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487U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487U
KR20000007487U KR2019980018919U KR19980018919U KR20000007487U KR 20000007487 U KR20000007487 U KR 20000007487U KR 2019980018919 U KR2019980018919 U KR 2019980018919U KR 19980018919 U KR19980018919 U KR 19980018919U KR 20000007487 U KR20000007487 U KR 20000007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lt
inclined surface
contact member
elast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19980018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487U/ko
Publication of KR20000007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487U/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접촉 부위에 파이프삽입턱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볼트의 머리가 걸리도록 파이프삽입턱에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파이프연결부재,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연결부재의 파이프삽입턱에 밀착되며 타단부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보유하고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밀착부재, 그리고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둘레면이 경사면을 보유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되며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이 형성된 단부를 확장하는 확장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수동적으로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여러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여 미숙련자들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볼트를 회전함으로써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함과 동시에 파이프연결부재에 다수의 파이프를 뒤틀림이나 변형없이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되는 각각의 파이프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 고정되어 여러 방향으로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미숙련자가 다수개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뒤틀림이 없이 여러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가구 등의 구조물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소정의 구조물을 만들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절단한 뒤에 용접을 통하여 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며, 또한 파이프의 단부에 접촉시킨 뒤에 장쇠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기계의 프레임 또는 몸체 등의 구조물을 만들게 되며, 또한 실용품인 가구 등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다수의 파이프를 용접하여 연결할 경우에는 숙련자의 용접을 통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미숙련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으며, 또한 용접시에 발생하는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방향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며, 특히 원형 단면의 파이프를 소정 각도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절삭작업과 용접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쇠 등으로 파이프를 연결한 경우에는 장쇠가 외부로 돌출되어 보이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며, 또한 장쇠의 조립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파이프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 고정되어 여러 방향으로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미숙련자가 다수개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정해진 모양으로 조립되게 하여 뒤틀림이 없이 여러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볼트,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접촉 부위에 파이프삽입턱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볼트의 머리가 걸리도록 파이프삽입턱에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파이프연결부재,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연결부재의 파이프삽입턱에 밀착되며 타단부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보유하고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밀착부재, 그리고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둘레면이 경사면을 보유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되며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이 형성된 단부를 확장하는 확장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확장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 2 : 파이프연결부재
2a : 파이프삽입턱 2b,2c : 구멍
3 : 탄성밀착부재 3a : 슬릿
4 : 확장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는 수동으로 조립하여 소정의 각이 되도록 파이프(10a, 10b)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는 다수의 볼트(1)가 삽입되는 파이프연결부재(2)를 파이프(10a,10b) 사이에 두고, 삽입된 각 볼트(1)에 탄성밀착부재(3) 및 확장부재(4)를 각각 설치하여 각 파이프(10a,10b)에 이 탄성밀착부재(3) 및 확장부재(4)를 각각 삽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연결부재(2)는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접촉 부위에 파이프삽입턱(2a)을 일체로 연결되는 파이프의 수만큼 형성하고 상기 볼트(2)가 삽입되는 구멍(2b)을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볼트(2)의 머리가 걸리도록 파이프삽입턱(2a)에 소직경의 구멍(2c)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밀착부재(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연결부재(2)의 파이프삽입턱(2a)에 밀착되며 타단부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보유하고 다수개의 슬릿(3a)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밀착부재(3)에서 경사면을 보유한 단부의 둘레면은 파이프의 단면이 사각형이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파이프의 단면이 원형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파이프의 단면의 형상에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재(4)는 상기 볼트(1)에 나사 결합되고 둘레면이 경사면을 보유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3)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되며 볼트(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3)의 경사면이 형성된 단부를 확장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부재(4)는 볼트(1)에 결합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3)를 작용할 때에 제자리에서 회전되어 탄성밀착부재(3)를 작용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하나 또는 슬릿과 동일한 수의 가이드돌기(4a)를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탄성밀착부재(3)에 형성된 슬릿(3a)에 삽입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우선 볼트(1)를 파이프연결부재(2)에 삽입하고 이 볼트(1)의 나사부에 탄성밀착부재(3)를 삽입한 뒤, 볼트(1)의 나사부에 확장부재(4)를 나사 결합하여 파이프에 삽입하게 된다.
즉 상기 볼트(1)를 파이프연결부재(2)의 구멍(2b)에 삽입하면 볼트(1)의 머리가 구멍(2c)을 통과하지 못하고 볼트(1)의 나사부만 파이프삽입턱(2a)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며, 이 볼트(1)의 나사부에 탄성밀착부재(3)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밀착부재(3)를 통과하는 상기 볼트(1)의 나사부에 확장부재(4)를 나사 결합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각각 결합된 탄성밀착부재(3) 및 확장부재(4)를 각 파이프(10a,10b)에 삽입한 뒤, 볼트(1)를 회전할 수 있는 수단 즉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볼트(1)를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볼트(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며, 확장부재(4)는 볼트(1)의 머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확장부재(4)가 탄성밀착부재(3)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재(4)의 둘레 경사면이 탄성밀착부재(3)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한 상태에서 계속 볼트(1)를 회전하면 탄성밀착부재(3)의 단부가 확장됨과 동시에 각 파이프의 내측에 밀착되어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부재(4)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4a)를 상기 탄성밀착부재(3)의 슬릿(3a)에 일치하고 볼트(1)를 회전하게 되면 더욱 용이하게 확장부재(4)가 볼트(1)의 머리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탄성밀착부재(3)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확장 또는 비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수동적으로 간단한 작업을 통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여러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여 미숙련자들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볼트를 회전함으로써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함과 동시에 파이프연결부재에 다수의 파이프를 뒤틀림이나 변형없이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볼트,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접촉 부위에 파이프삽입턱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볼트의 머리가 걸리도록 파이프삽입턱에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는 파이프연결부재,
    상기 볼트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연결부재의 파이프삽입턱에 밀착되며 타단부의 내측면이 경사면을 보유하고 다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밀착부재, 그리고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둘레면이 경사면을 보유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밀착되며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경사면이 형성된 단부를 확장하는 확장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재는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하나 또는 상기 슬릿의 숫자와 동일한 갯수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되, 상기 탄성밀착부재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9980018919U 1998-09-28 1998-09-28 파이프 연결장치 KR200000074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19U KR20000007487U (ko) 1998-09-28 1998-09-28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19U KR20000007487U (ko) 1998-09-28 1998-09-28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487U true KR20000007487U (ko) 2000-04-25

Family

ID=6951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19U KR20000007487U (ko) 1998-09-28 1998-09-28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4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93B1 (ko) * 2021-06-17 2022-03-03 주식회사 디플랜가구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KR20230000537U (ko) * 2021-09-07 2023-03-14 김지황 가구프레임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293B1 (ko) * 2021-06-17 2022-03-03 주식회사 디플랜가구 연결용 조인트 및 이러한 조인트를 구비한 파이프 구조체
KR20230000537U (ko) * 2021-09-07 2023-03-14 김지황 가구프레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481B1 (ko) 클램핑 칼라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CA2470005A1 (en) Method of fastening
US5765960A (en) Expansion connector for tubular member
US7229230B2 (en) Tube connectors
GB2279717A (en) Expansion nut for t-joint of pipes
KR20000007487U (ko) 파이프 연결장치
KR950033136A (ko) 삽입체 너트 및 패스너
JP3805616B2 (ja) 管体の連結構造
US20040013491A1 (en) Anchor and nut assembly
KR20000007486U (ko) 파이프 연결장치
GB2349412A (en) Clip having a pin for insertion through aligned openings in two parts and resilient means to retain the pin in position.
JP3312864B2 (ja) 配管の漏洩検査方法及び検査具
JP3649575B2 (ja) 締結具
US6711801B2 (en) Method of assembling a fastener assembly and of securing a fastener assembly
RU1917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крепежных деталей
JP4029192B2 (ja) パイプ状受具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木造構造物の仕口金物
KR100422126B1 (ko) 렌치
JP2535358Y2 (ja) パイプ連結金具
KR200266066Y1 (ko) 기초볼트
KR200228337Y1 (ko) 호스 클램프
KR200240535Y1 (ko) 텐트용폴결합구조
KR200160694Y1 (ko) 너트가 불필요한 체결구조
JP4727153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2006064095A (ja) ファスナー装置及び鋼板または建造物骨組の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