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88B1 - 회전형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88B1
KR102369788B1 KR1020200055302A KR20200055302A KR102369788B1 KR 102369788 B1 KR102369788 B1 KR 102369788B1 KR 1020200055302 A KR1020200055302 A KR 1020200055302A KR 20200055302 A KR20200055302 A KR 20200055302A KR 102369788 B1 KR102369788 B1 KR 10236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vessel
module
heat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693A (ko
Inventor
구태준
Original Assignee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 브라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 조리용기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모듈,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 및 상기 가열모듈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 가열모듈 및 피봇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모듈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조리 장치 {Rotary type cooker}
실시예들은 회전형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손님이 음식물을 주문하면 주문 내역이 조리사에게 전달되며, 음식물의 조리는 조리사에 의해 행해지고, 이후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용기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어 다시 조리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식점에는 조리사를 비롯하여 조리용기를 설거지 하는 등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 상승의 원인되고 있다.
게다가, 조리사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 시, 정해진 레시피가 있더라도 재료의 투입량, 가열 세기, 조리 시간 등의 변수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매번 변화하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물은 때마다 다른 상태로 조리되기 쉬어 균일한 레시피에 따라 조리된 음식물을 손님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인으로 자동 조리가 실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 조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장치의 부피가 비교적 크고 전기 열원을 사용함에 따라 물 세척이 어렵다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 조리용기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모듈,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 및 상기 가열모듈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 가열모듈 및 피봇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모듈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조리용기와 인접한 가열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면의 곡률은 상기 조리용기의 외면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가열면이 상기 회전모듈이 공전하는 공전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영역과 비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경량으로 조리 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경량화를 기할 수 있다.
재료의 투입, 조리, 배출 및 세척을 컴팩트한 공간 내에서 행함으로써 적은 공간 내에서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가열 온도와 회전 조절에 의해 다양한 음식의 조리를 할 수 있고, 조리, 배출 및 세척이 단일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 조리에 대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소비자의 메뉴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봇 샤프트에 따른 회전 반경을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검출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검출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정단면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가열모듈을 도시하는 요부의 우측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의 개략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가열모듈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 모듈(7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컨트롤 모듈을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자성재료를 외부 표면에 용사시킨 경량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내부의 물기를 손쉽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조리용기(21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220)를 포함하는 회전모듈(200)과; 상기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300)와; 상기 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용기(210)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모듈(40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크게 몸체부(100), 회전모듈(200), 피봇 샤프트(300), 가열모듈(400), 그리고 피봇모터(5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과 패널로 이루어져 일 실시예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100)는 통상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리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회전모듈(200)은 조리용기(210)와 회전모터(22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조리용기(210)는 자전하면서 식재료의 조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한 쪽에 입구를 가진 대략 원통형의 보울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에는 바닥면과 내벽면을 연결하여 대략 L자 형상의 날개(2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리용기(210)의 자전 시 그 내부의 식재료를 뒤집거나 고르게 교반하는 역할을 하여, 식재료가 눌어붙어 타거나 혹은 일부만이 익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에는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2개의 날개(21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개 이거나 혹은 3개 이상의 날개(211)를 균일한 위상각 차이를 두고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조리용기(210)의 외측 저면에는 원통 형상의 보스(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이 보스(21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게 되며, 상기 보스(212)를 중심으로 상기 조리용기(210)가 자전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모터(220)는 구동에 따라 상술한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가 회전모터(220)의 구동축(2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보스(212)와 구동축(222)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212)가 중공 상태로 성형되어, 상기 구동축(222)이 상기 보스(2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가로 질러 관통하는 체결핀(230)으로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모터(220)는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축(2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220)는 입력되는 전원 제어에 따라 다단계 속도로 구동할 수 있는 데, 적어도 고속과 저속의 최소 2단계로 구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조리 시 상기 회전모터(220)는 저속 회전할 수 있으며, 설거지를 마친 후 탈수 시 상기 회전모터(220)는 고속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음식물의 조리 시에도 회전모터(22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고, 하나의 요리를 조리하는 중간에도 회전 속도를 시간에 따라 달리하여 요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와 상기 회전모터(220)의 구동축 사이에 변속기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변속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 모터(220)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상기 조리용기(210)에 전달하거나, 혹은 상기 회전 모터(220)의 회전속도를 변속 없이 직결시켜 상기 조리용기(210)에 전달하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회전모터(2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별도의 하우징(221)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모터(220)로부터 상술한 조리용기(210)만이 자전 가능하다.
다음으로, 피봇 샤프트(300)는 상술한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모듈(200)을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 보다 상세하게는 공전(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조리용기(210)는 회전모터(220)에 의해 자전하는 한편, 상기 회전모듈(200)은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공전 가능한 것이다.
즉, 상술한 회전모터(220)가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킨다면, 상기 피봇 모터(500)는 상기 조리용기(210)를 포함한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기 피봇모터(500)가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제1위치(C)나 제2위치(D)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향할 경우 입구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하거나 조리를 실시할 수 있고, 도 3에 있어서 제3위치(E)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가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할 경우 조리된 음식물을 빈 용기(1)에 옮겨 담을 수도 있으며, 도 3에 있어서 제4위치(F)와 같이 조리용기(210)가 수직하게 아래쪽을 향할 경우 세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위치(C)는 조리 용기(210)가 입구가 수직 상방을 향하게 배치된 것으로, 식재료의 투입보다는 국을 끓이는 등의 국물 요리의 조리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위치(D)는 입구가 수직 상방에서 전방으로 90도 이내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식재료를 투입하고 조리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3 위치(E)는 입구가 수직 상방에서 전방으로 90도에서 180도 이내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조리된 음식물을 배출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제4 위치(F)는 입구가 수직 하방을 향하게 배치된 것으로, 조리용기(210)의 세척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봇모터(5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모듈(200)의 회동 각도를 제어 가능한 스텝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피봇모터(50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조리용기(210)의 측면, 즉 피봇샤프트(3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봇모터(500)와 상기 피봇 샤프트(300) 사이에는 워엄 감속기(510)를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피봇모터(500)의 회전력 전달 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피봇모터(500)의 회동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피봇 샤프트(3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봇 속도는 다소 감소하더라도 큰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봇모터(500)는 몸체부(100)의 하부, 예컨대 지지대(120, 도 11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형 조리장치 전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장치가 설치될 공간의 협소함에 대한 설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봇모터(500)는 벨트를 통해 피봇 샤프트(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감속기 대신에 예컨대 타이밍 풀리를 벨트에 설치함으로써 피봇모터의 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에 따라, 조리 시에는 피봇모터(500)가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향하도록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로 피봇시키고, 조리 완료 시에는 피봇모터(500)가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3 위치로 피봇시킴으로써 조리된 음식물을 자중에 의해 빈 용기(1)로 옮겨 담는 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리 시에는 회전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조리용기(210)가 자전하는 동시에, 가열모듈(400)로 상기 조리용기(210)를 가열함으로써, 조리용기(210) 내의 식재료가 날개(211)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술한 회전모듈(200)에 대한 피봇 샤프트(300)의 연결 부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회전모듈(200)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조리용기(210)와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회전모터(22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은 회전모듈(200) 전체 길이의 절반에 위치하지 않고 조리용기(210)로부터 회전모터(220)를 향해 편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순히 피봇 샤프트(300)가 상기 회전모듈(200)의 양단 중 어느 한 쪽 단부를 관통하도록 회전중심(RC)이 연결될 경우,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모터(500)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싼 대용량의 모터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피봇모터(500)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봇 샤프트(300)의 회전중심(RC)이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도록 연결함으로써, 비교적 소형인 작은 용량의 회전모터(220)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피봇 샤프트(300)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RC)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310)을 포함하며,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르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200)의 회전반경(r)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편심축(310)의 편심량은 피봇 샤프트(300)의 회전중심(RC)으로부터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까지의 거리가 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피봇 샤프트(300)의 편심축(310)이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모듈(200)의 회전 반경(r)을 도 4의 (a)에 도시한 회전 반경(R) 보다 감소시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용기(210)에 대한 세척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용기(210)를 세척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는 회전모듈(200) 하측에 세척통(110)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통(110)의 내측 저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물을 분사하기 위한 제1 분사 노즐(11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은 세정수를 포함하는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데, 상기 세척수는 선택적으로 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별도의 분기관을 마련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동안 세제를 포함한 세척수를 분사한 후,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동안 세정용 세정수가 분사되는 등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은 세척수 공급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에 의존하지 않고 이후에 설명할 컨트롤 모듈(600)이 세제를 포함하는 세척수 또는 세정용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제1 각도(a1)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사되는 세척수의 물줄기가 조리용기(210)의 입구 부근으로부터 내벽면(213)을 따라 조리용기(210)의 바닥면을 향하 타고 올라가 조리용기(210) 내측 공간(214) 전체로 퍼질 수 있도록 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111)은 세척수가 넓은 각도로 퍼지게 분사되는 것보다는 국부적으로 강하게 분사하는 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세척수가 넓은 각도로 분사되면 조리용기(210) 내벽에 대한 타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세척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세척수 물줄기의 수압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0) 내벽면 전체를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은 온수 배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수로서 60℃ 이상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온수 및 강한 수압의 세척수를 사용할 경우, 기름기까지 제거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세척 시 조리용기(210)가 회전하도록 하여 하나의 제1 분사 노즐(111)만으로도, 조리용기(210) 내부의 세척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둘 이상의 제1 분사 노즐(111)을 마련하여 일부에서는 세제를 포함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헹굼을 위한 세정용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리용기(210)의 하부, 즉 입구 부근을, 다른 적어도 하나는 조리용기(210)의 상부, 즉 내측 바닥 부근을 각각 겨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하부와 상부를 향하는 세척수는 동시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순차적으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와 하부 세척수를 동시에 분사할 경우 수압이 떨어질 수 있는 데, 이 경우, 하부 세척수를 먼저 분사하고, 이어서 상부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 상부 세척수 분사 노즐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 분사 노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체크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에어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수를 분사한 이후 에어를 분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분사 노즐(111)에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어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통(110)은 조리용기(210)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수구에 연결된 배수관로(113)가 연결되며, 이 세척통(110)의 저면 혹은 벽면에 앞서 설명한 제1 분사 노즐(111)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조리용기(210)의 세척 후, 조리용기(210) 내에 잔존하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모터(220)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210)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111)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력에 의해 입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경에 대하여 입구에 해당하는 상부와 회전모터(220)가 연결되는 하부를 동일하게 제작하지 않고, 입구에 해당하는 상부로부터 회전모터(220)가 연결되는 하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조리용기(210)의 세척 후, 상기 조리용기(21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던 물기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21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통(110)의 상측 개구 높이는 상술한 조리용기(210)가 역상하여 위치하였을 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 높이 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여, 원심력에 의해 조리용기(210) 밖으로 배출되는 물기가 모두 세척통(110) 내부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통(110)의 상측 개구 직경은 상술한 조리용기(210)의 입구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계하여, 상기 조리용기(210)의 피봇 시 세척통(110)의 개구와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조리용기(210)의 탈수 시 원심력에 의해 비산될 수 있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통(110)에는 제2 분사 노즐(1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 노즐(112)에는 에어 펌프가 연결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제2 분사 노즐(112)을 통해 조리용기(210)의 내측 공간(214)으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 노즐(112)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제2 각도(a2)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어가 조리용기(210)의 입구 부근으로부터 내벽면(213)을 따라 조리용기(210)의 바닥면을 향해 타고 올라가 조리용기(210) 내측 공간(214) 전체로 퍼질 수 있도록 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분사 노즐(112)은 에어가 넓은 각도로 퍼지게 분사되는 것보다는 국부적으로 강하게 분사하는 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에어 압력에 의해 조리용기(210) 내부 벽면 전체에 있는 물기를 물리적으로 털어내고 건조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각도(a2)는 전술한 제1 각도(a1)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분사 노즐(112)에 의해 분사되는 유체는 제1 분사 노즐(111)에 의해 분사되는 유체와는 다른 영역을 타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각도(a2)는 제1 각도(a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분사 노즐(112)은 조리용기(210)의 상부, 즉 조리용기(210)의 내측 바닥면에 좀 더 가깝게 조준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분사 노즐(112)을 설치함에 따라 조리용기(210)의 상부로부터 에어가 퍼져 조리용기(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물기를 하부로 밀어내 제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분사 노즐(112)은 체크 밸브를 통해 세척수 공급 펌프와 더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및/또는 컨트롤 모듈(600)의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체크 밸브가 작동될 수 있고, 제2 분사 노즐(112)은 세척수 및/또는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각도(a2)가 제1 각도(a1)와 다른 경우, 특히 제2 각도(a2)가 제1 각도(a1)보다 클 경우, 제1 분사 노즐(111)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한 이후 제1 분사 노즐(111)을 잠그고, 순차로 제2 분사 노즐(112)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해 조리용기(210) 내부가 골고루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제2 분사 노즐(112)을 잠그고 체크밸브를 작동함으로써 제2 분사 노즐(112)이 에어 펌프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어 제2 분사 노즐(112)을 통해 에어를 분사시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에는 컨트롤 모듈(600)이 마련되고;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를 촬상하는 촬상부재(611)와, 상기 조리용기(210)의 온도를 온도검출유닛(612)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및/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검출유닛(6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컨트롤 모듈(6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몸체부(100)의 일측에 소정의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면상 우측에는 베어링(101)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암(102)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컨트롤 모듈(600)에 베어링(101)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 모듈(600)은 몸체부(100)의 하부, 예컨대 지지대(120, 도 11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형 조리장치 전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장치가 설치될 공간의 협소함에 대한 설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재(611)는 조리용기(210) 내부의 조리상태를 영상으로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송출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검출유닛(612)는 조리용기(210)의 온도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비접촉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검출유닛(612)는 적외선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검출유닛(613)는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즉 조리 시의 전체 회전수와 회전속도, 즉 분당회전수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송출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촬상부재(611)는 상술한 조리용기(210) 내부의 상태를 촬상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상술한 가열모듈(400) 상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촬상부재(611)는 상기 가열모듈(400) 이외에 이후에 설명할 후드(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회전형 조리 장치 외측에 설치되어 조리용기(210)의 내부를 촬상할 수도 있다. 상기 촬상부재(611)는 조리용기(210) 내부로부터 나오는 연기에 의해 촬영이 방해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검출유닛(612) 및 상기 회전검출유닛(61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의 저면과 회전모터(220) 사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검출유닛(61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용기(210)의 바닥면을 지향하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검출유닛(613)는 상술한 온도검출유닛(612)의 인근 배치되되,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된 체결핀(230)의 양단에 머리(231)를 마련하고, 이 머리(231)에 상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회전검출유닛(613)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머리(231)는 체결핀(23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2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스(212)에 별도로 가지를 형성하여 추가적인 상자성체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그 개수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검출유닛(6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0)의 외측벽(215)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온도검출유닛(61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데, 전술한 실시와 달리 조리용기(210)의 외측벽(215)을 타겟팅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조리용기(210)는 도 3의 제2 위치(D))에서 회전하는 상태일 수 있는 데, 이처럼 조리용기(2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조리용기(210) 내부의 음식물은 조리용기(210)의 특정 영역에 위치해 조리될 것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온도검출유닛(612)는 조리용기(210) 내의 조리가 이뤄지는 영역에 대응되는 외측벽(215)의 조리 영역(215a)을 타겟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제 조리가 이뤄지는 영역이 얼마나 가열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어, 온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 영역(215a)은 조리용기(210)가 제2 위치(D)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부(214)의 음식물(F)이 조리되고 있는 영역의 외측벽 영역에 대응되는 것으로, 조리용기(210)의 전체 길이의 약 80%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리 영역(215a)을 타겟팅하는 온도검출유닛(612)는 가열모듈(4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트롤 모듈(600)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검출유닛(6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0) 하부의 보스(212)에 설치된 링부재(6131)의 표시자(6132)를 카운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6131)는 보스(212)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데, 보스(212)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표시자(61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자(6132)는 링부재(6131)에 설치된 구멍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부재(6131)로부터 돌출된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검출유닛(613)는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표시자(6132)를 카운팅함으로써 컨트롤 모듈(600)이 조리용기(210)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경량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을 가지며, 자성 재료가 외표면에 용사(溶射)되고; 상기 가열모듈(400)을 인덕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용기(210)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리용기(210)는 가벼우면서도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열전도도 및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알루미늄 합금을 조리용기(210)의 소재로 선택할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모듈(400)로 인덕션 장치를 채택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인덕션 장치는 자성의 조리용기(210) 내에 자기장을 가두고 유도 흐름을 만들어 그 안의 식재료를 데우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조리용기(210)는 인덕션 장치에 의해 가열되기 어렵다.
이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기본적으로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은 물론 높은 열전도도 및 강도를 지니게 하고, 철 등의 자성 재료를 상기 조리용기(210)의 외부 표면에 용사(溶射) 코팅함으로써, 가열모듈(400)의 인덕션장치로 조리용기(210)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사란, 금속을 가열해서 미세한 용적(溶滴)형상으로 해서 조리용기(210)의 표면에 분무시킴으로써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열원에 따라 가스 용사, 플라즈마 제트 용사, 아크 용사 중 어느 하나로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비자성 재료로 제작된 조리용기(210)의 표면에 자성 재료를 용사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210)는 내부식성은 물론 높은 열전도도 및 강도를 지니는 한편, 가열모듈(400)로 인덕션 장치를 채택하더라도 원활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최외곽 표면에 불소 코팅 등을 추가로 실시하여 식재료가 조리용기(210)에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210)는 내부의 날개(211)까지 조리용기(2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날개(211)와 조리용기(210) 내벽면 사이에 음식이 끼어 세척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용기(210) 내부는 테프론 코팅을 진행해 조리용기(210) 내부에 음식물이 들러붙지 않고 내부가 잘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열모듈(400)은 인덕션으로 이루어져 테이퍼진 형상의 조리용기(210)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가열모듈(400)이 최대한 조리용기(210)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높은 효율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별도의 브래킷(410)을 통해 상기 가열모듈(400)이 상기 몸체부(100)에 인접하여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술한 조리용기(210)는 피봇 샤프트(300)에 의해 공전, 즉 피봇 가능하므로, 상기 조리용기(210)에서 조리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국이나 스프와 같은 액상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가 거의 수직상태로 유지된 상태(도 3에 있어서 제1위치(c))에서 조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육류나 채소류와 같은 고형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는, 상기 조리용기(210)가 수직한 상태로부터 대략 10~80도 기울어진 상태(도 3에 있어서 제2 위치(D))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리용기(210)의 회전 시 그 내부의 날개(211)가 식재료를 고르게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식재료에 따라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용기(210)의 경사 각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모듈(400)는 상기 몸체부(100)에 지지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가열모듈(40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열모듈(400)을 지지하는 브래킷(410)이 고정원판(420)과 체결되어 있다.
즉, 고정원판(420)은 모서리 일부가 절입 형성되어, 이 절입 부분에 상기 브래킷(410)이 안착하게 되며, 별도의 체결수단(411)에 의해 브래킷(410)이 고정원판(420)과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원판(420)의 중심은 상술한 피봇 샤프트(300)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원판(420)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방사상에 형성되어 있으며,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지지암(102)에도 체결공이 방사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각도로 가열모듈(400)이 위치하도록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원판(420)을 돌린 후, 고정원판(420)의 체결공과 지지암(102)의 체결공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422)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도 9에 있어서 도면부호 421은 상기 고정원판(420)과 피봇 샤프트(30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이며, 고정원판(420)의 체결공과 지지 암(102)의 체결공 개수를 늘려 보다 가열모듈(400)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가 조리 위치인 제2 위치(D)로 피봇되었을 때에 조리용기(210)에 대향하는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가열 모듈(400)은 조리용기(210)가 조리 위치로 피봇되었을 때에만 조리용기(210)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400')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400')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가열모듈(400')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의 가열모듈(400')은 도 9와 같이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조리용기(210)의 피봇에 연동하여 피봇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듈(200)은 조리용기(210)와 회전모터(220)를 포함하며, 회전모터(220)를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모듈(400')은 고정지그(430)를 이용하여 회전모듈(200)의 바디부(20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지그(430)는 일단이 바디부(20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열모듈(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지그(430)는 가열모듈(400')이 조리용기(210)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지그(430)의 일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201)의 정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201)의 정면이란, 조리용기(210)가 조리 위치인 제2 위치(D)로 기울어지는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열모듈(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바디부(201)의 어느 위치든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디부(210)의 상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바디부(201)의 측면에 연결되는 경우, 고정지그(430)는 조리용기(21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피봇 샤프트(3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모듈(400')은 상기와 같이 회전모듈(200)에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별도의 각도 제어 수단 없이도 조리용기(2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가열모듈(4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각도조절수단이 필요 없어, 도 10과 같이 피봇 샤프트(300)가 연장되는 방향(x방향)의 폭(W)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피봇에 연동하여 함께 회동하므로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 위치(C) 또는 제2 위치(D)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배출하는 제3 위치(E)에서도 조리용기(210)에 열을 인가할 수 있어, 음식물의 보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에서 음식물 배출 시 떨어지는 음식물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리용기(210)의 배출구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거리(t)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열모듈(400')은 가열면(M1)이 회전모듈(200), 즉 조리용기(210)가 공전하는 공전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용기(210)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30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조리용기(210)의 자전축(Ax1)은 x-z 평면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가열모듈(400')은 도 9와 같이 가열면(M1)이 상기한 x-z평면과 교차하는 위치인 조리용기(21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가 제2 위치(D)에서 조리하는 동안 음식물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어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여기서 조리용기(210)의 후방이란, 조리용기(210)의 음식물이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가 제3 위치(E)에서 조리된 음식물을 빈 용기(1)로 배출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리용기(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모듈(400')은 음식물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리용기(210)를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은 아니나, 자전하는 조리용기(210)의 일 영역을 가열하여 음식물에 전도열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와 인접한 가열면(M1)과, 가열면(M1)에 대향되는 대향면(M2)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모듈(400')은 상기한 가열면(M1)과 대향면(M2)을 구비하는 커버(402)와 커버(402) 내 수용되는 가열수단(40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수단(401)은 조리용기(210)로 전달하기 위한 열 에너지를 생성하는 어떠한 수단이든 가능하나, 예를 들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조리용기(210)를 가열하는 인덕션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수단(401)은 도 14에서 원형의 인덕션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열면(M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인덕션 코일이 아닌 복수 개의 인덕션 코일로 이루어져 곡면의 가열면(M1)을 따라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가열수단(401)은 직접가열부재(미도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직접가열부재는 예를 들면, 할로겐 히터, 복사 히터, 시스 히터(sheath heater), 면상발열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가열수단(401)은 전자유도가열부재인 인덕션어셈블리와 상기한 직접가열부재(미도시) 모두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hybrid)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모듈(400')은 상기한 직접가열부재(미도시)의 구동 시 발생되는 열이 전자유도가열부재로 전달되지 않도록 직접가열부재(미도시)와 전자유도가열부재 사이에 단열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커버(402)는 가열모듈(400')이 조리용기(210)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곡면의 가열면(M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열면(M1)의 곡률(curvature)은 조리용기(210)의 외면(P1)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열면(M1)은 조리용기(210)의 외면과의 간격(d)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어, 조리용기(210)를 감싸는 형태로 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용기(210)와 가열면(M1) 사이의 간격(d)을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나, 조리용기(210)와 가열면(M1) 사이의 간격(d)은 가열모듈(400')이 조리용기(210)의 자전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울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용기(210)의 중심에서 가열면(M1)까지의 제2 반지름(R2)은 조리용기(210)의 외면(P1)까지의 제1 반지름(R1)보다 크되, 사전에 설정된 범위보다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자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조리용기(210)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가열수단(401)이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인덕션어셈블리인 경우, 가열면(M1)은 단열재인 유리, 대리석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402)의 대향면(M2)은 가열면(M1)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면(M1)과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영역과 비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0)가 제3 위치(E)에서 조리된 음식물을 빈 용기(1)로 배출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도 11과 같이 조리용기(210)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도 15와 같이 조리용기(210)의 배출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와 같이, 회전형 조리 장치는 복수개의 가열모듈(40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가열모듈(400')을 구비하는 경우,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배출영역을 사이에 개재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모듈(400-1)은 인덕션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유도가열부재이고, 제2 가열모듈(400-2)은 직접가열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리하는 동안 제1 가열모듈(400-1) 및 제2 가열모듈(400-2)을 구동하다가, 음식물을 배출하는 동안에 제1 가열모듈(400-1) 및 제2 가열모듈(400-2)을 모두 구동을 중단하더라도 직접가열부재인 제2 가열모듈(400-2)의 잔열을 이용해 음식물의 보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형 조리 장치는 복수개의 가열모듈(400')을 구비하는 경우, 전부를 사용하여 조리용기(210)를 가열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선택된 가열모듈(400')만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6과 같이 가열모듈(400')은 조리용기(210)의 전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모듈(400')은 적어도 가열면(M1)이 조리용기(210)와 동심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모듈(400')은 가열면(M1)을 따라 가열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접가열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열면(M1) 전체를 따라 열선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유도가열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선보다 제조의 자유도가 떨어질 수 있어, 가열모듈(400')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열수단을 배열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원판(42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를 추가로 부가하여, 이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상기 가열모듈(400)의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구름수단(121)을 구비한 지지대(120)와, 상측에 후드(130)와, 상기 조리용기(210)로부터 조리된 음식물을 옮겨 담기 위하여 빈 용기(1)를 거치 가능한 받침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몸체부(100)가 대략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m 내외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구름수단(121)을 구비한 지지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대략 사각기둥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121)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회전형 조리 장치를 설치면에서 밀어서 손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는 포집판(131)과 블로우 팬(132)을 포함하는 후드(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1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 세로바(133)를 통해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할 것이며,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진 포집판(131)을 통해 조리 시 발생하여 상승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포집된 오염공기는 블로우 팬(132)의 구동에 의해 미도시한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담아 고객에게 서빙할 수 있도록 받침대(140)가 마련된다.
이 받침대(140)는 빈 용기(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210)의 피봇 시 조리용기(210) 내의 조리 완료된 음식물이 자중에 의해 빈 용기(1)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40)에는 상기 빈 용기(1)의 바닥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홈을 형성하여, 받침대(140) 상에서 빈 용기(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용기 센싱 유닛(6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센싱 유닛(614)은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데, 받침대(140)를 타겟팅하도록 배치되어 받침대(140) 위에 빈 용기(1)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컨트롤 모듈(600)의 알고리즘에 의해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용기 센싱 유닛(614)에 의해 빈 용기(1)가 있는지 여부를 센싱한 후에 조리용기(210)를 피봇시켜 조리용기(210)로부터 음식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빈 용기(1)가 없는 상황에서 음식물이 쏟아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형 조리 장치는 재료 공급 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공급 모듈(700)은 컨테이너부(710), 공급부(720) 및 배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부(710)는 저장 용기(711)와 저장 용기(711)를 개폐하는 도어(7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부(710)의 하부에는 재료를 배출부(730)로 공급하는 공급부(720)가 위치할 수 있는 데, 공급부(72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부(710)로부터 제공된 재료에 대해 믹싱 및/또는 배출을 하는 플런저부(721)가 위치할 수 있다. 플런저부(721)는 피스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헬리컬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급부(720)의 플런저부(721)는 구동부(722)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데, 구동부(722)는 상기 피스톤 또는 헬리컬 기어를 동작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720)의 조리 용기(210)를 향한 부분에는 배출부(730)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부(730)는 조리 용기(210)를 향해 개방된 덕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료 공급 모듈(700)은 회전형 조리 장치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료 공급 모듈(700)로부터 재료를 공급받는 상황에서 조리 용기(210)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90도 이내의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재료 공급 모듈(700)을 이용할 경우 도 22에서 볼 수 있듯이, 조리 용기(210)의 입구가 제5 위치(G)로 위치하도록 피봇될 수 있다. 상기 제5 위치(G)는 입구가 수직 상방에서 후방으로 90도 이내의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조리 용기(210)가 재료 공급 모듈(700)을 통해, 자동으로 식재료를 공급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 모듈(700)을 도시한 것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출 포트(740)와 배출 포트 이송 시스템(74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포트(740)에는 식재료가 수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배출 포트(740) 별로 다른 식재료가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포트(740)들은 예컨대 인라인 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식재료를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출 포트 이송 시스템(741)은 각 배출 포트(740)를 배치 방향을 따라 리니어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및/또는 특정 배출 포트(740)를 조리용기(210)의 방향으로 이송 및/또는 개구시켜 해당 배출 포트(740) 내의 식재료를 조리용기(210)에 제공할 수 있다. 배출 포트 이송 시스템(741)은 배출 포트(740)들을 제1 방향(D1)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이송 시스템과 배출 포트들(740) 중 조리용기(210)에 인접하게 배치된 배출 포트(740)를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으로 이송시키고 식재료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포트 이송 시스템(74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는 데, 일 방향으로 적층된 배출 포트들을 순차로 조리용기(210)에 인접하게 이동시켜 식재료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조리용기(210)는 제1 위치(C), 제2 위치(D) 또는 제5 위치(G)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3에서 볼 때, 제3 위치(E)의 방향은 제2 위치(D)와 같은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일 수도 있다. 및/또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리 용기(210)를 복수 개 배치시키고 조리된 음식물의 배출 위치에 다른 조리 용기(210)가 투입 위치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조리 용기(210)에서 조리가 끝난 이 후, 순차로 다른 조리 용기(210)로 중간 조리 음식물을 배출시키고 그 조리 용기(210)에서 다음 조리 단계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위치(D)에서 식재료를 제공받고 1차 조리를 진행한 후, 반대 방향으로 틸팅해 배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후단에 대기하고 있던 다른 조리 용기에 1차 조리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1차 조리 음식물을 제공받은 조리 용기는 동일한 방식으로 조리를 진행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른 조리 용기는 도 22의 제1 위치(C)에서 1차 조리 음식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의 회전형 조리 장치는 도 2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컨트롤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로 모듈(600)은 입력유닛(610), 출력유닛(620), 프로세서(630) 및 저장유닛(64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유닛(610)은 회전형 조리 장치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610)은 터치 패드, 키보드, 랩탑 또는 프로세서(63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유닛(620)은 디스플레이 유닛(601)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회전형 조리 장치의 진행 현황, 이펙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입력유닛(61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60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유닛(620)은 입력유닛(610)과 함께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출력유닛(620)은 스피커(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의 진행 정보를 소리로서 알려줄 수 있고, 비상 상황 등의 이벤트 정보도 소리로서 알려줄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회전형 조리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30)는 저장유닛(6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30)는 CPU, 램(RAM), 및/또는 롬(ROM)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회전형 조리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유닛(64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회전형 조리 장치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6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회전형 조리 장치는 프로세서(63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유닛(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유닛(640)은 회전형 조리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회전형 조리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 및/또는 클라우드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회전형 조리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회전형 조리 장치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30)에 의하여 회전형 조리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640)은 다양한 조리 레시피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를 포함할 수 있다. DB에 저장되는 조리 레시피는 입력 유닛(610)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1100) 및/또는 외부 단말기(1000)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 모듈(600)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컨트롤 모듈(600)에는 촬상부재(611), 온도검출유닛(612), 및/또는 회전검출유닛(6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부재들로부터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220), 피봇모터(500) 및 가열모듈(400)이 컨트롤 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형 조리장치의 각 단계를 컨트롤 모듈(600)이 제어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111) 및 제2 분사 노들(112)이 컨트롤 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척 단계에서 세척수의 분사 및/또는 에어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료 공급 모듈(700)이 컨트롤 모듈(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재료 공급 단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컨트롤 모듈(600)은 예를 들어, 저장유닛(640) 내에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레시피, 즉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그리고 조리용기(210)에 대한 회전속도인 분당 회전수 등을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유닛(610)을 이용하여 저장유닛(640)에 저장되어 있던 다수의 레시피 가운데 소정의 레시피를 선택할 경우, 컨트롤 모듈(600)은 해당 레시피를 저장유닛(640)으로부터 로딩하여 상술한 가열모듈(400)의 온도를 가감 조절하면서, 상기 가열모듈(400)의 작동 시간 및/또는 상기 조리용기(210)의 분당 회전수 및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 모듈(600)은 전기적 신호를 가열모듈(400)나 회전모터(220)에 보내 가열모듈(400) 및 회전모터(220)를 제어할 것이며, 촬상부재(611), 온도검출유닛(612), 그리고 회전검출유닛(613)는 각각 촬상된 영상 정보 혹은 검출된 기타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다시 컨트롤 모듈(600)에 보내게 됨으로써, 상기 컨트롤 모듈(600)은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보다 정밀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조리가 완료되면, 출력유닛(620)의 디스플레이 유닛(601)으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한편, 스피커(621)를 통해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 모듈(600)은 반복적인 조리 시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조리 시간이 단축되거나 연장될 경우, 이를 반복적으로 저장유닛(640)에 저장하면서 학습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수정된 레시피를 추천하거나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레시피에 따라 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컨트롤 모듈(600)에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LAN이나 와이파이 등의 유무선 통신모듈을 부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회전형 조리 장치로부터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10) 내부의 조리 상태에 관하여 촬상부재(611)에서 촬상된 영상을 직접 전송받아 보면서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들 이외에도, 회전형 조리 장치를 다수 배치하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혹은 영업장 내의 POS기기에서 다수의 회전형 조리 장치를 총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회전형 조리 장치는 먼저 조리용기(210)를 식재료 투입 위치로 피봇시켜 대기한다(S1). 식재료 투입 위치는,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수직하게 향하는 상태(도 3의 제1위치(C))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210) 내에는 식재료가 별도의 식재료 투입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담겨질 수 있다(S2).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3의 제2 위치(D)가 투입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식재료를 조리용기(210) 내에 투입하기 좋은 위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0)가 제5 위치(G)에 위치해 식재료 투입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630)는 조리용기(210) 내에 식재료의 투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이후, 조리용기(210)를 조리 위치로 피봇시킨다(S3). 선택적으로 식재료의 투입이 완료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투입 위치에서 대기 시간을 체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연속해서 진행되는 요리의 경우, 재료는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종류 및/또는 양에 따라 식재료 투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실험에 의해 혹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DB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재료 투입의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센서를 통해 조리용기(210) 내에 식재료가 채워진 것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컨트롤 모듈(600)을 조작함으로써 조리용기(210)가 조리 위치로 피봇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위치는 도 3을 참조할 때 제2 위치(D)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위치(D)에서 재료의 투입이 이뤄진 경우, 상기 단계 S3는 그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것일 수 있고, 제1 위치(C)에서 재료의 투입이 이뤄진 경우, 제2 위치(D)로 피봇될 수 있다.
조리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국이나 스프와 같은 액상 음식물인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는 대략 수직에 가깝게 직립된 상태(도 3의 제1위치(C))로 피봇되거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예를 들어, 육류나 채소류 등과 같은 고형의 음식물인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는 수직으로부터 대략 10~80도 가량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도 3의 제2위치(D))로 피봇될 것이다.
이러한 제어는 저장유닛(640)에 저장되어 있던 레시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컨트롤 모듈(600)이 피봇모터(500)를 구동시켜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 시킴으로써, 자동 제어될 것이다.
이 컨트롤 모듈(600)의 제어에 따라 가열모듈(400)인 인덕션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레시피에 해당하는 적절한 온도로 조리용기(210)가 비접촉식으로 가열되고, 동시에, 회전모터(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레시피에 해당하는 적절한 속도로 조리용기(210)가 회전하게 된다(S4).
이에 따라, 조리용기(210) 내에서는 날개(211)에 의해 식재료가 고르게 교반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후드(130)의 블로우 팬(132)이 구동함으로써, 조리 시 발생하여 상승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판(131)이 포집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택적으로 블로우 팬(132)은 컨트롤 모듈(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 모듈(600)에 의해 자동으로 배기 가능할 것이다.
조리용기(210)에 대한 가열 및/또는 자전이 개시되면, 프로세서(630)는 조리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한다(S5).
프로세서(630)는 레시피에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6), 아직 시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리용기(210)의 온도를 체크(S7)하고, 회전수를 체크(S8)해, 레시피대로 조리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레시피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만료되면, 컨트롤 모듈(600)는 가열모듈(400) 및 회전모터(220)의 동작을 종료한다(S9).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조리용기(210)가 음식물을 배출하는 위치에 빈 그릇이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상기 그릇의 배치 확인은 전술한 S9단계의 종료 시,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빈 그릇이 놓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 후, 사용자의 다음 조작을 기다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 센싱 유닛(614), 예컨대 초음파 센서 및/또는 레이저 센서 등으로 빈 용기(1)가 음식물이 배출될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630)는 용기 센싱 유닛(614)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에 따라 빈 용기(1)가 음식물이 배출될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만,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피봇시킬 수 있다. 만일 빈 용기(1)가 없는 경우, 피봇팅하지 않고, 별도의 알람 등으로 사용자에게 빈 용기(1)가 없음을 알릴 수 있다(S102). 이 경우 다시 일정 시간 후에 프로세서(630)는 용기 센싱 유닛(614)을 통해 빈 용기(1)가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피봇모터(500)를 구동시켜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경사지게 아래쪽(예컨대 도 3의 제3위치(E))을 향하게 피봇한다(S11). 이에 따라 조리용기(210) 내의 음식물은 자중에 의해 받침대(140) 상에 올려 놓인 빈 용기(1)로 옮겨지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선택적으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 용기(210)와 결합된 구동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배출 위치에서 조리 용기(210)를 상하로 흔들어주어 조리 용기(210) 내부의 음식물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스테핑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630)는 음식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S12). 음식 배출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감지는 해당 음식의 종류별로 제3 위치(E)에서 음식 배출에 필요한 시간을 체크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즉, 음식의 양 및/또는 종류별로 점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미리 배출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해 레시피 DB에 입력해 둠으로써 음식 배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630)에 의해 조리용기(210)는 세척 위치, 예컨대 제4 위치(F)로 피봇된다(S13).
여기에서, 프로세서(630)는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킴(S14)과 동시에, 상기 세척통(110) 내에 마련된 제1 분사 노즐(111)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한다(S15).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30)는 우선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후, 헹굼을 위한 세정용 세척수를 분사하여 조리용기(210)에 대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사 노즐(111)은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를 경사지게 향하게 되며, 세척 시 상기 조리용기(2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조리용기(210)의 내부가 고르게 세척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조리용기(210)의 세척이 완료되면, 프로세서(630)는 회전모터(2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리용기(210) 내의 물기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조리용기(21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 조리용기(210) 내부의 모든 물기가 원심력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이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비산되는 물기는, 조리용기(210)의 입구 높이가 세척통(110)의 개구 높이 보다 낮기 때문에, 모두 세척통(110) 내부로 회수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30)는 제2 분사 노즐(112)을 동작시킴에 따라 조리용기(210) 내부로 에어를 분사한다(S16). 에어 분사에 따라 조리용기(210) 내부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수순을 반복하여 식재료의 투입으로부터 조리 및 설거지를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S6단계에서 프로세서(630)가 정해진 시간이 만료된 것인지 확인한 경우, 프로세서(630)는 다시 해당 정해진 시간이 중간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2). 상기 중간시간이란 조리 도중에 투입해야 하는 재료가 있는 경우 해당 재료를 투입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는 데, 중간시간은 반드시 한 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회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요리를 조리함에 있어, 모든 재료를 처음부터 조리용기(210)에 모두 넣고 조리할 수도 있으나, 요리에 따라서는 특정 재료를 먼저 투입해 조리를 진행한 후, 다시 다른 재료를 투입해 다시 조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30)가 만료된 시간이 중간시간인 것을 판단하면, 프로세서(630)는 조리용기(210)의 자전을 멈추고 조리용기(210)를 투입 위치로 피봇시켜(S1), 중간 재료를 다시 투입받도록 한다(S2).
이 후 프로세서(630)는 조리용기(210)를 조리 위치로 피봇시키고(S3), 가열 및/또는 자전을 개시해(S4), 조리를 실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6~S8).
정해진 시간이 중간시간이 아닌 최종시간인 것이 확인되면, 프로세서(630)는 조리용기(210)에 대한 가열 및/또는 자전을 종료하고(S9), 빈 용기(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이 후 조리용기(210)를 배출 위치로 피봇시켜(S11) 음식을 배출한다.
음식 배출이 완료된 것을 감지(S12)한 이후, 조리용기(210)를 세척 위치로 피봇시키고(S13), 세척 및 건조 작업을 진행한다(S14~S16).
이후, 상술한 수순을 반복하여 식재료의 투입으로부터 조리 및 설거지를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자성재료를 용사시킨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레시피에 따른 요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몸체부;
    조리용기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
    상기 회전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모듈;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 및 상기 가열모듈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 및
    상기 회전모터, 가열모듈 및 피봇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피봇 모터에 의해서 상기 피봇 샤프트를 중심으로 공전되며,
    상기 조리 용기의 입구가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 조리를 실시하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옮겨 담거나, 세척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조리용기가 조리 위치로 피봇 되었을 때만 상기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조리용기와 인접한 가열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열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형 조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면의 곡률은 상기 조리용기의 외면의 곡률과 동일한, 회전형 조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가열면이 상기 회전모듈이 공전하는 공전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회전형 조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영역과 비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회전형 조리 장치.
KR1020200055302A 2020-05-08 2020-05-08 회전형 조리 장치 KR10236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02A KR102369788B1 (ko) 2020-05-08 2020-05-08 회전형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302A KR102369788B1 (ko) 2020-05-08 2020-05-08 회전형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93A KR20210136693A (ko) 2021-11-17
KR102369788B1 true KR102369788B1 (ko) 2022-03-03

Family

ID=7870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302A KR102369788B1 (ko) 2020-05-08 2020-05-08 회전형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956A2 (en) 2009-02-02 2010-08-26 Paul Anthony Koppens A cooking device and method of meal preparation
KR101331289B1 (ko) *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628U (ja) * 1983-04-11 1984-10-23 出川 義則 容器釜回転式炒め装置
KR20170071222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면상발열체가 설치된 전기 조리기
KR20200000280A (ko) * 2018-06-22 2020-01-02 홍석표 다용도 요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956A2 (en) 2009-02-02 2010-08-26 Paul Anthony Koppens A cooking device and method of meal preparation
KR101331289B1 (ko) *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93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345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US9326639B2 (en) Oven having a rotating door
JP6580330B2 (ja) 多機能プログラマブル食品調理方法及び装置
US20190110630A1 (en) Ovens and methods of cooking using ovens
US10039417B2 (en) Oven apparatus
KR102369788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US20170020338A1 (en) Stirring and cooking assembly and cooking equipment including same
US11039714B2 (en) Automated cooking apparatus having reduced fire hazard
KR102369786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JP3272686B2 (ja) 電磁誘導加熱式の煮練り攪拌機
KR102320243B1 (ko) 회전형 조리 장치
AU2021249139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having a hot air oven
CN210227787U (zh) 一种烹饪设备
JP2009254263A (ja) 焼き菓子の焼成装置
CN206499324U (zh) 炒菜机
JP6997505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CN206350658U (zh) 炒菜机和用于炒菜机的配料盒
US5925393A (en) Method of popping corn
JP2001275835A (ja) 電磁誘導加熱式の業務用調理装置
KR20220056926A (ko) 스마트 라면조리기
TW201511719A (zh) 煮物機
JP2003219825A (ja) 麺茹で装置
KR101945290B1 (ko) 회전식 조리 장치
JP2001333755A (ja) 焙煎装置
CN211022281U (zh) 双重转动机制烤盘的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