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826A -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826A
KR20100102826A KR1020090021084A KR20090021084A KR20100102826A KR 20100102826 A KR20100102826 A KR 20100102826A KR 1020090021084 A KR1020090021084 A KR 1020090021084A KR 20090021084 A KR20090021084 A KR 20090021084A KR 20100102826 A KR20100102826 A KR 2010010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drying
heating pipe
flow path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경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2826A/ko
Publication of KR201001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 후 국부를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비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노즐 어셈블리(32)와, 사용자의 국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100)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 장치(130), 상기 송풍 장치(130)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토출구로 안내하는 건조 덕트(120), 및 상기 건조 덕트(1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140)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장치(140)는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이용한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를 채용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물이 튀어 들어오거나 건조 덕트의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하여도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비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건조 장치, 송풍 장치, 건조 덕트, 가열 장치, 히팅 파이프

Description

비데 장치{BIDET APPARATUS}
본 발명은 용변 후에 생식기와 항문 주변 등의 국부를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 중앙부에서 적당한 온도를 지닌 온수가 분출되어 부드럽게 국부를 세척해주는 장치이다. 비데에는 물이 분사되어 국부를 세정하는 노즐 어셈블리와, 세정 후 국부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장치가 설치된다.
건조 장치는 건조 덕트, 송풍 장치 및 가열 장치를 구비한다. 송풍 장치는 건도 덕트를 통해 공기를 토출시키고, 가열 장치는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이 토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열 장치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열선을 이용하므로, 토출구를 통해 물이 튀어들어가거나 건조 덕트의 내면에 응결된 수분이 건조 덕트의 내면을 타고 흘러 가열 장치를 누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재 및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토출구로부터 물이 튀어 들어오거나 건조 덕트의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하여도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노즐 어셈블리와, 사용자의 국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 장치,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토출구로 안내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건조 덕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장치는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팅 파이프는 미세관이 복수 회 굴곡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팅 파이프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온수가 유로 전환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온수 공급관의 상류에 유로 전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 전환 밸브는, 건조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가 상기 히팅 파이프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로 전환 밸브는, 세척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의 일부가 상기 히팅 파이프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좌변기 상에 배치되는 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판의 내부에는 온수가 흐르는 물 호스가 설치되며, 상기 히팅 파이프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물 호스에 공급되는 온수가 유로 전환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 호스의 온수 공급관의 상류에 유로 전환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 전환 밸브는, 건조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히팅 파이프로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이용한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를 채용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물이 튀어 들어오거나 건조 덕트의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하여도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히팅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노즐 어셈블리 또는 좌판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사용하므로, 추가의 가열기를 설치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와 좌변기용 비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20)는 좌변기(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비데(20)는 본체(30), 좌판(40) 및 덮개(50)를 구비한다.
본체(30)의 내부에는 좌변기(1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노즐 어셈블리(32)가 설치된다. 노즐 어셈블리(32)는 항문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 노즐과 여성의 생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비데 노즐을 구비한다.
또한, 본체(30)의 내부에는 건조 장치(100)가 설치된다. 건조 장치(100)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후 국부에 남은 물기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바람이 나오는 토출구가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본체(30)에는 좌판(40)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좌판(40)을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다. 좌판(40)의 내부에는 온수가 흐르는 물 호스(42)를 설치하여 좌판(40)을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에는 덮개(5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좌변기(1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본체(30)의 일측에는 노즐 어셈블리(32)와 건조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60)가 설치된다. 조작부(60)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세정 버튼 또는 비데 버튼을 누르면, 세정 노즐 또는 비데 노즐이 좌변기(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수에 의한 국부 세척이 끝난 후 사용자가 건조 버튼을 누르면, 건조 장치(100)의 토출구로부터 바람이 불어나와 사용자의 국부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도 2는 상기의 건조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건조 장치(100)는 건조 덕트(120), 송풍 장치(130) 및 가열 장치(140)를 포함한다.
건조 덕트(120)는 송풍 장치(130)로부터 토출구 쪽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건조 덕트(120)는 상면이 개구된 하부 하우징(122)과 하면이 개구된 상부 하우징(124)을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122)과 상부 하우징(124)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덕트를 형성한다.
송풍 장치(130)는 건조 덕트(1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송풍 장치(130)는 케이스(132), 팬모터(134) 및 송풍팬(미도시)을 구비한다. 송풍팬은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며, 팬모터(134)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스(132)는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롤 형태를 갖는다.
가열 장치(140)는 건조 덕트(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송풍 장치(130)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 장치(140)는 내부에 온수가 흐를 수 있는 히팅 파이프(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히팅 파이프(142)는 건조 덕트(120)의 측면으로부터 도입되어, 건조 덕트(120)의 공기 유로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다시 건조 덕트(120)의 측면으로 도출된다. 히팅 파이프(142)는 건조 덕트(120)를 통해 흐르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미세관이 복수 회 굴곡하여 이루어진다. 히팅 파이프(142)는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 파이프(142)의 내부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흐른다. 따라서, 송풍 장치(130)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건조 덕트(120)를 통과하면서 히팅 파이프(142)와 접촉하여 가열된 후 토출구로 배출된다. 토출구로 배출된 따뜻한 공기는 사용자의 국부에 쏘아져 사용자의 국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는 물은 원수를 직접 순간 온수 가열기로 가열하여 공급하거나, 또는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수가 온수 가열기(34)에 의해 가열되고, 이 가열된 온수는 유로 전환 밸브(150)에 의해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거나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국부를 세척하기 위해 조작부(60)를 통해 세정 또는 비데 기능을 선택하면, 온수 가열기(34)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150)가 제어된다. 따라서,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온수는 세정 노즐 또는 비데 노즐을 통해 사용자의 국부에 쏘아져 사용자의 국부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세척이 끝난 후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선택하면, 온수 가열기(34)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150)가 제어된다. 따라서, 온수가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고, 히팅 파이프(142)는 그 내부를 순환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건조 덕트(120)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팅 파이프(142)에 접촉하면서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따뜻한 바람이 되어 토출구로 배출되고, 사용자의 국부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유로 전환 밸브(150)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부(60)의 세정/비데 기능 또는 건조 기능과 연계하여 전환 작동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세정/비데 기능을 선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가 공급되고,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선택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기가 차단되게 하여, 밸브 전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히팅 파이프(142)의 예열을 위해 세정/비데 기능 수행시 온수가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동시에 히팅 파이프(142)에도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세정/비데 기능 수행시 온수가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면 히팅 파이프(142)가 예열되어,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선택하는 즉시 더운 공기의 분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건조 공기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이용한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142)를 채용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물이 튀어 들어오거나 건조 덕트(120)의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하여도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안전하게 비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히팅 파이프(142)의 내부를 흐르는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의 가열기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하게 유로 전환 밸브(150)만 설치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한편,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는 온수로서, 좌판(40)의 물 호스(42)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물 호스(42)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원수가 온수 가열기(44)에 의해 가열되고, 이 가열된 온수가 유로 전환 밸브(160)에 의해 물 호스(42)에 공급되거나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에는 물 호스(42)에 온수가 공급되어 좌판(40)이 따뜻하게 유지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세척한 후 건조 기능을 선택하면, 물 호스(42)에 공급되던 온수는 전부나 일부가 건조 장치(100)의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유로 전환 밸브(160)가 제어된다. 따라서, 온수가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고, 건조 덕트(120)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팅 파이프(142)에 접촉하면서 고온의 열을 전달받아 따뜻한 바람이 되어 토출구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히팅 파이프(142)의 내부를 흐르는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좌판(40)의 물 호스(42)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사용하면, 추가의 가열기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하게 유로 전환 밸브만 설치하여 구현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와 좌변기용 비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히팅 파이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물 호스에 공급되는 온수를 유로 전환하여 히팅 파이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건조 장치 120 건조 덕트
130 송풍 장치 140 가열 장치
142 히팅 파이프 150, 160 유로 전환 밸브

Claims (7)

  1.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노즐 어셈블리(32)와,
    사용자의 국부에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100)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 장치(100)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 장치(130), 상기 송풍 장치(130)에 의해 발생된 공기를 토출구로 안내하는 건조 덕트(120), 및 상기 건조 덕트(12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140)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 장치(140)는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히팅 파이프(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파이프(142)는 미세관이 복수 회 굴곡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32)에 공급되는 온수가 유로 전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32)의 온수 공급관의 상류에 유로 전환 밸브(150)가 설 치되고,
    상기 유로 전환 밸브(150)는, 건조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가 상기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밸브(150)는, 세척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의 일부가 상기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좌변기(10) 상에 배치되는 좌판(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판(40)의 내부에는 온수가 흐르는 물 호스(42)가 설치되며,
    상기 히팅 파이프(142)에 공급되는 온수는 상기 물 호스(42)에 공급되는 온수가 유로 전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물 호스(42)의 온수 공급관의 상류에 유로 전환 밸브(160)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 전환 밸브(160)는, 건조 동작이 이루어지는 때에 온수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히팅 파이프(142)로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KR1020090021084A 2009-03-12 2009-03-12 비데 장치 KR20100102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84A KR20100102826A (ko) 2009-03-12 2009-03-12 비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084A KR20100102826A (ko) 2009-03-12 2009-03-12 비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826A true KR20100102826A (ko) 2010-09-27

Family

ID=4300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084A KR20100102826A (ko) 2009-03-12 2009-03-12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2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4992A (zh) * 2017-09-16 2018-01-19 魏正才 一种坐便器的喷水吹风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4992A (zh) * 2017-09-16 2018-01-19 魏正才 一种坐便器的喷水吹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8101B (zh) 除异味装置及具有该除异味装置的洗衣机
KR101215449B1 (ko) 세탁기
JP4197889B2 (ja) 浴用ミスト装置
CN106460379B (zh) 净身盆设备
EP2703542B1 (en)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703541B1 (en) Laundr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JP2006141986A (ja) スチーム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EP2873722A1 (en) Method for treating laundry and detergent used therein
KR20200143231A (ko) 위생 세정 장치
KR101576826B1 (ko) 비데 장치
CN103946440A (zh) 洗衣烘干机
CN106283482A (zh) 壁挂式双筒洗衣机
JP4779425B2 (ja) ミスト発生装置及びこのミスト発生装置を備えた浴室乾燥機
KR20100061939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00102826A (ko) 비데 장치
JP6150218B2 (ja) 衛生洗浄装置
KR20060120794A (ko) 식기 세척기의 증기 발산 억제 구조, 그 증기 발산 억제방법 및 상기 증기 발산 억제 구조에 이용되는 에어 커튼발생부
KR100762337B1 (ko) 세탁기의 스팀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159458B1 (en) Bidet having internal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drying inside of bidet
KR200310462Y1 (ko) 다중송풍구를 이용하는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KR20090130591A (ko) 좌변기용 비데
JP2007185221A (ja) 乾燥装置
JP2004232933A (ja) 浴室暖房装置
JP2003275273A (ja) 蒸気発生装置
KR200271556Y1 (ko) 비데용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