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079B1 -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079B1
KR102367079B1 KR1020210142138A KR20210142138A KR102367079B1 KR 102367079 B1 KR102367079 B1 KR 102367079B1 KR 1020210142138 A KR1020210142138 A KR 1020210142138A KR 20210142138 A KR20210142138 A KR 20210142138A KR 102367079 B1 KR102367079 B1 KR 10236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ironing
unit
assembly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4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079B1/ko
Priority to PCT/KR2022/014574 priority patent/WO2023068586A1/en
Priority to US17/971,035 priority patent/US20230128707A1/en
Priority to CN202211294944.5A priority patent/CN11600543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06F75/16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the reservoir being heated to produce the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탱크;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조립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동화 로봇; 상기 자동화 로봇에 구비된 로봇 장착부에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와 함께 결합되며,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를 다리는 스팀 다림 조립체; 일단은 상기 스팀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 공급부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며, 스팀 공급 과정에서 상기 스팀 공급부 내에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는 물 회수부; 상기 물 회수부를 경유한 스팀을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물 회수부로부터 회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 탱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STEAM IRONING SYSTEM FOR VEHICLE SEAT COVER}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배출로 인한 시트 커버에 얼룩 발생이 방지되도록 미세 스팀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분사 조립체와, 수분 배출이 최소화되도록 발열 부재가 적용된 다림부를 갖는 스팀 다림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그 제작시 시트에 헤드레스트 및 각종 조절장치 등을 설치한 다음 시트 외주로 직물 또는 가죽 커버를 씌워 마무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직물 또는 가죽 커버에는 다량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주름제거 작업을 거치게 된다.
종래에는 시트 외주에 씌워진 직물 또는 가죽 커버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스팀 분사기를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를 따라 스팀을 분사시키며 다름질을 하여 주름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차량 시트의 주름을 제거하는 경우, 시트 외주에 씌워진 커버의 주름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못함은 물론 작업 효율도 떨어지고, 커버의 훼손으로 인한 시트의 불량률도 높았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까지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작업이 아닌 로봇을 통해 차량 시트에 발생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397호 (2006.05.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분 배출로 인한 시트 커버에 얼룩 발생이 방지되도록 미세 스팀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분사 조립체와, 수분 배출이 최소화되도록 발열 부재가 적용된 다림부를 갖는 스팀 다림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탱크;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조립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동화 로봇; 상기 자동화 로봇에 구비된 로봇 장착부에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와 함께 결합되며,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를 다리는 스팀 다림 조립체; 일단은 상기 스팀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 공급부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며, 스팀 공급 과정에서 상기 스팀 공급부 내에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는 물 회수부; 상기 물 회수부를 경유한 스팀을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물 회수부로부터 회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 탱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송풍부; 중공을 이루며,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 내에 마련된 히터부; 상기 연결 파이프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안내하는 스팀 토출 가이드부; 상기 연결 파이프와 스팀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로부터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로 이동되는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 공기를 분산시키는 배플; 및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배출하는 제1 스팀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 공급관은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히터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공기 이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히터부의 일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히터부의 타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 공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다림 조립체는, 복수의 스팀 분사공 및 상기 스팀 분사공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내부 통로가 형성된 복수의 배출 핀을 갖는 다림부; 및 상기 다림부에 내장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림부는, 제2 스팀 공급관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스팀 진입구를 갖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 핀이 형성되는 하부 다림판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다림판이 결합하면서 상기 다림부의 내부에는 스팀이 순환하는 스팀순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세라믹 히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다림판에 삽입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다림 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이 회수되는 물 회수구; 및 상기 물 회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을 상기 회수 탱크로 안내하는 물 회수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다림판의 내측 외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하는 물이 상기 물 회수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물 이동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핀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에는 스팀 분사 조립체와 스팀 다림 조립체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는 시트 커버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시트 커버에 형성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 분사 조립체는 내부에 히터부가 구비됨에 따라 제1 스팀 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은 히터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스팀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배출로 인한 시트 커버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다림 조립체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스팀 다림 기능과 발열을 이용한 히터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일반 천시트 뿐만 아니라 가죽 시트도 손상 없이 안전하게 다릴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 스팀 다림 조립체 및 물 회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림 조립체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림 조립체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일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타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다림판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a-a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b-b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c-c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 스팀 다림 조립체 및 물 회수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1000)은 스팀 탱크(100), 스팀 분사 조립체(200), 자동화 로봇(300), 스팀 공급부(400), 물 회수부(500) 및 스팀 다림 조립체(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팀 탱크(100)는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제공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팀 탱크(100)로부터 발생된 스팀은 스팀 공급부(400)를 통해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로봇(300)은 로봇 장착부(310)에 설치된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로봇 장착부(310)는 일측에 장착판(311)이 구비되어, 자동화 로봇(300)의 로봇 암(3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관절로 이루어진 로봇 암(320)에 결합된 로봇 장착부(310)는 로봇 암(320)의 작동을 통해 요구되는 다양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로봇 암(320)은 종국에 로봇 장착부(310)에 결합된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를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스팀 분사 조립체(200)는 로봇 장착부(3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팀 분사 조립체(200)는 차량 시트(미도시)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 시트에는 시트 커버가 감싸진 것으로, 시트 커버의 소재는 가죽일 수도 있고, 직물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팀 분사 조립체(200)는 차량 시트의 외측에 구비된 시트 커버로 미리 정해진 온도를 이루는 미세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시트 커버에 발생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팀 분사 조립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스팀 공급부(400)는 스팀 탱크(100)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팀 공급부(400)는 호스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전기 등의 열원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탱크(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스팀 탱크(100)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팀 탱크(100)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 공급부(400)를 통해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배출되는데, 해당 스팀이 스팀 공급부(4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압력 및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서 일부 물로 상태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즉,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이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경우, 차량용 시트에는 얼룩이 발생될 수 있고, 심할 경우 시트 표면이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도록 이루어진 물 회수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1000)에는 스팀 공급부(400)로 이동중인 스팀이 물로 상태변화가 이루어진 물을 다시 회수하도록 이루어진 물 회수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 회수부는 스팀 공급부(400)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물 회수부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스팀 공급부(400) 상에는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스팀에서 물로 상태변화가 이루어진 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만 있다면 물 회수부는 어떠한 구조로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물 회수부(500)를 통해 회수된 물은 물 회수관(530)을 통해 회수 탱크(710)를 거쳐 급수 탱크(7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부(400)에는 복수개의 물 회수부가 마련됨에 따라, 스팀과 함께 상변화가 이루어진 물이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를 통해 차량용 시트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1000)에는 스팀 공급부(400)의 전부측과 후부측에 물 회수부가 각각 구비된 형태를 예로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스팀 공급부(400)의 전부측에 마련된 물 회수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스팀 공급부(400)의 후부측에 구비된 물 회수부(500)에 대해서만 해당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팀 공급부(400)의 후부측에 구비된 물 회수부(500)는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는 구성으로, 해당 물 회수부(500)는 스팀 공급부(400)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물 회수부(500)는 하우징 본체(510), 내부배관(520) 및 물 회수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510)의 내벽면에는 둘레를 따라 환형의 차단벽(5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벽(512) 사이에 내부배관(5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510)의 내부 통로는 차단벽(512)에 의해 이동 통로(5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통로(513)에는 물 회수 유입구(511)가 분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배관(520)의 스팀 진입 방향 일측은 차단부(521)가 형성된 막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로(513) 측에 위치하는 내부배관(520)의 외측면에 스팀 진입공(5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 본체(5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팀 유입구를 통해 진입된 스팀은, 차단벽(512)에 의해 내부배관(520)을 통해서만 스팀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부배관(520)의 전방 막힘 구조로 인해 스팀은 차단부(521)를 우회하게 되며, 내부배관(520)의 외측면에 형성된 스팀 진입공(522)을 통해 내부배관(52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된 물은, 하우징 본체(510)의 차단벽(512) 및 내부배관(520)의 차단부(521)에 막혀 이동 통로(513)의 벽면을 타고 하부에 모아진 후, 물 자체 무게 및 내부 스팀 압력에 의해 물 회수 유입구(511) 및 물 회수관(530)을 거쳐 회수 탱크(710)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 본체(510)는 상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결합부(515)를 통해 로봇 장착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1000)은 물 회수부(500)를 통해 스팀 공급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자연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분사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팀 분사 조립체(200)는 케이싱(210), 송풍부(220), 연결 파이프(230), 히터부(240),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 및 제1 스팀 공급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싱(2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내부 공간에는 송풍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부(220)는 예를 들어 팬(fan)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210)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 유입부(211)가 결합되어 송풍부(220)의 작동시, 외부 공기 유입부(211)를 통해 케이싱(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케이싱(210)의 타측에 결합된 연결 파이프(23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공기 유입부(2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예를 들어, 먼지 및 이물질 등이 필터링된 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파이프(230)는 중공을 이루며, 케이싱(210)의 타측과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 파이프(230)는 케이싱(2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케이싱(2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 파이프(230)를 통해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부(240)는 연결 파이프(230) 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히터부(240)는 예를 들어 전기 등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체일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240)는 스팀 분사 조립체(200)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이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되는 스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히터부(240)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스팀 분사 조립체(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 스팀의 온도는 200 ~ 220℃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팀 분사 조립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 스팀의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시트 커버의 주름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스팀 분사 조립체(2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 스팀의 온도가 2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트 커버에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히터부(240)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공기 이동홀(24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 이동홀(241)은 히터부(24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며, 히터부(24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 이동홀(241)은 히터부(240)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히터부(240)의 타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 이동홀(241)의 일단부에는 제1 테이퍼링부(242)이 형성되고, 공기 이동홀(241)의 타단부에는 제2 테이퍼링부(24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테이퍼링부(242)와 제2 테이퍼링부(243)는 공기 이동홀(241)로부터 멀어질수록 공기 이동홀(241)보다 지름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싱(210) 내의 공기가 제1 테이퍼링부(242)에 의해 공기 이동홀(241)로 효과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공기 이동홀(241)로부터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로 배출되는 공기는 제2 테이퍼링부(243)에 의해 넓은 범위로 퍼지며 균일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공기 이동홀(241)은 케이싱(210)으로부터 연결 파이프(230)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해 요구되는 공기의 온도와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히터부(240)에는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공기 이동홀(241)이 형성됨에 따라 케이싱(210)으로부터 히터부(240)를 경유하여 연결 파이프(230)로 이동되는 공기는 히터부(240)에 의해 요구되는 공기 온도로 효과적으로 높여질 수 있다. 즉, 케이싱(210)으로부터 연결 파이프(230)로 공기가 이동됨에 있어, 공기 이동홀(241)을 경유하는 공기는 공기 이동홀(241)과 접촉 면적이 넓기에, 연결 파이프(230)로 배출되는 공기는 히터부(24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부(240)에는 공기 이동홀(241)이 마련됨에 따라, 요구되는 열풍 공기 압력 상태로 스팀 분사 조립체(200)가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송풍부(220)에 의해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로 배출되는 열풍 공기의 배출 압력은 제1 스팀 공급관(260)을 이동하여 배출되는 스팀의 배출 압력보다 더 크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스팀 공급관(260)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열풍 공기에 의해 차량 시트로부터 미리 떨어진 거리를 이루더라도 차량 시트로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차량 시트에 형성된 주름은 스팀 분사 조립체(20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 스팀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는 연결 파이프(230)와 결합된다. 이러한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는 송풍부(2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스팀 공급관(260)은 스팀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스팀 공급관(260)은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 스팀 공급관(260)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열풍 공기와 함께 차량 시트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스팀 공급관(260)은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의 내측에 구비되되,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스팀 공급관(260)은 히터부(240)를 경유하여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로 이동되는 열풍 공기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기에, 물 회수부(500)를 거쳐 제1 스팀 공급관(260)으로 이동된 스팀이 물로 상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팀 공급관(260)은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 내에서 나선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1 스팀 공급관(260)을 경유하는 스팀과 열풍 공기의 접촉 면적은 늘어나게 된다. 이에, 스팀의 가열 효과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종래에는 제1 스팀 공급관(260)으로 배출되는 스팀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물로 응결되어 해당 수분이 차량 시트로 분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시트 커버에는 얼룩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스팀 공급관(260)은 송풍부(220)와 히터부(240)로부터 제공되는 열풍 공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기에, 만약 제1 스팀 공급관(260) 내에 수분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수분은 열풍 공기에 의해 증발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스팀 공급관(260)을 통해서는 미세 스팀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차량 시트를 스팀 작업하는 과정에서 수분 배출로 인해 시트 커버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팀 분사 조립체(200)는 히터부(2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이루어진 배플(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플(270)은 연결 파이프(230)와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 사이에 구비되며, 연결 파이프(230)로부터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로 배출되는 열풍 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배플(270)은 스팀 토출 가이드부(25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균일한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스팀 분사 조립체(200)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 스팀과 열풍 공기는 시트 커버의 특정 부분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스팀 공급 제어부(미도시)는 물 회수부(500)를 경유한 스팀을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팀 공급 제어부는 스팀 분사 조립체(200)와 연결된 제1 스팀 공급관(26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와 연결된 제2 스팀 공급관(6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스팀 분사 조립체(200)를 이용하여 차량용 시트 커버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스팀 공급 제어부는 제1 스팀 공급관(260)은 개방시키고, 제2 스팀 공급관(660)은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물 회수부(500)로부터 수분 처리가 이루어진 스팀을 스팀 분사 조립체(2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달리, 작업자가 스팀 다림 조립체(600)를 통해 차량용 시트 커버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스팀 공급 제어부는 제1 스팀 공급관(260)은 폐쇄하고, 제2 스팀 공급관(660)은 개방되도록 하여, 물 회수부(500)로부터 수분 처리가 이루어진 스팀을 스팀 다림 조립체(6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팀 공급 제어부는 예를 들어, 제1 스팀 공급관(260)과 제2 스팀 공급관(66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림 조립체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다림 조립체의 타측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일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부의 타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다림부(610) 및 발열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스팀 다리미는 스팀이 다림부까지 전달되는 중 열손실로 인해 일부가 물로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분사되는 스팀 입자가 굵어지고 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한 스팀 다림 기능과 발열을 이용한 히터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일반 천시트 뿐만 아니라 가죽 시트도 손상 없이 안전하게 다릴 수 있다. 일반 천시트의 경우에는 고온 스팀을 통해 다리고, 가죽 시트의 경우에는 고온 스팀과 히터를 동시에 가동하여 다림으로써 가죽에 상처나 자국이 생기지 않게 다릴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고온 스팀이 다림부(610)까지 전달되는 중 발생되는 물을 대략 150℃ 정도로 유지되는 발열부재(620)로 가열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분사되는 스팀의 입자를 고운 형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분 발생으로 인해 시트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림부(610)는 상부커버(611) 및 하부 다림판(6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커버(611)는 하부 다림판(612)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하부 다림판(612)을 고정하며, 다림부(610)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통로 역할의 스팀 진입구(614)가 형성된다.
하부 다림판(612)은 하면이 평평한 금속재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커버(611)의 하부에 장착되며, 평평한 하면을 통해 차량용 시트 커버의 외면을 다림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다림판(612)은 복수의 스팀 분사공(616) 및 스팀 분사공(616)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내부 통로가 형성된 복수의 배출 핀(615)을 구비한다.
스팀순환공간은 스팀 진입구(614)를 통해 주입된 스팀이 저장 및 순환되는 장소 역할을 한다. 스팀순환공간에 주입되는 고온 스팀에 의해 하부 다림판(612)이 가열되어 스팀 다림질을 할 수 있게 된다. 하부 다림판(612)의 스팀 분사공(616)은 스팀순환공간에 주입된 스팀이 하부 다림판(612)의 하면으로 분사되어 스팀 다림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 핀(615)은 스팀 분사공(616)이 형성된 하부 다림판(612)에 구비되며, 상부커버(611)와의 사이에서 틈새를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스팀 분사공(616)과 복수의 배출 핀(615)은 하부 다림판(612)에 복수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 핀(615)의 상단에는 스팀의 내부 통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스팀 공급관(660)과 연통된 스팀 진입구(614)를 통해 다림부(610) 내로 주입된 고온 스팀은, 스팀순환공간에서 회류하다가 배출 핀(615)의 경사부, 배출 핀(615)과 상부커버(611) 사이의 틈새, 배출 핀(615)의 내부 통로 및 스팀 분사공(616)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다림판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a-a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b-b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c-c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물 회수구(631), 물 회수 연결관(632) 및 물 이동홈(6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이동홈(633)은 배출 핀(615) 형성 구역과 단차를 형성하면서, 배출 핀(615) 형성 구역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즉, 스팀 공급 과정에서 다림부(610) 내에서 발생된 물은, 배출 핀(615)에 막혀 튕겨 나가게 되고, 물 자체 무게 및 내부 스팀 압력에 의해 물 이동홈(633)을 따라 이동하며, 물 회수구(631) 및 물 회수 연결관(632)을 거쳐 물 회수관(530)으로 이동된 물은 회수 탱크(71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재(620)는 다림부(610)의 하부 다림판(612)에 삽입 내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부재(620)는 열선을 이루는 회로가 인쇄된 소결 세라믹 발열체와, 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라믹 발열체의 경우 그 주성분은 사암이며, 사암은 무수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 산화철(Fe2O3), 산화칼슘(CaO), 산화알칼리(K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망간(MnO), 무수린산(P2O5), 산화티탄바륨(BaTiO3)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 중에는 전기적으로 저항하는 도체의 성질을 띈 것이 있으므로 세라믹 발열체의 양면에서 전류를 흘리면 서로 도통하면서 그 때의 전기적 저항으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세라믹 발열체는 상온 발열체이며, 거의 일정한 수준의 온도를 유지하므로 과열로 인한 위험성이 매우 낮고 수명은 반영구적이다.
즉, 발열부재(620)는 회로가 세라믹 발열체의 내부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단선의 우려가 없고, 원하는 온도로 올리는 시간이 매우 짧아 발열지체시간을 현저히 줄여 전력 소비가 적게 된다.
이처럼, 발열부재(620)는 대략 150℃ 정도의 온도로 유지되어, 복사열에 의한 열전달로 하부 다림판(612)을 2차 가열하여 다림부(610) 내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팀 분사 시 물이 함께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하부 다림판(612)에 설치되어 하부 다림판(61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부(640)는 하부 다림판(612)의 중앙부, 즉, 발열부재(6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다림판(612)의 온도를 감지하여 사용자 인식이 가능하도록 다림부(610)의 외면 점멸부 또는 별도의 장치에 온도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온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부(640)는 고온에서도 내구력이 보장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 범위는 상온부터 고온의 스팀 및 발열부재(620)의 온도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스팀 다림 조립체(600)는 탄성 롤링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롤링부(650)는 로봇 장착부(310)와 다림부(610) 사이에 구비되며, 로봇 장착부(310)와 다림부(610)의 양 방향 롤링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즉, 탄성 롤링부(650)는 다림부(610)가 시트 커버에 밀착된 상태로 다림질을 할 때, 자동화 로봇(300)에 의해 가해지는 강한 외력을 완충하여 이런 강한 외력에 의한 시트 커버의 손상을 방지시키고, 시트의 굴곡진 부분도 부드럽게 다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탄성 롤링부(650)는 로봇 장착부와 다림부(610)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1 판부재와 제2 판부재가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다림부(610)의 시트 커버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1000)에는 스팀 분사 조립체(200)와 스팀 다림 조립체(600)가 함께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는 시트 커버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스팀 분사 조립체(200)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6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시트 커버에 형성된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팀 탱크 200: 스팀 분사 조립체
210: 케이싱 211: 외부 공기 유입부
220: 송풍부 230: 연결 파이프
240: 히터부 241: 공기 이동홀
242: 제1 테이퍼링부 243: 제2 테이퍼링부
250: 스팀 토출 가이드부 260: 제1 스팀 공급관
270: 배플 300: 자동화 로봇
310: 로봇 장착부 311: 장착판
320: 로봇 암 400: 스팀 공급부
500: 물 회수부 510: 하우징 본체
511: 물 회수 유입구 512: 차단벽
513: 이동 통로 515: 고정 결합부
520: 내부배관 521: 차단부
522: 스팀 진입공 530: 물 회수관
600: 스팀 다림 조립체 610: 다림부
611: 상부커버 612: 하부 다림판
614: 스팀 진입구 615: 배출 핀
616: 스팀 분사공 620: 발열부재
631: 물 회수구 632: 물 회수 연결관
633: 물 이동홈 640: 온도 센서부
650: 탄성 롤링부 660: 제2 스팀 공급관
710: 회수 탱크 720: 급수 탱크
1000: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Claims (7)

  1.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탱크;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룬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 조립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동화 로봇;
    상기 자동화 로봇에 구비된 로봇 장착부에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와 함께 결합되며, 상기 스팀 탱크로부터 발생된 스팀을 제공받으며 차량 시트를 다리는 스팀 다림 조립체;
    일단은 상기 스팀 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상기 스팀 공급부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며, 스팀 공급 과정에서 상기 스팀 공급부 내에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는 물 회수부;
    상기 물 회수부를 경유한 스팀을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 또는 스팀 다림 조립체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물 회수부로부터 회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회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분사 조립체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구비되는 송풍부; 중공을 이루며, 상기 케이싱에 결합된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 내에 마련된 히터부; 상기 연결 파이프와 결합되며, 상기 송풍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을 안내하는 스팀 토출 가이드부; 상기 연결 파이프와 스팀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로부터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로 이동되는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 공기를 분산시키는 배플; 및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배출하는 제1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 공급관은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스팀 토출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히터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공기 이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 이동홀을 통해 상기 히터부의 일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히터부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팀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된 열풍 공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차량 시트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다림 조립체는,
    복수의 스팀 분사공 및 상기 스팀 분사공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내부 통로가 형성된 복수의 배출 핀을 갖는 다림부; 및
    상기 다림부에 내장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림부는,
    제2 스팀 공급관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스팀 진입구를 갖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 핀이 형성되는 하부 다림판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 다림판이 결합하면서 상기 다림부의 내부에는 스팀이 순환하는 스팀순환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세라믹 히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다림판에 삽입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다림 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이 회수되는 물 회수구; 및 상기 물 회수구에 연결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되는 물을 상기 회수 탱크로 안내하는 물 회수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다림판의 내측 외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다림부 내에서 발생하는 물이 상기 물 회수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물 이동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핀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KR1020210142138A 2021-10-22 2021-10-22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KR10236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38A KR102367079B1 (ko) 2021-10-22 2021-10-22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PCT/KR2022/014574 WO2023068586A1 (en) 2021-10-22 2022-09-28 Steam ironing system for vehicle seat cover
US17/971,035 US20230128707A1 (en) 2021-10-22 2022-10-21 Steam ironing system for vehicle seat cover
CN202211294944.5A CN116005434A (zh) 2021-10-22 2022-10-21 用于车辆座椅罩的蒸汽熨烫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38A KR102367079B1 (ko) 2021-10-22 2021-10-22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079B1 true KR102367079B1 (ko) 2022-02-25

Family

ID=8049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138A KR102367079B1 (ko) 2021-10-22 2021-10-22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28707A1 (ko)
KR (1) KR102367079B1 (ko)
CN (1) CN116005434A (ko)
WO (1) WO20230685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7376A (zh) * 2022-04-09 2022-07-12 丸三浩联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双工位座椅套吹烫机
WO2023068586A1 (en) * 2021-10-22 2023-04-27 Hanul System Co., Ltd. Steam ironing system for vehicle seat cover
KR102668209B1 (ko) 2024-03-11 2024-05-23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시트의 주름 품질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827A1 (en) * 2001-01-24 2002-07-25 Carlo Rosa Ironing board with steam recovery system
KR200417397Y1 (ko) 2006-03-02 2006-05-26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 시트의 주름제거장치
US20170268160A1 (en) * 2014-08-26 2017-09-21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iron
KR102266172B1 (ko) * 2020-12-29 2021-06-17 주식회사 세종시스템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9B1 (ko) * 2015-03-16 2015-08-06 안채렬 자동차 시트커버 다림질용 다리미
KR102255019B1 (ko) * 2020-11-25 2021-05-24 주식회사 세종시스템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장치
KR102367079B1 (ko) * 2021-10-22 2022-02-25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827A1 (en) * 2001-01-24 2002-07-25 Carlo Rosa Ironing board with steam recovery system
KR200417397Y1 (ko) 2006-03-02 2006-05-26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 시트의 주름제거장치
US20170268160A1 (en) * 2014-08-26 2017-09-21 Koninklijke Philips N.V. Steam iron
KR102266172B1 (ko) * 2020-12-29 2021-06-17 주식회사 세종시스템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586A1 (en) * 2021-10-22 2023-04-27 Hanul System Co., Ltd. Steam ironing system for vehicle seat cover
CN114737376A (zh) * 2022-04-09 2022-07-12 丸三浩联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双工位座椅套吹烫机
CN114737376B (zh) * 2022-04-09 2022-12-09 丸三浩联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双工位座椅套吹烫机
KR102668209B1 (ko) 2024-03-11 2024-05-23 주식회사 한울시스템 시트의 주름 품질 확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28707A1 (en) 2023-04-27
CN116005434A (zh) 2023-04-25
WO2023068586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079B1 (ko)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시스템
US469848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meals
EP2703541B1 (en) Laundr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EP2703542B1 (en)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140007450A1 (en) Dryer
KR20080062618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529190A (ja) 衣類処理装置
CN111607945A (zh) 干衣机
KR101156762B1 (ko) 스탠드형 스팀 다리미
JP4762975B2 (ja) 蒸気流において渦を得る渦発生手段を有する蒸気アイロン装置
CN113201899B (zh) 衣物处理设备
CN113152025B (zh) 桶体组件和衣物处理设备
KR102408693B1 (ko)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장치
KR102367078B1 (ko) 차량 시트용 스팀다림장치
EP2883992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62337B1 (ko) 세탁기의 스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4380A (ko) 열풍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JP4333790B2 (ja) 手乾燥装置
JP2911784B2 (ja) 食器洗浄機
CN216838669U (zh) 便携式带吹风的熨烫装置
JP2009514207A (ja) 廃棄ガス誘導装置
KR20100102826A (ko) 비데 장치
JPH06133927A (ja) 内視鏡
JP2018114013A (ja) 浴用ミスト装置
KR102261859B1 (ko) 급속 다림 및 급속 냉각 기능을 갖는 안전 다리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