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71Y1 - 의류 수납장 - Google Patents

의류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71Y1
KR200461971Y1 KR2020120004501U KR20120004501U KR200461971Y1 KR 200461971 Y1 KR200461971 Y1 KR 200461971Y1 KR 2020120004501 U KR2020120004501 U KR 2020120004501U KR 20120004501 U KR20120004501 U KR 20120004501U KR 200461971 Y1 KR200461971 Y1 KR 200461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storage case
guide
guide rail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정
Original Assignee
안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은정 filed Critical 안은정
Priority to KR2020120004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1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판을 수납 케이스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적층 장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류를 각각의 분리판에 의해 개별 분리된 상태로 적층 수납할 수 있어 의류의 구김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를 인출하거나 수납하는 경우,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해당 의류를 분리판과 함께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어 의류의 인출 및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수개 상하 적층되는 분리판의 상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의류를 모두 편리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수납장{Clothes Collecting Case}
본 고안은 의류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판을 수납 케이스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적층 장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류를 각각의 분리판에 의해 개별 분리된 상태로 적층 수납할 수 있어 의류의 구김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를 인출하거나 수납하는 경우,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해당 의류를 분리판과 함께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어 의류의 인출 및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수개 상하 적층되는 분리판의 상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의류를 모두 편리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집안에는 옷이나 이불 등을 수납하기 위해 옷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옷장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의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케이스 형태로 전면에 별도의 도어가 장착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옷장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되어 상부 공간에는 상면에 행거 등이 구비되어 의류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 공간에는 별도의 서랍 케이스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속옷이나 간단한 의류 등을 개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서랍 케이스 형태의 구조는 의류를 개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의류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의류 수납 공간의 확보를 위해 옷장 내부에 서랍 케이스가 더 많이 구비되기도 하며, 옷장과는 별도로 서랍 케이스만 적층 배치되는 형태의 의류 수납장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랍 케이스에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의류를 수납할 수 있지만, 서랍 케이스 내부에 옷을 접어서 적층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수납하기 때문에, 의류에 구김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서랍 케이스로부터 어느 하나의 의류를 꺼내고자 할 때, 해당 의류의 위 아래에 배치된 의류가 동시에 같이 인출되는 등 각각의 의류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의류를 꺼내거나 집어넣기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서랍 케이스에 의류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 장치 또는 의류 수납장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323988호에는 옷장 수납 공간 구조에 대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수납 공간에 별도의 수납 바구니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구성으로, 의류의 적층 수납시 여전히 각각의 의류를 분리 수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판을 수납 케이스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적층 장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류를 각각의 분리판에 의해 개별 분리된 상태로 적층 수납할 수 있어 의류의 구김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를 인출하거나 수납하는 경우,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해당 의류를 분리판과 함께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어 의류의 인출 및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류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리판이 안착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수개 상하 적층되는 분리판의 상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의류를 모두 편리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전방면이 개방된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 케이스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면에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배치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납 케이스에는 전방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 중간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상하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및 분리판은 상기 중간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의 상면에는 의류와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분리판을 수납 케이스 내부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적층 장착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류를 각각의 분리판에 의해 개별 분리된 상태로 적층 수납할 수 있어 의류의 구김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의류를 인출하거나 수납하는 경우,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해당 의류를 분리판과 함께 인출 또는 삽입할 수 있어 의류의 인출 및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판이 안착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다수개 상하 적층되는 분리판의 상호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의류를 모두 편리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확장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가이드 레일 및 분리판의 높이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확장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일반 옷장과는 달리 다수개의 의류(C)를 수직 적층하는 방식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구로서, 수납 케이스(100)와, 가이드 레일(200)과, 분리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전방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 케이스(100)는 일반 옷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안에서 비교적 좁은 공간에 배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수납 케이스(100)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개 적층 배치된다. 즉, 가이드 레일(200)은 수납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쌍을 이루며 좌우 대칭되는 배치 구조를 이루도록 장착되며, 다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적층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00)의 상면에 후술하는 분리판(300)이 안착 지지된다.
분리판(300)은 상면에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납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200)에 안착 지지되며,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수납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거나 또는 인출된다. 이러한 분리판(300)은 다수개 구비되어 각각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200)에 안착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다수개의 분리판(300)은 각각 서로 상하 이격된 상태로 적층 배치되며, 각각 가이드 레일(200)에 안착 지지되고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수납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이때, 분리판(300)의 상면에 각각 의류(C)를 안착 수납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류(C)가 각각의 분리판(300)에 의해 개별 분리된 상태로 적층 수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의류(C)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의류(C)가 안착된 분리판(300)을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수납 케이스(100)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C)와의 간섭없이 해당 의류만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의류(C)를 수납 케이스(100)에 넣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의류(C)를 분리판(300)에 안착시킨 상태로 분리판(300)과 함께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수납 케이스(100)에 삽입시킴으로써,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의류(C)와의 간섭없이 해당 의류만 독립적으로 삽입 수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의류(C)를 인출하거나 수납할 때, 의류(C)와 함께 분리판(300)을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류의 인출 및 수납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판(300)이 인출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단순히 격벽의 형태로 고정된 경우라면, 분리판과 별도로 의류만을 인출하거나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분리판(300) 사이 간격이 좁아 의류의 인출 및 삽입, 특히 삽입 작업이 매우 불편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분리판(300)이 의류와 함께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인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의류의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분리판(300)을 손에 잡고 인출하거나 삽입하더라도 분리판(300)과 함께 해당 의류(C)가 동시에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분리판(300)의 상면에는 의류(C)와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대로 분리판(300)의 하면에는 하층에 위치한 의류(C)와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테프론 코팅과 같은 별도의 코팅 작업을 통해 마찰력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00)과 분리판(300)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적층 배치되는데, 각 분리판(300)에 안착 수납되는 의류(C)는 그 종류에 따라 두께가 모두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의류(C)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분리판(300)의 상층에 인접하게 위치한 상층 분리판(300)을 분리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다수개 분리판(300) 중 특정 위치의 분리판(300)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제거하는 방식으로 의류 수납을 위한 다양한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수납 케이스(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 도어(11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납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의류의 수납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수납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 중간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상하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 격벽(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200) 및 분리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은 별도의 여유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공간에는 가방이나 모자 등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악세서리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의 가이드 레일 및 분리판의 높이 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위치의 분리판(300)을 분리 제거하는 방식으로 분리판(300)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두께의 의류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으나, 이는 분리판(300)의 높이를 직접 조절하는 것이 아니므로 간접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수납장은 분리판(300)을 분리 제거하는 간접적인 방식 이외에 분리판(300)의 장착 높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적인 높이 조절 방식을 제공하는데, 이는 분리판(300)이 안착 지지되는 가이드 레일(200)을 수납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분리판(3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0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되고, 수납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레일(200)의 가이드 돌기(210)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130)이 형성되며, 가이드 홈(130)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수평부(131)와, 상부 수평부(131)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수평부(132)와, 상부 수평부(131)와 하부 수평부(132)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가이드 레일(200)이 각각의 가이드 돌기(210)가 가이드 홈(130)의 하부 수평부(132)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최상층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200)에 대해 해당 가이드 돌기(210)가 가이드 홈(130)의 상부 수평부(131)에 삽입되도록 상향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200)의 위치를 가이드 돌기(210) 및 가이드 홈(130)의 구조를 통해 상하 변경시키게 되면, 가이드 레일(200)에 안착 지지된 분리판(300)의 상하 간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1 상태에서 X2 상태로 변경 조절된다.
즉, 가이드 레일(200)은 가이드 돌기(210)가 가이드 홈(130)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분리판(300)의 상호 이격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의류를 편리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납 케이스 110: 개폐 도어
120: 분리 격벽 130: 가이드 홈
131: 상부 수평부 132: 하부 수평부
133: 상하 연결부 200: 가이드 레일
210: 가이드 돌기 300: 분리판
310: 미끄럼 방지 돌기

Claims (5)

  1. 전방면이 개방된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 케이스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면에 의류를 안착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분리판
    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배치되고, 상기 분리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는 전방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 중간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상하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 및 분리판은 상기 중간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상면에는 의류와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수평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며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장.
KR2020120004501U 2012-05-29 2012-05-29 의류 수납장 KR200461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01U KR200461971Y1 (ko) 2012-05-29 2012-05-29 의류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501U KR200461971Y1 (ko) 2012-05-29 2012-05-29 의류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971Y1 true KR200461971Y1 (ko) 2012-08-17

Family

ID=5371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501U KR200461971Y1 (ko) 2012-05-29 2012-05-29 의류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280B1 (ko) * 2014-02-28 2015-05-29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시지각 놀이상자
KR20230049383A (ko) 2021-10-06 2023-04-13 하흥식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280B1 (ko) * 2014-02-28 2015-05-29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시지각 놀이상자
KR20230049383A (ko) 2021-10-06 2023-04-13 하흥식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33B1 (ko) 서랍장
KR200461971Y1 (ko) 의류 수납장
KR200463112Y1 (ko)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JP2012217852A (ja) 少なくとも1つのスライドドアを有する家具
KR200471575Y1 (ko) 의류 수납 장치
KR200457209Y1 (ko) 서랍장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CN208761118U (zh) 折叠收纳箱
CN211795255U (zh) 一种便于拿取物件的床头柜
CN208941275U (zh) 一种衣柜
CN214340946U (zh) 一种推拉门衣柜
KR102555816B1 (ko) 인출식 의류 전용 수납장
CN217117820U (zh) 一种多功能衣柜
CN208392006U (zh) 一种便携式mbr膜架
CN217658744U (zh) 抽拉式夹缝置物柜
JP3184534U (ja) 引出内着脱可能な複数の収納箱を持つ収納家具
CN212787921U (zh) 一种多功能文件柜
KR200450370Y1 (ko) 다목적 행거
CN214548325U (zh) 一种双人收纳柜
CN217805826U (zh) 一种金属制品配件的放置设备
KR200486255Y1 (ko) 인출 서랍
CN211354430U (zh) 一种内部可移动式储物衣柜
KR200493880Y1 (ko) 수납장치
CN209284541U (zh) 一种可调节储藏空间的衣柜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