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58B1 -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58B1
KR102369258B1 KR1020170087109A KR20170087109A KR102369258B1 KR 102369258 B1 KR102369258 B1 KR 102369258B1 KR 1020170087109 A KR1020170087109 A KR 1020170087109A KR 20170087109 A KR20170087109 A KR 20170087109A KR 102369258 B1 KR102369258 B1 KR 10236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flange
pipe
side portion
taper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625A (ko
Inventor
박기찬
서준호
김시형
배은석
김동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조인트 플랜지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와 접속대상물 사이에서 파이프와 접속대상물을 접속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있어서, 조인트 플랜지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구별하기 위한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인트 플랜지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매 파이프를 접속대상물, 예를 들어, 파이프, 팽창밸브, 증발기, 히터코어 등에 접속 연결하기 위한 각종 조인트류를 갖추고 있다.
조인트류의 일례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10)가 있다.
조인트 플랜지(10)는, 플랜지 몸체(12)를 구비한다. 플랜지 몸체(12)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체로서, 양쪽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상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관통하는 접속구멍(14)과 체결구멍(16)을 갖추고 있다.
접속구멍(14)은, 파이프(A)가 끼워져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파이프(A)가 일측부분(12a)으로부터 타측부분(12b)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접속구멍(14)은, 접속대상물(B)의 연결구멍(B-1)과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접속구멍(14)을 관통한 파이프(A)가 접속대상물(B)에 접속 연결되게 한다.
체결구멍(16)은, 체결너트(16a)가 관통하여 접속대상물(B)의 나사구멍(B-2)과 나사 체결되게 한다. 따라서, 플랜지 몸체(12)와 접속대상물(B)이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플랜지 몸체(12)의 접속구멍(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이 비대칭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측부분(12a)으로부터 타측부분(12b)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접속구멍(14)의 내주면이 일측부분(12a)으로부터 접속대상물(B)측의 타측부분(12b)을 향해 테이퍼(Taper)지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체결너트(16a)로 플랜지 몸체(12)와 접속대상물(B)을 체결할 시에, 테이퍼진 접속구멍(14)의 내주면이 파이프(A)의 외주면을 접속대상물(B)측으로 가압하여,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의 기밀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조인트 플랜지(10)는,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을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조립방향을 서로 바꿔서 오조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불량제품을 양산할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조인트 플랜지(10)는, 비대칭 구조의 접속구멍(14) 때문에 조립의 방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접속구멍(14)의 직경이 작은 일측부분(12a)이 파이프(A)측을 향하게 하고, 접속구멍(14)의 직경이 큰 타측부분(12b)이 접속대상물(B)측을 향하도록 조립해야 한다.
그러나, 외면 형상으로 볼 때는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형상이 서로 동일하므로, 양쪽을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조인트 플랜지(10)를 통해,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을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조립방향을 구분하지 못하고 양쪽을 서로 바꿔서 오조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 결과,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의 접속 불량이 발생되며, 이로써, 불량제품을 양산할 우려가 매우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인트 플랜지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 여부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는, 파이프와 접속대상물 사이에서 상기 파이프와 접속대상물을 접속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구별하기 위한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금형 제조 공정 상,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 사이의 외면둘레부분에 형성되는 엣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엣지부는, 상기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의 모서리가 테이퍼짐에 따라 상기 일측부분과 타측부분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엣지부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측 테이퍼부와, 타측부분측 테이퍼부가,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측 테이퍼부와, 타측부분측 테이퍼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의하면,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 형상을 각각 다르게 구성하므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로 파이프와 접속대상물을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의 조립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의 조립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의 조립방향을 바꿔서 오조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의 조립방향을 바꿔서 오조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의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제품의 양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가 파이프와 접속대상물을 접속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가 파이프와 접속대상물을 접속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를 금형으로 제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조인트 플랜지(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체로서, 플랜지 몸체(12)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 몸체(12)는, 양쪽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및, 상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관통하는 접속구멍(14)과 체결구멍(16)을 갖추고 있다.
접속구멍(14)은, 파이프(A)가 끼워져 관통하여, 접속대상물(B)의 연결구멍(B-1)과 연결 접속되게 한다.
체결구멍(16)은, 체결너트(16a)가 관통하여 접속대상물(B)의 나사구멍(B-2)과 나사 체결되게 한다. 따라서, 플랜지 몸체(12)와 접속대상물(B)이 체결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플랜지 몸체(12)의 접속구멍(14)은, 일측부분(12a)으로부터 타측부분(12b)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접속구멍(14)의 내주면이 일측부분(12a)으로부터 타측부분(12b)을 향해 테이퍼(Taper)지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인트 플랜지(10)는,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하기 위한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20)를 포함한다.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2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으로 구성된다.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은, 두께부분의 외면둘레 형상이 비대칭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두께부분 외면 중, 일측부분(12a)측 외면둘레 모서리와, 타측부분(12b)측 외면둘레 모서리에 테이퍼부(12a-1, 12b-1)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들 테이퍼부(12a-1, 12b-1)가 비대칭 구조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테이퍼부(12a-1, 12b-1)들의 테이퍼각도 또는 길이(ℓ1, ℓ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이 구별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 테이퍼부(12a-1, 12b-1)들의 테이퍼각도와 길이(ℓ1, ℓ2)가 모두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에 테이퍼부(12a-1, 12b-1)가 형성됨에 따라, 이들 테이퍼부(12a-1, 12b-1)들 사이의 경계부에는 엣지부(12c)가 형성되는데, 이 엣지부(12c)는,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t1, t2)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편심된 조인트 플랜지(10)의 엣지부(12c)를 통해,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엣지부(12c)가,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t1, t2)될 경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는,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엣지부(12c)가,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t1, t2)될 경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가,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편심된 엣지부(12c)와,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진 테이퍼부(12a-1, 12b-1)들을 통해,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은 구별하기 더욱 쉬워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부(12c)가,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 중앙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는,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지도록 구성된다.
그래야만,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진 테이퍼부(12a-1, 12b-1)들을 통해,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의 조인트 플랜지(10)는,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이 비대칭구조로 구성되므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특히, 일측부분(12a)의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의 테이퍼부(12b-1)가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지고, 그 길이(ℓ1, ℓ2)도 서로 다르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사이의 엣지부(12c)가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므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플랜지(10)로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또 다른 조인트 플랜지)을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로써,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바꿔서 오조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인트 플랜지(10)의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제품 양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비대칭 구조의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및 엣지부(12c)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플랜지(10)를 금형으로 주물 또는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30, 32)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 및 엣지부(12c)에 대응되는 상,하 금형(30, 32)의 파팅면(30a, 32a)에 각각 빼기 구배(勾配)를 줌으로써,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 및 엣지부(12c)가 비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금형의 파팅면(30a, 32a) 구배만으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 및 엣지부(12c)를 비대칭 구조로 만듬으로써,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비대칭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방법과 저비용으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조인트 플랜지(10)를 이용한 접속 조립 시에, 조인트 플랜지(10)의 오조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제의 조인트 플랜지(10)의 조립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조립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경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과 엣지부(12c)가 비대칭 구조인 조인트 플랜지(10)는, 작업자의 촉감만으로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과 엣지부(12c)의 비대칭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접속 조립 작업 중, 조인트 플랜지(10)의 조립방향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고, 그 결과, 조인트 플랜지(10)의 오조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상,하 주물금형(30, 32)의 파팅면(30a, 32a)에 빼기 구배를 줌으로써, 조인트 플랜지(10)의 용융물이 완전히 굳은 후, 굳어진 조인트 플랜지(10)로부터 상,하 주물금형(30, 32)의 분리할 시에, 상,하 주물금형(30, 32)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인트 플랜지(10)에 의하면,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형상을 각각 다르게 구성하므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보다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10)로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을 접속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바꿔서 오조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조립방향을 바꿔서 오조립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플랜지(10)의 오조립으로 인한 불량제품의 양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조인트 플랜지(Joint Flange) 12: 플랜지 몸체
12a: 일측부분 12a-1: 일측부분측 테이퍼부
12b: 타측부분 12b-1: 타측부분측 테이퍼부
12c: 엣지부 14: 접속구멍
16: 체결구멍 20: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
30, 32: 상,하 금형 30a, 32a: 파팅면
A: 파이프(Pipe) B: 접속대상물
t: 두께방향 ℓ1, ℓ2: 테이퍼부 길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 사이에서 상기 파이프(A)와 접속대상물(B)을 접속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조립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하기 위한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부분 구별부(20)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금형 제조 공정 상,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사이의 외면둘레부분에 형성되는 엣지부(12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엣지부(12c)는, 상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의 모서리가 테이퍼짐에 따라 상기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엣지부(12c)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편심(t1, t2)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가, 동일한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가,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엣지부(12c)는,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두께방향(t)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측 테이퍼부(12a-1)와, 타측부분(12b)측 테이퍼부(12b-1)는, 서로 다른 각도로 테이퍼져서, 상기 조인트 플랜지(10)의 일측부분(12a)과 타측부분(12b)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대상물(B)은, 조인트 플랜지(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11.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인트 플랜지(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70087109A 2017-07-10 2017-07-10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KR10236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9A KR102369258B1 (ko) 2017-07-10 2017-07-10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09A KR102369258B1 (ko) 2017-07-10 2017-07-10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25A KR20190006625A (ko) 2019-01-21
KR102369258B1 true KR102369258B1 (ko) 2022-03-03

Family

ID=6527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09A KR102369258B1 (ko) 2017-07-10 2017-07-10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45B1 (ko) * 2020-05-27 2021-01-07 솔리드(주) 유체 이송배관 연결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열교환기
CN112710061B (zh) * 2020-12-08 2022-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身份的空调控制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583A (ja) 2003-09-16 2005-04-07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継手、締結フランジ、及び、締結フランジの製造方法
KR101742630B1 (ko) 2011-01-31 2017-06-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조인트 플랜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708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곡면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 플랜지
KR101446109B1 (ko) * 2008-01-07 2014-10-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배관 플렌지 연결구조
KR101748200B1 (ko) * 2010-12-10 2017-06-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KR101358314B1 (ko) * 2011-12-20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및 배관 라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583A (ja) 2003-09-16 2005-04-07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継手、締結フランジ、及び、締結フランジの製造方法
KR101742630B1 (ko) 2011-01-31 2017-06-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조인트 플랜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25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258B1 (ko) 파이프용 조인트 플랜지
US7837584B2 (en) Chain
US3518742A (en) Cavity wall valve ball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US7918439B2 (en) Silentblock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BR102016012187A2 (pt) fixadores de forro de plástico
US9375868B2 (en) Connector member
US7780062B2 (en) Solid state joining method for continuous structures
JP4794004B2 (ja) 防振ブッシュ
US8847716B2 (en) Integrated interlock feature for overmolded coil and bobbin
US20220282811A1 (en) Pivot clip
CN109070398B (zh) 筛网过滤器
US9745925B2 (en) Angled fasteners
US5054818A (en) Joining and connecting block between flexible elastomer material ducts
BR112019007193A2 (pt) método de fabricação de componente de junta
JP2000346003A (ja) 油圧コントロールバルブユニット
JP6373180B2 (ja) スペーサ
IT8967988A1 (it) Elemento di fissaggio e metodo per la sua produzione
US3603560A (en) Improved cavity wall valve balls
CN101523092A (zh) 密封装置
CN104439364A (zh) 用于直列四缸发动机的曲轴组件及其成型方法
JP4179899B2 (ja) 面間調節機能付きバタフライ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7548B1 (ko) 밸브 커넥터 및 그 제조공정
JP6493430B2 (ja) バルブボディ構造
JP4232123B2 (ja) ダイヤフラム弁
US4111396A (en) Fabricated gate valv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