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983A -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983A
KR20130012983A KR1020110074340A KR20110074340A KR20130012983A KR 20130012983 A KR20130012983 A KR 20130012983A KR 1020110074340 A KR1020110074340 A KR 1020110074340A KR 20110074340 A KR20110074340 A KR 20110074340A KR 20130012983 A KR20130012983 A KR 2013001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ll
powder
primary
zeo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권
Original Assignee
박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권 filed Critical 박찬권
Priority to KR102011007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2983A/ko
Publication of KR2013001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습항균볼은,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1차배합물을 준비하고, 1차성형볼을 제조하는 1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2차배합물을 만들고, 2차성형볼을 제조하는 2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된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을 도포하여 3차성형볼을 제조하는 3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한 3차성형볼을 건조기에 넣고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시킨 3차성형볼을 가마에 넣고, 소성한 다음, 가열을 중단하고 방치하여 온도가 내려가고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제조하는 소성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THE DEHUMIDIFICATION AND ANTIBIOTIC BALL FOR ASHES PRESERVATION}
본 발명은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돌아가신 고인의 골분을 보관하는 유골함에 사용되는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3051호 '방습 및 방충이 가능한 유골함'에는, 유골함의 상부캡 하측에 제공된 걸림턱의 내측으로 활성탄소와 제누션 등을 혼합하여 제공한 후 걸림턱의 내측으로 하부본체의 내측으로 하부 본체의 외주연과 밀착시켜 보관하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004호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에는, 유골 및 분골을 보존하는 납골함과 덮개와 받침대로 이루어진 납골함에 있어서, 받침대의 하단 중앙에 일정 크기의 오목형상이 형성되고 그 오목형상의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며, 오목형상에 활성탄이 취부되고, 덮개의 상단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볼록형상이 형성되고 그 볼록형상의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고 볼록형상에 활성탄이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유골함 자체에 방습기능 등을 구비한 유골함에 관한 것들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86336호 '유골용 분토'에는, 건조 가공한 황토분말, 맥반석분말, 게르마늄분말, 옥분말, 은분말, 동분말, 숯가루, 활성탄가루를 혼합하여 비닐로 단위 포장한 유골용 분토 완제품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분토는 유골함에 사용시 유골과 섞이는 문제점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3051호 '방습 및 방충이 가능한 유골함' 특허문헌 2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004호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86336호 '유골용 분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모양이 깔끔하고 세련되며 유골과 섞이지 않는 제습항균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은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1차배합물을 준비하고, 제올라이트 시드(seed)를 볼성형기에 넣고 볼성형기를 가동하여 회전시키면서 분무기로 제올라이트 시드에 물을 뿌려 제올라이트 시드를 촉촉하게 만든 후, 볼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1차배합물 5 ~ 10 %를 제올라이트 시드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 ~ 10 %를 뿌리고, 이 과정을 9 ~ 19회 더 반복하여 1차성형볼을 제조하는 1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2차배합물을 만들고, 볼성형기를 돌리면서 2차배합물 5 ~ 10 %를 1차성형볼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10 중량% 뿌린 후. 이 과정을 9 ~19회 더 반복하여 2차성형볼을 제조하는 2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된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을 도포하여 3차성형볼을 제조하는 3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한 3차성형볼을 건조기에 넣고 12~20 시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시킨 3차성형볼을 가마에 넣고, 소성한 다음, 가열을 중단하고 방치하여 온도가 내려가고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제조하는 소성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조된 본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은, 볼의 내부 중심에 시드(seed)가 있고, 시드의 바깥을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1차배합물로 이루어진 1차성형볼이 둘러싸고, 1차성형볼의 바깥을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2차배합물로 이루어진 2차성형볼이 둘러싸고,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이 도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료들은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활성탄은 습기와 냄새를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흡착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는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라이트는 흡착기능 및 항균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맥반석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항균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산석은 흡착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은콜로이드는 항균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은 상기 원료들이 배합되어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제습과 항균기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외관이 깔끔하고 세련되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제조된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유골함에 사용할 때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공정도이다.
<실시예 1> 1차성형볼 제조
지름 2.5 mm의 제올라이트 시드(seed) 25 kg을 준비하였다.
활성탄분말 30 kg, 제올라이트분말 20 kg, 황토분말 20 kg, 일라이트분말 10 kg, 맥반석분말 10 kg, 화산석분말 10 kg을 배합하여 1차배합물 100 kg을 만들었다.
물 30 ℓ를 준비하였다.
제올라이트 시드 25kg을 볼성형기에 넣고 볼성형기를 가동하여 회전시켰다.
볼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분무기로 제올라이트 시드에 물을 뿌려 제올라이트 시드를 촉촉하게 만들었다.
성형기를 돌리면서 1차배합물 10kg(1차배합물의 10 %)를 제올라이트 시드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3ℓ를 뿌렸다.
이 과정을 9회 더 반복하여(총 10회) 1차성형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차성형볼 각각의 지름은 5 ~ 6 mmm가 되었다.
<실시예 2> 2차성형볼 제조
제올라이트분말 20 kg, 황토분말 50 kg, 일라이트분말 10 kg, 맥반석분말 1 0kg, 화산석분말 10 kg을 배합하여 2차배합물 100 kg을 만들었다.
물 30 ℓ를 준비하였다.
실시예1에서 제조한 1차성형볼이 들어있는 볼성형기를 준비하였다.
성형기를 돌리면서 2차배합물 10kg(2차배합물의 10 %)를 1차성형볼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3ℓ를 뿌렸다.
이 과정을 9회 더 반복하여(총 10회) 2차성형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2차성형볼 각각의 지름은 6 ~ 7 mmm가 되었다.
<실시예 3> 3차성형볼 제조
물 1 ℓ당 은콜로이드 2g의 비율로 넣어서 만든 은콜로이드 수용액 2 ℓ를 준비하였다.
실시예2에서 제조된 2차성형볼의 표면에 3회에 걸쳐 은콜로이드 수용액을 도포하여 3차성형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건조
실시예3에서 제조한 3차성형볼을 건조기에 넣고 80 ℃의 온도로 12 시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5> 소성
실시예4에서 건조시킨 3차성형볼을 가마에 넣었다.
가마 내의 온도를 시간당 100 ℃ 씩 서서히 올려 980 ℃ 까지 올린 후 2 시간을 유지하여 소성하였다.
가열을 중단하고 10 시간 방치하여 온도가 내려가고 본 발명의 유골함용 제습항균볼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제조된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개략도이다.
볼의 내부 중심에 시드(seed)(10)가 있다.
시드의 바깥을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1차배합물로 이루어진 1차성형볼(20)이 둘러싸고 있다.
1차성형볼의 바깥을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2차배합물로 이루어진 2차성형볼(30)이 둘러싸고 있다.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이 도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습항균볼은 외형이 깔금하고 세련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유골함에 사용할 때의 예시도이다.
유골함(500)의 뚜껑을 열고,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100)을 유골함의 바닥에 깐다.
그 위에 유골(200)을 넣는다.
그 다음 유골의 위에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100)을 덮는다.
그 다음 유골함의 뚜껑을 닫는다.
본 발명에 의해,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외관이 깔끔하고 세련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이 제공된다.
10 : 시드(seed) 20 : 1차성형볼 30 : 2차성형볼
40 : 3차성형볼
100 : 제습항균볼 200 : 유골 500 : 유골함

Claims (5)

  1.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1차배합물을 준비하고,
    제올라이트 시드(seed)를 볼성형기에 넣고 볼성형기를 가동하여 회전시키면서 분무기로 제올라이트 시드에 물을 뿌려 제올라이트 시드를 촉촉하게 만든 후,
    볼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1차배합물 5 ~ 10 %를 제올라이트 시드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 ~ 10 %를 뿌리고,
    이 과정을 9 ~ 19회 더 반복하여 1차성형볼을 제조하는 1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2차배합물을 만들고,
    볼성형기를 돌리면서 2차배합물 5 ~ 10 %를 1차성형볼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10 중량% 뿌린 후.
    이 과정을 9 ~19회 더 반복하여 2차성형볼을 제조하는 2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된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을 도포하여 3차성형볼을 제조하는 3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한 3차성형볼을 건조기에 넣고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시킨 3차성형볼을 가마에 넣고, 소성한 다음, 가열을 중단하고 방치하여 온도가 내려가고 본 발명의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을 제조하는 소성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 시드(seed)는 지름이 2.5 mmm이며, 그 양은 1차배합물의 25 중량%인 것이 특징인,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방법.
  3. 제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80 ℃의 온도로 12 ~ 20 시간 건조하는 것이 특징인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방법.
  4.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1차배합물을 준비하고,
    1차배합물의 25 중량%에 해당하는 지름 2.5mm 의 제올라이트 시드(seed)와 1차 배합물의 30 중량%에 해당하는 물을 준비한 다음,
    제올라이트 시드를 볼성형기에 넣고 볼성형기를 가동하여 회전시키면서 분무기로 제올라이트 시드에 물을 뿌려 제올라이트 시드를 촉촉하게 만든 후,
    볼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1차배합물 5 ~ 10 %를 제올라이트 시드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 ~ 10 %를 뿌리고,
    이 과정을 9 ~ 19회 더 반복하여 지름 5 ~ 6 mmm 1차성형볼을 제조하는 1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를 배합하여 2차배합물을 만들고,
    2차 배합물의 30 중량%의 물을 준비하고,
    제조한 1차성형볼이 들어있는 볼성형기를 준비한 다음,
    볼성형기를 돌리면서 2차배합물 5 ~ 10 %를 1차성형볼에 골고루 뿌리면서 물 5~10 중량% 뿌린 후.
    이 과정을 9 ~19회 더 반복하여 지름은 6 ~ 7 mmm 2차성형볼을 제조하는 2차성형볼 제조공정과;
    물 1 ℓ당 은콜로이드 2g의 비율로 넣어서 만든 은콜로이드 수용액 2 ℓ를 준비한 다음,
    제조된 2차성형볼의 표면에 3회에 걸쳐 은콜로이드 수용액을 도포하여 3차성형볼을 제조하는 3차성형볼 제조공정과;
    제조한 3차성형볼을 건조기에 넣고 80 ℃의 온도로 12 ~ 20 시간 건조하는 건조공정과;
    건조시킨 3차성형볼을 가마에 넣고,
    가마 내의 온도를 시간당 100 ℃ 씩 서서히 올려 980 ℃ 까지 올린 후 2 시간을 유지하여 소성한 다음,
    가열을 중단하고 10 시간 방치하여 온도가 내려가고 본 발명의 유골함용 제습항균볼을 제조하는 소성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의 제조방법.
  5. 볼의 내부 중심에 시드(seed)가 있고,
    시드의 바깥을 활성탄분말 30 중량%,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2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1차배합물로 이루어진 1차성형볼이 둘러싸고,
    1차성형볼의 바깥을 제올라이트분말 20 중량%, 황토분말 50 중량%, 일라이트분말 10 중량%, 맥반석분말 10 중량%, 화산석분말 10 중량%로 이루어진 2차배합물로 이루어진 2차성형볼이 둘러싸고,
    2차성형볼의 표면에 은콜로이드 수용액이 도포되어 있는 구조로 된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KR1020110074340A 2011-07-27 2011-07-27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2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40A KR20130012983A (ko) 2011-07-27 2011-07-27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40A KR20130012983A (ko) 2011-07-27 2011-07-27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983A true KR20130012983A (ko) 2013-02-06

Family

ID=4789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340A KR20130012983A (ko) 2011-07-27 2011-07-27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29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5B1 (ko) * 2013-04-02 2015-01-15 주식회사 유니셀네트워크 화산부산물을 이용한 구상 소성체 및 그 제조방법
CN107185487A (zh) * 2017-05-23 2017-09-22 盛朗(广州)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a型分子筛除湿载体及其制备方法
CN109701259A (zh) * 2018-09-25 2019-05-03 东莞市锦铭五金有限公司 一种玩具钢珠及其制备方法
KR2021011210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성현테크 세라믹볼용 조성물, 세라믹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세라믹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5B1 (ko) * 2013-04-02 2015-01-15 주식회사 유니셀네트워크 화산부산물을 이용한 구상 소성체 및 그 제조방법
CN107185487A (zh) * 2017-05-23 2017-09-22 盛朗(广州)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a型分子筛除湿载体及其制备方法
CN109701259A (zh) * 2018-09-25 2019-05-03 东莞市锦铭五金有限公司 一种玩具钢珠及其制备方法
KR2021011210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성현테크 세라믹볼용 조성물, 세라믹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세라믹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983A (ko) 유골보존용 제습항균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936B1 (ko) 미세다공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7850B1 (ko)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1527A (ko) 나노 무기재를 활용한 과수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98343B1 (ko) 은향초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508932B1 (ko) 친환경 머드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5249B1 (ko) 원목을 이용한 숯 자기의 제조방법
CN107297987A (zh) 一种多用途陶瓷工艺品
KR100495571B1 (ko) 흡방습 건강타일 조성물 및 건강타일의 제조방법
JP3148333U (ja) 園芸装飾用の多孔質セラミックス顆粒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KR20060094118A (ko) 황토 쌀 항아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018B1 (ko) 천연 재료를 이용한 외장패널
KR101866999B1 (ko)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049190A (zh) 红外线玉石壁纸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CN100388956C (zh) 用于玩具的矿物填充料
KR102335234B1 (ko) 습도 조절 및 음이온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실내장식물
CN100388957C (zh) 用于玩具的多用途矿物填充料
KR101504875B1 (ko) 친환경 전복타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전복타일
KR101312666B1 (ko) 가습필터의 가습유도용 볼 및 그 볼 제조방법
KR102445964B1 (ko) 스코리아 및 황토를 혼합/압착하여 제공되는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JP4859326B2 (ja) 植物鮮度保持材および植物鮮度保持法
KR102445965B1 (ko) 스코리아 원석 분말을 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원석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JP2011016677A (ja) 粘土製品のコーティング剤と粘土製の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