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999B1 -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999B1
KR101866999B1 KR1020160028363A KR20160028363A KR101866999B1 KR 101866999 B1 KR101866999 B1 KR 101866999B1 KR 1020160028363 A KR1020160028363 A KR 1020160028363A KR 20160028363 A KR20160028363 A KR 20160028363A KR 101866999 B1 KR101866999 B1 KR 10186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atural
glue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304A (ko
Inventor
김영수
김순복
Original Assignee
김영수
김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김순복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6002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99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분을 이용한 기능성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석분(stone powder)과 아교 첨가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기존의 페인트에 비해 높은 내열성 및 강도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성, 단열성, 불연성 등의 기능성이 향상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20~30 중량부, 유화제 2.5~5.0 중량부 및 이온수 200~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화학 합성물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어, 외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고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 벽체에 적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석분이 달락되거나 묻어 나오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합성 수지 계열의 합성 물질이 포함된 페인트에 비해 사용 및 적용이 용이하고, 석재의 가루 형태인 석분을 사용함으로써 페인트가 칠해진 벽면에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 등의 다양한 친환경 및 고기능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Functional paints with rock pow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석분을 이용한 기능성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석분(stone powder)과 아교 첨가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기존의 화학 합성 성분을 포함하는 페인트에 비해 높은 내열성 및 강도 특성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성, 단열성, 불연성 등의 기능성이 향상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화학 합성 성분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페인트는 외벽, 내벽 등의 건물을 칠하거나, 물건 등에 발라 사용됨에 따라, 건물 및 물건을 1차적으로 보호하면서 건물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페인트는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조하는 과정, 다른 혼합물과 혼합하는 과정(희석을 하기 위해서나,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을 혼합하여 다른 색상을 낼 경우), 칠을 하는 과정 등에서, 호흡기로 성분이 흡입되지 않고 피부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스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등의 시공상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페인트 조성물이 건물 공간 내부에 발라지거나, 실내 가구 등에 칠해질 경우에는, 그 페인트 성분이 일상생활에서 계속 노출되어, 그 공간 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새집 증후군, 두통, 불쾌감 등의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페인트, 또는 황토집과 같은 외관을 내기 위해서, 황토 흙을 일정 두께로 건물 외벽에 바르는 등의 시도가 있었으나, 황토 흙은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마르면 갈라지고, 비나 눈에 의해 쉽게 훼손되는 등의 내구성에 문제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황토 성분을 포함하는 페인트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고 탈취율이 우수하며 습도조절 기능이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 후 황토 흙이 쉽게 분진이 되어 떨어지거나 쉽게 묻어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리석과 같은 석재로 이루어진 건축 자재는 그 외관상의 미려함으로 인해 고가의 건축자재로 선호되고 있으나, 원자재의 가격이 높은 문제점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61083호 (2010년05월25일 등록공고)
본 발명은 기존의 화학 성분을 포함하는 종래의 페인트 또는 황토흙을 포함하는 황토 페인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통상적인 건축자재에 사용되어 석재가 갖는 미려한 외관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켜 황토 성분이 쉽게 묻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 고기능성의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해결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천연 재료인 아교 성분과 강도 보강 재료로 단순한 황토흙 대신에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또는 게르마늄석 등의 석재 가루인 석분을 사용하였으며, 미려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천연 안료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친환경 특성과 기능성을 극대화 시키면서 동시에 석분 특유의 광택 및 높은 강도 특성을 갖는 친환경 고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 및 내구성이 높은 친환경 재료인 석분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페인트에서 사용되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고, 부피 변형률이 낮고 외부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높아 시공 후 장기간 사용시에도 석분 분말의 이탈이나 묻어나는 현상 또는 갈라짐 현상이 거의 없으며, 기존 페인트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어 경제적인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가지며,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 등의 특성을 건축용 자재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석분(stone powder), 아교, 유화제 및 이온수로 이루어지거나 석분(stone powder), 아교, 유화제 및 이온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천연 식용 색소 및/또는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천연 식용 색소로는,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향료는 아로마 또는 허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의 향으로는, 라벤더향, 로즈향, 피치향, 오렌지향, 센달우드향 또는 로즈마리향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게르마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 형태이며, 상기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화제는, EO(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40 내지 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C16 내지 C18의 알킬기를 포함하고 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내지 4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지방산이 C12 내지 18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석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20~30 중량부, 유화제 2.5~5.0 중량부 및 이온수 200~250 중량부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가 각각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교 성분이 갖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수 용액을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5 내지 5 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 있고, 페인트 성분의 접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 내지 3 중량부의 천연 포졸란을 더욱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 천연 기능성 페인트의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석분을 전처리하는 단계;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온수 200~250 중량부, 아교 20~30 중량부 및 유화제 2.5~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을 1,500~1,8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석분 100 중량부를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공급하여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이에,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상기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1.5~2.5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천연 고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석분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화학 합성물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어, 외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고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아, 벽체 등에 적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석분이 탈락되거나 묻어 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고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기존의 화학 합성 성분인 합성 수지 계열의 물질이 포함된 페인트에 비해 사용 및 적용이 용이하고, 석재의 가루 형태인 석분을 사용함으로써 페인트가 칠해진 벽면에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 등의 다양한 친환경 및 고기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천연 고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석분은,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석재의 가공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가루들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원료 수급의 비용적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아교를 접착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페인트를 벽체나 바닥면 등에 적용한 이후 내구성 및 강도가 뛰어나, 적용된 면을 따라 석분이 탈락하거나 수분이나 압력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석분이 묻어나지 않는 등의 장기간 안정적인 물성을 유지할 수 있어, 수려한 외관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조성물이 적용된 시편의 항곰팡이 시험결과이다.
도 2a와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조성물의 항균 시험결과이다(2a: Escherichia coli ATCC 25922, 2b: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조성물의 탈취 시험결과이다(3a: 암모니아, 3b: 폼알데하이드).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사율(4a) 및 방사에너지(4b) 시험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를 통한 설명 내용은 이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라고 할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로 더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밝혀둔다.
기존의 화학 합성 수지 혹은 화학 성분을 포함하는 페인트 조성물의 경우에는, 건축용 자재에 적용할 경우, 도포된 건축용 자재의 표면과 충분한 (접착)강도의 발현 혹은 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따른 자재의 팽창/수축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시 도포된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다양한 합성 수지 접착 성분을 다량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친환경 소재로서의 다양한 기능성 부여가 어려워지게 되고, 석재의 접착 부분에서 이질감 및 접착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려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항균성, 단열성 또는 불연성 등과 같은 고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석재의 가루 형태인 석분(stone powder)을 페인트의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장기간 사용시에도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인트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벽면에 석재를 직접 시공한 것과 유사하게 미려하고, 수려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게르마늄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황토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20~30 중량부, 유화제 2.5~5.0 중량부 및 이온수 200~250 중량부로 이루어지거나,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20~30 중량부, 유화제 2.5~5.0 중량부 및 이온수 200~2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에 다양한 색과 향을 추가로 더 부여하기 위해 천연 식용 색소 및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천연 식용 색소로는,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향료는 아로마 또는 허브가 사용된다.
상기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는 각각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색소와 향료의 효과가 페인트 조성물 내에서 발휘되지 못하며, 2.5 중량부 이상의 범위로 사용될 경우에는, 페인트 조성물 내의 균일한 혼합이 곤란한 문제점이 존재하여, 페인트 도포 후 형성되는 도포층의 물성(예를 들어 도포 강도, 내마모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조성비에서 석분의 함량이 더욱 증가할 경우에는 페인트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사용 편의성이 감소하게 되고, 석분의 함량이 더욱 감소할 경우에는 페인트의 도포 후 형성되는 페인트 층의 물리적 강도 및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원적외선 방사율,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등의 기능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 석분은 광산 또는 석재 가공 공장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페인트 조성물에 혼합되기 전에 입자를 균일하게 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의 입자가 불균일하고 불순물이 다량 함유되는 경우 후술한 기타 성분들과의 혼화성 및 응집성이 떨어져 패널 자체의 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과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석분을 급속 가열한 후 열수처리 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롤러 밀, 진동 볼밀, 제트 밀, 터보 밀, 포트 밀 등에 의한 미분쇄 과정을 거쳐 균일한 입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속 가열은 석분을 구성하는 이종 성분간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입계에서 미소균열을 야기함으로써, 불순물을 분리하고 추후 분쇄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급속 가열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0MHz~5GHz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1~10분의 단시간에 석분의 온도를 700~800℃까지 상승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급속 가열된 석분은 분리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수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열수처리는 200~250℃의 온도에서 20~4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처리 과정을 거진 석분은 건조 후 미분쇄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0.1~1mm의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사용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펄프 또는 아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교 성분은 기본적인 접착력 부여 효과뿐만 아니라 석분 입자들 사이의 응집력을 높임과 동시에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펄프 성분은 상기 아교 첨가제 성분을 빨아들임과 동시에 석분들은 연결하는 충진재 역할을 하여 아교 첨가제 성분과 석분과의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과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교는 동물의 가죽, 힘줄, 창자,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한 물질로서 화재시 바로 탄화되어 유독가스 발생량이 적고 화재의 진행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아교는 상대적으로 적은 함량으로도 높은 접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재 특유의 탄성으로 인하여 외부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높아, 페인트 조성물에 포함된 석재 입자들이 벽체 등에 도포된 이후, 외부 충격이나 가혹한 환경 등에서도충격을 흡수하거나 내구성을 높여, 석분 입자들의 탈락이나 묻어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교는 아교의 유동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석분과의 혼화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아교 전체 중량 대비 1~10 중량부의 글리세린이 추가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제조단계에서 아교와 함께 혼합되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교의 함량은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교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인트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시공시 석재의 결합면에 균일한 도포를 수행할 수 없으며, 아교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력과 강도를 부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펄프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3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펄프는 목재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목재 펄프가 더 포함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작용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아교 첨가제를 보조하는 보조 충진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재 펄프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완충 작용의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접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식용 색소는, 상기 천연 식용 색소는,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향료는 아로마 또는 허브인 것이 바람직한데, 공지의 천연물 추출 방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기존의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유화제를,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유화제는 EO(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40 내지 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C16 내지 C18의 알킬기를 포함하고 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내지 4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지방산이 C12 내지 18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용매로 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알칼리 이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접착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균일하고 한정한 혼합과 분산을 위해 유화제 2.5 내지 5 중량부와 이온수를 200~25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성 용매 타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시공성과 내구성 및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유화제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용매인 이온수 내에서 각각의 석분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5 중량부를 넘어설 경우에는 분산 안정성이 감소하여 페인트 조성물의 흐름성, 접착성 및 내구성 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 유화제는 앞서 언급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석분을 전처리하는 단계;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온수 200~250 중량부, 아교 20~30 중량부 및 유화제 2.5~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을 1,500~1,8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석분 100 중량부를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공급하여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이에,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상기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1.5~2.5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는 페인트 조성물이 벽체 등에 도포되었을 때, 도포된 벽체면 등에 특유의 향과 색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식용 색소와 아로마 또는 허브의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과정 중에서는, 원료물질의 투입 순서가 중요한데, 먼저 이온수 200~250 중량부, 아교 20~30 중량부 및 유화제 2.5~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1 슬러리 혼합물을 1,500~1,8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석분 100 중량부를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천천히 공급하여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온수 내에 아교 및 유화제가 충분히 녹은 후에 석분을 천천히 투입함으로써, 슬러리 조성물 내에서 보다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고 높은 분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석분을 포함하는 기본 페인트 조성물을 제조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상기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석분과 동시에 투입할 경우에는 슬러리 조성물 내에서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오히려 석분의 표면에 상기 색소와 향료의 불균일한 흡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페인트 조성물의 도포시 색감 및 향이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아교 성분이 갖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수 용액을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5 내지 5 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페인트 성분의 접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2 내지 3 중량부의 천연 포졸란을 더욱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이온수, 유화제 및 아교를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용매로 사용된 이온수는 알칼리 이온수 430g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1 슬러리 혼합물에 황토석분 200g을 1,600 rpm의 교반속도로 40분에 걸쳐 천천히 투입 및 혼합하여 제2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2 슬러리 조성물에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각각 2 중량부 더 혼합하여 비교예 1 내지 4와 실시예 1 내지 4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유화제는 지방산이 C15인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이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3 비교예4
이온수 430 430 430 430 430 430 430 430
유화제 3 10 5 10 10 10 10 15
아교 45 35 45 45 55 60 65 45
(단위 g)
[실험예 1]
내세척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페인트 조성물에 대하여 내세척성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내세척성은 KS M 5000의 시험방법 3351에 따라 24시간 자연 건조 후에 그 벗겨짐 정도를 관찰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내세척성
(300회 이상%)
216 230 267 27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내세척성
(300회 이상%)
432 630 517 493
[실험예 2]
항곰팡이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페인트 조성물에 대하여 ASTM G 21:2003에 의하여 항곰팡이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도 1(실시예 2의 조성물이 적용된 페인트 도포 시편)에 나타내었다. 공팡이 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Gliockadium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의 혼합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시험중 온도는 (29.1 ± 0.2)℃, 습도는 (99.0 ± 1.0)% R.H.로 유지하였으며, 접종 후 4주 후 결과를 측정하였다.
(등급기준 : "0"은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음. "1"은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10% 미만임. "2"는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10~30% 임. "3"은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30~60% 임. "4"은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60% 이상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등급 1 1 1 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등급 0 0 0 0
[실험예 3]
항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페인트 조성물에 대하여 KCL-FIR-1002:2011에 의하여 항균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 및 도 2a,b(비교예1, 실시예2)에 나타내었다. 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1.6x10^6 CFU/ml)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1.2x10^6 CFU/ml)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시험 중 온도는 (37.2 ± 0.2)℃, 습도는 (31.4 ± 0.3)% R.H.로 유지하였다.
시험항목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
(CFU/mL)
세균 감소율
(%)
Escherichia coli ATCC 25922에 의한 항균시험 비교예1 1.6x10^4 5.8x10^4 -
실시예1 1.6x10^4 <10 99.9
실시예2 1.6x10^4 <10 99.9
실시예3 1.6x10^4 <10 99.9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의한 항균시험 비교예1 1.2x10^4 4.3x10^4 -
실시예1 1.2x10^4 <10 99.9
실시예2 1.2x10^4 <10 99.9
실시예3 1.2x10^4 <10 99.9
[실험예 4]
탈취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2의 페인트 조성물이 도포된 시료를 5L 크기의 반응기에 넣고 밀봉한 후, 시험가스의 초기농도를 50μmol/mol으로 주입하고, 시험가스의 농도를 초기(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서 측정하여 그 변화를 하기 표 5,6 및 도 3a,b에 표시하였다.
시험가스의 농도는 KS I 2218:2009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시험 중 온도는 (20.6 ± 0.3)℃, 습도는(52.1 ± 0.4)% R.H.로 유지하였다. 또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동일한 시험을 진행하여, 이를 balnk 농도로 표시하였다. 각 시간대별 시험가스의 제거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시험가스의 제거율(%) = [{(blank 농도)-(sample 농도)}/(blank 농도)]X100
시험항목 Blank 농도
Sample 농도
탈취율(%)
암모니아 (NH3)
0분 50 50 0.0
30분 49 4 91.8
60분 49 2 95.9
90분 49 2 95.9
120분 49 1 98.0
시험항목 Blank 농도
Sample 농도
탈취율(%)
폼알데하이드 (HCHO)
0분 50 50 0.0
30분 49 18 63.3
60분 49 17 65.3
90분 49 17 65.3
120분 49 17 65.3
[실험예 5]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측정
상기 실시예 2의 페인트 조성물이 도포된 시료에 대하여 KCL-FIR-1005:2011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율과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여 하기 표 7 및 도 4a,b에 표시하였다. 시험결과는 시험 중 온도는 (22.5 ± 0.1)℃, 습도는(23.3 ± 0.3)% R.H.로 유지하였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측정온도:40℃, 측정파장:5㎛~20㎛)

-

0.907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측정온도:40℃, 측정파장:5㎛~20㎛)
W/m2 3.66x102
상기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석분을 이용하여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가지며,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고 기능성 친환경 페인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석분(stone powder), 아교, 유화제 및 이온수를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에 있어서,
    석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아교 20~30 중량부, 유화제 2.5~5.0 중량부 및 이온수 200~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석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과산화수소수 용액 2.5 내지 5 중량부와 2 내지 3 중량부의 천연 포졸란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은, 천연 식용 색소 및 향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 식용 색소는,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향료는 아로마 또는 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게르마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이고,
    상기 유화제는, EO(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40 내지 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C16 내지 C18의 알킬기를 포함하고 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내지 4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지방산이 C12 내지 18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는 각각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2.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7. 석분을 전처리하는 단계;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온수 200~250 중량부, 아교 20~30 중량부 및 유화제 2.5~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슬러리 혼합물을 1,500~1,8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석분 100 중량부를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공급하여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석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과산화수소수 용액 2.5 내지 5 중량부와 2 내지 3 중량부의 천연 포졸란을 추가로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 슬러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사이에, 천연 식용 색소와 향료를 상기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1.5~2.5 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게르마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이고,
    상기 유화제는, EO(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40 내지 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C16 내지 C18의 알킬기를 포함하고 EO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내지 4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지방산이 C12 내지 18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용 색소는, 치자, 녹차, 강황, 감잎 및 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향료는 아로마 또는 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60028363A 2016-03-09 2016-03-09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63A KR101866999B1 (ko) 2016-03-09 2016-03-09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63A KR101866999B1 (ko) 2016-03-09 2016-03-09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04A KR20170105304A (ko) 2017-09-19
KR101866999B1 true KR101866999B1 (ko) 2018-06-14

Family

ID=6003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63A KR101866999B1 (ko) 2016-03-09 2016-03-09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453A (ko)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토로라이프 흙과 허브를 포함하는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762A (ja) * 2001-11-26 2003-06-06 Benisan:Kk 車両のコート剤
KR20030083831A (ko) * 2002-04-22 2003-11-01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420212B1 (ko) * 2003-03-07 2004-02-26 박영희 광촉매 용액 및 활성탄이 함유된 아교액 황토 미장 페인트
KR200380824Y1 (ko) * 2005-01-13 2005-04-07 이성문 생기(生氣)시멘트 및 기능성 벽 바름재.
KR101506176B1 (ko) * 2014-07-17 2015-03-26 이은관 목재의 질감을 나타내는 도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731A (ko) * 1998-12-31 2000-07-25 박성규 단열페인트용 조성물
KR20060041368A (ko) * 2004-11-08 2006-05-12 강윤식 천연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1083B1 (ko) 2009-08-14 2010-06-08 (주)가이아 젤라틴을 함유하는 황토페인트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762A (ja) * 2001-11-26 2003-06-06 Benisan:Kk 車両のコート剤
KR20030083831A (ko) * 2002-04-22 2003-11-01 게스트환경기술 주식회사 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
KR100420212B1 (ko) * 2003-03-07 2004-02-26 박영희 광촉매 용액 및 활성탄이 함유된 아교액 황토 미장 페인트
KR200380824Y1 (ko) * 2005-01-13 2005-04-07 이성문 생기(生氣)시멘트 및 기능성 벽 바름재.
KR101506176B1 (ko) * 2014-07-17 2015-03-26 이은관 목재의 질감을 나타내는 도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453A (ko)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토로라이프 흙과 허브를 포함하는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28424B1 (ko) * 2018-09-14 2020-06-30 주식회사 토로라이프 흙과 허브를 포함하는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04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960B1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101866999B1 (ko)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페인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129B1 (ko) 코르크 마감재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코르크 마감재의 제조방법
KR20160120926A (ko) 천연 조성물을 이용한 교구재용 고무점토
KR100952607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기능성 도료의 제조방법 및 도료 조성물
KR20170105313A (ko)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6774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KR102423141B1 (ko)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733672B1 (ko) 석분을 이용한 친환경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32715B1 (ko) 석분을 이용한 건축용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6710A (ko) 천연소재 및 천연소재와 무기물질을 혼합한 수성퍼티 도료
KR100955651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친환경 도료 제조방법
KR102062047B1 (ko) 건축 내외장재 및 액자 제조에 사용되는 친환경 조성물
CN101508550B (zh) 凹凸棒内墙水泥漆
KR100959512B1 (ko) 가수소성 황토액과 이를 이용한 천연 황토 코팅액 및모르타르용 천연 황토 혼합제
KR20090104938A (ko) 황토를 포함하는 건물 내부벽 도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5302B1 (ko) 황토 분말이 포함된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049190A (zh) 红外线玉石壁纸
KR100673383B1 (ko) 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5308A (ko) 석분을 포함하는 천연 기능성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0274B1 (ko)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JP2011037654A (ja) 遠赤外線放射鉱物質ボール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