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91B1 - 쌀독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독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91B1
KR102365891B1 KR1020200084703A KR20200084703A KR102365891B1 KR 102365891 B1 KR102365891 B1 KR 102365891B1 KR 1020200084703 A KR1020200084703 A KR 1020200084703A KR 20200084703 A KR20200084703 A KR 20200084703A KR 102365891 B1 KR102365891 B1 KR 10236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drying
lacquer
r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820A (ko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102020008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4Colouring mat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적인 판장질 타렴 옹기 제작기법과 옻칠 기법을 융합하여 저장성과 방충 및 방열 효과가 뛰어난 쌀독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백토와 산청토 및 옹기토를 조합한 점토를 반죽하여 숙성시킨 후, 판장질 타렴으로 쌀독 몸체를 만드는 단계; 백상감토를 귀얄기법으로 상기 몸체의 표면에 칠하는 단계; 온도 15~20℃, 습도 60~80%인 그늘에서 20~30일 동안 상기 몸체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상기 몸체를 800~900℃에서 10~13시간 동안 초벌 소성하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 표면에 안료로 문양을 그려 넣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에 유약을 입히는 단계; 유약을 입힌 상기 몸체를 1200~1300℃에서 7~10시간 동안 재벌 소성하는 단계; 재벌 소성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골회칠을 하고,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골회칠된 부분을 건사포질하는 단계; 골회칠 및 건사포질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생옻으로 생칠하는 단계; 상기 생칠 위에 정제된 옻으로 2~5회 흑칠하되, 흑칠할 때마다 흑칠된 상기 몸체를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흑칠 및 건조가 완료된 상기 몸체를 100~300℃에서 0.5~5시간 동안 구워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쌀독 및 그 제조방법{Rice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옹기 쌀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통적인 판장질 타렴 옹기 제작기법과 옻칠 기법을 융합하여 저장성과 방충 및 방열 효과가 뛰어난 쌀독 및 그 쌀독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기는 신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흙으로 빚어 만든 토기로부터 기원하여, 삼국시대부터 우리 선조들이 유구한 세월 동안 조미료와 주식 및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되어 온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쌀독은 신석기시대 이후 쌀을 주식으로 하면서 보관의 중요성을 깨달으면서 생활의 필수적인 용기로 사용된 옹기를 말한다. 그 흔적은 경주 박물관 별관에 전시된 통일신라시대의 큰 독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두들겨서 만들어짐으로써 두들긴 도구의 빗살무늬가 있는 독은 곡물 저장용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남아있다.
최근 냉장기술의 발달로 이전에 비해 옹기를 쌀 저장 및 보관 용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줄어들고 있지만 그럼에도 옹기는 서민과 동고동락한 가장 전통적인 생활 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오랫동안 옹기는 투박한 빛깔과 불룩한 몸통, 그리고 흙으로 빚어 청자나 백자처럼 어느 한 곳 세련됐거나 우아한 맛이 없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최근 옛멋 찾기와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는 균형 있는 삶을 지향하는 분위기 속에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옹기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옹기는 잿물을 발라 굽기 때문에 빛깔이 맑거나 밝지 않지만 단단하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옹기가 숨을 쉼으로써 안과 밖의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 내부에 담긴 물과 음식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키며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옹기를 쌀독으로 사용하면 쌀을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옹기가 갖는 투박하고 밋밋한 외형과 숨을 쉰다는 특성만으로는 옛멋과 웰빙이 지향하는 수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9717호(선행기술1)에는 밀폐된 상태에서도 공기가 유통되도록 하여 용기 내에 보관된 쌀의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보관되는 쌀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황토쌀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유약처리 후 재벌구이하는 공정을 제외하고 1차 소성만 하여 쌀독을 제조함으로써 쌀독의 통기성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 1차 소성만 하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여 깨질 우려가 높고, 황토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이 쌀의 신선도 유지와 쌀벌레 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77960호(선행기술2)에는 쌀독의 상부와 하부에 별도의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 내부에 숯이나 천연물질 등을 수납함으로써 수용된 곡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며, 벌레 등의 생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기능 도자기 쌀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쌀을 도자기 형태의 용기에 담는다는 것 외에 게르마늄 소성분말이 코팅된 별도의 용기에 곡물의 신선도 유지 및 벌레 예방을 위한 별도의 물질을 수납하여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의 부가적 효과가 있을 뿐 옹기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 볼 수 없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2는 변경된 구조에 따라 쌀독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KR 10-1319717 B1 (2013.10.11) KR 10-0877960 B1 (2009.01.05) KR 10-2013-0098588 A (2013.09.05) KR 10-2019-0083742 A (2019.07.1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옹기형 쌀독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옹기의 고유한 장점인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뛰어난 심미감과 탁월한 방충효과를 갖는 새로운 쌀독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며,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양의 심미감으로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갖는 쌀독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반영구적으로 탁월한 방충 및 방열 효과를 갖는 쌀독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통적인 판장질 타렴 옹기 제작기법과 옻칠 기법을 융합하여 저장성과 방충 및 방열 효과가 뛰어난 쌀독 및 그 쌀독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백토와 산청토 및 옹기토를 조합한 점토를 반죽하여 숙성시킨 후, 판장질 타렴으로 쌀독 몸체를 만드는 단계; 백상감토를 귀얄기법으로 상기 몸체의 표면에 칠하는 단계; 온도 15~20℃, 습도 60~80%인 그늘에서 20~30일 동안 상기 몸체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상기 몸체를 800~900℃에서 10~13시간 동안 초벌 소성하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 표면에 안료로 문양을 그려 넣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에 유약을 입히는 단계; 유약을 입힌 상기 몸체를 1200~1300℃에서 7~10시간 동안 재벌 소성하는 단계; 재벌 소성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골회칠을 하고,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골회칠된 부분을 건사포질하는 단계; 골회칠 및 건사포질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생옻으로 생칠하는 단계; 상기 생칠 위에 정제된 옻으로 2~5회 흑칠하되, 흑칠할 때마다 흑칠된 상기 몸체를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흑칠 및 건조가 완료된 상기 몸체를 100~300℃에서 0.5~5시간 동안 구워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쌀독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며 반영구적으로 방열 및 방충효과가 뛰어나고,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양의 심미감으로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갖는 쌀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안료는 고화도 안료이고, 상기 유약은 장석유을 사용함으로써 재벌 소성 과정에서 더욱 내구성 강한 쌀독을 제공함과 아울러 쌀독의 표면에 그린 문양이 선명하면서도 깊은 색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물푸레 나무를 재단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 및 입구턱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쌀독 뚜껑을 만드는 단계; 황토분말에 물과 생옻을 섞어 상기 뚜껑의 밑면에 칠하는 단계; 상기 뚜껑의 밑면을 물사포질 하는 단계; 상기 뚜껑의 밑면에 생옻으로 생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칠 위에 정제된 옻으로 1~5회 흑칠하되, 흑칠할 때마다 흑칠된 상기 뚜껑을 온도 20~25℃, 습도 70~90% 하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쌀독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도자기 뚜껑과 달리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쌀독이 갖는 저장성과 탁월한 방충 및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은 통기성 및 저장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심미감으로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갖는 쌀독을 제공함으로써 쌀을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옻의 탁월한 저장성과 방충 및 방열효과를 쌀독의 몸체와 뚜껑이 모두 지니도록 함으로써 쌀을 벌레들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기의 질박함에 더하여 세련되면서도 깊은 색감을 갖는 쌀독을 제공함에 따라 우리의 공예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몸체와 뚜껑을 결합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의 실시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몸체와 뚜껑을 결합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은 몸체(110)와 뚜껑(120)으로 구성된다.
몸체(110)는 일반적인 옹기의 형태와 유사하게 밑바닥(119)과 손잡이(114)가 형성된 몸통 및 입구턱(117)이 입구 외주변에 형성되고 비교적 길게 형성된 구연부(115)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백토와 산청토 및 옹기토를 혼합한 흙을 반죽하여 판장질 타렴 방식으로 빚어진다.
뚜껑(120)은 몸체(110)의 입구에 얹어지게 되면 입구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돌출된 뚜껑 밑면 중앙부(121)와 뚜껑 밑면 둘레부(123)를 같은 원형의 판재로서, 뚜껑 상면 중앙에 뚜껑 손잡이(125)가 형성된다. 뚜껑(120)은 후술할 옻칠이 잘 되도록 나무재질로 몸체(110)의 입구 및 입구턱(117)에 알맞은 크기로 재단되는데, 물푸레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은 몸체(110)의 내주면 및 바닥면에 생옻을 발라 형성한 생칠층(111)과 상기 생칠층(111) 위에 정제된 옻을 발라 형성한 흑칠층(113)을 구비한다. 구연부(115)의 내주면에는 상기 생칠층(111)과 흑칠층(113)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은 뚜껑(120)의 밑면에 생칠층(129)과 흑칠층(127)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은 옹기의 저장성 및 통기성에 더하여 옻의 저장성과 방열 및 방충 효능이 몸체(110) 및 뚜껑(120) 모두에서 발현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쌀을 오래도록 신선하고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S301단계에서 쌀독의 몸체(110)를 빚는다. 쌀독의 몸체(110)는 전라도 지방에서 옹기나 젓갈단지를 만들 때 사용된 전통적인 판장질 타렴 기법을 변형 및 발전시킨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몸체(110)는 백토와 산청토 및 옹기토를 1:1:1로 조합한 점토를 이용하여 먼저 흙덩이를 방망이로 두들겨 펴서 쌀독 밑바닥 원판을 만들고, 그 위에 긴 판장을 한 단씩 쌓아 올린다. 이때, 첫 번째 타렴인 청타렴과 밑바닥은 고역돌리기로 매질하여 기초를 튼튼히 하고, 판장과 판장 사이에는 개질을 칠하고 도개와 수레를 이용하여 두들겨 붙이고 끌어올리며 벌리면서 쌓아 올린다.
각 판장을 붙인 후 두드려서 위에서 아래로 다져주면서 도개나 수레 표면의 무늬들이 몸체(110)의 표면에 남아 질박함이 살아나도록 한다.
이어, S303단계에서 귀얄기법으로 백상감토를 몸체(110)의 표면에 바른다. 백상감토는 백색도가 좋아서 소성한 뒤에도 흰색을 내며 1300℃ 가까이에서 소성할 수 있는 고온용 점토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S301단계에서 몸체(110)의 표면에 남은 무늬들이 우러나도록 함과 아울러 이후 단계에서 그려질 문양(그림)의 선과 색감이 그대로 나타날 수 있도록 발색도를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S305단계에서 백상감토를 바른 몸체(110)를 건조시킨다. 상기 S305단계의 건조는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20~30일 동안 천천히 이루어진다. 이때, 온도는 15~20℃, 습도는 60~80%가 적당하다.
이어, S307단계에서 초벌 소성을 진행한다. 초벌 소성은 상기 S305단계에서 건조한 몸체(110)에 대해 800~900℃에서 10~13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초벌 소성한 몸체(110)에 대해 S309단계에서 고화도 안료로 문양(그림)을 그려 넣고, S311단계에서 유약을 입힌다. 유약은 장석유를 사용하는데 이는 장석유의 안료반응을 잘 습득토록 함으로써 의도된 안료의 색깔이 유지되면서 깊은 색감이 우러나도록 한다.
S309 및 S311단계를 거친 몸체(110)는 S313단계에서 재벌 소성한다. 재벌 소성은 1200-1300℃에서 7~1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재벌 소성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230℃일 수 있다. 상기 S313단계의 재벌 소성은 산화소성을 하여 통기성을 높임으로써 숨쉬는 몸체(110)를 구성한다.
이어 S314단계에서, 몸체(110)에 골회칠을 하여 옹기와 하기에서 칠하게 될 옻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S314단계에는 골회칠 후 이를 습건조시킨다. 상기 S314단계에서 골회칠의 습건조는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S315단계에서, 건사포질을 수행하여, 상기 S314단계에서 수행한 골회칠로 인하여 거칠어진 표면을 다듬는다. 이때, 건사포질 대신 물사포질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S316단계 및 S317단계에서, 상기 S301 내지 S315단계를 거친 몸체(110)의 내주면 및 바닥면에 생옻으로 생칠을 하고 정제된 옻으로 2~5회 흑칠하여 생칠층(111) 및 흑칠층(113)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흑칠층(113)은 1회만 하거나 두껍게 바르면 건조된 후 떨어져 나갈 수 있으므로 얇게 2~5회 바르는데, 바람직하게는 3~5회 바를 수 있다. 생칠층(111)과 흑칠층(113)을 순서대로 형성시킴으로써 옻이 몸체(110)에 견고하게 접착됨과 아울러 몸체(110)의 통기성을 유지하면서도 옻의 방열 및 방충 효능이 더하여지도록 흑칠층(113)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136단계의 생칠 후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동안 습건조를 수행하며, 또한 상기 S317단계에서 흑칠을 1회 실시할 때마다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동안 각각 습건조를 수행한다.
이어, S319단계에서 몸체(110)를 온도 100~300℃의 열가마에서 0.5~5시간 동안 구워냄으로써 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도 4에서 점선으로 구별한 S321단계 내지 S329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뚜껑(120)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S301 내지 S319단계의 몸체(110) 제조단계에 이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전술한 S301 내지 S319단계의 몸체(110) 제조단계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뚜껑(120)을 제조하기 위한 S321단계 내지 S329단계는, 먼저 S321단계에서 몸체(110)의 입구 및 입구턱(117)에 대응하도록 나무판자를 이용하여 뚜껑(120)을 재단하고, 손잡이(125)도 재단한다. 이를 백골상태라고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는 물푸레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이어, S323단계에서 황토분말에 물과 생옻을 섞어 뚜껑(120)의 밑면을 비롯한 표면에 칠하는 골회칠을 수행한다. 상기 S323단계의 골회칠은 황토분말과 물 및 생옻을 1:0.8:0.5로 혼합하여 만든 골회를 이용하여, 자칫 곱게 재단되지 않은 나무표면을 메워 매끄럽게 만드는 단계로서, 황토분말의 접착과 나무의 방부 및 방충을 위해 생옻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323단계의 골회칠 후 온도 20~25℃, 습도 70~90% 하에서 12~24시간 습건조한다.
상기 S323단계에서 골회칠 후 건조된 뚜껑(120)은 S325단계에서 물사포질하여 상기 S323단계에서 수행한 골회칠로 인하여 거칠어진 표면을 다듬어 몸체(110)의 주둥이 선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어, S327단계에서, 상기 S325단계에서 물사포질된 뚜껑(120)의 밑면(121, 123)에 생옻으로 생칠층(129)을 형성하고, S329단계에서 상기 생칠층(129) 위에 정제된 옻으로 1~5회 흑칠하여 흑칠층(127)을 형성한다. 이때, S327단계의 생칠 및 S329단계의 흑칠 후에는 각각 온도 20~25℃, 습도 70-90% 하에서 12~24시간 습건조한다. 습건조는 옻이 잘 마르도록 함과 아울러 나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습식 건조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의 실시 사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은, 본 발명의 특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몸체의 표면에 그려진 문양과 색깔이 그대로 표현되면서 몸체를 빚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빗살무늬가 은은하게 드러나 질박함과 우아함을 모두 가짐으로써 깊은 어울림이 있는 심미감을 느끼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은 통기성 및 저장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심미감으로 높은 예술적 가치를 갖는 쌀독을 제공하며, 옻의 탁월한 저장성과 방충 및 방열효과를 쌀독의 몸체와 뚜껑이 모두 지니도록 함으로써 쌀을 벌레들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신선하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110: 쌀독 몸체
111: 생칠층 113: 흑칠층
114: 손잡이 115: 구연부
117: 입구턱 119: 밑바닥
120: 쌀독 뚜껑
121: 뚜껑 밑면 중앙부 123: 뚜껑 밑면 둘레부
125: 뚜껑 손잡이 127: 뚜껑 밑면 흑칠층
129: 뚜껑 밑면 생칠층

Claims (5)

  1. 백토와 산청토 및 옹기토를 조합한 점토를 반죽하여 숙성시킨 후, 판장질 타렴으로 쌀독 몸체를 만드는 단계;
    백상감토를 귀얄기법으로 상기 몸체의 표면에 칠하는 단계;
    온도 15~20℃, 습도 60~80%인 그늘에서 20~30일 동안 상기 몸체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상기 몸체를 800~900℃에서 10~13시간 동안 초벌 소성하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 표면에 안료로 문양을 그려 넣는 단계;
    초벌 소성된 상기 몸체에 유약을 입히는 단계;
    유약을 입힌 상기 몸체를 1200~1300℃에서 7~10시간 동안 재벌 소성하는 단계;
    재벌 소성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골회칠을 하고,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골회칠된 부분을 건사포질하는 단계;
    골회칠 및 건사포질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생옻으로 생칠하는 단계;
    상기 생칠 위에 정제된 옻으로 2~5회 흑칠하되, 흑칠할 때마다 흑칠된 상기 몸체를 온도 20~25℃, 습도 70~90%인 습건조실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 및
    흑칠 및 건조가 완료된 상기 몸체를 100~300℃에서 0.5~5시간 동안 구워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고화도 안료이고, 상기 유약은 장석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물푸레 나무를 재단하여, 상기 몸체의 입구 및 입구턱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쌀독 뚜껑을 만드는 단계;
    상기 뚜껑의 밑면에 생옻으로 생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칠 위에 정제된 옻으로 1~5회 흑칠하되, 흑칠할 때마다 흑칠된 상기 뚜껑을 온도 20~25℃, 습도 70~90% 하에서 12~24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밑면을 생칠하기 전에, 황토분말에 물과 생옻을 섞어 상기 뚜껑의 밑면에 칠하는 단계; 및 상기 뚜껑의 밑면을 물사포질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독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쌀독.
KR1020200084703A 2020-07-09 2020-07-09 쌀독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03A KR102365891B1 (ko) 2020-07-09 2020-07-09 쌀독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703A KR102365891B1 (ko) 2020-07-09 2020-07-09 쌀독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20A KR20220006820A (ko) 2022-01-18
KR102365891B1 true KR102365891B1 (ko) 2022-02-23

Family

ID=8005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703A KR102365891B1 (ko) 2020-07-09 2020-07-09 쌀독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477B1 (ko) * 2022-04-20 2022-09-15 주식회사 에이와이오스튜디오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249B1 (ko) 2007-05-01 2008-06-09 장종한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KR101706776B1 (ko) 2015-12-08 2017-02-15 주식회사 아일랜드 화산송이 커피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510A (ja) * 1993-07-13 1995-02-03 Kawamura Kagaku Kk 陶磁器用顔料、その製造方法、それを使用する陶磁器の装飾方法及び装飾用転写紙
KR20030011945A (ko) * 2003-01-06 2003-02-11 이제완 바이오 세라믹이 함유된 옹기의 제조방법
KR20060094118A (ko) * 2005-02-23 2006-08-29 주식회사 흙그린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5885U (ko) * 2007-05-29 2008-12-03 구상회 옻칠원목 밀폐뚜껑
KR100877960B1 (ko) 2007-12-14 2009-01-12 강승구 다기능 도자기 쌀독
KR20120040643A (ko) * 2010-10-19 2012-04-27 권영길 옻칠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
KR20130098588A (ko) 2012-02-28 2013-09-05 김재삼 쌀독 항아리의 덮개
KR101319717B1 (ko) 2013-05-07 2013-10-17 박밀양 숨쉬는 황토쌀독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숨쉬는 황토쌀독
KR101754453B1 (ko) * 2014-11-06 2017-07-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태칠기 상감 제조 방법
KR20190083742A (ko) 2018-01-05 2019-07-15 박밀양 머드 황토 쌀독 제조방법 및 그 쌀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249B1 (ko) 2007-05-01 2008-06-09 장종한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KR101706776B1 (ko) 2015-12-08 2017-02-15 주식회사 아일랜드 화산송이 커피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20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31824B (zh) 一种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CN105753322A (zh) 一种中温梅子青釉及中温梅子青龙泉青瓷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8264231A (zh) 仿古无光反应釉及其制备方法
KR102365891B1 (ko) 쌀독 및 그 제조방법
CN105753465B (zh) 一种瓷质超平镜面艺术壁画的制作方法及其制得的产品
CN104387120B (zh) 一种陶瓷釉下五彩丝网移印方法
CN105174970A (zh) 一种陶瓷花盘制作工艺
CN108298815B (zh) 一种瓷器的制备工艺
CN107336339A (zh) 一种多图层陶制品装饰去除法制作工艺
CN105523782B (zh) 一种漆瓷制品的制作方法
CN104387091A (zh) 一种高档陶瓷釉下彩制造装饰方法
CN101407434A (zh) 使用珠光云母颜料制造墙地砖方法
KR100387919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KR20200016575A (ko) 무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 무궁화 도자기를 이용한 무궁화 공예품 제조방법
KR102067209B1 (ko) 청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JP2005281017A (ja) 漆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06436B1 (ko) 황금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2001865A (zh) 一种仿古蜡石网纹陶瓷的制造方法
CN102161597A (zh) 一种仿印度红石纹陶瓷的制造方法
KR101143687B1 (ko) 산화 녹청 동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144184B (zh) 一种陶瓷釉下绘画方法
KR20120040643A (ko) 옻칠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
CN101314306B (zh) 一种带有植物纤维画的红瓷工艺品的制作方法
CN106365693A (zh) 一种下陷砂金瓷砖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