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618A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618A
KR20080062618A KR1020060138625A KR20060138625A KR20080062618A KR 20080062618 A KR20080062618 A KR 20080062618A KR 1020060138625 A KR1020060138625 A KR 1020060138625A KR 20060138625 A KR20060138625 A KR 20060138625A KR 20080062618 A KR20080062618 A KR 2008006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y air
clothes
steam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360B1 (ko
Inventor
홍석기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360B1/ko
Priority to US11/965,047 priority patent/US20080155758A1/en
Priority to PCT/KR2007/006999 priority patent/WO2008082228A1/en
Priority to EP07860776.9A priority patent/EP2118360B1/en
Priority to CN200780051871A priority patent/CN101627157A/zh
Publication of KR2008006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2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스팀 공급 장치 또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 의류 처리 공간, 스팀 공급 장치, 건조공기 공급 장치, 보관단계, 습도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공기 공급장치 및 스팀 공급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의류 처리 장치 110: 외부 케이스
120: 내부 케이스 130: 습도 센서
131: 타이머 140: 스팀 공급 장치
150: 건조 공기 공급 장치 160: 하부 케이스
170: 제어부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 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과 냄새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는, 먼저 케이스 내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하고, 그 후에 건조 공기를 케이스 내에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킨다. 따라서,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세탁 횟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의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재생시 스팀과 열풍을 사용하는 데, 케이스에 구비된 도어를 사용자가 임의로 열게 되면 고온의 스팀과 열풍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운전시 도어의 임의 개폐가 방지됨으로써, 스팀과 열풍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 처리 장치의 운전시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스팀 또는 열풍이 제한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에 수시로 의류를 넣거나 빼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스팀 공급 장치 또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와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공급 장치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시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시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잠그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와;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로 고온의 건조공 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단계와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케이스에 잠그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단계의 종료시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에 저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가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단계의 이전에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예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가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킬 수 있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공기 공급장치 및 스팀 공급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외부 케이스(110)와, 외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의류 처리 공간(125)을 한정하는 내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111)가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출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도어(112)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에 상부와 하부가 힌지 연결된다.
상기 도어(112)와 외부 케이스(110)에는, 상기 도어(112)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113)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센서(113)는, 상기 도어(112)의 배면부에 형성된 제 1 접점(113a)과, 상기 제 1 접점(113a)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 2 접점(113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점(113a)과 제 2 접점(113b)에는 양극과 음극의 전원이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 접점(113a)(113b)을 통과하는 전류의 유무에 따라 상기 도어(112)의 열림과 닫힘이 감지된다. 하지만, 상기 개폐센서(113)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12)와 외부 케이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착탈 부위에 배치된 접촉 스위치나, 상기 도어(112)의 위치 좌표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2)와 외부 케이스(110)에는, 상기 도어(112)의 닫힘시 도어(112)의 동작을 제한하는 잠금장치(114)가 배치된다. 상기 잠금장치(114)는, 상기 도어(112)의 배면부에 형성된 도어 래치(114a)와, 상기 도어 래치(114a)와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도어 스위치(114b)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래치(114a)는 상기 도어(112)의 닫힘시 도어 스위치(114b) 내에 삽입된다. 상기 도어 스위치(114b)는, 상기 도어 래치(114a)의 삽입시 소정 크기로 걸림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114a)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래치(114a)를 잡아주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는 상기 잠금장치(114)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2)와 외부 케이스(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15)를 갖는 컨트롤 패널(116)이 배치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12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110)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양측면부(121)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122)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부(123)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배 면을 형성하는 배면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양측면부(121)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행어(Hanger)(126)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다. 상기 상면부(122)의 후방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의 공기 또는 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27)가 형성된다. 상기 배면부(124)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와의 사이에 응축실(129)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면부(124)의 하부에는 상기 응축실(129)의 공기가 의류 처리 공간(125)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실(129)은 상기 공기 배출구(122a)를 통해 유입된 습공기가 하강하면서 응축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응축실(129)의 상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127)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응축실(129)의 하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128)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공기 배출구(1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 공기 또는 습공기이다. 그런데, 상기 공기 배출구(127)를 통해 응축실(129)로 습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습공기는 외부 케이스(110)를 열교환 매체로 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습공기와의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도록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는 스팀 공급 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는 스팀을 발생시켜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에 수납된 의류는, 상기 스팀에 의해 구김이 제거되거나 오염물의 입자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41)와, 상기 물탱크(141)에서 일정 수위까지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스팀 하우징(142)과, 상기 스팀 하우징(142)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용 히터(143)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141)와 스팀 하우징(142) 사이에는 물을 공급하는 소정의 공급 유로(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용 히터(143)는 상기 스팀 하우징(142)의 하부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데, 상기 스팀 하우징(142)에 저장된 물에 열을 가하여 스팀을 발생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는, 상기 응축실(129)의 공기 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를 생성한 후 상기 건조 공기를 의류 처리 공간(125) 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실(129)의 공기가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의 내부에 흡입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즉,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는, 상기 공기 유입구(128)와 의류 처리 공간(125)의 사이에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건조 하우징(151)과, 상기 건조 하우징(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28)를 통해 응축실(129)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토출하는 송풍팬(152)과, 상기 송풍 팬(152)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125)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용 히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 하우징(151)은, 상기 송풍팬(152)과 건조용 히터가 내장된 덕트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건조 하우징(151)의 일단은 상기 공기 유입구(128)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건조 하우징(151)의 타측은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배치된다. 상기 건조 하우징(151)의 타측에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건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53)가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 등이 내부에 배치되는 하부 케이스(16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물탱크(141)는 하부 케이스(160)의 상부에 형성된 공급 탱크 결합부(16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141) 내에 저장된 물이 소모되면, 상기 공급 탱크 결합부(161)에서 물탱크(141)가 용이하게 이탈되어 상기 물탱크(141)의 재급수가 간편하게 실시된다. 하지만, 상기 물탱크(141)는 외부의 물 공급 배관(미도시)에 연결되어 밸브(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 전면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와 응축실(129)에서 생성된 응축수 및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에 잔류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 탱크(162)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배수 탱크(162)는, 상기 응축수와 잔수가 회수되어 저장된 저장부(163)와, 상기 내부 케이스(120)와 응축실(129) 및 스팀 공급 장치(140)에서 상기 저장부(163)로 응축수와 잔 수를 안내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탱크(162)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하부 전면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면에 사용자가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는 파지홀(1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63)의 물 수집량이 포화 상태에 도달되거나, 소정 시간 동안 저장부(163) 내의 물이 방치되면, 상기 파지홀(162)을 이용하여 배수 탱크(162)의 저장부(163)에 저장된 잔수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의 제어방법은, 스팀 공급 장치(140)를 작동시켜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S)와,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를 작동시켜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D)를 포함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스팀단계(S)에서는,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의 행어(126)에 걸린 의류들이 재생된다. 즉,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의 스팀 하우징(142) 내에 물탱크 (141)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스팀 하우징(142) 내의 물이 스팀용 히터(14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상 변형되고, 상기 스팀은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에 의해 의류들의 오염물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의류들의 구김이 펴지게 된다.
건조단계(D)에서는, 상기 스팀단계(S)의 종료시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건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의 행어(126)에 걸린 의류들이 건조된다. 즉,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의 송풍팬(152)이 작동되면, 공기 유입구(128)를 통해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건조한 공기는 건조용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되며, 상기 건조 하우징(151)의 토출구(153)를 통해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의 습공기는 내부 케이스(120)의 공기 배출구(127)를 통해 응축실(129)로 배출되고, 상기 습공기는 응축실(129)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된 건조한 공기는 공기 유입구(128)를 통해 건조 하우징(151)의 내부로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와 응축실(129)을 순환하는 건조 공기에 의해 의류들의 습기가 제거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팀단계(S)와 건조단계(D)에서는, 사용자가 도어(112)를 열어 화상을 입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70)가 잠금장치(114)를 작동시켜 도어(112)를 외부 케이스(110)에 잠그게 된다. 즉, 상기 스팀단계(S) 또는 건조단계(D)가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잠금장치(114)의 도어 스위치(114a)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 스위치(114a)의 내부에 삽입된 도어 래치(114b)를 잡아주게 된 다. 따라서, 상기 도어(112)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전면에 닫힌 상태로 상기 잠금장치(114)에 의해 잠금된다.
왜냐하면, 상기 스팀단계(S)에서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 내에 고온의 습공기가 채워져 상기 습공기의 잠열로 인해 화상의 위험이 높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단계(D)의 초기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에 제거되지 않은 고온의 습공기가 채워져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건조공기로 인해 더욱 가열되어 상기 습공기의 잠열로 인한 화상의 위험이 더욱 증가된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D)의 후기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 내의 습기가 거의 제거되었으나, 고온의 건조공기로 인해 매우 높게 가열된 상태이므로, 상기 건공기의 현열에 의해서도 화상의 위험이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단계(S)와 건조단계(D)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 잠금장치(114)에 의해 도어(112)의 개방이 방지되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도 5에는 스팀단계(S)와 건조단계(D)에서 도어(112)의 잠금 방법 중 일예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개폐장치(113)에 의해 도어(112)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스팀 공급 장치(140)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의 작동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S1,S2,S3,S4)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 또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스팀단계(S) 또는 건조단계(D)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잠금장치(114)를 작동시켜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전면에 닫힌 상태로 도어(112)를 잠그게 된다.(S5)
반면에, 상기 스팀 공급 장치(140)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가 모두 정상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스팀단계(S)와 건조단계(D)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상기 잠금장치(114)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도어(112)의 잠금 상태를 풀어준다.(S6)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단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서 전술한 일실시예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의류 처리 장치(1)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스팀단계(S)의 이전에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를 작동시켜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일정 시간 공급하는 예열단계(P)와, 건조단계(D)의 종료시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125)의 내부에 저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단계(C)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예열단계(P)와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개폐센서(113)가 도어(112)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0,S11,S13) 반면에, 상기 예열단계(P)와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개폐센서(113)에 의해 도어(112)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S10,S11,S12)
즉, 상기 예열단계(P)와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도어(112)를 열고 닫음에 따라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가 정지되거나 재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2)의 개폐시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의 건조공기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내부 공기가 낮은 온도의 현열만을 갖기 때문에, 스팀단계(S)나 건조단계(D)와 달리 화상의 위험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단계(S)나 건조단계(D)와 달리 도어(112)의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예열단계(P)와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의류 처리 공간(125) 내에 수시로 의류를 더 넣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예열단계(P) 및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개폐센서(113)에 의해 도어(112)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조작부(115)의 조작을 통해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를 재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예열단계(P) 및 냉각단계(C)에서는 상기 도어(112)의 닫힘시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가 자동적으로 재작동 될 수도 있지만,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150)가 사용자의 시작명령을 입력받는 수동 조작에 의해서 재작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스팀단계와 건조단계에서 도어의 임의 개폐가 방지됨으로써, 스팀과 열풍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의류 처리 장치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예열단계와 냉각단계에서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건조공기 공급 장치 또는 스팀 공급 장치의 정지와 재작동이 반복됨으로써,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에 수시로 의류를 교환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스팀 공급 장치 또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공급 장치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시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와;
    상기 스팀 공급 장치와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시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잠그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일측에 의류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갖고 의류가 수납되는 의류 처리 공간을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 장치와, 상기 의류 처리 공간 내에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기 공급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와, 상기 케이스에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단계와;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작동시켜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로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단계와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도어를 케이스에 잠그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건조단계의 종료시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에 저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가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단계의 이전에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의해 의류 처리 공간의 내부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예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가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센서에 의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건조공기 공급 장치를 재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138625A 2006-12-29 2006-12-29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8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625A KR101318360B1 (ko) 2006-12-29 2006-12-29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65,047 US20080155758A1 (en) 2006-12-29 2007-12-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07/006999 WO2008082228A1 (en) 2006-12-29 2007-12-29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7860776.9A EP2118360B1 (en) 2006-12-29 2007-12-29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0780051871A CN101627157A (zh) 2006-12-29 2007-12-29 衣物处理设备及用于控制该衣物处理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625A KR101318360B1 (ko) 2006-12-29 2006-12-29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618A true KR20080062618A (ko) 2008-07-03
KR101318360B1 KR101318360B1 (ko) 2013-10-15

Family

ID=3958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625A KR101318360B1 (ko) 2006-12-29 2006-12-29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55758A1 (ko)
EP (1) EP2118360B1 (ko)
KR (1) KR101318360B1 (ko)
CN (1) CN101627157A (ko)
WO (1) WO200808222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2339B2 (en) 2007-08-03 2012-03-13 Lg Electronics Inc.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318359B1 (ko) * 2006-12-29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24351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서의 공기 순환 방법
KR102132400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제어방법
KR20220152624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0185B4 (de) * 2000-06-20 2005-06-09 Dynat Verschlußtechnik GmbH Fluiddichter Reißverschluß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KR101467776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310564B1 (en) * 2008-07-14 2017-05-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542375B1 (ko) * 2008-07-14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3376750B (zh) * 2012-04-23 2015-08-26 海尔集团公司 门开关控制电路及使用其的干衣机
CN104372572A (zh) * 2014-10-31 2015-02-25 吴中区光福金怡五金配件厂 一种洗衣机机门安全装置
CN105755782B (zh) * 2014-12-19 2019-07-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燥过程控制方法及洗干一体机、干衣机
WO2016108792A1 (en) 2014-12-30 2016-07-07 Arc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dryer
CN105710755A (zh) * 2016-03-08 2016-06-29 李良学 建筑装饰板抛光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733575A (zh) * 2019-03-05 2020-10-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装置的控制方法及干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484A (en) * 1988-01-13 1994-04-26 J.S.F. Holdings (Cork) Limited Clothes steaming and drying cabinet
US5246023A (en) * 1990-04-24 1993-09-21 Electronic Controls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lean and cleanliness test printed circuit boards
KR0144268B1 (ko) * 1994-12-21 1998-10-01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도어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US5815961A (en) *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JP3899582B2 (ja) * 1997-03-31 2007-03-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ンドリー機器の制御装置
KR100725788B1 (ko) * 2001-02-16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E60216640D1 (de) * 2002-03-01 2007-01-18 Ayla Cev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lbständigen glätten
KR20050059677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5223B1 (ko) * 2004-11-29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61974A (ko) * 2004-12-02 200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구김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653913B1 (ko) * 2005-08-08 2006-12-0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의 안전락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59B1 (ko) * 2006-12-29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US8132339B2 (en) 2007-08-03 2012-03-13 Lg Electronics Inc. Cloth treating apparatus
DE102008035377B4 (de) * 2007-08-03 2017-02-16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KR20180124351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서의 공기 순환 방법
KR102132400B1 (ko) * 2019-04-22 2020-07-0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제어방법
KR20220152624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8360B1 (en) 2016-12-21
WO2008082228A1 (en) 2008-07-10
CN101627157A (zh) 2010-01-13
EP2118360A4 (en) 2013-11-20
US20080155758A1 (en) 2008-07-03
EP2118360A1 (en) 2009-11-18
KR101318360B1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360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18359B1 (ko)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1328920B1 (ko) 건조기
KR101218465B1 (ko) 의류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83978B2 (ja) 洗濯機
KR100964695B1 (ko) 건조기
KR101276819B1 (ko) 건조기
US20070227030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52693A (ko) 건조기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US2008014849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abric processing apparatus
KR101291276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280379B1 (ko)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650342B1 (ko)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H10156096A (ja) 洗濯物の乾燥装置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110534B1 (ko)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934660B1 (ko) 건조기
KR101362784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02887B2 (ja) 衣類乾燥機
KR20070092892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WO2021246115A1 (ja) 洗濯機
KR101280380B1 (ko) 의류 처리 장치
TW201217605A (en)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blowing warm wind to allow warm wind to touch clothes so as to restrain the condition of non-uniform dr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