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987A -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987A
KR20090046987A KR1020070112924A KR20070112924A KR20090046987A KR 20090046987 A KR20090046987 A KR 20090046987A KR 1020070112924 A KR1020070112924 A KR 1020070112924A KR 20070112924 A KR20070112924 A KR 20070112924A KR 20090046987 A KR20090046987 A KR 2009004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charcoal
weight
c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맛생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맛생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맛생식품
Priority to KR102007011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6987A/ko
Publication of KR2009004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점토, 융제인 장석 및 내구재인 규석과 같은 재료가 혼합된 황토 70∼90중량%, 숯가루 10∼30중량%가 혼합되는 조성물을 소지(素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를 제공하며, 상기한 소지에 맥반석 10 내지 15중량%를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숯 항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를 혼합한 소지(素地)를 반죽하여 소망하는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800∼950 ℃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3∼4 시간 동안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항아리, 숯, 소지, 소성

Description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황토에 숯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는 소지를 이용하여 숯 항아리를 제조함으로써 숯에 의한 원적외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수분 조절과 물분자의 활성화 및 숙성효과로 보다 안정되고 영양소와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항아리(옹기)는 저급의 점토, 특히 석영, 철 화합물, 알칼리토류, 알칼리염류 등, 불순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석기점토, 토양점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1200∼1300 ℃의 온도로 거의 소지에 흡수성이 없을 정도로까지 충분히 소성한 것으로 유색이고 투광성이 빈약하다.
그리고 점토질 원료에 석영, 도석, 납석, 및 소량의 장석 원료를 배합하여 1200∼1300℃ 부근 온도로 소지를 일단 소성한 다음 여기에 1050∼1100℃에서 유약을 도포한 것으로 자기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일반적인 항아리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다.
1. 도토(陶土)
항아리의 원료인 규석, 장석, 고령토, 가소성점토 등을 조합 및 분쇄하고 토련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에 싸서 운반·보관한다.
2. 성형(成形)
성형은 물레를 이용하여 손으로 성형하는 물레성형과 석고틀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한다.
3. 1차 소성(燒成)(겉구이, 초벌구이)
BK(biscuit fire)소성 또는 소소 소성이라고도 하며, 800-900℃ 정도까지 소성을 한다.
4. 시문(施紋)
시문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하회(下繪, under glaze)시문으로 시유(施釉)하기 전에 BK된 제품에 그림을 그려 넣거나(핸드페인팅 작업), 하회전사지를 부착한다.
둘째 중회(中繪, inglaze)시문으로 생유약 위에 전사지를 부착하여 소성시 문양이 유약안으로 스며들게 한다.
셋째 상회(上繪, overglaze)시문은 본소성이 끝난 제품(무지)에 상회 전사지를 부착하여 전기가마(상회소성)에 750℃~850℃에 굽는 방법이다.
쉽게 표현하자면 하회는 유약 밑에서 우러나는 느낌을 갖으며 중회는 유약 안에 스며들어가 있으며 상회는 유약의 표면 위에서 문양이 나타난다.
5. 시유(施釉)
1차 소성한 제품에 유약을 입히는 공정으로 1차 소성 하기전에 제품을 완전 히 자연 건조시켜 시유하는 경우도 있다.
6. 본소성(本燒成)(본구이, 재벌구이)
시유를 거친 제품을 열판(붕판) 또는 갑발에 넣어 적재를 하여 1250~1300℃에 소성하는 공정이다.
종래의 항아리는 단순히 점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불순물분해와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이 왕성해 장기간 보관시 신선도가 떨어져 쉽게 부패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숯과 황토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항아리를 제조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 및 불순물분해와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숯 항아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 조절과 물분자 활성화 및 숙성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숯 항아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하여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더라도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숯 항아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점토, 융제인 장석 및 내구재인 규석과 같은 재료가 혼합된 황토 70∼90중량%, 숯가루 10∼30중량%가 혼합되는 조성물을 소지(素地)로 하는 숯 항아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소지에 맥반석 10 내지 15중량%를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숯 항아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를 혼합한 소지(素地)를 반죽하여 소망하는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800∼950 ℃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3∼4 시간 동안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숯 항아리에 의하면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출과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 조절 기능을 통해 산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숯과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효과 및 불순물분해와 항균 및 해독효과 외에 숯에 의한 수분이 조절은 물론 물분자의 활성화 및 숙성효과로 보다 안정되고 영양소와 파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토, 융제인 장석 및 내구재인 규석과 같은 재료가 혼합된 황토 70∼90중량%, 숯가루 10∼30중량%가 혼합되는 조성물을 소지(素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소자에 맥반석 10 내지 15중량%를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숯 항아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를 혼합한 소지(素地)를 반죽하여 소망하는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800 ∼950 ℃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3∼4 시간 동안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를 혼합한 항아리 소재를 반죽하여 소망하는 형태를 이루는 항아리 모양으로 성형한 후 그늘에서 일정시간 동안 건조한다.
항아리 성형은 진공성형, 압출성형, 프레스성형, 정수압성형 등의 방법으로 실시하고, 건조는 통상의 항아리 건조온도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처럼 성형되는 숯 항아리에 있어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물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황토는 극히 세립의 회황색 물질로 입자가 비교적 고르며, 입경이 0.05∼0.01㎜인 입자를 50%이상 포함하는 것으로, 석영이 주성분이며, 이외에 장석, 운모, 희석, 각섬석, 방해석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황토는 점성이 높고 자체적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면서 미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전자파, 자기파, 수맥파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황토는 70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적정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물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숯은 재벌구이 후 형성되는 다공질에 의해 각종 이 물질이나 유해물질 등을 흡착하여 살균작용을 하며, 냄새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을 한다.
상기 숯은 높은 비표면적 및 다공질을 통한 흡착기능으로 탈취가 용이하며, 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숯은 평균입경이 0.5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인 것이 좋다.
상기 숯가루는 1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으로,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다공질에 의한 살균 및 탈취작용이 향상될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아리 소재를 황토, 숯가루 이외에 맥반석 10 내지 15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반석은 각종 미네랄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1㎠당 약 30,000 개 이상의 다공질로 이루어져 각종 금속, 세균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흡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새 등을 제거하는 탈취작용을 한다.
상기 황토 및 맥반석은 가능한 적은 입도를 갖는 분말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적은 입도를 가질 경우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평균입경이 80내지 120메쉬(mesh)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메쉬인 것이 항아리의 질감, 성형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성형된 항아리는 800 내지 950℃의 온도에서 최소한 2 시간 이상 가열하여 1차 소성하여 내열성, 압축강도, 및 파탄강도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1차 소성 이후에 필요에 따라 항아리 내외면에 초화문 또는 그림을 그리거나 인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1차 소성한 항아리는 또 다시 1000∼1300℃의 온도에서 2차 소성한다. 상기 재벌구이는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10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6 시간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숯 항아리는 상기 2차 소성 후 필요에 따라 용기의 표면에 잿물처리를 한 후 열처리하여 용기 표면에 내열성 및 강도를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숯 항아리의 숯 성분은 음이온을 발생하고, 탈취, 살균, 및 항균작용이 우수하다.
그리고 황토 성분은 원적외선 방출로 물분자가 활성화되어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산도 억제 및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일정 범위내에서 습도를 조절 기능을 갖는다.
[실시예]
실시예 1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를 혼합한 소지를 이용하여 항아리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숯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900℃의 온도에서 최소한 2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1000℃의 온도에서 6 시간 동안 2차 소성하여 숯 항아리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혼합물에 맥반석 15 중량%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숯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자연건조 후 용기의 표면에 잿물처리를 추가로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숯 항아리를 제조하였다.

Claims (3)

  1. 점토, 융제인 장석 및 내구재인 규석과 같은 재료가 혼합된 황토 70∼90중량%, 숯가루 10∼30중량%가 혼합되는 조성물을 소지(素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소지에 맥반석 10 내지 15중량%가 추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숯 항아리.
  3. 황토 70∼90 중량%, 숯가루 10∼30 중량%가 혼합되는 소지(素地)를 이용하여 항아리를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800∼950 ℃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항아리를 1000∼1300 ℃에서 3∼4 시간 동안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항아리 제조방법.
KR1020070112924A 2007-11-07 2007-11-07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6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24A KR20090046987A (ko) 2007-11-07 2007-11-07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24A KR20090046987A (ko) 2007-11-07 2007-11-07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987A true KR20090046987A (ko) 2009-05-12

Family

ID=4085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924A KR20090046987A (ko) 2007-11-07 2007-11-07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69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374B1 (ko) 세라믹 소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3502B1 (ko) 이온화된 칼슘 분말이 함유된 항균성 마스터배치를 원료로 하는 항균성 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8314B1 (ko) 이온화된 칼슘 분말을 이용한 항균성 마스터배치 제조 공법
KR10175426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항균성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0495571B1 (ko) 흡방습 건강타일 조성물 및 건강타일의 제조방법
KR20060094118A (ko)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305B1 (ko) 벽면부착형 인테리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6987A (ko) 숯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297871B1 (ko) 생리 활성 촉진용 조성물
KR20160120926A (ko) 천연 조성물을 이용한 교구재용 고무점토
KR20130012983A (ko)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8368U (ko) 세라믹 숯 타일
CN109305812A (zh) 负离子钛晶杀菌生态砖
KR100935200B1 (ko) 골분의 부패 및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납골토 및 그 이용방법
KR20070028999A (ko)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482B1 (ko) 황토 숯가루의 제조방법
KR101110322B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코튼스프레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006143B1 (ko)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127B1 (ko) 생체 및 식물에 활성화 기능을 부여하는 무기물 소성체
KR102327214B1 (ko) 광촉매 및 무기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 타일 제조용 조성물
KR20060088447A (ko) 감람석분을 함유하는 도기그릇의 성형방법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KR20020003532A (ko) 기능성 도자기 제조
KR20140119550A (ko) 기능성 장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