤트(화재,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한 경우, 제2통신부(210)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원인 분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특정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으나, 실제 특정 구역에 특정 이벤트(화재, 가스 누출 등)이 발생한 경우, 저장부(230)가 해당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할 수 있고, 이후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동일한 이벤트의 경우에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내용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는 특정 구역에 인접한 구역(관리자 단말이 기 설정한 범위 내)의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 분석부(240)가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구역에 인접한 구역에서 특이점이 발생하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특이점을 해당 이벤트의 원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통신부(210)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한 해당 이벤트의 원인인 해당 특이점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정보 매칭부(220)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한 해당 이벤트의 원인인 해당 특이점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환경 정보를 매칭할 수 있고, 저장부(230)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한 해당 이벤트의 원인인 해당 특이점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환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특정 구역에 화재 발생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하였으나, 실제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특정 구역에 인접한 구역의 온도 변화 등을 확인하여 특정 구역에 인접한 구역에서 전기 합선, 누전, 담뱃불 등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화재 발생의 원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2통신부(210)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250)가 판단한 특정 구역에서의 화재 발생 원인인 특정 구역과 인접한 구역에서 발생한 특이점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통보받지 못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대처하지 못한 경우, 특정 이벤트의 발생 원인 파악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내용을 저장부(230)가 저장함으로써,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는 상황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S430)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100)는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S431)
또한, 모니터링 장치(10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S432)
그리고 관제 서버(200)는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S433)
또한, 관제 서버(200)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200)는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 및 매칭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434)
또한, 관제 서버(200)는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435)
그리고 관제 서버(200)는 환경 정보 및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는 기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서버(200)가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관제 서버(200)는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할 수 있고, 관제 서버(200)는 판단한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니터링 장치 110: 촬영부
120: 감지부 130: 제1통신부
200: 관제 서버 210: 제2통신부
220: 환경 정보 매칭부 230: 저장부
240: 환경 정보 분석부 250: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

Claims (8)

  1. 모니터링 장치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환경 정보 매칭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 매칭부가 매칭한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환경 정보 분석부;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 분석부가 도출한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하는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조도, 열, 연기,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는
    상기 주변 환경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지역에 화재 발생 또는 난방 장치 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의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지역에 가스 누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가 특정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원인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가 판단한 경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부가 판단한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하며,
    상기 제2통신부는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환경 정보 매칭부가 매칭한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환경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4. 삭제
  5.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 및 매칭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환경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도출한 상기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주변 환경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관제 서버가 이벤트 발생 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조도, 열, 연기,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관제 서버가 해당 지역에 화재 발생 또는 난방 장치 고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의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지역에 가스 누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관제 서버가 특정 구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부터 원인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가 판단한 상기 주변 환경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 및 이벤트 발생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및
    상기 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에서 발생한 이벤트 발생 내용을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관제 서버가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주변 환경을 촬영한 영상 및 감지한 주변 환경의 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관제 방법.
  8. 삭제
KR1020190016798A 2019-02-13 2019-02-13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8A KR102166709B1 (ko) 2019-02-13 2019-02-13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98A KR102166709B1 (ko) 2019-02-13 2019-02-13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85A KR20200098985A (ko) 2020-08-21
KR102166709B1 true KR102166709B1 (ko) 2020-10-16

Family

ID=7223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98A KR102166709B1 (ko) 2019-02-13 2019-02-13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981B1 (ko) * 2019-07-15 2021-04-07 주식회사 에버시스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67048A (ko) 2021-06-11 2022-1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방법 및 서버
KR102486562B1 (ko) * 2022-08-26 2023-01-10 렉스젠(주) 전광 표지판의 오작동 여부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42327B1 (ko) * 2022-12-27 2023-06-13 주식회사 융합기술 지능형 인체감지 무인 계도방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1559A (ja) * 2011-11-09 2013-05-23 A1 Communication Corp 監視システム
KR101852057B1 (ko) * 2017-11-23 2018-04-25 주식회사 아이티아이비전 영상 및 열화상을 이용한 돌발 상황 감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433B1 (ko) 2010-11-10 2012-11-22 (주)아이아이에스티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1559A (ja) * 2011-11-09 2013-05-23 A1 Communication Corp 監視システム
KR101852057B1 (ko) * 2017-11-23 2018-04-25 주식회사 아이티아이비전 영상 및 열화상을 이용한 돌발 상황 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85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709B1 (ko) 데이터 기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39729B2 (en) Protecting network devices from suspicious communications
AU2019204810B2 (en) Digital fingerprint tracking
US10446000B2 (en) Detecting an intruder's wireless device during a break in to a premises
US10558863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EP3111429B1 (en) Correlation of sensory inputs to identify unauthorized persons
US10127797B2 (en) Alternative inexpensive cloud-based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9912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consumers and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068077B2 (en) False alarm avoidance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11240136B2 (en) Determining attributes using captured network prob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6742B1 (ko) 영상 정보와 센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3590B1 (ko) Lte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인 방범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100034575A (ko) 이동통신 기지국 환경 감시 시스템
US20150026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ping service based on context-aware information
CN111856979A (zh) 一种物业管理系统及方法
KR20130072622A (ko) 차량용 블랙박스 단말 및 제어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