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383A -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383A
KR20230049383A KR1020210132470A KR20210132470A KR20230049383A KR 20230049383 A KR20230049383 A KR 20230049383A KR 1020210132470 A KR1020210132470 A KR 1020210132470A KR 20210132470 A KR20210132470 A KR 20210132470A KR 20230049383 A KR20230049383 A KR 20230049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pull
housing
present
stor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816B1 (ko
Inventor
하흥식
Original Assignee
하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흥식 filed Critical 하흥식
Priority to KR102021013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개방되고, 양측 내벽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안내홈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착탈되는 수납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우징에 수납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납판에 수납된 의류의 인입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CABINET FOR CLOTHING}
본 발명은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한장씩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집안에는 옷이나 이불 등을 수납하기 위해 옷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옷장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의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케이스 형태로 전면에 별도의 도어가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옷장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되어 상부 공간에는 상면에 행거 등이 구비되어 의류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 공간에는 별도의 서랍 케이스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속옷이나 간단한 의류 등을 개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서랍 케이스 형태의 구조는 의류를 개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의류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의류 수납 공간의 확보를 위해 옷장 내부에 서랍 케이스가 더 많이 구비되기도 하며, 옷장과는 별도로 서랍 케이스만 적층 배치되는 형태의 의류 수납장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랍 케이스에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의류를 수납할 수 있지만, 서랍 케이스 내부에 옷을 접어서 적층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수납하기 때문에, 의류에 구김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서랍 케이스로부터 어느 하나의 의류를 꺼내고자 할 때, 해당 의류의 위 아래에 배치된 의류가 동시에 같이 인출되는 등 각각의 의류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의류를 꺼내거나 집어넣기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461971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20-2008-0005212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6-00609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의류를 하나씩 접어 보관 및 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의류의 인입출이 용이한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은, 전방이 개방되고, 양측 내벽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안내홈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착탈되는 수납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납판이 복구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판의 전방에는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판의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판의 상면에 수납된 의류가 상기 수납판의 전후 이동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판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탄성에 의해 각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에 따르면, 하우징에 수납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납판에 수납된 의류의 인입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수납판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의류를 하나씩 보관하여 진열이 용이한 것은 물론, 의류의 구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은 이류를 한장씩 접어 보관하여 구김을 방지하고 의류의 인입출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100)은 하우징(110) 및 수납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 내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11)은 전방이 개방되어 후술될 수납판(120)이 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111)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수납판(12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기존 옷장 내에 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판(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어 상면에 의류가 보관 및 진열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상기 안내홈(111)을 따라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판(12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양측이 상기 안내홈(111)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판(120)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손잡이공(1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판(120)에 보관 및 진열된 의류의 인출이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측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동작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200)은 하우징(210) 및 수납판(2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 내벽에는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11)은 전방이 개방되어 후술될 수납판(220)이 전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211)은 상기 하우징(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211)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수납판(22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기존 옷장 내에 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안내홈(211) 중 일측에 위치한 안내홈(211)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파형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판(220)은 상기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어 상면에 의류가 보관 및 진열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상기 안내홈(211)을 따라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판(22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양측이 상기 안내홈(211)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판(220)의 전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손잡이공(221)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수납판(22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파형홈(212)과 대응되도록 파형편(22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판(220)의 타측에는 제1 탄성체(222)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체(222)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211) 중 타측에 위치한 안내홈(211)의 내벽에 밀착되는 가이드바(223)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판(220)은 상기 제1 탄성체(222)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파형편(220a)과 파형홈(212)의 볼록한 부분 및 오목한 부분이 서로 일치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납판(220)의 상면 중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턱(220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0b)은 상기 수납판(220)의 상면에 보관된 의류가 상기 수납판(220)의 이동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수납판(22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턱(220b)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삽입홈(220c)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20c)의 내측에는 제2 탄성체(224)가 결합된다.
상기 제2 탄성체(224)의 상단에는 걸림바(225)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바(225)는 상기 제2 탄성체(224)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거나,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홈(220c) 내에 인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220c)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관통된 인입홀(220d)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홀(220d)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부재(226)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226)는 하단이 상기 인입홀(220d)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이때, 상기 인입홀(220d)의 내벽에는 이동홈(220e)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226)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홈(220e)에 이동 가능하게 돌출된 이동턱(22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바(225)의 하면 중 상기 이동부재(226)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금속체(225a)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226)의 상단에는 자성체(226b)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바(225)가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226)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금속체(225a)와 자성체(226b)가 서로 자성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226)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바(225)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바(225)가 인입출 됨에 따라 상기 수납판(220)의 상면에 다양한 크기의 의류를 보관 및 진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에 따르면, 하우징에 수납판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납판에 수납된 의류의 인입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수납판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의류를 하나씩 보관하여 진열이 용이한 것은 물론, 의류의 구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110: 하우징
111: 안내홈 120: 수납판
121: 손잡이공

Claims (5)

  1. 전방이 개방되고, 양측 내벽에 전후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안내홈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착탈되는 수납판;을 포함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수납판이 복구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의 전방에는 손잡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의 후방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판의 상면에 수납된 의류가 상기 수납판의 전후 이동에 따라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판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바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탄성에 의해 각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KR1020210132470A 2021-10-06 2021-10-06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KR10255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70A KR102555816B1 (ko) 2021-10-06 2021-10-06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70A KR102555816B1 (ko) 2021-10-06 2021-10-06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83A true KR20230049383A (ko) 2023-04-13
KR102555816B1 KR102555816B1 (ko) 2023-07-14

Family

ID=8597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470A KR102555816B1 (ko) 2021-10-06 2021-10-06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12U (ko) 2007-05-03 2008-11-06 이희숙 분리형 선반이 장착되는 서랍식 의류 수납장
KR200461971Y1 (ko) 2012-05-29 2012-08-17 안은정 의류 수납장
KR200471575Y1 (ko) * 2013-11-13 2014-03-06 추중휴 의류 수납 장치
KR20160060977A (ko) 2014-11-21 2016-05-31 김윤교 의류 수납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12U (ko) 2007-05-03 2008-11-06 이희숙 분리형 선반이 장착되는 서랍식 의류 수납장
KR200461971Y1 (ko) 2012-05-29 2012-08-17 안은정 의류 수납장
KR200471575Y1 (ko) * 2013-11-13 2014-03-06 추중휴 의류 수납 장치
KR20160060977A (ko) 2014-11-21 2016-05-31 김윤교 의류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16B1 (ko)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366A (ko) 캐비닛
US11259634B1 (en) Foldable drawer storage device
US10172454B2 (en) Collecting clothes apparatus
KR20110089536A (ko) 냉장고
EP2826403A1 (en)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KR102555816B1 (ko)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KR20100105068A (ko) 슬라이더형 옷걸이가 구비된 옷장
KR200415144Y1 (ko) 슬림 수납함
KR101828795B1 (ko) 서랍의 레일조립장치
KR200457209Y1 (ko) 서랍장
KR20130005501U (ko) 수납 케이스
KR200475396Y1 (ko) 양방향 서랍장
KR101585495B1 (ko) 고정식 서랍이 구비된 붙박이장
KR101087747B1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200461971Y1 (ko) 의류 수납장
KR101325664B1 (ko) 측면 개방형 수납박스
KR20180010786A (ko)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KR20200002545U (ko) 물품 걸이장치
KR101800510B1 (ko) 수납장
CN213922017U (zh) 一种双重收纳筐
CN209956452U (zh) 一种组合式多功能纸巾盒
JP2019088523A (ja) 収納ケース
JP3099678U (ja)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CN212354718U (zh) 一种方便存取料的储料架
JP2772634B2 (ja) 隙間配置収納ケース用スライド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