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243B1 - 회전형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조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0243B1 KR102320243B1 KR1020190165080A KR20190165080A KR102320243B1 KR 102320243 B1 KR102320243 B1 KR 102320243B1 KR 1020190165080 A KR1020190165080 A KR 1020190165080A KR 20190165080 A KR20190165080 A KR 20190165080A KR 102320243 B1 KR102320243 B1 KR 102320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cooking vessel
- container
- vessel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전 및 공전 가능한 조리용기를 통해, 음식물의 조리 시 조리용기를 자전시켜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고르게 조리하며, 조리용기를 공전시켜 조리 완료된 음식물을 용기로 옮겨 담거나 조리용기의 세척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100)와; 조리용기(21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220)를 포함하는 회전모듈(200)과; 상기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300)와; 상기 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용기(210)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40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500)를 포함하여,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형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전 및 공전 가능한 조리용기를 통해, 음식물의 조리 시 조리용기를 자전시켜 음식물이 타지 않도록 고르게 조리하며, 조리용기를 공전시켜 조리 완료된 음식물을 용기로 옮겨 담거나 조리용기의 세척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손님이 음식물을 주문하면 주문 내역이 조리사에게 전달되며, 음식물의 조리는 조리사에 의해 행해지고, 이후 조리가 완료되면 조리용기에 대한 세척이 완료되어 다시 조리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식점에는 조리사를 비롯하여 조리용기를 설거지 하는 등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 상승의 원인되고 있다.
게다가, 조리사에 의한 음식물의 조리 시, 정해진 레시피가 있더라도 재료의 투입량, 가열 세기, 조리 시간 등의 변수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매번 변화하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물은 때마다 다른 상태로 조리되기 쉬어 균일한 레시피에 따라 조리된 음식물을 손님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인으로 자동 조리가 실시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동 조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장치의 부피가 비교적 크고 전기 열원을 사용함에 따라 물 세척이 어렵다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성재료를 용사시킨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몸체부와; 조리용기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에는 세척통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통의 내측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는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모터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력에 의해 입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그리고 연산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는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을 가지며, 자성 재료가 외표면에 용사(溶射)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인덕션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용기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몸체부는, 하단에 구름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상측에 후드와, 상기 조리용기로부터 조리된 음식물을 옮겨 담기 위하여 빈 용기를 거치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자성재료를 용사시킨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봇 샤프트에 따른 회전 반경을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를 도시하는 요부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봇 샤프트에 따른 회전 반경을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를 도시하는 요부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피봇 샤프트에 따른 회전 반경을 도시하는 요부의 정면도로서, 도 5의 (a)는 피봇 샤프트가 편심축 없이 회전모듈의 무게중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5의 (b)는 피봇 샤프트의 편심축이 회전모듈의 무게중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1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를 도시하는 요부의 우측면도이다.
게다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자성재료를 용사시킨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조리용기(21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220)를 포함하는 회전모듈(200)과; 상기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300)와; 상기 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용기(210)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400)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크게 몸체부(100), 회전모듈(200), 피봇 샤프트(300), 가열부재(400), 그리고 피봇모터(5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과 패널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100)는 통상 설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리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0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모듈(200)은 조리용기(210)와 회전모터(22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조리용기(210)는 자전하면서 식재료의 조리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쪽에 입구를 가진 대략 원통형의 보울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에는 바닥면과 내벽면을 연결하여 대략 L자 형상의 날개(21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리용기(210)의 자전 시 그 내부의 식재료를 뒤집거나 고르게 교반하는 역할을 하여, 식재료가 눌어붙어 타거나 혹은 일부만이 익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에는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2개의 날개(21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1개 이거나 혹은 3개 이상의 날개(211)를 균일한 위상각 차이를 두고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조리용기(210)의 저면에는 원통 형상의 보스(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이 보스(21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게 되며, 상기 보스(212)를 중심으로 상기 조리용기(210)가 자전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모터(220)는 구동에 따라 상술한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가 회전모터(220)의 구동축(22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보스(212)와 구동축(222)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스(212)가 중공 상태로 성형되어, 상기 구동축(222)이 상기 보스(2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핀(230)으로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모터(220)는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축(22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220)는 입력되는 전원 제어에 따라 고속과 저속의 최소 2단계로 구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조리 시 상기 회전모터(220)는 저속 회전할 수 있으며, 설거지를 마친 후 탈수 시 상기 회전모터(220)는 고속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와 상기 회전모터(220)의 구동축 사이에 변속기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변속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220)의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상기 조리용기(210)에 전달하거나, 혹은 상기 회전모터(220)의 회전속도를 변속 없이 직결시켜 상기 조리용기(210)에 전달하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회전모터(2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별도의 하우징(221) 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모터(220)로부터 상술한 조리용기(210)만이 자전 가능하다.
다음으로, 피봇 샤프트(300)는 상술한 회전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200)을 상기 몸체부(100)에 회전, 보다 상세하게는 공전(피봇)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요소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조리용기(210)는 회전모터(220)에 의해 자전하는 한편, 상기 회전모듈(200)은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공전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에는 도 1 및 도 7과 같이 지지암(102)을 직립 설치하고, 이 지지암(102)에 베어링(101)을 마련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01)은 상기 피봇 샤프트(300)가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것이다.
다음으로, 가열부재(400)는 상기 조리용기(210)로부터 미세한 간극을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비접촉식으로 상기 조리용기(210)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미세한 간극이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하지는 않으면서, 상기 조리용기(210)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400)는 화석연료,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LNG)나 액화프로판가스(LPG) 등의 연소열을 이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조리용기(210)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즉, 상기 조리용기(210) 내에 담겨진 식재료를 직간접적으로 가열 조리 가능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면서 열효율이 좋으며, 인체에 유해한 연소가스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상기 가열부재(400)의 종류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봇모터(5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몸체부(100)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즉, 상술한 회전모터(220)가 조리용기(210)를 자전시킨다면, 상기 피봇모터(500)는 상기 조리용기(210)를 포함한 회전모듈(200)을 공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기 피봇모터(500)가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 C위치나 D위치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향할 경우 입구를 통해 식재료를 투입하거나 조리를 실시할 수 있고, 도 3에 있어서 E위치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가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할 경우 조리된 음식물을 빈 용기(1)에 옮겨 담을 수도 있으며, 도 3에 있어서 F위치와 같이 조리용기(210)가 수직하게 아래쪽을 향할 경우 세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피봇모터(50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각도를 제어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피봇모터(500)와 상기 피봇 샤프트(300) 사이에는 워엄 감속기(510)를 추가로 마련하여, 상기 피봇모터(500)의 회전력 전달 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피봇모터(5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피봇 샤프트(300)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피봇 속도는 다소 감소하더라도 큰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에 따라, 조리 시에는 피봇모터(500)가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향하도록 피봇시키고, 조리 완료 시에는 피봇모터(500)가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피봇시킴으로써 조리된 음식물을 자중에 의해 빈 용기(1)로 옮겨 담는 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리 시에는 회전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조리용기(210)가 자전하는 동시에, 가열부재(400)로 상기 조리용기(210)를 가열함으로써, 조리용기(210) 내의 식재료가 날개(211)에 의해 고르게 교반되면서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술한 회전모듈(200)에 대한 피봇 샤프트(300)의 연결 부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회전모듈(200)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조리용기(210)와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회전모터(22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은 회전모듈(200) 전체 길이의 절반에 위치하지 않고 조리용기(210)로부터 회전모터(220)를 향해 편심되어 위치할 것이다.
이 때문에, 단순히 피봇 샤프트(300)가 상기 회전모듈(200)의 양단 중 어느 한 쪽 단부를 관통하도록 회전중심(RC)이 연결될 경우,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모터(500)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싼 대용량의 모터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피봇모터(500)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봇 샤프트(300)의 회전중심(RC)이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도록 연결함으로써, 비교적 소형인 작은 용량의 회전모터(220)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피봇 샤프트(300)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RC)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310)을 포함하며, 상기 편심축(310)은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르도록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200)의 회전 반경(r)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편심축(310)의 편심량은 피봇 샤프트(300)의 회전중심(RC)으로부터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까지의 거리가 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피봇 샤프트(300)의 편심축(310)이 상기 회전모듈(200)의 무게중심(WC)을 가로지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모듈(200)의 회전 반경(r)을 도 3의 (a)에 도시한 회전 반경(R) 보다 감소시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에 있어서 조리용기(210)에 대한 세척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는 회전모듈(200) 하측에 세척통(110)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통(110)의 내측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111)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노즐(111)은 세제를 포함한 세척수 또는 헹굼을 위한 세정수 등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으면 좋고, 별도의 분기관을 마련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동안 세척수를 분사한 후,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동안 세정수가 분사되는 등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시간에 의존하지 않고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600)가 세척수 또는 세정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자동 제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세척 시 조리용기(210)가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벽면과 바닥면 사이의 모서리를 지향하는 오직 하나의 노즐(111)만으로도, 조리용기(210) 내부의 세척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물론, 둘 이상의 노즐(111)을 마련하여 일부에서는 세제를 포함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헹굼을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세척통(110)은 조리용기(210)의 세척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수구에 연결된 배수관로가 연결되며, 이 세척통(110)의 저면 혹은 벽면에 앞서 설명한 노즐(111)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조리용기(210)의 세척 후, 조리용기(210) 내에 잔존하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모터(220)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210)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111)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력에 의해 입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경에 대하여 입구에 해당하는 상부와 회전모터(220)가 연결되는 하부를 동일하게 제작하지 않고, 입구에 해당하는 상부로부터 회전모터(220)가 연결되는 하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조리용기(210)의 세척 후, 상기 조리용기(21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에 잔존하고 있던 물기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210)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통(110)의 상측 개구 높이는 상술한 조리용기(210)가 역상하여 위치하였을 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입구 높이 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여, 원심력에 의해 조리용기(210) 밖으로 배출되는 물기가 모두 세척통(110) 내부로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통(110)의 상측 개구 직경은 상술한 조리용기(210)의 입구 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계하여, 상기 조리용기(210)의 피봇 시 세척통(110)의 개구와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조리용기(210)의 탈수 시 원심력에 의해 비산될 수 있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에는 입력장치(610), 출력장치(620), 그리고 연산장치(630)를 포함하는 제어부(600)가 마련되고; 상기 입력장치(610)는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를 촬상하는 촬상부재(611)와, 상기 조리용기(210)의 온도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612)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재(6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제어부(6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몸체부(100)의 일측에 소정의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면상 우측에는 베어링(101)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암(102)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어부(600)에 베어링(101)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도 6과 같이 입력장치(610), 출력장치(620), 연산장치(630), 그리고 저장장치(6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장치(610)는 키패드나 터치스크린(601)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터치스크린(601)은 예를 들어 제어부(600)의 앞면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610)는, 조리용기(210) 내부의 조리 상태를 영상으로 촬상하여 전기적 신호로 송출 가능한 카메라인 촬상부재(611)와, 조리용기(210)의 온도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송신하는 온도검출부재(612)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즉 조리 시의 전체 회전수와 회전속도, 즉 분당회전수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송출하는 회전검출부재(613)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촬상부재(611)는 상술한 조리용기(210) 내부의 상태를 촬상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상술한 가열부재(400) 상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촬상부재(611)는 상기 가열부재(400) 이외에 이후에 설명할 후드(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온도검출부재(612) 및 상기 회전검출부재(6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10)의 저면과 회전모터(220)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온도검출부재(61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용기(210)의 바닥면을 지향하여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검출부재(613)는 상술한 온도검출부재(612)의 인근 배치되되,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된 체결핀(230)의 양단에 머리(231)를 마련하고, 이 머리(231)에 상자성체를 부착하여 상기 회전검출부재(613)가 상기 조리용기(21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보스(212)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머리(231)는 체결핀(230)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2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스(212)에 별도로 가지를 형성하여 추가적인 상자성체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그 개수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출력장치(620)는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터치스크린(601), 스피커(621)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터치스크린(601)은 입력장치(610)와 출력장치(620) 두 가지 모두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연산장치(630)는 CPU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저장장치(640)는 ROM 및 RAM, 그리고 HDD나 SSD와 같은 물리적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부(600)는 예를 들어, 저장장치(640) 내에 다양한 음식물에 대한 레시피, 즉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그리고 조리용기(210)에 대한 회전속도인 분당 회전수 등을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장치(610)의 하나로 터치스크린(601)을 이용하여 저장장치(640)에 저장되어 있던 다수의 레시피 가운데 소정의 레시피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600)는 해당 레시피를 저장장치(640)로부터 로딩하여 상술한 가열부재(400)의 온도를 가감 조절하면서, 상기 가열부재(400)의 작동 시간 및 상기 조리용기(210)의 분당 회전수 및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전기적 신호를 가열부재(400)나 회전모터(220)에 보내 가열부재(400) 및 회전모터(220)를 제어할 것이며, 촬상부재(611), 온도검출부재(612), 그리고 회전검출부재(613)는 각각 촬상된 영상 정보 혹은 검출된 기타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다시 제어부(600)에 보내게 됨으로써, 상기 제어부(600)는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보다 정밀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조리가 완료되면, 출력장치(620)로서의 터치스크린(601)으로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한편, 스피커(621)를 통해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를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반복적인 조리 시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조리 시간이 단축되거나 연장될 경우, 이를 반복적으로 저장장치(640)에 저장하면서 학습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수정된 레시피를 추천하거나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레시피에 따라 조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600)에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LAN이나 와이파이 등의 유무선 통신모듈을 부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로부터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10) 내부의 조리 상태에 관하여 촬상부재(611)에서 촬상된 영상을 직접 전송받아 보면서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의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를 다수 배치하고,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혹은 영업장 내의 POS기기에서 다수의 회전형 조리 장치를 총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가열부재(400)에 의한 조리용기(210)의 비접촉식 가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을 가지며, 자성 재료가 외표면에 용사(溶射)되고; 상기 가열부재(400)는 인덕션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용기(210)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리용기(210)는 가벼우면서도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열전도도 및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알루미늄 합금을 조리용기(210)의 소재로 선택할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부재(400)로 가장 바람직한 인덕션을 채택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인덕션은 자성의 조리용기(210) 내에 자기장을 가두고 유도 흐름을 만들어 그 안의 식재료를 데우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조리용기(210)는 인덕션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210)는 기본적으로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은 물론 높은 열전도도 및 강도를 지니게 하고, 철 등의 자성 재료를 상기 조리용기(210)의 표면에 용사(溶射)함으로써, 가열부재(400)인 인덕션으로 조리용기(210)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사란, 금속을 가열해서 미세한 용적(溶滴)형상으로 해서 조리용기(210)의 표면에 분무시킴으로써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열원에 따라 가스 용사, 플라즈마 제트 용사, 아크 용사 중 어느 하나로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비자성 재료로 제작된 조리용기(210)의 표면에 자성 재료를 용사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210)는 내부식성은 물론 높은 열전도도 및 강도를 지니는 한편, 가열부재(400)로 인덕션을 채택하더라도 원활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210)의 최외곽 표면에 불소 코팅 등을 추가로 실시하여 식재료가 조리용기(210)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열부재(400)는 인덕션으로 이루어져 테이퍼진 형상의 조리용기(210)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가열부재(400)가 최대한 조리용기(210)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높은 효율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별도의 브래킷(410)을 통해 상기 가열부재(400)가 상기 몸체부(100)에 인접하여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술한 조리용기(210)는 피봇 샤프트(300)에 의해 공전, 즉 피봇 가능하므로, 상기 조리용기(210)에서 조리되는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국이나 스프와 같은 액상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가 거의 수직 상태로 유지된 상태(도 3에 있어서 C위치)에서 조리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육류나 채소류와 같은 고형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용기(210)가 수직한 상태로부터 대략 30~50도 기울어진 상태(도 3에 있어서 D위치)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리용기(210)의 회전 시 그 내부의 날개(211)가 식재료를 고르게 교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식재료에 따라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용기(210)의 경사 각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부재(400)는 상기 몸체부(100)에 지지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여, 소망하는 각도로 가열부재(40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열부재(400)를 지지하는 브래킷(410)이 고정원판(420)과 체결되어 있다.
즉, 고정원판(420)은 모서리 일부가 절입 형성되어, 이 절입 부분에 상기 브래킷(410)이 안착하게 되며, 별도의 체결수단(411)에 의해 브래킷(410)이 고정원판(420)과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원판(420)의 중심은 상술한 피봇 샤프트(300)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며, 상기 고정원판(420)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방사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지지암(102)에도 체결공이 방사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각도로 가열부재(400)가 위치하도록 피봇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원판(420)을 돌린 후, 고정원판(420)의 체결공과 지지암(102)의 체결공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422)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도 7에 있어서 도면부호 421은 상기 고정원판(420)과 피봇 샤프트(300) 사이에 위치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이며, 고정원판(420)의 체결공과 지지암(102)의 체결공 개수를 늘려 보다 가열부재(400)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 좋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원판(42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를 추가로 부가하여, 이 구동모터를 정역 회전시켜 상기 가열부재(400)의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 구름수단(121)을 구비한 지지대(120)와, 상측에 후드(130)와, 상기 조리용기(210)로부터 조리된 음식물을 옮겨 담기 위하여 빈 용기(1)를 거치 가능한 받침대(140)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100)가 대략 설치면으로부터 대략 1m 내외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단에 구름수단(121)을 구비한 지지대(120)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지지대(120)는 대략 사각기둥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하단에는 롤러와 같은 구름수단(121)을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를 설치면에서 밀어서 손쉽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는 포집판(131)과 블로우 팬(132)을 포함하는 후드(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1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에 세로바(133)를 통해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할 것이며,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진 포집판(131)을 통해 조리 시 발생하여 상승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포집된 오염공기는 블로우 팬(132)의 구동에 의해 미도시한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에는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담아 고객에게 서빙할 수 있도록 받침대(140)가 마련된다.
이 받침대(140)는 빈 용기(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210)의 피봇 시 조리용기(210) 내의 조리 완료된 음식물이 자중에 의해 빈 용기(1)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40)에는 상기 빈 용기(1)의 바닥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홈을 형성하여, 받침대(140) 상에서 빈 용기(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형 조리 장치의 초기 상태는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위쪽을 수직하게 향하는 상태(도 3의 C위치)일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용기(210) 내에는 식재료가 별도의 식재료 투입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담겨지게 된다.
이후, 조리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국이나 스프와 같은 액상 음식물인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는 대략 수직에 가깝게 직립된 상태(도 3의 C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예를 들어, 육류나 채소류 등과 같은 고형의 음식물인 경우, 상기 조리용기(210)는 대략 20~30가량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태(도 3의 D위치)로 피봇될 것이다.
이러한 제어는 저장장치(640)에 저장되어 있던 레시피 중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제어부(600)가 피봇모터(500)를 구동시켜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제어될 것이다.
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가열부재(400)인 인덕션에 전원이 공급되어 레시피에 해당하는 적절한 온도로 조리용기(210)가 비접촉식으로 가열된다.
이와 더불어, 회전모터(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레시피에 해당하는 적절한 속도로 조리용기(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10) 내에서는 날개(211)의 회전에 의해 식재료가 고르게 교반되어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후드(130)의 블로우 팬(132)이 구동함으로써, 조리 시 발생하여 상승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판(131)이 포집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게 된다.
레시피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 동안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가열부재(400) 및 회전모터(220)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조리를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피봇모터(500)를 구동시켜 피봇 샤프트(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하게 되면(도 3의 E위치), 조리용기(210) 내의 음식물은 자중에 의해 받침대(140) 상에 올려 놓인 빈 용기(1)로 옮겨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빈 용기(1)에 담긴 음식물을 고객에게 서빙하게 되며, 이후 제어부(600)는 피봇모터(500)를 다시 구동시켜 조리용기(210)의 입구가 수직하게 아래쪽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도 3의 F위치).
여기에서, 상기 세척통(110) 내에 마련된 노즐(111)에서는 우선 세제가 포함된 세척수를 분사하고, 이후, 헹굼을 위한 세정수를 분사하여 조리용기(210)에 대한 세척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즐(111)은 상기 조리용기(210)의 내부를 경사지게 향하게 되며, 세척 시 상기 조리용기(2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조리용기(210)의 내부가 고르게 세척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조리용기(210)의 세척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회전모터(2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리용기(210) 내의 물기를 제거하게 되며, 상기 조리용기(21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 조리용기(210) 내부의 모든 물기가 원심력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이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비산되는 물기는, 조리용기(210)의 입구 높이가 세척통(110)의 개구 높이 보다 낮기 때문에, 모두 세척통(110) 내부로 회수될 것이다.
이후, 상술한 수순을 반복하여 식재료의 투입으로부터 조리 및 설거지를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조리 장치는 자성재료를 용사시킨 비자성재료로 테이퍼지게 조리용기를 제작함으로써 조리용기의 경량화와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덕션으로 안전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고, 특히 세척 후 원심력으로 내부의 물기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빈 용기 100 : 몸체부
101 : 베어링 102 : 지지암
110 : 세척통 111 : 노즐
120 : 지지대 121 : 구름수단
130 : 후드 131 : 포집판
132 : 블로우 팬 140 : 받침대
200 : 회전모듈 210 : 조리용기
211 : 날개 212 : 보스
220 : 회전모터 221 : 하우징
222 : 구동축 230 : 체결핀
231 : 머리 300 : 피봇 샤프트
310 : 편심축 400 : 가열부재
410 : 브래킷 411 : 체결수단
420 : 고정원판 421 : 트러스트베어링
422 : 체결수단 500 : 피봇모터
510 : 워엄 감속기 600 : 제어부
601 : 터치스크린 610 : 입력장치
611 : 촬상부재 612 : 온도검출부재
613 : 회전검출부재 620 : 출력장치
621 : 스피커 630 : 연산장치
640 : 저장장치
101 : 베어링 102 : 지지암
110 : 세척통 111 : 노즐
120 : 지지대 121 : 구름수단
130 : 후드 131 : 포집판
132 : 블로우 팬 140 : 받침대
200 : 회전모듈 210 : 조리용기
211 : 날개 212 : 보스
220 : 회전모터 221 : 하우징
222 : 구동축 230 : 체결핀
231 : 머리 300 : 피봇 샤프트
310 : 편심축 400 : 가열부재
410 : 브래킷 411 : 체결수단
420 : 고정원판 421 : 트러스트베어링
422 : 체결수단 500 : 피봇모터
510 : 워엄 감속기 600 : 제어부
601 : 터치스크린 610 : 입력장치
611 : 촬상부재 612 : 온도검출부재
613 : 회전검출부재 620 : 출력장치
621 : 스피커 630 : 연산장치
640 : 저장장치
Claims (6)
- 몸체부와;
조리용기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조리용기를 자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샤프트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비접촉식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전원 공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피봇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모듈을 공전시키는 피봇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용기가 역상하여 위치할 때 상기 조리용기와 마주보도록 세척통이 형성되며, 상기 세척통의 내측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세척통의 상측 개구의 높이는 상기 조리용기가 역상하여 위치할 때 상기 조리용기의 입구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세척통의 상측 개구 직경은, 상기 조리용기의 입구 직경보다 크며,
상기 세척통은, 배수관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 그리고 연산장치를 포함하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저장장치는 다양한 음식에 대한 레시피로써, 조리온도, 조리시간, 및 상기 조리용기의 분당 회전수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와 작동시간, 상기 조리용기의 분당 회전수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조리시간이 변경될 경우, 이를 반복적으로 저장장치에 저장하면서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모터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력에 의해 입구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와, 상기 조리용기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비자성 재료로 제작되어 내부식성을 가지며, 자성 재료가 외표면에 용사(溶射)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인덕션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리용기의 테이퍼 각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되, 상기 피봇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하단에 구름수단을 구비한 지지대와, 상측에 후드와, 상기 조리용기로부터 조리된 음식물을 옮겨 담기 위하여 빈 용기를 거치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조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080A KR102320243B1 (ko) | 2019-12-11 | 2019-12-11 | 회전형 조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080A KR102320243B1 (ko) | 2019-12-11 | 2019-12-11 | 회전형 조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4075A KR20210074075A (ko) | 2021-06-21 |
KR102320243B1 true KR102320243B1 (ko) | 2021-11-05 |
Family
ID=7659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5080A KR102320243B1 (ko) | 2019-12-11 | 2019-12-11 | 회전형 조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02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1197B1 (ko) * | 2022-03-18 | 2022-08-1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성에프앤비 | 왕복 회전식 음식물 조리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7519A (ja) * | 2003-03-10 | 2004-09-30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
KR200366218Y1 (ko) * | 2004-08-12 | 2004-11-03 | 유호성 | 전자 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
WO2019086028A1 (zh) * | 2017-11-03 | 2019-05-09 |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 一种下料烹饪加热系统及全封闭式烹饪炒菜机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7163A (ja) * | 1991-08-30 | 1993-03-09 | Maikuronikusu Kk | 偏心回転混合・洗浄装置 |
-
2019
- 2019-12-11 KR KR1020190165080A patent/KR102320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7519A (ja) * | 2003-03-10 | 2004-09-30 |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 回転式電磁誘導加熱装置 |
KR200366218Y1 (ko) * | 2004-08-12 | 2004-11-03 | 유호성 | 전자 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
WO2019086028A1 (zh) * | 2017-11-03 | 2019-05-09 |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 一种下料烹饪加热系统及全封闭式烹饪炒菜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4075A (ko) | 2021-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5345B1 (ko) | 회전형 조리 장치 | |
CN100443027C (zh) | 自动烹制菜肴的设备及自动烹制方法 | |
CN207821643U (zh) | 一种家用自动化中餐机 | |
KR200466194Y1 (ko) | 다편축 교반 조리 장치 | |
CN204427795U (zh) | 一种卧式滚筒烤箱 | |
JP2018057912A (ja) | ドラム式調理器 | |
CN206350657U (zh) | 炒菜机 | |
KR102320243B1 (ko) | 회전형 조리 장치 | |
CN111387796A (zh) | 自动炒菜机 | |
JP2006081587A (ja) | ポップコーン製造装置 | |
KR102369786B1 (ko) | 회전형 조리 장치 | |
CN206499324U (zh) | 炒菜机 | |
CN112369897B (zh) | 一种自动炒制设备及其使用方法 | |
JP2004188030A (ja) | 無洗米用炊飯装置 | |
CN212280983U (zh) | 自动炒菜机 | |
KR20120020605A (ko) | 튀김 겸용 면삶는 장치 | |
CN206350658U (zh) | 炒菜机和用于炒菜机的配料盒 | |
CN212326143U (zh) | 一种食品处理设备 | |
WO2013106954A1 (zh) | 自动炒食机 | |
KR102369788B1 (ko) | 회전형 조리 장치 | |
WO2022023653A1 (fr) | Système automatique de préparation alimentaire | |
CN113180452A (zh) | 一种全自动炒菜机及其炒菜方法 | |
JP3380739B2 (ja) | 麺類等の茹で装置 | |
KR101945290B1 (ko) | 회전식 조리 장치 | |
CN112450717A (zh) | 一种烹饪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