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293B1 -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293B1
KR102368293B1 KR1020210078802A KR20210078802A KR102368293B1 KR 102368293 B1 KR102368293 B1 KR 102368293B1 KR 1020210078802 A KR1020210078802 A KR 1020210078802A KR 20210078802 A KR20210078802 A KR 20210078802A KR 102368293 B1 KR102368293 B1 KR 10236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insertion groove
push piece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플랜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플랜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플랜가구
Priority to KR102021007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푸시편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편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푸시편의 경사면에 대면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는 연결용 조인트와 파이프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Connecting Joint Device and Pipe Structur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을 확실하게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구조물, 예를 들어 가구를 조립함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와 파이프를 일렬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거나 또는 방향을 달리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조인트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조인트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시 파이프의 내부에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파이프안에서의 결합력이 충분하지 못하면 조인트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는 파이프의 내부에서 확실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시 보다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푸시편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편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푸시편의 경사면에 대면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는 연결용 조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가 삽입되어 결착되는 파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푸시편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조인트를 상기 파이프에 결합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면서 삽입되는 파이프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결합 부재를 서로에 대해 밀착되게 함으로써 파이프내에서 벌어지게 하여 결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인트는 2개의 결합 부재에 형성된 푸시편과 삽입홈을 서로 반대편에 마련되게 하고, 체결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통해 파이프내에서 가압하여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파이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결합 부재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돌출되게 형성하며, 조인트를 파이프내에 삽입시 가이드홈에 가이드 돌기를 끼워서 가이드되면서 삽입이 가능하고, 더욱이 조인트를 파이프내에 삽입후 결착을 위해 파이프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체결 부재의 나사부에 연결 부재가 나사결합되면서 전진하여 제2 결합 부재를 가압하고, 그러면, 체결 부재의 헤드부는 제1 결합 부재를 가압하게 되면서 파이프내에서의 결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파이프내의 가이드 돌기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 부재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지 않으므로, 연결 부재의 체결시 보다 확실한 체결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보다 확실하게 가압되어서 푸시편의 진입에 의해 삽입홈이 벌어짐에 따라 각종 구조물의 조립시 사용되는 파이프내에 확실하게 결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한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한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측면에서 절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에 형성된 절개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인트에 의해 조립된 파이프 구조체의 일 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인트 장치(100)는 제1 결합 부재(110), 제1 결합 부재(110)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120),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130), 체결 부재(13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결합 부재(110)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의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재질, 예를 들어 합성수지 계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 부재(110)에는 체결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11), 제1 결합 부재(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푸시편(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111)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111a)이 절개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절개홈(111a)은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을 두고 4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중 하나의 절개홈(111a)은 후술하는 삽입홈(113)의 절개부(113b)와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시편(112)은 선단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 측면에는 푸시 경사면(112a)이 형성될 수 있다. 푸시편(112)의 마주보는 반대편에는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3)은 안으로 들어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고, 삽입홈(113)의 양측면에는 푸시편(112)의 푸시 경사면(112a)과 대면되도록 반대 방향의 경사면(113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3a)의 한쪽 끝단부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절개부(113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113b)에 의해 삽입홈(113)은 반경 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부재(11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푸시편(112)의 중앙을 가로 질러 제1 결합 부재(110)의 한쪽 끝단부까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14), 제1 가이드 홈(1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편(112)의 양측에는 푸시편(112)의 삽입홈(113) 안으로 진입 길이를 제한해주는 단턱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편(112)이 제2 결합 부재(120)의 삽입홈(123)안에 진입이 완료되면, 삽입홈(123)의 하단부에 제1 결합 부재(110)의 푸시편(112)의 단턱부(116)가 대면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120)는 제1 결합 부재(1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체결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21), 제1 결합 부재(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푸시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공(121)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121a)이 절개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푸시편(122)은 선단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 측면에는 푸시 경사면(122a)이 형성될 수 있다. 푸시편(122)의 마주보는 반대편에는 삽입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3)은 안으로 들어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을 이룰 수 있고, 양측면에는 푸시 경사면(122a)과 대면되고 반대 방향의 경사면(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부재(12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푸시편(122)의 중앙을 가로 질러 제2 결합 부재(120)의 한쪽 끝단부까지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124), 제1 가이드 홈(124)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1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면(123a)의 한쪽 끝단부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절개부(123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123b)에 의해 삽입홈(123)은 반경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는 동일 구조를 가지고, 각 푸시편(112)(122) 및 삽입홈(113)(123)은 서로에 대해 반대편에 배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
푸시편(122)의 양측에는 푸시편(122)의 삽입홈(123)안으로 진입 길이를 제한해주는 단턱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편(122)이 제1 결합 부재(110)의 삽입홈(113)안에 진입이 완료되면, 삽입홈(113)의 하단부에 제2 결합 부재(120)의 푸시편(122)의 단턱부(126)가 대면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체결 부재(130)는 일부분에 나사부(131)가 형성된 스터드 볼트 타입일 수 있다. 체결 부재(130)는 헤드부(132)가 형성되고,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를 관통하고, 나사부(131)가 연결 부재(140)와 결합되면, 헤드부(132)는 제2 결합 부재(1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130)의 일부분에 형성된 나사부(131) 위치의 단부에는 별도의 공구(렌치 등)을 삽입하여 회전시켜서 체결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130a)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30a)을 통해 체결 또는 분해하는 경우, 렌치를 연결 부재(140)의 나사공(41)을 통해 삽입하여 끼움홈(130a)에 끼운 다음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체결 또는 분해할 수 있다.
헤드부(132)에는 별도의 공구(렌치 등)를 끼워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는 끼움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2)는 원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32)의 끼움홈(132a)을 통해 렌치를 끼워서 체결 또는 분해하는 경우, 파이프(200)의 내부로 관통하여 끼움홈(132a)에 끼워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 부재(130)는 연결 부재(140)와 결합후 파이프(200)내에 끼워서 고정할 때, 다양한 위치에서 렌치 등을 통해 체결 또는 분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볼(ball)과 같은 둥근 형태의 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140)의 형상은 구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한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인트(100)는 파이프(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연결 부재(140)를 체결 부재(14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연결 부재(140)의 나사공(141)을 관통하여 맞은편에 체결된 체결 부재(140)를 별도의 공구(티 렌치 등)를 끼워서 회전시키면, 조인트(100)는 파이프(200)의 내부에서 확실하게 결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파이프(200)는 각종 구조물을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구를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를 일부 절개한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다른 측면에서 절단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인트(100)는 파이프(200)안에 삽입시, 연결 부재(140)와 체결 부재(130)를 약간 느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다. 파이프(200)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210)가 반경 방향 중심으로 돌출될 수 있고, 조인트(100)의 삽입시,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가이드 돌기(210)가 삽입되어서 조인트(100)의 삽입 동작을 원활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0)는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1개로 형성할 수 있고, 조인트(100)의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에는 각각 제1 가이드 홈(114)(214)과 제2 가이드 홈(114)(12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100)를 파이프(200)안에 삽입시, 복수의 제1 가이드 홈(114)(214)과 제2 가이드 홈(114)(125)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에 파이프(200)안의 가이드 돌기(210)에 끼워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1개의 가이드홈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인트(100)의 삽입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인트에 의해 조립된 파이프의 일 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가구와 같은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 복수의 파이프(200)가 연결하는 경우, 제1 결합 부재(110), 제2 결합 부재(120)와 함께 체결 부재(130)를 연결 부재(140)의 나사공(141)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파이프(200)의 외부에서 연결 부재(140) 또는 공구(티 렌치 등)를 통해 체결 부재(130)를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파이프(200)를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140)와 체결 부재(130)의 헤드부(132) 사이에 구비된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는 체결 부재(130)의 헤드부(132)와 연결 부재(140)가 가압하여 서로에 대해 밀착되도록 접근하게 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의 각 나사공(141)에 체결 부재(130)를 체결함으로써 조인트(100)가 조립되고, 이러한 조인트(100)를 파이프(200)안에 삽입하여 복수의 파이프(200)를 연결하는데, 연결 부재(140)의 각 나사공(141)에 결합된 체결 부재(130)의 헤드부(132) 또는 그 반대편을 공구를 통해 헤드부(132)의 홈에 끼워서 회전시키거나 그 반대편을 연결 부재(140)의 반대편 나사공(141)을 통해 공구를 관통하여 회전시키거나 조인트(100)가 연결되지 않은 파이프(200)를 한쪽 단부를 통해 파이프(200)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공구(렌치 등)를 관통하여 파이프(200)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조인트(100)의 체결 부재(130)를 회전시켜서 조인트(100)가 파이프(200)내에서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조인트(100)를 파이프(200)의 내부에서 밀착시키는 경우, 제1 결합 부재(110)의 푸시편(112)은 제2 결합 부재(120)의 삽입홈(123)을 파고들게 되고, 반대로 제2 결합 부재(120)의 푸시편(122)은 제1 결합 부재(110)의 삽입홈(113)을 파고들 수 있다.
따라서, 푸시편(112)(122)이 각각 삽입홈(113)(123)에 파고 들어 갈 수록 삽입홈(113)(123)은 벌어질 수 있다. 삽입홈(113)(123)의 단부에는 절개부(113b)(21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편(112)(122)이 각각 삽입될 수록 쉽게 벌어질 수 있다.
삽입홈(113)(123)이 벌어지면,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의 삽입홈(113)(123)의 양 측면은 각각 파이프(200)의 내측면에 더욱 밀착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는 파이프(200)안에 삽입시 파이프(20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10)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연결 부재(140)를 회전시킬 때,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는 파이프(200)의 내부에서 헛돌지 않게 될 수 있다. 즉, 파이프(200)안의 가이드 돌기(210)는 조인트(100)의 용이한 삽입 및 삽입후 조임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는 키이(key) 역할을 하는 2가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인트의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에 형성된 절개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인트(100)는 제1 결합 부재(110)와 제2 결합 부재(120)에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111a)(121a)에 의해 절개부(113b)(123b)쪽에서 푸시편(112)(122)의 진입에 따라 벌어질 때, 보다 용이하게 벌어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절개부(113b)(123b)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절개부(113b)(123b)의 적어도 양측에 절개홈(111a)(121a)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푸시편(112)(122)의 양측면에는 각각 푸시 경사면(112a)(122a)이 형성되어 있는데, 푸시 경사면(112a)(122a)은 평면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에 대면되는 삽입홈(113)(123)의 경사면(113a)(123a)도 평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푸시편(112)(122)이 삽입홈(113)(123)안으로 삽입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대칭되는 2개의 결합 부재를 가압하면, 서로에 대해 진입되면서 푸시편(112)(122)이 각각 삽입홈(113)(123)을 벌어지게 하여 파이프(200)내에 고정시킬 수 있고, 더욱이 푸시편(112)(122)은 각각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제1 결합 부재(110)의 푸시편(112)과 제2 결합 부재(120)의 푸시편(122)은 높이차를 두고 마련되므로, 2개의 결합 부재(110,12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파이프(200)내에서 벌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확장된 가압 면적으로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보다 확실한 결착력으로 파이프(200)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00)로부터 조인트(100)를 분리하는 경우, 결합시의 반대 방향으로 연결 부재(140)를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140)는 체결 부재(130)로부터 후퇴하게 되며, 그에 따라 가압하고 있던 제2 결합 부재(12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결합 부재(120)는 제1 결합 부재(110)와 강제로 가압된 상태에 있다가 연결 부재(140)의 후퇴에 따라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벌어졌던 삽입홈(113)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힘에 의해 밀리게 되며, 그러면 파이프(200)내에서의 결착력이 느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쉽게 조인트(100)를 분리할 수 있다.
100... 조인트
110... 제1 결합 부재 111... 관통공
111a... 절개홈
112... 푸시편 112a... 푸시 경사면
113... 삽입홈
113a... 경사면 113b... 절개부
114... 제1 가이드 홈 115... 제2 가이드 홈
116... 단턱부
120... 제2 결합 부재 121... 관통공
121a... 절개홈
122... 푸시편 122a... 푸시 경사면
123... 삽입홈 123a... 경사면
123b... 절개부
124... 제1 가이드 홈 125... 제2 가이드 홈
126... 단턱부 130... 체결 부재
130a... 끼움홈 131... 나사부
132... 헤드부 132a... 끼움홈
140... 연결 부재 141... 나사공
200... 파이프 210... 가이드 돌기

Claims (12)

  1.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푸시편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푸시편과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이 삽입되게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편의 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푸시편의 경사면에 대면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끝단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은 상기 푸시편이 삽입되면서 벌어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끝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편의 양측에는 상기 푸시편의 삽입홈 안으로 진입 길이를 제한해주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편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의 각 삽입홈안에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에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의 단턱부가 대면된 상태가 되는 연결용 조인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 또는 분해하기 위한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연결용 조인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연결용 조인트.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에는 상기 연결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 끝단부에 마련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체결 부재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나사공에 결합되면서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가압하는 연결용 조인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용 조인트.
  8.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면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결합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가 삽입되어 결착되는 파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푸시편과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 부재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푸시편과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이 삽입되게 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를 상기 파이프에 결합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면서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끝단부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은 상기 푸시편이 삽입되면서 벌어지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끝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편의 양측에는 상기 푸시편의 삽입홈 안으로 진입 길이를 제한해주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편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의 각 삽입홈안에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삽입홈의 하단부에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의 단턱부가 대면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푸시편이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고,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삽입홈에 진입되면서 삽입홈을 벌리게 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주면 전체는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가압되어 밀착되는 파이프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연결 부재의 나사공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조인트를 상기 파이프에 삽입하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 부재 또는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가이드 홈은 상기 파이프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에 끼워져서 걸림되어 헛돌지 않게 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관통한 상기 체결 부재와 결합되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가 상기 연결 부재 및 체결 부재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의 푸시편이 각각 상기 삽입홈에 진입하면서 벌리게 되고,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내에 고정되게 밀착되는 파이프 구조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 또는 분해하기 위한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파이프 구조체.
  11. 삭제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파이프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연결 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며,
    상기 연결 부재의 후퇴 동작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삽입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푸시편이 밀리면서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은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밀착 상태가 해제되는 파이프 구조체.
KR1020210078802A 2021-06-17 2021-06-17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KR10236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02A KR102368293B1 (ko) 2021-06-17 2021-06-17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02A KR102368293B1 (ko) 2021-06-17 2021-06-17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293B1 true KR102368293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02A KR102368293B1 (ko) 2021-06-17 2021-06-17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2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823A (ja) * 1994-09-05 1996-03-19 Yahata Neji:Kk パイプジョイント
KR20000007487U (ko) * 1998-09-28 2000-04-25 이병호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4579Y1 (ko) * 2005-06-03 2005-09-05 대건환경조명 주식회사 조립식 가로등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823A (ja) * 1994-09-05 1996-03-19 Yahata Neji:Kk パイプジョイント
KR20000007487U (ko) * 1998-09-28 2000-04-25 이병호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4579Y1 (ko) * 2005-06-03 2005-09-05 대건환경조명 주식회사 조립식 가로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9266A (en) Divided nut
US6176158B1 (en) Pincers
JP2005133796A (ja) パイプ継手
WO1988009879A1 (en) Two-piece expansion wall anchor
GB2272951A (en)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threaded fasteners
KR102368293B1 (ko)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US4163618A (en) Joint for furniture
KR930001623B1 (ko) 판형상체의 조립구
JP2008545109A (ja) 切断刃を形成されたねじ山を有し、弾性的に変形可能なカッティング・リングから構成される2つのボディーの間のカップリング
JP4963128B2 (ja) クローラの連結構造
JP6803058B2 (ja) 締結具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JP5908798B2 (ja) 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KR200390983Y1 (ko) 원터치 결합형 리벳
JP200220172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具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接合構造
JP4907457B2 (ja) ナット
KR0149333B1 (ko) 과조임 방지용 볼트
KR200233626Y1 (ko) 가구패널 결합구
KR200319225Y1 (ko) 관연결구조
JP2000146045A (ja) 管接合用治具
KR200292274Y1 (ko)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GB1591103A (en) Tube connector
KR200366801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0426771B1 (ko) 구조물 프레임 결합장치 및 그 결합방법
JPH08320009A (ja) 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