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118A -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118A
KR20060094118A KR1020050014762A KR20050014762A KR20060094118A KR 20060094118 A KR20060094118 A KR 20060094118A KR 1020050014762 A KR1020050014762 A KR 1020050014762A KR 20050014762 A KR20050014762 A KR 20050014762A KR 20060094118 A KR20060094118 A KR 2006009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rice
ocher
weight
fres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흙그린
배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흙그린, 배영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흙그린
Priority to KR102005001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4118A/ko
Publication of KR2006009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 소재를 반죽하여 항아리를 성형하고 건조한 후, 상기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60∼8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 및 국화석 10∼30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800∼950 ℃에서 1차 소성하고, 1000∼1300 ℃에서 2차 소성하여 제조함으로써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 보관용 용기, 항아리

Description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STORAGE CONTAINER OF RICE}
본 발명은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분류하면 자기는 점토, 석영, 장석, 도석의 배합소지가 1300∼1450 ℃ 부근의 용화(유리화) 직전까지 충분히 소성된 것이며, 석기는 저급의 점토, 특히 석영, 철 화합물, 알칼리토류, 알칼리염류 등, 불순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석기점토, 토양점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1200∼1300 ℃의 온도로 거의 소지에 흡수성이 없을 정도로까지 충분히 소성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색이고 투광성이 빈약하다.
또한 도자기는 점토질원료에 석영, 도석, 납석, 및 소량의 장석 원료를 배합하여 1200∼1300 ℃ 부근 온도로 소지를 일단 소성한 다음 여기에 1050∼1100 ℃에서 숙소되는 프리트 유약을 도포한 것으로 자기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쌀통은 쌀의 저장시 습기가 많은 부엌 환경과 방마철 등의 주위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습기로 인하여 쌀의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각종 벌레가 생겨서 위생상으로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 쌀통 또는 쌀 저장고 케이스에 바이오 성분 또는 숯을 이용하는 쌀통과 케이스를 제작하여 습기 제거, 방충 및 방취 효과를 얻고자 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성분에 의해 물분자가 활성화되어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산도를 억제하여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적외선 방출로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를 조절하여 쌀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가능하며,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을 하여 인체에 유익한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도자기 소재를 반죽하여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60∼8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 및 국화석 10∼30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항아리를 800∼950 ℃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황토 쌀 항아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토 쌀 항아리는 도자기 소재를 반죽하여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60∼8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 및 국화석 10∼30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800∼950 ℃에서 적어도 2 시간 동안 1차 소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3∼4 시간 동안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항아리 제조
본 단계는 통상의 도자기 소재를 반죽하여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 계이다.
상기 도자기 소재는 황토옹기, 항아리, 자기류 등의 통상의 도자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은 제조하고자하는 용기의 형상 및 크기로 통상의 성형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진공성형, 압출성형, 프레스성형, 정수압성형 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항아리는 이후 건조하는데, 이때 건조는 통상의 항아리 건조온도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b) 항아리 내외면에 분말 조성물 도포
본 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60∼8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 및 국화석 10∼30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황토는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물분자를 활성화시켜 쌀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황토는 극히 세립의 회황색 물질로 입자가 비교적 고르며, 입경이 0.05∼0.01 ㎜인 입자를 50 % 이상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석영이 주성분이며, 이 외에 장석, 운모, 희석, 각섬석, 방해석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황토는 점성이 높고 자체적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면서 미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며, 최근에 들어서는 전자파, 자기파, 수맥파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작용이 알려져 있다.
상기 황토는 6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적정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물분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숯은 재벌구이 후 형성되는 다공질에 의해 각종 이물질이나 유해물질 등을 흡착하여 살균작용을 하며, 냄새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을 한다.
상기 숯은 높은 비표면적 및 다공질을 통한 흡착기능으로 탈취가 용이하며, 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숯은 평균입경이 0.5 내지 1.2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인 것이 좋다.
상기 숯가루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다공질에 의한 살균 및 탈취작용이 향상될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국화석은 음이온을 발생시켜 인체에 유해하며, 산도를 억제하여 쌀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국화석은 암석에 실제의 꽃과 흡사한 꽃무늬가 들어 있는 돌로 전기석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국화석은 영구 미약 정전기의 발생하여 세포를 활성화하고, 항균 작용을 하며,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흡착하며,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수분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어 인체에 유익한 음 이온을 발생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액을 정화하며, 피로를 회복시키고, 자율신경 및 정신을 안정시키며 면역력을 높이고, 통증 완화, 알레르기 체질 개선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국화석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적정량의 음이온을 발생하여 산도를 억제하고, 이로부터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황토, 숯가루, 및 국화석 이외에 맥반석 10 내지 3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반석은 각종 미네랄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1 ㎠당 약 30,000 개 이상의 다공질로 이루어져 각종 금속, 세균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흡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새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을 한다.
상기 황토, 국화석 및 맥반석은 가능한 한 적은 입도를 갖는 분말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적은 입도를 가질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평균입경이 80 내지 120 메쉬(mesh)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메쉬인 것이 황토 쌀 항아리의 질감, 성형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c) 1차 소성
본 단계는 상기 b)단계의 항아리를 800 내지 950 ℃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소성 후에 황토, 숯가루, 및 국화석에서 발현되는 특징에 의하여 그 온도와 시간을 변경할 수 있고, 특히 800 내지 950 ℃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1차 소성을 통하여 황토 쌀 항아리에 내열성, 압축강도, 및 파탄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1차 소성 이후에 필요에 따라 항아리 내외면에 초화문 또는 그림을 그리거나 인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d) 2차 소성
본 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1차 소성한 항아리를 1000∼1300 ℃의 온도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재벌구이는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1000 내지 1300 ℃의 온도에서 6 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황토 쌀 항아리는 상기 2차 소성 후 필요에 따라 용기의 표면에 잿물처리를 한 후 열처리하여 용기 표면에 내열성 및 강도를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황토 쌀 항아리는 용기 표면의 보호를 위하여 망형 합성지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지층은 그물구조를 가지고 그물눈의 크기나 모양은 용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황토 쌀 항아리는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 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황토성분에 의해 물분자가 활성화되어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산도를 억제하여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방출로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를 조절하여 쌀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황토를 반죽하여 통상의 항아리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70 중량%, 숯가루 15 중량%, 및 국화석 15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그 다음 900 ℃의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1000 ℃의 온도에서 6 시간 동안 2차 소성하여 황토 쌀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에 맥반석 15 중량%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황토 쌀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자연건조 후 용기의 표면에 잿물처리를 추가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황토 쌀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토 쌀 항아리의 표면에 망형 합성지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황토 쌀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토 쌀 항아리 및 통상의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신선도 및 탈취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신선도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토 쌀 항아리와 통상의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쌀을 넣어 1 주일 동안 보관한 후, 1 주일이 지난 상태에서 쌀의 색 변화를 측정하였다.
ㄴ) 탈취성 - 암모니아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토 쌀 항아리 및 통상의 플라스틱 용기에 각각 넣은 후, 2 시간 이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플라스틱 용기
신선도 쌀의 색변화 없음 쌀의 색이 누렇게 변색됨
탈취율 (%) 45 10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황토 쌀 항아리는 1 주일 동안 쌀을 보관하여도 색 변화가 없이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한데 반하여, 통상의 플라스틱 용기는 쌀의 색이 누렇게 변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탈취성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황토 쌀 항아리는 통상의 플라스틱 용기와 비교하여 탈취율이 4 배 이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황토 쌀 항아리는 쌀 고유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황토성분에 의해 물분자가 활성화되어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산도를 억제하여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방출로 쌀의 신선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를 조절하여 쌀의 맛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도자기 소재를 반죽하여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항아리 내외면에 황토 60∼8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 및 국화석 10∼30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항아리를 800∼950 ℃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맥반석 10 내지 30 중량%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건조 후에 잿물처리와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황토 쌀 항아리의 표면에 망형 합성지층을 형성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황토 쌀 항아리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황토 쌀 항아리.
KR1020050014762A 2005-02-23 2005-02-23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9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762A KR20060094118A (ko) 2005-02-23 2005-02-23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762A KR20060094118A (ko) 2005-02-23 2005-02-23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18A true KR20060094118A (ko) 2006-08-29

Family

ID=376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762A KR20060094118A (ko) 2005-02-23 2005-02-23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41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00B1 (ko) * 2006-12-27 2008-08-18 정태훈 용기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CN114480046A (zh) * 2022-02-15 2022-05-13 江西德裕生态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米酒提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800B1 (ko) * 2006-12-27 2008-08-18 정태훈 용기
KR20220006820A (ko) * 2020-07-09 2022-01-18 김선희 쌀독 및 그 제조방법
CN114480046A (zh) * 2022-02-15 2022-05-13 江西德裕生态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米酒提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374B1 (ko) 세라믹 소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7565B1 (ko)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KR102469017B1 (ko)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방법
KR20060094118A (ko)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3502B1 (ko) 이온화된 칼슘 분말이 함유된 항균성 마스터배치를 원료로 하는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1694371B1 (ko) 염전 바닥용 친환경 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5426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항균성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1678314B1 (ko) 이온화된 칼슘 분말을 이용한 항균성 마스터배치 제조 공법
KR101922305B1 (ko) 벽면부착형 인테리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2983A (ko)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0232A (ko) 천연물 면적 확장형 비코팅 천연 벽지
KR100935200B1 (ko) 골분의 부패 및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납골토 및 그 이용방법
KR101504412B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KR100558208B1 (ko) 위생적인 납골함
KR102248492B1 (ko) 항균 파우치
CN109305812A (zh) 负离子钛晶杀菌生态砖
KR20090046987A (ko)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143B1 (ko)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8083A (ko) 종이 방향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86592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세라믹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0757276B1 (ko) 감람석분을 함유하는 도기그릇의 성형방법
KR100808127B1 (ko) 생체 및 식물에 활성화 기능을 부여하는 무기물 소성체
KR101469841B1 (ko) 음식물 쓰레기 전용 기능성 세라믹 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5757A (ko) 토양 중화용 세라믹 조성물과 세라믹 분말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친환경 토경 재배방법
KR20070012284A (ko) 바이오 세라믹 및 접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