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477B1 -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477B1
KR102443477B1 KR1020220048663A KR20220048663A KR102443477B1 KR 102443477 B1 KR102443477 B1 KR 102443477B1 KR 1020220048663 A KR1020220048663 A KR 1020220048663A KR 20220048663 A KR20220048663 A KR 20220048663A KR 102443477 B1 KR102443477 B1 KR 10244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il
sancheong
mixed
ma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와이오스튜디오
이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와이오스튜디오, 이은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와이오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22004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6Conditioning ceram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개량 산청토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성과정에서 도자기의 색에 따른 배치를 지정하여 무광을 유지하는 동시에 각 색상에 대한 발색 수율을 개선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Manufacutring methods of matte ceramic bowl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yield}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개량 산청토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성과정에서 도자기의 색에 따른 배치를 지정하여 각 색상에 대한 발색 수율을 개선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도기(陶器), 자기(瓷器), 사기(沙器), 질그릇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점토에 규석, 장석 등의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燒成) 과정을 거처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도자기는 세라믹 소재의 특성상 맑고 깨끗한 이미지를 창출하고 두들겼을 때의 청아한 소리로 인해 실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장식적 측면으로도 널리 이용이 가능하여 식기, 찻잔, 접시 등의 그릇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자기 제조공정은 소지토를 조제하고, 도자기 제품을 성형한 후 건조, 초벌구이, 시유, 재벌구이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에서 소지토 조제 과정은 점토나 사토 같은 소지토를 곱게 분쇄하고 불순물을 체에 걸러 제거한 다음, 물속에 침전시켜 미세한 앙금만을 채취하여 일정기간 그늘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성형은 물레성형, 주입성형, 압출성형, 압착성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소정의 그릇이나 작품 형상으로 만드는 과정이며, 건조는 성형된 반제품을 그늘에서 충분히 말리는 과정이고, 건조하기 전에 소정의 문양을 반제품에 새겨 넣는 시문을 행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충분히 건조된 반제품은 가마에 적재하여 굽는 초벌구이를 행하고, 초벌구이한 제품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 또는 유약을 바르고 소정의 문양을 장식하는 시유 및 채식을 행한 다음, 다시 가마에 적재하여 약 1250∼1300℃정도의 온도를 20∼30시간 정도 유지시켜 굽는 재벌구이를 행한다.
이러한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도자기를 소성하는 작업은 가마를 예열하고 다시 가마의 내부에 불을 지피고 가마의 입구를 흙이나 내화벽돌로 막아 불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도자기를 소성한다.
그러나 도자기는 재료, 유약, 소성 온도, 대기 중 수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제품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대량 생산시에는 그 조건을 균일하게 맞추기 어려워 수율이 더욱 낮아질 수 있기에 도자기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7987호 에서는 재래식 장작가마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가마의 내구성 및 도자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무광 도자기를 제조 가능하며, 무광 도자기는 유약을 바르는 과정에서 광택보호제를 첨가하지 않아 무광의 형태로 은은한 도자기의 느낌을 살릴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하지만 무광 도자기는 광택보호제가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성 온도 및 시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여 온도 불균형이 존재하는 대형가마에서 소성하기 어려워 수제 공방 등에서 사용하는 소형 가마를 통해 소량 생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무광 도자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쓰임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도자기가 개발되었으나, 무광 도자기는 소량생산만이 이루어지고 있어 무광 도자기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7987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량 산청토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성과정에서 도자기의 색에 따른 배치를 지정하여 무광을 유지하는 동시에 각 색상에 대한 발색 수율을 개선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제1산청토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분쇄한 제1산청토에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자성 물질 제거 단계; 자성 물질을 제거한 제1산청토 분말 20~30중량%, 정제수 20~30중량%, 제2산청토 40~60중량%를 혼합 반죽하여 개량 산청토를 제조하는 개량 산청토 제조 단계; 백토 40~70중량% 및 개량 산청토 30~60중량%를 혼합한 혼합토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10~30중량%를 첨가하여 혼합점토를 제조하는 혼합점토 준비단계; 상기 혼합점토를 반죽 및 성형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빚는 도자기 성형단계; 상기 도자기의 겉면에 무광 유약을 바르는 유약 코팅 단계; 상기 유약 코팅 도자기를 1240~1280℃의 온도에서 15~18시간 소성하는 소성 단계; 를 포함하는,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성 단계는 대형 가스 가마에서 진행되는 것이고, 모든 도자기는 가스 가마의 입구에서 20cm 이상의 거리를 두어 배치하는 것이며, 베이지색, 백색, 라이트 그레이 및 크림색을 포함하는 밝은 색의 도자기는 가마 바닥으로부터 20~10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고, 머스타드 및 네이비를 포함하는 유색계통의 도자기는 60~16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며, 챠콜 및 다크네이비를 포함하는 어두운 색의 도자기는 120~20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량 산청토 제조단계 및 혼합점토 준비단계의 정제수는 3차 증류수를 활성탄 및 토르말린 분말이 2: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킨 여과수 60 중량%와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 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성 단계는 가마 내부의 도자기를 배치하는 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온도 측정용 콘을 배치하고 사전 소성 과정을 진행하여 콘의 수축률에 따라 가마의 세부온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광 유약은 황토흙 41중량%, 석회석 10중량%, 산화철 23중량%, 코발트 7중량% 및 평유 19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안료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기로 30분 이상 교반시킨 후 100목 규격의 체로 걸러내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광 도자기 그릇은 개량 산청토를 이용하여 도자기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성과정에서 도자기의 색에 따른 가마 내의 배치를 지정하여 무광을 유지하는 동시에 각 색상에 대한 발색 수율을 개선하였으므로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 도자기 그릇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온도 조절용 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제1산청토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분쇄한 제1산청토에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자성 물질 제거 단계; 자성 물질을 제거한 제1산청토 분말 20~30중량%, 정제수 20~30중량%, 제2산청토 40~60중량%를 혼합 반죽하여 개량 산청토를 제조하는 개량 산청토 제조 단계; 백토 40~70중량% 및 개량 산청토 30~60중량%를 혼합한 혼합토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10~30중량%를 첨가하여 혼합점토를 제조하는 혼합점토 준비단계; 상기 혼합점토를 반죽 및 성형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빚는 도자기 성형단계; 상기 도자기의 겉면에 무광 유약을 바르는 유약 코팅 단계; 상기 유약 코팅 도자기를 1240~1280℃의 온도에서 15~18시간 소성하는 소성 단계; 를 포함하는,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제1산청토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 한다.
상기 산청토는 철분 함량이 많은 소지 중 하나로 백자토나 청자토에 비해 흙 입자가 조금 거칠은 편이며 산화 소성에서는 많은 효과를 보지 못하지만 환원 소성시 동영토보다 다소 핑크색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다른 소지와 섞어 사용하면 좋은 발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다른 소지와 섞어서 사용한다. 다완이나 다기류 제작용으로 많이 쓰고 있으며 흙 자체의 질감을 이용한 화분이나 화병 제작 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산청토 분말에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자성 물질 제거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넓은 판에 산청토 분말을 고루 퍼트리고 판의 상단 5~15cm 상단에서 막대 형태의 자석을 이동시켜 자성 물질을 흡착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자성 물질을 제거한 제1산청토 분말 20~30중량%, 정제수 20~30중량%, 제2산청토 40~60중량%를 혼합 반죽하여 개량 산청토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3차 증류수를 활성탄 및 토르말린 분말이 2: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킨 여과수 60 중량%와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 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개량 산청토는 자성 물질 제거 및 정제수 혼합 과정을 통해 산청토의 성분 함량을 변화시켜 개량 산청토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도자기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백토 40~70중량% 및 개량 산청토 30~60중량%를 혼합한 혼합토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20~30중량%를 첨가하여 혼합점토를 제조한다.
상기 백토는 백선토, 백악이라고도 하며 백색 도자기의 원료로서 백자용 점토 또는 고령토를 지칭한다. 순백색이며 약간 회색을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높은 온도에서 구워내면 흰색이 된다. 제1점토와 제2점토로 나뉘며 제1점토는 점력이 좋지 못하지만 소성 후의 백색도가 좋고, 제2점토는 점력은 좋으나 소성 후의 백색도가 나쁘다. 주원료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이며, 한국에서는 온양·아산·광주·포천·양구 등에서 채토되는 것을 많이 이용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묵보래·백보라·물토라고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3차 증류수를 활성탄 및 토르말린 분말이 2: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킨 여과수 60 중량%와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 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목재·갈탄·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든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은 가루상태나 입자상태로 제조되는데, 가루인 것은 입자상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 용도는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며, 그 밖에 용제(溶劑)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로 쓰이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상기 토르말린 분말은 전기석이라고도 불리는 육방정계의 결정형 광물인 토르말린을 분말화한 것을 의미하며, 화학성분은 알루미늄, 철, 마그네슘, 나트륨, 리튬 또는 칼륨과 같은 원소들이 혼합된 결정질 붕소 규산염 광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점토를 반죽 및 성형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빚는다.
상기 성형 방법은 통상의 도자기 성형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델링 성형, 핀칭 성형, 코일링 성형, 점토판 성형, 석고틀 성형, 물레 성형, 틀 성형으로 구성되는 성형 방법 중 하나의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자기의 겉면에 무광 유약을 바른다
상기 무광 유약은 광택보호제가 첨가되지 않아 소성시 도자기를 무광으로 유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광 유약은 황토흙 41중량%, 석회석 10중량%, 산화철 23중량%, 코발트 7중량% 및 평유 19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안료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기로 30분 이상 교반시킨 후 100목 규격의 체로 걸러내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약 코팅 도자기를 1240~1280℃의 온도에서 15~18시간 소성하여 무광 도자기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과정은 대형 가스 가마에서 진행되는 것이고, 모든 도자기는 가스 가마의 입구에서 20cm 이상의 거리를 두어 배치하는 것이며, 베이지색, 백색, 라이트 그레이 및 크림색을 포함하는 밝은 색의 도자기는 가마 바닥으로부터 20~10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고, 머스타드 및 네이비를 포함하는 유색계통의 도자기는 60~16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며, 챠콜 및 다크네이비를 포함하는 어두운 색의 도자기는 120~200cm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자기가 가스 가마의 입구에서 20cm미만의 거리를 둘 경우 소성온도가 낮아 유약이 충분히 녹지 않고 도자기의 표면이 거칠게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밝은색 도자기가 가마 바닥으로부터 20cm 미만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열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도자기의 불량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100cm 초과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발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색계통의 도자기가 60cm 미만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기포 또는 물결무늬가 생겨날 수 있으며, 160cm 초과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발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어두운 색의 도자기가 120cm 미만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기포 또는 물결무늬가 생겨날 수 있으며, 200cm 초과의 높이에 배치될 경우 발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 도자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성 과정은 가마 내부의 도자기를 배치하는 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온도 측정용 콘을 배치하고 사전 소성 과정을 진행하여 콘의 수축률에 따라 가마의 세부온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 측정용 콘을 가마에 넣고 소성과정을 거쳐 온도 측정용 콘의 휨 정도에 따라 가마의 위치에 따른 세부 온도를 측정하고 도자기의 세부 위치를 변경하여 도자기의 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을 통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도 조절용 콘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제1산청토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분쇄한 제1산청토 분말을 넓은 판에 고루 퍼트리고 상단 10cm 높이에서 자석 막대를 이동시켜 산청토 분말의 자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3차 증류수를 활성탄 및 토르말린 분말이 2: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3회 반복 여과시킨 여과수 60 중량%와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 40중량%를 혼합하여 정제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자성 물질을 제거한 제1산청토 분말 25중량%, 정제수 20중량%, 제2산청토 55중량%를 혼합 반죽하여 개량 산청토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백토 60중량% 및 개량 산청토 40중량%를 혼합한 혼합토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20중량%를 첨가한 후 반죽하여 혼합점토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황토흙 41중량%, 석회석 10중량%, 산화철 23중량%, 코발트 7중량% 및 평유 19중량%로 구성되는 혼합물에 안료 및 물을 첨가하여 교반기로 30분 이상 교반시킨 후 100목 규격의 체로 걸러내어 무광 유약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점토를 틀 성형을 거쳐 도자기 모양으로 성형한 후, 도자기의 겉면에 상기 무광 유약을 코팅시켰다.
다음으로, 각 도자기의 색에 따라 가스 가마 내에서의 위치를 배치하였다. 모든 도자기는 가스 가마의 입구에서 최소 20cm이상의 거리를 두어 배치하되, 베이지색, 백색, 라이트 그레이 및 크림색을 포함하는 밝은 색의 도자기는 가마 바닥으로부터 20~100cm의 높이에 배치하였고, 머스타드 및 네이비를 포함하는 유색계통의 도자기는 60~160cm의 높이에 배치하였으며, 챠콜 및 다크네이비를 포함하는 어두운 색의 도자기는 120~200cm의 높이에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가마 내에 배치한 도자기를 1270℃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소성하여 무광 도자기 그릇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무광 도자기 그릇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가스가마를 동일한 온도로 설정하고 소성하여도 기후, 습도 등의 영향으로 결과물의 수율이 미묘하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조절용 콘을 가마에 넣고 사전 소성을 거치는 방법을 통해 가마의 세부 온도 변화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도자기의 위치를 변화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소성 과정을 거치기 전 가스 가마의 도자기를 놓는 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온도 조절용 콘을 배치하고 사전 소성 과정을 거친 후 콘의 수축률에 따른 세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기존 소성 온도와의 차이를 확인하여 도자기를 플레이트에서 재배치한 후 소성하여 무광 도자기 그릇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무광 도자기 그릇을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Claims (3)

  1. 제1산청토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분쇄 단계;
    분쇄한 제1산청토에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자성 물질 제거 단계;
    3차 증류수를 활성탄 및 토르말린 분말이 2: 1 중량비로 혼합된 여과체에 2~3회 반복 여과시킨 여과수 60 중량%와 증류수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조한 수소수 4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정제수 20~30중량%와 자성 물질을 제거한 제1산청토 분말 20~30중량% 및 제2산청토 40~60중량%를 혼합 반죽하여 개량 산청토를 제조하는 개량 산청토 제조 단계;
    백토 40~70중량% 및 개량 산청토 30~60중량%를 혼합한 혼합토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10~30중량%를 첨가하여 혼합점토를 제조하는 혼합점토 준비단계;
    상기 혼합점토를 반죽 및 성형하여 도자기의 형태를 빚는 도자기 성형단계;
    상기 도자기의 겉면에 무광 유약을 바르는 유약 코팅 단계;
    상기 유약 코팅 도자기를 대형 가스 가마에 배치하되 가스 가마의 입구에서 20cm 이상의 거리를 두어 배치하고, 베이지색, 백색, 라이트 그레이 및 크림색을 포함하는 밝은 색의 도자기는 가마 바닥으로부터 20~100cm의 높이에 배치하고, 머스타드 및 네이비를 포함하는 유색계통의 도자기는 60~160cm의 높이에 배치하며, 챠콜 및 다크네이비를 포함하는 어두운 색의 도자기는 120~200cm의 높이에 배치하여 1240~1280℃의 온도에서 15~18시간 소성하는 소성 단계;
    를 포함하는,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8663A 2022-04-20 2022-04-20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KR10244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63A KR102443477B1 (ko) 2022-04-20 2022-04-20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63A KR102443477B1 (ko) 2022-04-20 2022-04-20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477B1 true KR102443477B1 (ko) 2022-09-15

Family

ID=8328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63A KR102443477B1 (ko) 2022-04-20 2022-04-20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4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48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20120099851A (ko) * 2011-03-02 2012-09-12 이승주 폐지를 이용한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101214912B1 (ko) * 2012-06-18 2012-12-24 장명화 입체감이 향상된 안내타일의 제작방법
KR101457987B1 (ko) 2013-11-27 2014-11-07 권영배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KR20170052747A (ko) * 2015-11-03 2017-05-15 (주)네오플램 황토가 함유된 식기용 경질도자기 소지 제조방법
KR20190015031A (ko) * 2017-08-05 2019-02-13 이호승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의 중금속 제거 방법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048A (ko) * 1995-06-15 1997-01-21 전성원 자동차의 사이드 실 결합구조
KR20120099851A (ko) * 2011-03-02 2012-09-12 이승주 폐지를 이용한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KR101214912B1 (ko) * 2012-06-18 2012-12-24 장명화 입체감이 향상된 안내타일의 제작방법
KR101457987B1 (ko) 2013-11-27 2014-11-07 권영배 도자기 소성용 장작 가마
KR20170052747A (ko) * 2015-11-03 2017-05-15 (주)네오플램 황토가 함유된 식기용 경질도자기 소지 제조방법
KR20190015031A (ko) * 2017-08-05 2019-02-13 이호승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의 중금속 제거 방법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5479B (zh) 一种瓷质通体仿古砖及其制备方法
CN105541291B (zh) 一种紫砂耐热烹调器的制备方法
CN103626523B (zh) 一种干粒釉装饰表面的陶瓷砖及其制造方法
CN101058476B (zh) 汝瓷包装容器防渗漏釉料、釉浆及其制备方法
CN106587911B (zh) 一种建水紫陶柴烧泥料制品的烧制方法
CN104016661B (zh) 一种骨质艺术瓷的制备方法
CN112500196B (zh) 一种具有立体宝石颗粒感釉面的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5645925A (zh) 一种具有高抗热震性的陶瓷烹调器的制备方法
CN104261897A (zh) 一种具有防滑效果的瓷砖及其制造方法
CN102408223B (zh) 大器形汝瓷瓶的制作工艺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773997A (zh) 一种绞胎陶瓷仿古砖的制备方法
CN108424112B (zh) 一种单面料层的通体透光砖的制备工艺及其通体透光砖
CN105503273A (zh) 陶胎用冬青釉制备方法
CN110845252B (zh)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仿古砖及其制备方法
CN1014049B (zh) 釉下彩强化瓷及其生产方法
KR100830395B1 (ko) 백색 내열 소지 조성물
CN108424119A (zh) 一种高强度耐磨仿古砖的制备方法
CN110903080A (zh) 特殊坯体大颗粒结合数码布料喷墨渗透抛光砖及其制备方法
KR102443477B1 (ko) 내구성 및 수율이 개선된 무광 도자기 그릇의 제조 방법
CN110862230B (zh) 冰裂纹晶核剂干粒、冰裂纹晶花透光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6316345A (zh) 一种高铝质薄胎强化青瓷及其制备方法
CN104944906B (zh) 一种色瓷及其制备方法
KR20110109692A (ko) 고풍스러운 느낌을 주는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673791B1 (ko) 화산암재를 이용한 도자기 소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