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400B1 -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400B1
KR102367400B1 KR1020190081021A KR20190081021A KR102367400B1 KR 102367400 B1 KR102367400 B1 KR 102367400B1 KR 1020190081021 A KR1020190081021 A KR 1020190081021A KR 20190081021 A KR20190081021 A KR 20190081021A KR 102367400 B1 KR102367400 B1 KR 10236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late
locking member
open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500A (ko
Inventor
허명실
Original Assignee
허명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명실 filed Critical 허명실
Priority to KR102019008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써,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를 돌출형성시키지 아니하고도 서랍을 서랍장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랍의 전면부로 돌출형성되는손잡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서랍이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서랍이 레일과 활차에 안내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기 서랍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 상에 서랍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설치시키되, 상기 개폐장치가 한번의 누름 동작으로 잠금되고, 또 한번의 누름동작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푸시 잠금장치와, 걸림구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잠금장치가 힌지축에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동구,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동작되는 잠금쇠, 상기 회동구는 일측에 걸림구와 접촉되면서 구름동작되는 동시에 걸림구가 걸리어지는 걸림롤러, 상기 잠금쇠의 잠금홈에 삽입되어 회동구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걸림쇠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는 회동구의 걸림쇠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 경사면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잠금홈, 잠금홈을 이탈한 걸림쇠와 접촉되면서 잠금쇠와 회동구가 분리 이격될 수 있게 하는 경사안내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랍장{A DRAWER}
본 발명은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장 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서랍의 개폐장치를 개선하여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 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서랍장의 전면부를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 또는 생활용품등과 같은 물건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다수의 양을 보관하기 위하여 각 가정에서는 서랍장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서랍장의 서랍을 개폐하기 위하여 서랍의 전면에 손잡이를 1개 또는 2개씩 설치하였다.
따라서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부주의로 몸의 중심을 잃을 경우 손잡이에 머리등을 부딪혀 상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 때문에 서랍장을 디지인하는데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서랍의 손잡이를 제거하고, 서랍의 전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손가락을 구멍에 삽입하여 서랍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서랍의 전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으며, 서랍의 하단에 홈을 형성하여 홈을 잡고 서랍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서랍의 하부면에 공간부를 두어야 하였기 때문에 이 또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2986호(2018.01.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를 돌출형성시키지 아니하고도 서랍을 서랍장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서랍의 전면부로 돌출형성되는손잡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배제시킴은 물론 다층으로 설치되는 서랍과 서랍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서랍장의 전면부를 화폭 내지는 스크린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하여 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에 수납된 수납물을 들춰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은,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서랍이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서랍이 레일과 활차에 안내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기 서랍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 상에 서랍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설치시키되, 상기 개폐장치가 한번의 누름 동작으로 잠금되고, 또 한번의 누름동작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푸시 잠금장치와, 걸림구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잠금장치가 힌지축에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동구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동작되는 잠금쇠와, 상기 서랍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고,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과, 상기 서랍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서랍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는 일측에 걸림구와 접촉되면서 구름동작되는 동시에 걸림구가 걸리어지는 걸림롤러와, 상기 잠금쇠의 잠금홈에 삽입되어 회동구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걸림쇠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는 회동구의 걸림쇠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잠금홈과, 잠금홈을 이탈한 걸림쇠와 접촉되면서 잠금쇠와 회동구가 분리 이격될 수 있게 하는 경사안내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함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의 사이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단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서랍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상기 개폐판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상승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상면과 이격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연결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은,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 등과 같은 돌출물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어린 아이들이 서랍의 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에 부딪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장은 서랍의 전면부에 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배제시킴은 물론 다층으로 설치되는 서랍과 서랍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배제함으로써, 서랍장의 전면부가 하나의 화폭 또는 스크린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되어 그림 내지 사진을 연출하는 경우에 그림이나 사진이 끈김 없이 연출시킬 수 있고, 돌출물(손잡이)에 의해 디자인이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된 수납물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어, 수납물을 들춰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푸시 잠금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수납함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의 승강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의 개폐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변형방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장치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푸시 잠금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랍장 본체(1)의 내부에 다수의 서랍(2)이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서랍(2)이 레일과 활차에 안내되어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서랍(2)의 인출 또는 인입 경로 상에 서랍(2)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3)를 설치시키되, 상기 개폐장치(3)가 한번의 누름 동작으로 잠금되고, 또 한번의 누름동작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푸시 잠금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장치(3)는 푸시 잠금장치(4)와, 푸시 잠금장치에 걸리어 잠금되고, 푸시 잠금장치로부터 이탈되어 잠금이 해제되는 걸림구(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푸시 잠금장치(4)가 서랍장본체(1)에 설치되고, 걸림구(5)는 서랍(2)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설치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잠금장치(4)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축(41)에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42)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동구(43)와, 비틀림스프링(46)에 의해 탄력적으로 동작되는 잠금쇠(47)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43)는 일측에 걸림구(5)와 접촉되면서 구름동작되는 동시에 걸림구(5)가 걸리어지는 걸림롤러(44)와, 잠금쇠(47)의 잠금홈에 삽입되어 회동구(43)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걸림쇠(4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잠금쇠(47)는 회동구(43)의 걸림쇠(45)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48), 경사면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잠금홈(49), 잠금홈을 이탈한 걸림쇠(45)와 접촉되면서 잠금쇠(47)와 회동구(43)가 분리 이격될 수 있게 하는 경사안내구(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5)는 벽체(51)의 일측으로 걸림턱(52)이 벽체로부터 이격형성되어 벽체(51)와 걸림턱(52)과의 사이에 걸림롤러(44)가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걸림홈(5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서랍장의 서랍 개폐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서랍장은 서랍(2)의 전면부에 돌출되는 손잡이, 손을 넣을 수 있는 홈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랍(2)을 닫기 위하여는 서랍(2)의 전면부를 밀게된다.
서랍(2)의 전면부를 미는 동작에 의해 서랍에 결합된 걸림구(5)의 벽체(51)가 걸림롤러(44)를 압박하게 되고, 걸림롤러(44)는 벽체(51)를 따라 구름되는 동시에 회동구(43)가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걸림롤러(44)가 상승되기 시작한다.
이때 회동구(43)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쇠(45)는 잠금쇠(47)의 경사면(48)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잠금쇠(47)를 후퇴시키다가 경사면(48)을 통과하는 순간 잠금쇠(47)가 비틀림스프링(46)의 탄발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쇠(45)가 잠금홈(49)의 내부에 삽입되어 잠금된다.
이때 벽체(51)를 따라 구름동작하면서 상승되던 걸림롤러(44)는 걸림홈(53)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걸림구(5)의 이동을 제한시켜 결국 서랍(2)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어 서랍을 열고자 하는 경우에도 서랍(2)의 전면부를 가볍게 미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걸림구(5)의 벽체(51)가 걸림롤러(44)를 압박시키고, 회동구(43)가 회동되면서 걸림쇠(45)가 잠금홈(49)을 이탈하여 후퇴되면서 경사안내구(40)와 만나게 되고, 이 시점에서 서랍(2)을 미는 힘이 제거되면 비틀림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구(43)가 전진회동되면서 걸림롤러(44)가 걸리구(5)를 밀어내어 서랍(2)이 본체(1)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시 잠금쇠(47)는 전진되는 걸림쇠(45)가 경사안내구(40)를 타고 넘으면서 이격되어 회동구(43)와 잠금쇠(47)가 분리되어 다음의 잠금상태를 준비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수납함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의 승강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적용된 수납함의 개폐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에 변형방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수납함(6), 변형방지부(10a,10b), 승강구동부(7), 지지부(8), 중량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함(6)은 서랍(2)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어 서랍(2)의 내부공간에 각각 수납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랍(2)이 아닌 수납함(6)에 의류, 물건과 같은 수납물을 수납하며, 수납함(6)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수납물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함(6)은 하우징(61), 개폐판(6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1)은 서랍(2)의 바닥면 상면에 안착되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판(611), 바닥판(611)의 후측 가장자리에 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넓이와 높이를 가지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판(612), 바닥판(6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상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일정한 넓이와 높이를 가지며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6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61)의 상면과 측판(613)의 사이는 개방되어, 사용자가 수납물을 용이하게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서랍(2)의 후판(21) 측에 개폐장치(3)가 배치되며, 수납함(6)의 후판(612)은 서랍(2)의 후판(21)과 마주한다. 그리고, 하우징(61)의 개구부는 서랍(2)의 전판(22)과 마주한다.
이상 설명한 하우징(61)은 후술되는 승강구동부(7)에 의해 상승되어 서랍(2)의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서랍(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나아가, 바닥판(611)은 서랍(2)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판(6111), 하판(6111)과 상면과 이격되는 하판(6111), 하판(6111)과 상판(6112)을 연결하는 연결판(6113), 상판(6112)과 하판(6111)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판(6112)과 하판(6111)의 사이에 복수개의 구획공간(611a)을 형성하는 구획판(6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획공간(611a)에는 바닥판(611)이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부가 설치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변형방지부(1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1a)와 보강부(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1a)는 구획공간(611a)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점과 종점에 위치된 지지부(101a)는 상판(6112)의 저면과 하판(6111)의 상면과 연결판(6113) 및 구획판(6114)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중앙에 위치된 지지부(101a)는 상판(6112)의 저면과 하판(6111)의 상면 및 구획판(6114)의 측면에 고정된다.
즉, 지지부(101a)에 의해 상판(6112), 하판(6111), 연결판(6113), 구획판(6114)이 일체로 연결됨으로 바닥판(611)이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01a)는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101a)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방향으로 일정 수준 압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101a)는 상판(6112)에 무거운 수납물이 안착되어, 상판(6112)이 하 방향으로 휘어지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수납물의 하중을 완하시키면서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판(6112)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보강부(102a)는 지지부(101a)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보강부(102a)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로 설치될 경우 지지부(101a)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개로 설치될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보강부(102a)가 2개로 적용되어 지지부(101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보강부(102a)는 지지부(101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보강부(102a)는 상판(6112)에 무거운 수납물을 안착하면 지지부(101a)와 함께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수납물의 하중 완화시켜 상판(6112)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변형방지부(10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상판(6112)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01b),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이 하판(6111)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1결합부재(101b)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결합부재(102b), 제1결합부재(101b)와 제2결합부재(102b)를 연결하며 수납물의 하중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10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101b)와 제2결합부재(102b)와 탄성부재(103b)는 합성수지나 금속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결합부재(101b)의 상면과 제2결합부재(102b)의 저면에는 삽입돌기(미도시)가 각각 형성되고, 하판(6111)의 상면과 상판(6112)의 저면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101b)와 제2결합부재(102b)는 상판(6112)과 하판(6111)에 암수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3b)는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03b)는 상판(6112)에 무거운 수납물이 안착되어, 상판(6112)이 하 방향으로 휘어지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수납물의 하중을 완하시키면서 수납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판(6112)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개폐판(62)은 회동작동에 의해 하우징(6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정한 넓이와 높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62)은 측판(613)의 사이 즉, 개구부에 위치되며, 바닥판(61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수납함(6)은 대략 사각박스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개폐판(62) 중 바닥판(611)의 상면에 접촉되는 저면은 양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곡선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611)의 전방 양측에는 가장자리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편(622)이 고정되고, 개폐판(62)의 하부 양측면에는 지지편(622)의 관통홀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회동축(6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62)은 회동축(621)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7)는 수납함(6)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랍(2)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7)의 사이에 수납함(6)이 배치된다.
승강구동부(7)는 바닥판(611)에 결합되는 승강체(71)를 갖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서랍(2)에는 승강구동부(7)의 승강체(71)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버튼(미도시) 및 승강체(71)를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버튼(미도시)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튼들은 서랍(2)들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승강구동부(7)와 1:1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버튼들은 서랍(2)을 본체(1)의 외부로 인출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고, 서랍(2)을 본체(1)의 내부로 인입하면 은닉된다.
따라서, 서랍(2)을 본체(1)의 외부로 인출한 다음 상승버튼을 눌러 승강체(71)를 상승시키면 수납함(6)이 상승되어 서랍(2)의 상측으로 인출되고, 하강버튼을 눌러 승강체(71)를 하강시키면 수납함(6)이 하강되어 서랍(2)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지지부(8)는 바닥판(611)에 고정되어 개폐판(62)의 하측면을 지지하는데, 개폐판(62)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납함(6)이 서랍(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개폐판(62)이 기울어진 상태로 서랍(2)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중량부(9)는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개폐판(62)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수납함(6)이 서랍(2)에서 인출 시, 개폐판(62)의 하 방향 회동을 촉진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함(6)에 의류, 공구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함(6)에 수납된 수납물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서랍(2)의 전면부를 가볍게 미는 동작을 취해 서랍(2)을 본체(1)에서 인출시킨 다음, 상승버튼을 눌러 승강구동부(7)의 승강체(71)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수납함(6)이 서랍(2)의 상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수납함(6)이 상승되면 서랍(2)의 전판(22)에 기울어진 상태로 기대고 있던 개폐판(62)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도되며, 개폐판(62)은 서랍(2)의 전판(22)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상태가 됨으로 하우징(61)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때, 중량부(9)는 개폐판(62)의 상측에 하중을 부여하여 개폐판(62)이 신속하게 전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61)의 개구부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하우징(61)에 수납된 수납물들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원하는 수납물만 신속히 꺼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61)의 내부공간에 5개의 의류들을 대략 사각 형태로 접은 다음, 5개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하우징(61)의 개구부가 개방되면 층층 마다 위치된 의류들의 앞부분이 보여지게 됨으로, 사용자는 입고자 하는 옷을 용이하게 찾아 꺼낼 수 있다.
즉, 2층에 위치된 의류를 꺼내고자 할 경우 3층 내지 5층에 위치된 의류를 들춰내는 것이 아니라, 2층에 위치된 의류만 잡아 당겨 꺼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원하는 의류를 꺼낸 다음에는 하강버튼을 눌러 수납함(6)을 서랍(2)의 내부공간에 인입시키면 된다.
상기 수납함(6)이 서랍(2)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는 서랍(2)의 전판(22) 상면이 개폐판(62)을 지지하게 되어, 개폐판(62)이 자동으로 기립되며, 수납함(6)이 서랍(2)에 완전히 인입되면 개폐판(62)이 다시 전판(21)의 내측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기대어 하우징(61)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서랍장 본체 2 : 서랍
3 : 개폐장치 4 : 푸시 잠금장치
5 : 걸림구 6 : 수납함
7 : 승강구동부 8 : 지지부
9 : 중량부 10a, 10b : 변형방지부

Claims (5)

  1. 본체의 내부에 다수의 서랍이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서랍이 레일과 활차에 안내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기 서랍의 인입 또는 인출 경로 상에 서랍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설치시키되, 상기 개폐장치가 한번의 누름 동작으로 잠금되고, 또 한번의 누름동작으로 잠금이 해제되는 푸시 잠금장치와, 걸림구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잠금장치가 힌지축에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는 회동구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동작되는 잠금쇠와,
    상기 서랍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고,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과,
    상기 서랍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서랍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는 일측에 걸림구와 접촉되면서 구름동작되는 동시에 걸림구가 걸리어지는 걸림롤러와, 상기 잠금쇠의 잠금홈에 삽입되어 회동구의 회동동작을 제한하는 걸림쇠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는 회동구의 걸림쇠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내측부위에 형성되는 잠금홈과, 잠금홈을 이탈한 걸림쇠와 접촉되면서 잠금쇠와 회동구가 분리 이격될 수 있게 하는 경사안내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함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의 사이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단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서랍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상기 개폐판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상승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판, 상기 하판과 상면과 이격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연결판,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복수개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서랍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81021A 2019-07-05 2019-07-05 서랍장 KR10236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21A KR102367400B1 (ko) 2019-07-05 2019-07-05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21A KR102367400B1 (ko) 2019-07-05 2019-07-05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00A KR20210004500A (ko) 2021-01-13
KR102367400B1 true KR102367400B1 (ko) 2022-02-25

Family

ID=7414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021A KR102367400B1 (ko) 2019-07-05 2019-07-05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466B (zh) * 2021-08-30 2022-11-22 江苏凯德电控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弹出开关装置、自动制冰装置及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264Y2 (ja) 1991-03-29 1997-10-08 松下電工株式会社 引出し装置
JP2005065933A (ja) * 2003-08-22 2005-03-17 Kazuo Chiba 引出し式収納容器
JP2013013429A (ja) 2011-06-30 2013-01-24 Nagashima Mokko:Kk ロック機能付タンス
KR101940984B1 (ko) * 2017-09-21 2019-04-12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48U (ja) * 1993-06-29 1995-01-27 詩子 越智 引出し
KR101289321B1 (ko) * 2011-05-27 2013-07-24 박제홍 서랍장
KR101822986B1 (ko) 2017-06-08 2018-01-31 주식회사 로이첸 서랍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0264Y2 (ja) 1991-03-29 1997-10-08 松下電工株式会社 引出し装置
JP2005065933A (ja) * 2003-08-22 2005-03-17 Kazuo Chiba 引出し式収納容器
JP2013013429A (ja) 2011-06-30 2013-01-24 Nagashima Mokko:Kk ロック機能付タンス
KR101940984B1 (ko) * 2017-09-21 2019-04-12 민승기 카트 및 카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00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494B2 (ja) 収納ユニット
CN105121763A (zh) 储存单元储柜
KR102367400B1 (ko) 서랍장
CN106705556A (zh) 冰箱及用于冰箱的储物抽屉
CN106222962A (zh) 洗衣机的底座和具有其的洗衣机
CN106222941A (zh) 洗衣机的底座和具有其的洗衣机
JP3236470U (ja) スライドレールロックロッド式の引き出しにおける転倒防止安全装置
JP4844368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付きキャビネット
CN201051928Y (zh) 抽屉式分层储物箱
KR200457209Y1 (ko) 서랍장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CN209171711U (zh) 一种用于滑轨的自动弹出机构
KR101289321B1 (ko) 서랍장
CN219845624U (zh) 一种抽屉柜
JPH0614584Y2 (ja) 抽斗装置
KR200456759Y1 (ko) 서랍형 내화 캐비넷의 잠금장치
KR20210001029U (ko) 의류 자동 절첩식 수납장
KR101325664B1 (ko)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JP3030979U (ja) 耐震性引出し装置
CN210942747U (zh) 折叠整理箱
CN212368630U (zh) 一种下拉式快递柜结构
CN106283543A (zh) 洗衣机的底座和具有其的洗衣机
CN209300522U (zh) 一种碰触式医疗储物柜
KR20230049383A (ko)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