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274Y1 -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274Y1
KR200292274Y1 KR2020020021789U KR20020021789U KR200292274Y1 KR 200292274 Y1 KR200292274 Y1 KR 200292274Y1 KR 2020020021789 U KR2020020021789 U KR 2020020021789U KR 20020021789 U KR20020021789 U KR 20020021789U KR 200292274 Y1 KR200292274 Y1 KR 200292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le
socket
length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재
Original Assignee
이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재 filed Critical 이시재
Priority to KR202002002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274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측면에 상기 홀과 통하는 핀공이 형성된 소켓; 상기 핀공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길이는 상기 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끝단이 소켓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된 핀; 상기 소켓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면서 핀공에 삽입된 핀을 외부로 밀어내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설치개소에 핀이 삽입된 소켓을 설치한 다음 상기 소켓의 홀에 고정부재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핀이 외부로 밀려나 상기 설치개소에 박히게 함으로서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Fixing device}
본 고안은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적하는 곳 즉 설치개소에 핀이 삽입된 소켓을 설치한 다음 그 소켓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면 핀이 고정부재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면서 설치개소에 핀의 일부가 박히게 되어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되게 한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기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홀(51)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50)와 그 너트(50)의 나사홀(51)에 결합되는 볼트(5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홀(51)이 형성된 너트(50)를 목적하는 곳 즉 설치개소(4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개소(40)의 선택된 부분을 너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와 폭으로 홈(41)을 형성시키고 그 홈(41)에 너트(50)를 억지 끼워 맞춤 하는 방식으로 삽입 안착시키는데, 이때 너트(50)의 견고한 안착을 위하여 너트(50) 외주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억지 끼워 맞춤을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너트(50)의 고장작업이 끝나면 볼트(52)를 나사홀(51)에 결합하여 고정대상물(42)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의 볼트(52)에 의해 고정된 고정대상물(42)이 당김력(인장력)이 발생하면 너트(50)는 그 당김력에 의해 너트가 안착된 홈(4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그는 고정력을 와해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정대상물을 목적하는 곳에 고정 설치할 때에 그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한번 고정되면 고정력이 와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기구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기구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 분해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구성품인 소켓의 일 예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구성품인 소켓의 일 예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구성품인 소켓의 일 예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8의 a∼c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구성품인 결합부재의 결합에 따른 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9의 a∼c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구성품인 결합부재의 결합에 따른 핀의 각도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설명※
10 : 소켓 11 : 핀공
12 : 홀 20 : 핀
30 : 결합부재 31 : 경사부
T : 두께 L : 길이
PL : 핀공의 길이
CL : 핀공의 외측단에서부터 홀의 중심선까지의 길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중앙에 홀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며 측면에 상기 홀과 통하는 핀공이 형성된 소켓; 상기 핀공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길이는 상기 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끝단이 소켓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된 핀; 상기 소켓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면서 핀공에 삽입된 핀을 외부로 밀어내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홀은 소켓의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소켓의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홀의 형태는 나사홀 이며, 상기 소켓의 형태는 외주면을 따라 산과 골이 연이어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이 평활한 원통형, 육각너트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고, 상기 소켓에 형성된 핀공의 각도는 10°∼170°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에 형성된 핀공은 적어도 2개 이상이고, 상기 핀공에 삽입되는 핀의 형태는 어느 일측 끝단 또는 양 끝단이 모두가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핀공에 삽입되는 핀의 길이는 핀공의 길이보다는 길고 그 핀공의 외측단에서부터 홀의 중심선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끝단부는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시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 분해단면도로서, 먼저 소정의 두께(T)와 길이(L)를 갖으며 중앙에 홀(12)이 형성된 소켓(10)에는 다수의 핀공(11)이 홀(12)과 통하도록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홀(12)은 소켓(1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소켓(1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홀(12)의 형태는 볼트가 결합되도록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단, 상기 소켓(10)의 중앙에 형성된 홀(12)은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관통되지 않고 일 끝단이 밀폐된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홀(12)의 내주면에 나사를 형성시킨 이유는, 결합부재(30)인 볼트를 나사 결합하기 위함이고, 결합 후 결합부재(30)가 홀(12)로부터 자연적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의 외관 형태는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산과 골이 연이어 형성된 원통형의 소켓(10)을 사용해도 되고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이 평면인 원통형의 소켓(10a)을 사용해도 되며,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각너트의 소켓(10b)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소켓의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 이외의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나 이들은 모두 중앙에 홀(12)이 형성되어야 하고 측면에 상기 홀(12)과 통하는 핀공(1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소켓(10)에 형성된 핀공(11)의 각도는 10°∼170°범위 내로 형성시켜 사용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60°∼120°이다. 상기 핀공(11)의 각도가 10°보다 작거나 170°보다 크면 핀공(11)내의 핀(20) 이동각도가 너무 커서 결합부재(30)에 의해 밀려나면서 설치개소(40)에 상기 핀(20)의 일측 끝단이 박힐 때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단 상기 핀공(11)의 가장 바람직한 각도를 60°∼120°로 한 이유는 그 60°∼120°가 핀(20)이 밀리면서 설치개소(40)에 가장 용이하고 원활하게 박힐 수 있는 각도이기 때문이다.
상기 소켓(10)의 핀공(11)에 삽입된 핀(20)이 홀(12)에 결합부재(30)인 볼트가 결합되면서 밀려나 설치개소(40)에 박히는 원리를 도 8의 a,b,c에 나타내었고, 그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의 a는 초기상태로서, 핀공(11)에 핀(20)이 삽입된 소켓(10)을 설치개소(40)에 설치한 후 결합부재(30)인 볼트를 홀(12)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단, 상기 소켓(10)을 설치개소(40)에 설치할 때에는 그 설치개소(40)를 소켓(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41)을 형성시킨 후그에 상기 소켓(10)을 억지 끼워 맞춤 한다.
상기 도 8의 a의 상태에서 결합부재(30)인 볼트를 계속 회전시키면 도 8의 b상태 즉 결합부재(30)의 끝부분 경사부(31)가 핀(20)의 내측 끝단과 접촉되면서 상기 핀(20)을 설치개소(40)로 밀어냄과 동시에 그 밀려나가는 핀(20)의 외측 끝단이 설치개소(40)에 박히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 8의 b상태에서 결합부재(30)를 계속 회전시키면 도 8의 c상태가 되고, 이는 고정대상물(42)의 고정은 물론, 핀(20)의 외측 끝단 일부가 설치개소(40)에 완전히 박히게 되어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소켓(10)에 형성된 핀공(11)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방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소켓(10)에 핀공(11)을 형성시키는 방법(개수)은 소켓(10)의 크기(길이, 직경)에 따라 3방, 4방, 5방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형성시킴은 물론, 다단계로 형성시켜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핀공(11)에 삽입되는 핀(20)의 형태는 어느 일측 끝단만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양 끝단이 모두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어느 일측 끝단만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뾰족한 부분이 홀(12)의 반대방향 즉 설치개소(40)를 향하게 하면 되고, 양 끝단이 모두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핀(20)의 방향에 관계없이 핀공(11)에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핀공(11)에 삽입되는 핀(20)의 길이는 상기 핀(20)이 소켓(10)의 핀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끝단이 소켓(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가지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핀공(11)의 길이(PL)보다는 길고 그 핀공(11)의 외측단에서부터 홀(12)의 중심선까지의 길이(CL)보다는 짧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면 된다.
그 이유는 핀(20)의 길이가 핀공(11)의 길이(PL)보다 짧을 경우에는 결합부재(30)인 볼트가 소켓(10)의 홀(12)에 결합된다 해도 상기 핀(20)이 소켓(10)의 핀공(11)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핀(20)의 외측선단 일부가 설치개소(40)에 박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핀(20)의 길이가 핀공(11)의 외측단에서부터 홀(12)의 중심선까지의 길이(CL)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기 핀(20)이 소켓(10)의 핀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10)의 외측선단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소켓(10)을 설치개소(40)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핀(20)이 소켓(10)의 핀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9의 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켓(10)이 설치개소()에 삽입 안착되고 결합부재(30)인 볼트가 홀(12)에 결합되면 상기 핀공(11)에 삽입된 핀(20)은 결합부재(30)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면서 설치개소(40)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핀(20)이 설치개소(40)에 박히게 되면 그 설치개소(40)를 파손하기 전에는 소켓(10)이 빠져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설치개소(40)라 함은 선택된 고정대상물(42)을 고정해야 하는 모든 곳 즉 각종 벽면이나 여닫이문의 경첩을 고정하기 위한 곳 및 기타 물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기구를 사용하는 곳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 고정해야하는 모든 곳의 재질은 목재, 합성수지, 콘크리트 등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는 목적하는 곳 즉 설치개소에 핀이 삽입된 소켓을 설치한 다음 상기 소켓의 홀에 고정부재를 결합함으로서 상기 핀이 고정부재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면서 설치개소에 박히게 되어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중앙에 홀(12)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T)와 길이(L)를 가지며 측면에 상기 홀(12)과 통하는 핀공(11)이 형성된 소켓(10);
    상기 핀공(11)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길이는 상기 핀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끝단이 소켓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된 핀(20);
    상기 소켓(10)의 중앙에 형성된 홀(12)에 결합되면서 핀공(11)에 삽입된 핀(20)을 외부로 밀어내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12)은 소켓(10)의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소켓(10)의 중앙이 관통되게 형성된 홀(12)의 형태는 나사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의 형태는 외주면을 따라 산과 골이 연이어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이 평활한 원통형, 육각너트의 형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에 형성된 핀공(11)의 각도는 10°∼1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에 형성된 핀공(11)은 적어도 2개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공(11)에 삽입되는 핀(20)의 형태는 어느 일측 끝단 또는 양 끝단이 모두가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공(11)에 삽입되는 핀(20)의 길이는 핀공(11)의 길이(PL)보다는 길고 그 핀공의 외측단에서부터 홀의 중심선(CL)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거나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1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0)의 끝단부는 경사부(31)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KR2020020021789U 2002-07-22 2002-07-22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KR200292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89U KR200292274Y1 (ko) 2002-07-22 2002-07-22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89U KR200292274Y1 (ko) 2002-07-22 2002-07-22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925A Division KR20040009094A (ko) 2002-07-22 2002-07-22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274Y1 true KR200292274Y1 (ko) 2002-10-18

Family

ID=7312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89U KR200292274Y1 (ko) 2002-07-22 2002-07-22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2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22B1 (ko) * 2015-07-24 2016-11-22 주식회사 영남볼트 고정핀 결합형 앙카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22B1 (ko) * 2015-07-24 2016-11-22 주식회사 영남볼트 고정핀 결합형 앙카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2659C (en) Anchor assembly with toggle for hollow walls
US4764065A (en) Wall anchor
US5108240A (en) Heavy load bearing toggle bolt
JP2010065851A (ja) 留め具
JP2008534878A (ja) コンポーネントを連接するための締結具とこれを具現するアッセンブリ
US4170430A (en) Fastening device
US20200240458A1 (en) Fastener systems for wood with overtightening and loosening prevention
US10184505B2 (en) Compressive indentation fastener device
DE102004064114B4 (de) Befestigungselement für Dämmstoffplatten
EP3318685A1 (de) Justagedübel
KR100897721B1 (ko)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CA2458103A1 (en) Post construction alignment and anchor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KR200292274Y1 (ko)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KR20040009094A (ko) 체결력이 우수한 고정기구
US4136599A (en) Plastic screw grommet
KR101575099B1 (ko) 이지 앵커 볼트
KR101739920B1 (ko) 풀림 방지형 볼트와 너트 조립체 및 이 시공 방법
EP2265778A1 (en) Wall tie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KR20000010915U (ko) 콘크리트 앵커볼트
US20220056938A1 (en) Dowel fasteners
JP2000087930A (ja) アンカー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100422126B1 (ko) 렌치
JPH05276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