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545B1 -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545B1
KR100491545B1 KR10-2003-0009343A KR20030009343A KR100491545B1 KR 100491545 B1 KR100491545 B1 KR 100491545B1 KR 20030009343 A KR20030009343 A KR 20030009343A KR 100491545 B1 KR100491545 B1 KR 10049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urveillance camera
camera
image information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676A (ko
Inventor
이만복
임재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펠
Priority to KR10-2003-000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5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채널의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 및 탈착하여 다채널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의 카메라 또는 외부의 촬영장치와 추가로 연결되어 채널을 더 확장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가능한 채널의 개수를 검출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최적구성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다채널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출력을 제공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연결 케이블;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연결되어 다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신호처리 모듈이 구성한 상기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단자;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과 유무선 접속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고,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 또는 외부촬영장치를 통해서도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성을 극복하여 그 감시가능한 범위가 넓으며, 기존의 카메라 모듈을 외부 촬영장치로서 사용하여 채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장치의 재활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접속된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고 더욱이 다양한 동작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Multi-channel monitoring camera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채널의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 및 탈착하여 다채널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의 카메라 또는 외부의 촬영장치와 추가로 연결되어 채널을 더 확장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가능한 채널의 개수를 검출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최적구성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 장치는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과 은행 그리고 백화점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공장, 공원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여 방범 및 화제를 감시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천정이나 벽면의 상단에 설치하고, 실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건물의 벽면이나 별도의 지주를 이용하여 적정 높이에 설치하여 일정한 범위를 감시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 보급 설치되는 감시카메라 장치는 그 감시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를 좌우로 회전시켜 일정 각도범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팬(pan) 기능과, 감시각도를 상하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 및 영상의 특정부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줌(zoom)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감시카메라 장치는 고가형으로 그 사용분야가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감시카메라 장치는 1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를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감시카메라 장치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미리 예상하여 그 각도로만 촬영하도록 세팅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감시위치가 변경되어 촬영각도의 변경이 필요할 때에는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천정이나 벽면에서 분리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카메라 장치의 설치여건이 어려울 때에는 최적의 촬영각도를 잡기 위한 카메라 장치의 설치작업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2년 06월 07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277709호의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에서는 4대의 카메라로 구성된 돔형의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277709호의 감시카메라 장치는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4대의 카메라를 전혀 회동시키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전방향을 감시하도록 한 것으로서, 그 감시범위가 비교적 좁아 2대 또는 3대의 카메라 만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감시범위를 조정하기 위해 변경된 위치를 정확히 산출한 후 그 위치에 카메라를 각각 고정 설치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그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복수개의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 및 탈착하여 다채널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의 카메라 또는 외부의 촬영장치와 추가로 연결되어 채널을 더 확장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가능한 채널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최적구성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다채널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출력을 제공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연결 케이블;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연결되어 다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신호처리 모듈이 구성한 상기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단자;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과 유무선 접속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특히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 내에서 복수의 내부카메라(122)가 고정되는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1a와 도1b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소망하는 감시지역의 특정 영역, 예컨대 천정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지지 브라켓(110)과, 상기 지지 브라켓(110)에 그 하면이 체결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PCB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상기 PCB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124)과, 상기 판 스프링(124)을 가압하는 형태로 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되어 카메라를 장착하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으로 구성된 카메라 장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에 장착될 수 있고 카메라(122)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카메라 지지대(123)를 포함하고, 또한 케이스(120)에 체결되어 내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으며 돔형 캡(125)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덮개와, 상기 PCB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케이블(130)로 연결되는 전원잭(131)과 비디오잭(132)과 리모트 컨트롤러(13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추가연결 케이블(1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케이블(140)을 통해 외부의 소망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부카메라(145)와 PCB 기판을 서로 연결하여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를 공간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전원잭(131)과 비디오잭(132)과 리모트 컨트롤러(135)를 더 포함하는데, 이들은 PCB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단자에 케이블(280)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전원잭(131)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어댑터가 접속되고, 비디오잭(132)에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가 획득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가 연결되며, 리모트 컨트롤러(135)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영상촬영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상기 비디오잭(132)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통상의 텔레비젼이나 CCTV 모니터 등이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 비디오잭(132)은 공지기술의 RCA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비디오잭(132)을 텔레비젼의 VIDEO-IN 콘넥터에 바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공지기술의 RCA/BNC 컨넥터를 추가로 장착하면 CCTV 모니터의 VIDEO-IN 플러그에 연결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콘넥터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35)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버튼을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비디오잭(132)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형태를 변경하는 모드(MODE) 버튼; 카메라(122, 145)의 채널선택을 변경하는 채널업/다운(CH-UP, CH-DN) 버튼; 카메라(122, 145)에서 촬영한 영상 중에서 일부분을 캡쳐하여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모션캡쳐(MO-CAP) 버튼; 카메라(122, 145)로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캡쳐(CAPTURE) 버튼; 및 상기 모션캡쳐 버튼이나 캡쳐 버튼을 통해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촬영 영상을 재생시키는 재생(PB) 버튼을 포함하며, 이와 관련된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카메라 접속단자(127) 및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128)를 더 포함하는데, 먼저 외부카메라 접속단자(127)는 케이스(12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카메라(145)와 추가연결 케이블(140)을 통해 접속되어 외부카메라(145)에서 촬영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그리고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128)는 종래기술의 외부 촬영장치, 예컨대 기존의 CCTV 카메라 장치 등과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종래기술의 외부 촬영장치는 통상 BNC 타입의 콘넥터를 사용하므로,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128)는 BNC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타입 변환 콘넥터가 사용가능하므로 통상적인 RCA 타입의 콘넥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카메라 접속단자(127)와 연결되는 외부카메라(145)는 내부카메라(122)와 동일한 사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동일한 카메라 모듈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대로 내부카메라 및 외부카메라로 용이하게 변환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내부카메라(122)의 경우에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에 장착하기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 지지대(123)를 수반하는데, 외부카메라(145)의 경우에는 건물 외벽 등에 고정하여야 하므로 상이한 형태의 카메라 지지대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어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에 있어서 복수의 내부카메라(122)가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구적 특징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카메라(122)는 카메라 지지대(123)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카메라 지지대(123)는 내부카메라(122)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은 판 스프링(124)을 가압하는 형태로 케이스(120)에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절개부를 갖는 방사형 슬롯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방사형 슬롯은 상기 카메라 지지대(123)를 유동 및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지지대(123)는 도2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방사형 슬롯으로 인도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과 판 스프링(124)을 서로 결합시키면 판 스프링(124)은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되고,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의 방사형 슬롯은 판 스프링(124)의 탄성부에 위치하게 되어, 방사형 슬롯에 인도되어 위치한 카메라 지지대(123)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121)과 판 스트링(124)의 탄성부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대(123)는 방사형 슬롯을 따라서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 그 유동가능한 각도범위는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100)에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내부카메라(122)의 개수 및 카메라 렌즈의 특성, 특히 화각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될 것이나, 대략 50°정도가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소망하는 감시영역을 감시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내부카메라(330:1 ~ 33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들(330:1 ~ 330:3)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는데, 이렇게 제공받은 영상정보는 신호처리 모듈(320)에서 신호처리되고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360)에서 적절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비디오잭(132)를 통해 외부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외부의 소망하는 위치에 외부카메라(3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채널을 확장할 수 있으며, 외부카메라(340)와 신호처리 모듈(320)이 추가연결 케이블(140) 및 외부카메라 접속단자(127)를 통해 상호연결됨은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외부에 설치된 종래기술의 외부 촬영장치(350), 예컨대 기존의 CCTV 카메라 장치 등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외부 촬영장치(350)와 신호처리 모듈(320)이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128)를 통해 상호연결됨은 역시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도1 및 도3에서는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하나의 외부카메라(34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구현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외부카메라(3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로부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1 및 도3에서는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하나의 외부 촬영장치(35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구현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외부 촬영장치(35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로부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그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310)을 더 포함하는데, 이 콘트롤러 모듈(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신호처리 모듈(320)을 제어함으로써 하나이상의 내부카메라(330:1 ~ 330:3)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60)로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에 더하여 각종 영상신호처리, 예컨대 AGC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바람직하게는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3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콘트롤러 모듈(310)은 신호처리 모듈(320)을 제어하여 내부카메라(330:1 ~ 330:3)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메모리 모듈(380)로 기록하고, 반대로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60)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콘트롤러 모듈(310)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내외부 카메라(330:1 ~ 330:3, 340)와 메모리 모듈(380) 등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위의 설명에서 메모리 모듈(380)은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 내장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외장형 타입도 포함하며, 또한 콘트롤러 모듈(310)과 신호처리 모듈(320)과 모션검출부(390)는 전술하였던 PCB 기판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바람직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트 콘트롤러(370)를 더 포함하는데, 본 장치(300)의 사용자 또는 운영자는 리모트 콘트롤러(370)를 조작함으로써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의 동작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37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콘트롤러 모듈(310)로 전달되고, 콘트롤러 모듈(310)은 이에 대응하여 신호처리 모듈(320) 및 기타 모듈을 제어한다. 리모트 콘트롤러(370)와의 접속 및 이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의 동작기능 등에 대해서는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바람직하게는 감시영역의 모션(motion)을 검출하기 위한 모션검출기(390)를 더 포함하는데, 모션검출기(390)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시영역에 대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모션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특히 후술하는 모션캡쳐(motion capture) 동작과 관련하여 역할을 담당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서 리모트 콘트롤러(370)의 스위치 연결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특히 리모트 콘트롤러(370)와 콘트롤러 모듈(31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 콘트롤러(370)가 6개의 기능버튼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는데, 이들 버튼을 상세히 기술하면 비디오잭(132)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버튼(410); 카메라(122, 145)의 채널선택을 변경하기 위한 채널업/다운 버튼(420, 430); 모션(motion)을 자동검출하여 이에 따라 촬영영상을 캡쳐 및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기 위한 모션캡쳐 버튼(440); 카메라(122, 145)로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도록 하기 위한 캡쳐 버튼(450); 및 상기 모션캡쳐 버튼(440)이나 캡쳐 버튼(450)을 사용하여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였던 촬영 영상을 재생시키는 재생 버튼(460)이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370)와 콘트롤러 모듈(310) 간을 연결하는 유선 라인의 개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위 전위검출 방식의 사용하였는데, 즉 6개의 기능버튼(410 ~ 460)의 제1 단을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저항소자(R1 ~ R5)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고, 제2 단을 모두 연결하여 콘트롤러 모듈(310)의 입력단자(AIN0)로 연결하는 것이다. 5개의 저항소자(R1 ~ R5)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종 일단(R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위 단자(3.3 볼트)에 연결되어 있고, 콘트롤러 모듈(310)의 상기 입력단자(AIN0)는 별도의 저항소자(R6)를 통해 그라운드 전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능버튼을 전혀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입력단자(AIN0)에 인가되는 전위값이 그라운드 전위이고, 사용자가 상기 6개의 기능버튼(410 ~ 460) 중에서 어느 기능버튼을 눌렀을 경우에는 그 기능버튼에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AIN0)로 인가되는 전위값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콘트롤러 모듈(310)은 입력단자(AIN0)로 인가되는 전위값을 검출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기능버튼을 눌렀는지 여부, 및 눌렀을 경우 어떠한 기능버튼을 눌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370)의 기능버튼(410 ~ 460)을 눌렀을 때, 이에 대응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 기술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서 동작중인 채널, 즉 동작중인 카메라의 개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이상의 내부카메라(330:1 ~ 330:3)와 외부카메라(340), 그리고 외부 촬영장치(350)를 영상정보의 입력채널로서 가지고 있는데, 현재 동작중인 입력채널, 즉 현재 동작중인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비디오잭(132)을 통해 현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에 반영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도5는 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스템 동작 프로그램은 콘트롤러 모듈(310)에서 수행될 것이다.
먼저, 콘트롤러 모듈(310)는 신호처리 모듈(320)을 비롯하여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 콤포넌트의 상태를 체크(ST510)하고, 현재 동작중인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를 검출(ST515, ST525, ST535)하고, 그 검출결과를 반영하여 현재 비디오잭(132)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ST520, ST530, ST540, ST545)한다. 도5의 흐름도에서는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를 4개부터 1개까지 차례차례로 비교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현재 동작중인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콘트롤러 모듈(310)이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가 현재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도 역시 여러가지가 가능한데, 신호처리 모듈(320)로 유효한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통해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를 연결하는 접속포트에서 특정의 라인을 풀-업(pull-up) 시킨 후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가 접속될 때 그 특정의 라인이 그라운드(GND)로 풀-다운(pull-down)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혹은 어레이 스위치(array switch)를 두어 사용자가 동작시키고자 하는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고, 기타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 있어서 그 동작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특히 현재 동작하는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가 여러 종류인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도6에 나타낸 도면에서, 도6a와 도6c와 도6e는 분할 모드(splitter mode)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인데, 분할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현재 동작하는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의 개수로 적절히 분할한 후 각각의 분할영역에 각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6b와 도6d와 도6f는 오토스캔 모드(auto-scan mode)에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인데, 오토스캔 모드에서는 각각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시간구간, 예컨대 1초동안 디스플레이되면서 계속 스위칭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이와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드, 즉 전술한 분할 모드와 오토스캔 모드는 사용자의 리모트 콘트롤러(370) 조작에 의해서 상호 모드절환될 수 있으며, 도4에 도시한 리모트 콘트롤러(370)의 실시예에서는 모드 버튼(410)이 이러한 용도로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형태는 도6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이하,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370)의 각각의 기능버튼(410 ~ 460)을 눌렀을 때, 이에 대응하여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동작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이하 기술하는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의 동작방식에 있어서 채용가능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모드 버튼(410)에 대해서 기술한다. 모드 버튼(410)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화면의 표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면의 표시모드로서는 도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모드와 오토스캔 모드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모드 버튼(410)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도6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할 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도6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오토스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스위칭에 대해서는 도6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 있으며, 현재 설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의 표시, 예컨대 "SPLITTER MODE" 또는 "AUTO-SCAN MODE"와 같은 표시를 화면의 특정 영역, 예컨대 좌측상단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드 버튼(410)은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모니터링 동작 이외에 다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전술한 표시모드 설정 및 표시모드 스위칭 기능 이외에 특정한 기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재생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이 모드 버튼(410)은 재생동작의 정지(STOP) 또는 기능중단(EXIT)의 키(key)로서 할당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채널업 버튼(420)과 채널다운(430) 버튼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입력모듈로서 복수개의 내외부 카메라(330:1 ~ 330:3, 340)와 하나이상의 외부 촬영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채널"이란 이러한 하나의 입력모듈로부터 형성되는 영상정보의 제공루트를 지칭한다. 따라서, 채널업 버튼(420)과 채널다운(430) 버튼은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때, 전술한 분할 모드 또는 오토스캔 모드에서 복수개의 채널들 중에서 메인 채널, 즉 메인 입력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중에서, 채널업 버튼(420)은 소정의 순번이 할당된 채널들을 오름차순으로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고, 채널다운 버튼(430)은 반대로 내림차순으로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다.
즉, 분할 모드(도6a)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널업 버튼(420) 또는 채널다운(430) 버튼을 눌러서 특정의 채널을 메인 채널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메인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주화면을 구성하고 나머지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는 부화면을 구성한다. 이 때, "주화면"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전체 혹은 넓거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된 화면을 의미하고, "부화면"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거나 혹은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오토스캔 모드(도6b)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널업 버튼(420) 또는 채널다운(430) 버튼을 눌러서 특정의 채널을 메인 채널로서 선택한 경우에는, 메인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 때, 메인 채널의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여러가지로 구현이 가능한데, 일 실시예로서는 소정의 시간동안 메인 채널의 영상정보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그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오토스캔 모드의 화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메인 채널의 영상정보가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에 계속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채널업/다운 버튼(420, 430) 이외의 다른 버튼을 누르면 다시 오토스캔 모드의 화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채널업 버튼(420) 및 채널다운(430) 버튼은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모니터링 동작 이외에 다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전술한 메인 채널의 선택 기능 이외에 특정의 기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재생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이 채널업/다운 버튼(420, 430)은 재생중인 복수개의 정지화(still image) 중에서 특정의 정지화를 선택하기 위한 키로서 할당될 수 있다.
이어서, 모션캡쳐 버튼(440)에 대해서 기술한다. 모션캡쳐 버튼(440)은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이 모션캡쳐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위한 것으로서, 모션캡쳐 동작에서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카메라의 감시영역 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모션을 모션검출부(390)를 통해 자동검출하고 이에 따라 촬영영상을 캡쳐한 후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한다. 통상적으로는 메모리 모듈(380)의 저장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촬영영상으로부터 정지화를 획득하여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모듈(380)은 일반적으로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에 내장되어 구성되는데, 그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서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형식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모션검출기(390)가 복수개의 내외부 카메라(330:1 ~ 330:3, 340)에 대해서 별도로 각각 할당된 경우에는 모션이 검출된 모션검출기(390)에 대응하는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촬영영상으로부터 정지화를 획득하여 선택적으로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다만, 하나의 모션검출기(390)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영역에서 모션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현재 제공되는 모든 촬영영상으로부터 정지화를 획득하여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는 이 모션캡쳐 버튼(440)을 누름으로써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를 사용하여 모션캡쳐 동작을 수행하는데, 통상은 감시영역, 예컨대 사무실이나 상점 등을 비울 목적으로 모션캡쳐 동작을 이용하므로 사용자에게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허락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모션캡쳐 버튼(440)을 누른 후에 소정의 대기시간, 예컨대 2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모션캡쳐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가 감시영역을 오가는 동작이 일종의 모션으로 검출되어 불필요한 영상정보가 저장되게 되므로 메모리 모듈(380)의 낭비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션캡쳐 동작을 기동시킨 이후에 실제로 모션캡쳐 동작이 시작될 때까지의 동작모드를 모션캡쳐 대기모드(motion-capture wait mode)라고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션캡쳐 동작은 두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노말 모션캡쳐 모드(normal motion-capture mode)로서 메모리 모듈(380)이 포화되면 더이상의 영상정보 저장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이고, 두번째는 오버라이트 모션캡쳐 모드(overwrite motion-capture mode)로서 메모리 모듈(380)이 포화되면 그 이후로 들어오는 영상정보는 기존의 영상정보를 오버라이트하면서 저장하는 모드이다. 오버라이트하는 방식은 가장 오래된 정보를 오버라이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노말 모션캡쳐 모드와 오버라이트 모션캡쳐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모션캡쳐 버튼(440)을 조작하여 수행하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션캡쳐 버튼(440)을 한번 누르면 노말 모션캡쳐 모드가 선택되고, 두번 누르면 오버라이트 모션캡쳐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면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션캡쳐 버튼(440)을 눌러 모션캡쳐 동작을 기동시키면,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현재의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션캡쳐 버튼(440)을 누르면 그 이후 소정의 대기시간 동안은 모션캡쳐 대기모드로서 동작하는데, 이 때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MO-CAP : NOR" 또는 "MO-CAP : OVR"이라는 OSD (On Screen Display)가 깜박거리면서 표시되도록 하며, 이어서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가 노말 모션캡쳐 모드로 모션캡쳐 동작을 시작하면 "MO-CAP : NOR"이라는 OSD가, 또한 장치(300)가 오버라이트 모션캡쳐 모드로 모션캡쳐 동작을 시작하면 "MO-CAP : OVR"이라는 OSD가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캡쳐 버튼(450)에 대해서 기술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로 감시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도중에 긴급상황이나 특히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현재 모니터링되는 촬영영상을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때 캡쳐 버튼(450)을 누른다.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300)는 이에 대응하여 현재 카메라 또는 촬영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한다.
이어서, 재생 버튼(460)에 대해서 기술한다. 재생 버튼(460)은 상기 모션캡쳐 버튼(440)이나 캡쳐 버튼(450)을 사용하여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하였던 영상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재생동작은 두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첫번째는 싱글재생 모드로서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된 영상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이고, 두번째는 연속재생 모드로서 메모리 모듈(380)에 저장된 영상정보가 순서대로 계속 스위칭되면서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재생동작 하에서는 전술한 모드 버튼(410)과 채널업/다운 버튼(420, 430)에 특정한 기능을 부여받을 수 있는데, 먼저 모드 버튼(410)에는 재생동작의 정지(STOP) 또는 기능중단(EXIT)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고, 그리고 채널업/다운 버튼(420, 430)에는 싱글재생 모드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복수개의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 또는 외부촬영장치를 통해서도 감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성을 극복하여 그 감시가능한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카메라 모듈을 외부 촬영장치로서 사용하여 채널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장치의 재활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접속된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서 최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고 더욱이 다양한 동작모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서 리모트 콘트롤러의 스위치 연결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서 동작중인 채널의 개수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동작모드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콘트롤러 모듈
320 : 신호처리 모듈
330 : 내부카메라
340 : 외부카메라
350 : 외부촬영장치
360 : 디스플레이 장치
370 : 리모트 콘트롤러
380 : 메모리 모듈
390 : 모션검출부

Claims (18)

  1.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다채널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출력을 제공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원거리의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된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연결 케이블;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연결되어 다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신호처리 모듈이 구성한 상기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단자;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과 유무선 접속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탄성부를 제공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절개부를 갖는 방사형 슬롯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내부카메라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방사형 슬롯으로 인도되어 상기 카메라 장착 브라켓과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카메라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접속된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개수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공지기술의 외부촬영장치와 접속되어 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촬영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상기 외부촬영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며,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접속된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와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의 개수, 및 상기 외부촬영장치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촬영장치와 접속되어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개수와 상기 외부촬영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의 검출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감시지역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한 모션검출부;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모션검출부에서 모션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정지화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정지화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6. 소망하는 감시지역에 부착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체결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에 각각 접속되어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를 상기 케이스내에 장착하는 카메라 장착수단;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PCB 기판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를 보호하는 덮개; 상기 PCB 기판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잭; 상기 PCB 기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는 외부카메라 접속단자; 소망하는 원거리의 감시지역을 감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부카메라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PCB 기판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 및 기능제어를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탄성부를 제공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탄성부를 가압하는 형태로 결합되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절개부를 갖는 방사형 슬롯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장착 브라켓; 및 상기 내부카메라를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방사형 슬롯으로 인도되어 상기 카메라 장착 브라켓과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카메라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와 연결되어 다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여 상기 비디오잭으로 출력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 상기 감시지역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한 모션검출부;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모션검출부에서 모션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정지화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정지화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PCB 기판에 접속된 상기 복수개의 내부카메라 및 상기 하나이상의 외부카메라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카메라의 개수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상기 비디오잭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능버튼은 각각 양단을 갖는 스위치로서 상기 스위치 각각의 제1 단은 서로 저항소자(R1 ~ R5)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저항소자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직렬로 연결된 저항소자의 최종 일단(R1)은 소정의 고전위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제2 단은 서로 공통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자(AIN0)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단자는 별도의 저항소자(R6)를 통해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며,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값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상기 복수개의 기능버튼이 눌려졌는지 여부와 눌려졌을 경우에 눌려진 기능버튼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0.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다채널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출력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다채널의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어 다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을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이로부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신호처리 모듈; 상기 신호처리 모듈이 구성한 상기 출력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단자;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모듈; 상기 감시지역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한 모션검출부; 상기 콘트롤러 모듈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모듈; 및 상기 콘트롤러 모듈과 유무선 접속을 형성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모션검출부를 통해 모션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신호처리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정지화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정지화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콘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검출된 카메라 모듈의 개수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비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의 구성형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모드 버튼의 입력에 기초하여 분할 모드와 오토스캔 모드로 동작하되, 상기 분할 모드에서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검출된 카메라 모듈의 개수에 따라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영역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나타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고, 상기 오토스캔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의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이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되면서 스위칭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주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이 상기 분할 모드일 때 상기 채널선택 버튼에 의해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주화면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고,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이 상기 오토스캔 모드일 때 상기 채널선택 버튼에 의해 주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주채널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가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스위칭이 중단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모션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지역에서 모션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모션이 검출되었을 때 이에 대응하는 영상정보로부터 정지화를 추출하여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도록 하는 모션캡쳐 동작을 기동시키기 위한 모션캡쳐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는 상기 모션캡쳐 버튼을 통해 상기 모션캡쳐 동작이 기동되었을 때, 상기 기동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대기시간을 경과한 이후에 상기 모션캡쳐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는 캡쳐 동작을 기동시키기 위한 캡쳐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을 기동시키기 위한 재생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동작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정지화 이미지 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영상정보가 복수개의 정지화 이미지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상기 재생 버튼 이외의 기능버튼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정지화 이미지에서 소정의 순서대로 정지화 이미지가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동작에서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정지화 이미지 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고,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영상정보가 복수개의 정지화 이미지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정지화 이미지로부터 소정의 순서대로 정지화 이미지가 자동적으로 스위칭되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영상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KR10-2003-0009343A 2003-02-14 2003-02-14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KR10049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343A KR100491545B1 (ko) 2003-02-14 2003-02-14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343A KR100491545B1 (ko) 2003-02-14 2003-02-14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76A KR20040073676A (ko) 2004-08-21
KR100491545B1 true KR100491545B1 (ko) 2005-05-25

Family

ID=3736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343A KR100491545B1 (ko) 2003-02-14 2003-02-14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72B1 (ko) * 2010-04-02 2011-09-30 한국과학기술원 모니터링 시스템,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KR101125374B1 (ko) 2009-06-17 2012-03-27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형 감시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01B1 (ko) * 2008-04-10 2008-11-03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감시용 카메라 제어방법
KR102369795B1 (ko) * 2015-12-17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03714U (ko) 2016-04-18 2017-10-27 주식회사 이엘에프비 딱지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74B1 (ko) 2009-06-17 2012-03-27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형 감시 카메라
KR101068772B1 (ko) * 2010-04-02 2011-09-30 한국과학기술원 모니터링 시스템,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76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17B1 (ko) Cctv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시스템 및 지능형 감시방법
JPH1133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US20040212679A1 (en) Computer-based remote surveillance cctv system, a computer video matrix switcher and a control program adapted to the cctv system
JP4865587B2 (ja) 設置型撮像装置
KR101195567B1 (ko)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100491545B1 (ko) 다채널 감시카메라 장치
JP4723291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100884678B1 (ko) 화상 변화 감지 및 화면 확대 축소 카메라 장치 및 그 방법
KR100668276B1 (ko)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KR101030064B1 (ko)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한 엔브이알과 홈시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0378731Y1 (ko) 감시카메라 케이스 유닛
JP4622302B2 (ja) 空間分割装置
KR20090043162A (ko)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JPH08297793A (ja) 監視装置
JPH10229511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489007B1 (ko) 통합키를 이용한 디지털 화상 저장장치의 표시 제어방법
GB2322996A (en) A wireless, remotely drivable camera for use with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5080042A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00393B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KR10128484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돔형 카메라 장치
KR100785657B1 (ko) 전자기기 제어용 네트워크 카메라
JP6709980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80041A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060098102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controlling camera, monitor and extra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JP2684907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