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326B1 - 아우터링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아우터링 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9326B1 KR102369326B1 KR1020210123226A KR20210123226A KR102369326B1 KR 102369326 B1 KR102369326 B1 KR 102369326B1 KR 1020210123226 A KR1020210123226 A KR 1020210123226A KR 20210123226 A KR20210123226 A KR 20210123226A KR 102369326 B1 KR102369326 B1 KR 102369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ring
- sliding
- sliding member
- moving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는 아우터링이 놓여지고 제1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1 슬라이딩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2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슬라이딩부, 제1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의 일 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과, 제2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의 타 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을 갖는 지지블록, 및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대시키도록, 제1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2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링에 포함된 아우터링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전도 감지 장치는 심장 질환의 임상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고, 심근 경색, 폐색전증 등의 증상을 진단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을 앓고 있거나 심장 질환이 의심되는 사람은 갑작스러운 심장 이상 증상을 감지하거나 조기에 경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심전도 감지 장치는 전극을 신체에 부착하여 심장이 박동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다. 그런 종래에 알려진 심전도 감지 장치는 전극 등의 장치가 눈에 띄는 크기로 너무 큰 거나 착용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한편으로, 종래에는 혈압 등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웨어러블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웨어러블은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이고 이러한 웨어러블은 착용하고 있는 신체를 제외한 다른 신체에 접촉하도록 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심전도 데이터에 대한 신로도가 낮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심전도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스마트링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링은 이너링(Inner ring), 배터리어세이(Battery assy), 탑커버(Top cover), 및 아우터링(Outer ring)을 포함한다. 스마트링의 조립은, 이너링의 외측에 배터리어세이가 결합되고, 탑커버 및 아우터링에 배터리어세이가 결합된 이너링이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너링, 배터리어세이, 탑커버, 및 아우터링이 서로 결합되면, 스마트링은 사용자에게 착용 가능한 반지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링에 있어서, 아우터링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은 경우, 아우터링에 배터리어세이가 결합된 이너링을 삽입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아우터링 및 이너링의 사이에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공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우터링 및 이너링의 사이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는 아우터링이 놓여지고 제1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1 슬라이딩부재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2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슬라이딩부, 제1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의 일 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과, 제2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의 타 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을 갖는 지지블록, 및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증대시키도록, 제1 축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2 슬라이딩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는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아우터링 및 이너링 간의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에 의한 슬라이딩부의 작동 상태를 도 5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이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돌기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1 지지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스토퍼가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에 의한 슬라이딩부의 작동 상태를 도 5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이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돌기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1 지지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스토퍼가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에 대한 설명에 앞서, 아우터링이 포함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에 대해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은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광전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phy)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은 실시간으로 혈압을 감사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로써 고혈압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은 이너링(110, Inner ring), 배터리어세이(120, Battery assy), 탑커버(130, Top cover), 및 아우터링(140, Outer ring)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의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너링(110)은 배터리어세이(120), 탑커버(130), 및 아우터링(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너링(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이너링(110)은 도체(Conductor)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링(110)은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110)은 이너링본체(111), 이너링돌출부재(112), 및 어세이삽입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링본체(111)는 이너링(110)의 본체로 기능한다. 이너링본체(111)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돌출부재(112)는 이너링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너링돌출부재(112)는 어세이삽입홈(113)을 사이에 두고 이너링본체(111)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너링돌출부재(112)는 이너링본체(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세이삽입홈(113)에는 배터리어세이(120)가 삽입된다. 배터리어세이(120)는 어세이삽입홈(113)에 삽입되어서 이너링돌출부재(11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배터리어세이(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배터리어세이(120)는 어세이삽입홈(113)에 삽입되어서 이너링(110)의 외측에 감겨질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는 구부러질 수 있도록 가요성(Flexibility)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어세이(120)는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는 배터리(121), 기판(122), 및 코일(1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이 동작하는 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이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 내에 포함된 하드웨어 요소들, 예컨대 기판(122), 및 이너링(110)과 아우터링(140) 등의 동작의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배터리(121)는 기판(122)에 포함된 제어부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이너링(110)과 아우터링(140)에 전류가 흐르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1)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기판(122)은 생체신호를 측정, 수집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너링(110)에 삽입되어 이너링(110)에 접촉되면, 생체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가 이너링(110)의 외측에 배치되면, 제어부는 이너링본체(111)에 형성된 투과창(114)에 위치할 수 있다. 투과창(114)은 투과성 (permeability) 있는 유리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기판(122)은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2)은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 탑, 데스크톱,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기기일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심장이 뛰는 동안에 미세한 전류가 생성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미세한 전류의 세기가 변하는데, 그러한 전류의 세기 등은 이너링(110)을 통하여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는 입력된 전류의 변화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전류의 변화는 시간 흐름에 대한 심전도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고, 심전도 그래프의 특성을 분석하여 심장의 건강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심전도 그래프는 P파(P wave), QRS파(QRS군, QRS complex), T파(T wave), 및 U파(U wave)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혈압 센서는 손가락의 혈관을 따라 전달되는 혈압 및 맥박 등의 생체신호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은, 심전도, 혈압, 맥박 등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평소에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수집된 자료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지정된 의료 서비스에 연결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의료 기관에서는 통신 단말기 또는 의료 서비스로 수신된 사용자 생체신호의 자료를 살펴보고 사용자의 신체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계속하여 생체신호를 수집 저장할 수 있어 편리하고, 의사는 좀 더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진단할 수 있으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코일(123)은 도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가 이너링(110)의 감져지면, 코일(123)은 배터리(121)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배터리어세이(120)의 길이는 이너링본체(111)의 외주면의 길이(둘레의 길이)에 비해 더 길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어세이(120)가 이너링(110)의 감져지면, 코일(123)은 배터리(121)의 상측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탑커버(130)는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배터리어세이(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탑커버(130)는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배터리어세이(120)의 외측에서, 아우터링(140)에 결합될 수 있다. 탑커버(130)에는 이너링(110)의 일부 및 배터리어세이(1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30)는 전체적으로 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커버(130)는 도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아우터링(140)은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아우터링(140)은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의 외측에서, 탑커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링(140) 및 탑커버(130)는 서로 결합하면, 폐쇄된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아우터링(140)은 전체적으로 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링(140)의 호의 길이는, 탑커버(130)의 호의 길이의 2배 일 수 있다. 아우터링(140)은 도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링(140)은 아우터링본체(141), 아우터링돌출부재(142), 및 내측삽입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링본체(141)는 아우터링(140)의 본체로 기능한다. 아우터링본체(141)의 내측에는 이너링(110), 배터리어세이(12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링돌출부재(142)는 아우터링본체(14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아우터링돌출부재(142)는 아우터링본체(141)의 내주면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아우터링돌출부재(142a), 및 아우터링본체(141)의 내주면의 타 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 아우터링돌출부재(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우터링돌출부재(142a) 및 제2 아우터링돌출부재(142b)는 내측삽입홈(143)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링돌출부재(142)는 아우터링본체(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삽입홈(143)에는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이 삽입된다. 이너링(110) 및 배터리어세이(120)는 내측삽입홈(143)에 삽입되어서 아우터링돌출부재(14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링(100)의 조립 방법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너링(110)을 준비한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어세이(120)를 이너링(110)에 결합한다. 이러한 단계는 배터리어세이(120)를 어세이삽입홈(113)에 삽입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가 어세이삽입홈(113)에 삽입되면, 배터리어세이(120)는 이너링본체(111)에 감겨질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가 이너링본체(111)에 감겨지면, 배터리어세이(120)는 이너링(110)의 외측으로부터 더 돌출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링(140)을 이너링(110)에 결합한다. 이러한 단계는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을 내측삽입홈(143)에 삽입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이 내측삽입홈(143)에 삽입되면, 아우터링(140)은 이너링(110) 및 배터리어세이(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커버(130)를 아우터링(140)에 결합한다. 이러한 단계는 탑커버(130)의 일 단과 타 단을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에 결합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탑커버(130)가 아우터링(140)에 결합되면, 탑커버(130) 및 아우터링(140)은 폐쇄된 고리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탑커버(130)가 아우터링(140)에 결합되면, 탑커버(130)는 이너링(110) 및 배터리어세이(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우터링(140)을 이너링(110)에 결합하는 단계는 탑커버(130)를 이너링(110)에 결합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탑커버(130)를 이너링(110)에 먼저 결합한 후, 아우터링(140)을 탑커버(13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우터링(140)을 이너링(110)에 결합하는 단계 및 탑커버(130)를 아우터링(140)에 결합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슬라이딩부(2), 지지블록(3), 이동부(4), 및 가이드부(5)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의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 도 9에 도시됨)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아우터링(140)이 놓여지고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갖는 슬라이딩부(2),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31)과, 제2 슬라이딩부재(22)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32)을 갖는 지지블록(3), 및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증대시키도록,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의 사이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배터리어세이(120)가 결합된 이너링(110)을 아우터링(140)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게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아우터링(140) 및 이너링(110) 간의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부(2), 지지블록(3), 및 이동부(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에 의한 슬라이딩부의 작동 상태를 도 5의 I-I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슬라이딩부(2)는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딩부(2)의 상면에는 아우터링(140)이 놓여질 수 있다.
슬라이딩부(2)는 제1 슬라이딩부재(21) 및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제1 축방향(X축 방향)은 제1 이동부재(41) 및 제2 이동부재(42)가 서로 이격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제1 축방향(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제2 슬라이딩부재(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제1 슬라이딩부재(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은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의 하부 구성의 이동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슬라이딩부재(21)의 상면에는 아우터링(140)의 적어도 일부가 놓여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슬라이딩면(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면(21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거리(140L)가 조절된 아우터링(140)은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함(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슬라이딩홈(211), 및 제1 접촉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211)은 후술할 제1 이동부재(41)가 삽입되도록 제1 슬라이딩본체(210)에 마련된다. 제1 슬라이딩홈(211)은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면(212)은 제1 슬라이딩홈(211)을 향하는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일 내면일 수 있다. 제1 접촉면(212)에는 후술할 제1 이동부재(41)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접촉면(212)은 제2 축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촉면(212)은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접촉면(212) 및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상면이 연결된 부분(21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부재(41)는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제1 접촉면(21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가이드공(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213)은 후술할 제1 가이드부재(51)가 삽입되도록 제1 슬라이딩본체(210)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공(213)은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공(213)은 제1 슬라이딩홈(2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슬라이딩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공(213)은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22)의 상면에는 아우터링(140)의 적어도 일부가 놓여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2 슬라이딩면(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면(2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격거리(140L)가 조절된 아우터링(140)은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함(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2 슬라이딩홈(221), 및 제2 접촉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홈(221)은 후술할 제2 이동부재(42)가 삽입되도록 제2 슬라이딩본체(220)에 마련된다. 제2 슬라이딩홈(221)은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된다.
제2 접촉면(222)은 제2 슬라이딩홈(221)을 향하는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일 내면일 수 있다. 제2 접촉면(222)에는 후술할 제2 이동부재(42)가 접촉될 수 있다. 제2 접촉면(222)은 제2 축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촉면(222)은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촉면(222) 및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상면이 연결된 부분(222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동부재(42)는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제2 접촉면(22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2 가이드공(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223)은 후술할 제2 가이드부재(52)가 삽입되도록 제2 슬라이딩본체(220)에 형성된다. 제2 가이드공(223)은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공(223)은 제2 슬라이딩홈(22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슬라이딩본체(22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공(223)은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럭이 아우터링의 일 단과 아우터링의 타 단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해칭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구성의 구분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블록(3)은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의 사이에 삽입되어 아우터링(140)의 이격거리(140L)를 증대시키기 위해 슬라이딩부(2)에 마련된다. 지지블록(3)은 슬라이딩부(2)와 함께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지블록(3)은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지지블록(3)은 제1 지지블록(31), 및 제2 지지블록(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블록(31)은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함께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블록(31)은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에 접촉되어서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하고,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함께 이동하면서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블록(31)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지지블록(31)은 제1 지지부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1)는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하도록 제1 지지본체(310)로부터 돌출된다. 제1 지지부재(311)는 제1 지지본체(310)로부터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은 제1 지지블록(31)의 제1 지지면(311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지지면(311a)은 제1 지지부재(31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제1 돌기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와 제1 지지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해칭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구성의 구분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제1 지지블록(31)은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슬라이딩부재(21) 및 제1 지지블록(31)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돌기(214) 및 제1 가이드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214)는 제1 슬라이딩본체(210)로부터 제1 지지블록(31)을 향해 돌출된다. 제1 돌기(214)는 복수 개가 제1 슬라이딩본체(2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214)는 제1 슬라이딩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돌기(214)는 자력(Magnetic force)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블록(31)이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결합되면, 제1 지지블록(31) 및 제1 슬라이딩부재(21)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15)은 제1 지지블록(31)이 삽입되도록 제1 슬라이딩본체(210)에 마련된다. 제1 지지블록(31)은 제1 가이드홈(215)에 삽입되어서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제1 슬라이딩본체(2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15)은 제1 슬라이딩홈(211) 및 제1 가이드공(21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슬라이딩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제1 지지블록(31)은 제1 삽입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312)에는 제1 돌기(214)가 삽입된다. 제1 돌기(214)가 제1 삽입부(312)에 삽입되면,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대한 제1 지지블록(31)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제1 슬라이딩부재(21) 및 제1 지지블록(31)의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 지지블록(32)은 제2 슬라이딩부재(22)와 함께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블록(32)은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에 접촉되어서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하고, 제2 슬라이딩부재(22)와 함께 이동하면서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블록(31)이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지지블록(32)이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우터링(140)의 이격거리(140L)는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블록(32)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2 슬라이딩부재(22)와 함께 이동하고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할 수 있는 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지지블록(32)은 제1 지지블록(31)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지지블록(32)은 제2 지지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1)는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하도록 제2 지지본체(320)로부터 돌출된다. 제2 지지부재(321)는 제2 지지본체(320)로부터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1) 및 제1 지지부재(311)는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딩부(2)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은 제2 지지블록(32)의 제2 지지면(321a)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지지면(321a)은 제2 지지부재(3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블록(32)은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슬라이딩부재(22) 및 제2 지지블록(32)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2 돌기 및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는 제2 슬라이딩본체(220)로부터 제2 지지블록(32)을 향해 돌출된다. 제2 돌기는 복수 개가 제2 슬라이딩본체(2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기는 제2 슬라이딩본체(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돌기는 자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블록(32)이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결합되면, 제2 지지블록(32) 및 제2 슬라이딩부재(22)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은 제2 지지블록(32)이 삽입되도록 제2 슬라이딩본체(220)에 마련된다. 제2 지지블록(32)은 제2 가이드홈에 삽입되어서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제2 슬라이딩본체(220)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은 제2 슬라이딩홈(221) 및 제2 가이드공(223)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슬라이딩본체(2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홈을 가공하는 작업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지지블록(32)은 제2 삽입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부(322)에는 제2 돌기가 삽입된다. 제2 돌기가 제2 삽입부(322)에 삽입되면,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대한 제2 지지블록(32)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제2 슬라이딩부재(22) 및 제2 지지블록(32)의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블록(3)이 슬라이딩부(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지지블록(3)들이 슬라이딩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재(311)와 제2 지지부재(321)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이격거리(140L)가 서로 상이한 아우터링(140)을 지지블록(3)을 통해 가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아우터링(140)을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부(4)는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부(4)가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1 지지블록(31)과 제2 지지블록(3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이동부(4)는 제1 이동부재(41) 및 제2 이동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41)는 제1 슬라이딩홈(211)에 삽입된다. 제1 이동부재(41)는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접촉면(212)에 접촉되어서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동부재(41)는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접촉면(212)에 접촉되어서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제2 축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면서 이동부(4)에서 슬라이딩부(2)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이동부재(41)는 제1 돌출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411)는 제1 접촉면(212)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돌출부재(411)가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재(411)가 제1 접촉면(212)에 맞닿아 제1 접촉면(212)을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돌출부재(411)는 제1 이동본체(410)로부터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411)는 제1 이동본체(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재(411)는 제1 접촉면(212)을 향하는 면(411a)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재(411)가 제1 접촉면(212)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재(411)는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부재(42)는 제2 슬라이딩홈(221)에 삽입된다. 제2 이동부재(42)는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접촉면(222)에 접촉되어서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동부재(42)는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접촉면(222)에 접촉되어서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부재(42)는 제1 이동부재(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이동부재(42)는 제2 돌출부재(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421)는 제2 접촉면(222)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2 돌출부재(421)가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돌출부재(421)가 제2 접촉면(222)에 맞닿아 제2 접촉면(222)을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서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돌출부재(421)는 제2 이동본체(420)로부터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421)는 제2 이동본체(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돌출부재(421)는 제2 접촉면(222)을 향하는 면(421a)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재(421)가 제2 접촉면(222)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제2 돌출부재(421)는 곡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부(5)는 슬라이딩부(2)가 제1 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부(5)는 제1 가이드부재(51) 및 제2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51)는 제1 가이드공(213)에 삽입되어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예컨대, 제1 이동부재(41)가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부재(51)는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안정적으로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51)는 일 단이 제1 가이드공(213)에 삽입되고, 타 단이 제1 지지판(5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판(5a)은 후술할 본체부(2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5)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제1 가이드부재(51)와 동일한 개수의 제1 가이드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재(51)는 서로 이격되어서 제1 지지판(5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재(52)는 제2 가이드공(223)에 삽입되어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예컨대, 제2 이동부재(42)가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 가이드부재(52)는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안정적으로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재(52)는 일 단이 제2 가이드공(223)에 삽입되고, 타 단이 제2 지지판(5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판(5b)은 후술할 본체부(20)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5)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슬라이딩부재(22)는 제2 가이드부재(52)와 동일한 개수의 제2 가이드공(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재(52)는 서로 이격되어서 제2 지지판(5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탄성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6)는 슬라이딩부(2)가 초기위치(IP)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슬라이딩부(2)에 제공한다. 즉,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이동부재(41) 및 제2 이동부재(42)가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6)는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초기위치(IP)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초기위치(IP)는 슬라이딩부(2)에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의 슬라이딩부(2)의 위치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탄성부(6)가 가이드부(5)에 결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탄성부(6)가 슬라이딩부(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른 변형이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6)는 제1 탄성부재(61) 및 제2 탄성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제1 가이드부재(51)에 결합되어서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이동부재(41)가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탄성부재(61)는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재(51)는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안정적으로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제1 가이드부재(51)에 감김 설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61)는 일 단이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지지되고, 타 단이 제1 지지판(5a)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는 제2 가이드부재(52)에 결합되어서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제2 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 이동부재(42)가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탄성부재(62)는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가이드부재(52)는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안정적으로 제1 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는 제2 가이드부재(52)에 감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62)는 일 단이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지지되고, 타 단이 제2 지지판(5b)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스토퍼가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해칭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구성의 구분을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스토퍼(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7)는 이동부(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7)는 이동부(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딩부(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7)는 이동부(4)가 제2 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슬라이딩부(2)가 기설정된 거리 만큼 이동하도록 슬라이딩부(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토퍼(7)가 이동부(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연결부(10), 본체부(20), 고정부(30)를 포함한다.
연결부(10)는 이동부(4)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동부(4)에 연결됨과 아울러 스토퍼(7)에 연결된다. 이동부(4)가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10)와 스토퍼(7)는 함께 이동한다.
연결부(10)는 제1 이동부재(41)와 제2 이동부재(42)가 연결된 제1 연결부재(11), 스토퍼(7)가 연결된 제2 연결부재(12), 및 제1 연결부재(11)와 제2 연결부재(12)가 연결된 제3 연결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슬라이딩부(2)를 지지한다. 본체부(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본체부(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일 예로서, 제3 연결부재(13)는 고정부(3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7)는 이동부(4)와 함께 제2 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고정부(30)에 접촉되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7)는 이동부(4)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7)는 이동부(4)와 함께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의 상면(30a)에 접촉 되면, 더 이상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7)는 이동부(4)가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7)는 고정부(30)로부터 이격된 거리(ML)가 변경되도록 연결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7)와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가 변경되면, 이동부(4)의 이동 가능한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이동부(4)의 이동 범위가 변경되면, 제1 지지블록(31)과 제2 지지블록(32)의 이동 범위가 변경될 수 있고, 이는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의 조절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스토퍼(7)와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를 변경시키는 조작만으로,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토퍼(7)는 볼트로 구현되어 제2 연결부재(12)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7)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리(ML)가 증대되고, 스토퍼(7)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리(ML)가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토퍼(7)가 볼트로 구현된 경우, 너트(미도시)가 스토퍼(7)에 결합되어서 스토퍼(7)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토퍼(7)와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는 제1 슬라이딩홈(211) 및 제2 슬라이딩홈(221)의 깊이(DL)에 비해 더 작을 수 있다. 스토퍼(7)와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가 슬라이딩홈들(211, 221)의 깊이(DL)에 비해 큰 비교예는, 스토퍼(7)가 고정부(30)에 접촉되기 전에, 제1 이동부재(41)가 제1 접촉면(212)에 연결된 제1 내면(212b)에 접촉되고 제2 이동부재(42)가 제2 접촉면(222)에 연결된 제2 내면(222b)에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교예는 스토퍼(7)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고, 제1 이동부재(41) 및 제2 이동부재(42)가 제1 지지블록(31) 및 제2 지지블록(32)을 기설정된 범위만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제1 슬라이딩홈(211) 및 제2 슬라이딩홈(221)의 깊이(DL)가 스토퍼(7)와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에 비해 더 크므로, 스토퍼(7)의 기능을 보장하고 제1 이동부재(41) 및 제2 이동부재(42)가 제1 지지블록(31) 및 제2 지지블록(32)을 기설정된 범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 가공장치(1)는 조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이동부(4)를 제2 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조작부(40)는 회전축(40a)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40)는 연결부(10)를 통해 이동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4)는 제3 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4)는 제4 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링 110 : 이너링
120 : 배터리어세이 130 : 탑커버
140 : 아우터링 1 : 아우터링 가공장치
2 : 슬라이딩부 3 : 지지블록
4 : 이동부 5 : 가이드부
6 : 탄성부 7 : 스토퍼
21 : 제1 슬라이딩부재 211 : 제1 슬라이딩홈
212 : 제1 접촉면 213 : 제1 가이드공
214 : 제1 돌기 215 : 제1 가이드홈
22 : 제2 슬라이딩부재 221 : 제2 슬라이딩홈
222 : 제2 접촉면 223 : 제2 가이드공
224 : 제2 돌기 225 : 제2 가이드홈
31 : 제1 지지블록 311 : 제1 지지부재
312 : 제1 삽입부 32 : 제2 지지블록
321 : 제2 지지부재 322 : 제2 삽입부
41 : 제1 이동부재 42 : 제2 이동부재
51 : 제1 가이드부재 52 : 제2 가이드부재
61 : 제1 탄성부재 62 : 제2 탄성부재
10 : 연결부 20 : 본체부
30 : 고정부 40 : 조작부
120 : 배터리어세이 130 : 탑커버
140 : 아우터링 1 : 아우터링 가공장치
2 : 슬라이딩부 3 : 지지블록
4 : 이동부 5 : 가이드부
6 : 탄성부 7 : 스토퍼
21 : 제1 슬라이딩부재 211 : 제1 슬라이딩홈
212 : 제1 접촉면 213 : 제1 가이드공
214 : 제1 돌기 215 : 제1 가이드홈
22 : 제2 슬라이딩부재 221 : 제2 슬라이딩홈
222 : 제2 접촉면 223 : 제2 가이드공
224 : 제2 돌기 225 : 제2 가이드홈
31 : 제1 지지블록 311 : 제1 지지부재
312 : 제1 삽입부 32 : 제2 지지블록
321 : 제2 지지부재 322 : 제2 삽입부
41 : 제1 이동부재 42 : 제2 이동부재
51 : 제1 가이드부재 52 : 제2 가이드부재
61 : 제1 탄성부재 62 : 제2 탄성부재
10 : 연결부 20 : 본체부
30 : 고정부 40 : 조작부
Claims (15)
-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링(100)에 포함된 아우터링(140)을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140)이 놓여지고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갖는 슬라이딩부(2);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31)과,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32)을 갖는 지지블록(3); 및
상기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상기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 사이의 이격거리(140L)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제1 축방향(X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4)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포함된 제1 슬라이딩홈(211)에 삽입되는 제1 이동부재(41),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포함된 제2 슬라이딩홈(221)에 삽입되는 제2 이동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41)는 상기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홈(211)에 대향하는 제1 접촉면(212)에 접촉되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이동부재(42)는 상기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딩홈(221)에 대향하는 제2 접촉면(222)에 접촉되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블록(31)은 상기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를 향해 돌출된 제1 지지부재(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블록(32)은 상기 아우터링(140)의 타 단(140b)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를 향해 돌출된 제2 지지부재(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재(311) 및 상기 제2 지지부재(321)는 상기 아우터링(140)의 일 단(140a)과 타 단(14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 접촉면(212)을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재(4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재(42)는 상기 제2 접촉면(222)을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재(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재(411)는 상기 제1 접촉면(212)에 대항하는 면(411a)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421)는 상기 제2 접촉면(222)에 대향하는 면(421a)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포함된 제1 가이드공(2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재(51)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포함된 제2 가이드공(223)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재(52)를 갖는 가이드부(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가 초기위치(IP)로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포함된 제1 가이드공(2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재(51)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포함된 제2 가이드공(223)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재(52)를 갖는 가이드부(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6)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5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61),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재(52)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블록(31)은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상기 제1 지지블록(31)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블록(31)은 상기 제1 돌기(214)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312)가 상기 제1 돌기(214)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에 대한 상기 제1 지지블록(31)의 이동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4)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7)에 연결된 연결부(10);
상기 슬라이딩부(2)를 지지하는 본체부(20); 및
상기 본체부(2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7)는 상기 고정부(30)에 접촉되어서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4)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7)는 상기 고정부(30)로부터 이격된 거리(ML)가 변경되도록 상기 연결부(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4)의 이동 가능한 거리는, 상기 스토퍼(7)와 상기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21)는 상기 이동부(4)를 향한 일 면에 형성되고 깊이(DL)가 상기 스토퍼(7)와 상기 고정부(30) 사이의 거리(ML)에 비해 더 큰 제1 슬라이딩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링 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226A KR102369326B1 (ko) | 2021-09-15 | 2021-09-15 | 아우터링 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226A KR102369326B1 (ko) | 2021-09-15 | 2021-09-15 | 아우터링 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9326B1 true KR102369326B1 (ko) | 2022-03-03 |
Family
ID=8081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226A KR102369326B1 (ko) | 2021-09-15 | 2021-09-15 | 아우터링 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932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8054A (ja) * | 1996-09-12 | 1998-05-26 | Myotoku Kk | C形止め輪挿入機及びc形止め輪挿入工具 |
JPH11138362A (ja) * | 1997-11-10 | 1999-05-25 | Osaka Gas Co Ltd | C形リング部材着脱治具 |
KR101910368B1 (ko) * | 2018-07-25 | 2018-10-23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비정형 가공물의 다수 측면홀 동시 가공장치 |
KR20210111229A (ko) * | 2019-04-25 | 2021-09-10 |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 반지 형태의 생체신호 감지 장치 |
-
2021
- 2021-09-15 KR KR1020210123226A patent/KR1023693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8054A (ja) * | 1996-09-12 | 1998-05-26 | Myotoku Kk | C形止め輪挿入機及びc形止め輪挿入工具 |
JPH11138362A (ja) * | 1997-11-10 | 1999-05-25 | Osaka Gas Co Ltd | C形リング部材着脱治具 |
KR101910368B1 (ko) * | 2018-07-25 | 2018-10-23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비정형 가공물의 다수 측면홀 동시 가공장치 |
KR20210111229A (ko) * | 2019-04-25 | 2021-09-10 |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 반지 형태의 생체신호 감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417341B (zh) | 心电图测量设备 | |
KR102392038B1 (ko) | 반지 형태의 생체신호 감지 장치 | |
CN103997955B (zh) | 检测心电图中的心房纤颤的方法 | |
WO2016195413A1 (ko) |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해 구비된 복수의 전극을 터치 센서로 활용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 |
KR102335769B1 (ko) |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 |
CN207370703U (zh) | 生物信息检测装置和可穿戴设备 | |
CN112930138B (zh) | 一种监测用户生命体征的方法和装置 | |
CN111601548A (zh) | 对来自远程便携式传感器装置的心电图数据进行分析 | |
Szot et al. | A wireless digital stethoscope design | |
KR102369326B1 (ko) | 아우터링 가공장치 | |
US10667711B1 (en) | Contact-activated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ical sensor monitor recorder | |
JP2009082364A (ja) | 携帯型心電計 | |
JP4239836B2 (ja) | 生体情報測定装置 | |
KR20090041590A (ko) | 폴더 방식의 휴대용 심전도 측정 장치 | |
JP2018506338A (ja) | Ecg電極スナップコネクタ及び関連方法 | |
EP2861150B1 (en) |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of heart signals | |
KR102380252B1 (ko) | 아우터링 가공장치 | |
Utsha et al. | CardioHelp: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beat-by-beat ECG signal analysis for real-time cardiac disease detection using edge-computing AI classifiers | |
KR102341844B1 (ko) | 아우터링 가공장치 | |
KR102359361B1 (ko) | 배터리 가공장치 | |
KR102102871B1 (ko) | 팜 레스트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 |
KR20230007323A (ko) | 모바일 뇌전도 검사 시스템 및 방법들(mobile electroencephalogram system and methods) | |
GB2595171A (en) | Ring-shaped biometric signal sensing device | |
Masadeh et al. | Approximate computing for energy-efficient processing of biosignals in ehealth care systems | |
JP2022105043A (ja) | 心電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