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105B1 -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105B1
KR102365105B1 KR1020200169498A KR20200169498A KR102365105B1 KR 102365105 B1 KR102365105 B1 KR 102365105B1 KR 1020200169498 A KR1020200169498 A KR 1020200169498A KR 20200169498 A KR20200169498 A KR 20200169498A KR 102365105 B1 KR102365105 B1 KR 10236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ylinder
push
coupl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서상윤
이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20016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 G01L1/04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of helical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spring-shaped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손상이나 그에 따른 작동불량 및 측정오류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작동에 따른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측정하기 위한 푸쉬풀 게이지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이 형성되는 측정본체(11)와; 상기 수용공간(16)의 일측에 내장 설치되는 로드셀(20)과; 상기 로드셀(2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선단에 헤드부(31)가 확장 형성된 로드(30)와; 상기 로드(30)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정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로드(30)가 통과되는 관통공(41) 및 상기 관통공(41)에 비해 확장되어 상기 로드(30)의 헤드부(31)가 내재되는 확장공간(42)이 형성된 실린더(40)와; 상기 확장공간(4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40)의 슬라이드 작동시에 상기 로드(30)를 따라 안내되도록 결합된 가이드베어링(60)과; 상기 로드(30)를 내장하도록 상기 로드셀(20) 상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Push-pull gage for an elevator, escalator and moving walk}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손상이나 그에 따른 작동불량 및 측정오류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와 같은 자동이송장치 등은 안전상의 문제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점검이 필수적인데, 일례로 엘리베이터는 장치의 자중이나 부하 또는 과부하 등에 따른 안전검사와 제동장치나 도어 등의 작동상태 등이 안전성능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안전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그 중에서도 승강카나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에 대한 안전성능 검사기준은 도어의 마모나 노후 또는 잠금장치의 성능, 도어의 개폐 및 이탈방지, 문끼임 방지나 닫힘저지 기능 등에 대한 안전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근래에는 승강카의 도어가 이탈되는 사고가 빈번하여 이에 대한 안전대책이 시급한 실정인데,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속도에 따라 사람이나 물건에 부딪히는 운동에너지를 일정 수치로 규정하여 안전검사시에 이를 충족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도어의 운동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속도센서와 하중센서가 내장된 푸쉬풀 게이지 장비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속도와 도어닫힘력를 표시함과 동시에 장비에 내장된 연산회로에 의해 도어의 운동에너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푸쉬풀 게이지에는 도어 등에 터치되어 탄성적으로 작동되는 로드와 이 로드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실린더 등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에는 별도의 지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이러한 푸쉬풀 게이지는 힘의 작동방향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 로드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푸쉬풀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푸쉬풀 게이지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측정함으로 인해 작업자마다 도어의 측면에 닿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어 검사상의 측정오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등을 검사하는 측정용도로 최적화된 것이 아니라 다른 다양한 현장이나 상황 등에 사용됨으로 인해, 엘리베이터를 점검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전용의 측정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통상의 푸쉬풀 게이지는 실린더와 로드는 측정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로드가 실린더 상에서 슬라이드 작동될 때에, 작업자의 자세나 그에 따른 푸쉬풀 게이지의 위치 등에 따라 지그나 로드에 전달되는 힘의 불균형이나 편심하중으로 인해 로드가 실린더 내외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끼임이나 긁힘 등이 발생되기 쉽고, 이로 인해 장치 자체의 손상이나 그로 인해 오작동 및 측정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큰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390호(2016. 06. 1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그에 따라 측정과정에서의 장치의 손상이 발생되거나 작동상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작동에 따른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측정하기 위한 푸쉬풀 게이지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이 형성되는 측정본체(11)와;
상기 수용공간(16)의 일측에 내장 설치되는 로드셀(20)과;
상기 로드셀(2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선단에 헤드부(31)가 확장 형성된 로드(30)와;
상기 로드(30)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정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로드(30)가 통과되는 관통공(41) 및 상기 관통공(41)에 비해 확장되어 상기 로드(30)의 헤드부(31)가 내재되는 확장공간(42)이 형성된 실린더(40)와;
상기 확장공간(4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40)의 슬라이드 작동시에 상기 로드(30)를 따라 안내되도록 결합된 가이드베어링(60)과;
상기 로드(30)를 내장하도록 상기 로드셀(20) 상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40)의 일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가 안착되는 요홈(43) 또는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정본체(11)에는 편평하게 형성된 밀착면(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30)에 비해 직경이 큰 실린더(40)에 의해 피측정물의 표면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 가능하여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이드베어링(60)이 개재되어 실린더(40)의 슬라이드 작동시에 로드(30)를 따라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장치의 반복적인 신축과정에서의 구성간의 끼임이나 편심손상 등과 같은 작동상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에 따른 장치의 보호나 측정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가이드베어링(60)에 의해 실린더(4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함에 따라, 이 실린더(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45)을 요홈(43)이나 돌기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결합하여 제작이나 조립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측정본체(11)의 바닥면이 편평한 밀착면(14)을 형성하여 장치를 거치하거나 피측정물 상에 안착시키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풀 게이지(10)는 하나의 바디 상에 장치의 구성이 일체화되어 휴대나 보관상의 편리함을 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같은 피측정물 상에 용이하게 설치 또는 그립하여 측정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측정본체(11)의 일단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력과 같은 부하에 의해 수축되는 실린더(40)와 그 실린더(40)의 선단에 확장된 접촉면을 형성하는 확경캡(50)이 결합되고, 상기 측정본체(11)의 타단에는 설치장소나 피측정물 상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편평한 밀착면(14)이 형성되며, 이 밀착면(14) 상에는 흡착 또는 완충 등이 가능한 패드(15)가 부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측정본체(11)의 일면에는 장치의 작동을 온오프하거나 셋팅하기 위한 조작버튼(12)과 측정값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패널(13)이 구비되는데, 이를 포함한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을 이를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본체(11)는 대략적으로 손으로 그립하기 용이한 크기로 구비되어 휴대나 보관 및 측정작업 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공간(16) 상에는 상기 밀착면(14) 측에 대면된 내부바닥에 하중을 감지하도록 된 로드셀(20)이 장착되고, 이 로드셀(20)로부터 코일스프링(45)에 의해 탄지되어 측정본체(11)의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실린더(40)가 장착되는데, 이를 도 3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0)는 측정본체(11) 상에 개재된 부싱(17)을 통해 측정본체(1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일단에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가 안착되는 요홈(43)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확경캡(50)이 나사체결되도록 나사산(4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요홈(43) 대신에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내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린더(40)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봉형태의 로드(30)가 관통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30)는 일단에 볼트축(32)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셀(20) 상에 체결되고, 타단에 헤드부(31)가 확장 형성되어 실린더(40)의 슬라이드 작동에 대한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로드(30)가 상기 실린더(40)를 관통하여 설치될 때에는 가이드베어링(60)이 개재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5)에 의해 내장된 상태로 로드셀(20) 상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세한 설치상태와 그에 따른 작동을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0) 상에는 로드(30)가 통과되는 관통공(41)과 이 관통공(41)에 비해 넓은 확장공간(42)이 연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로드(30)는 헤드부(31)가 확장공간(42)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41)을 통과하여 코일스프링(45)에 의해 내장된 상태로 로드셀(20) 상에 결합된 것이다.
이때에 상기 실린더(40)의 확장공간(42) 상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가이드베이링(60)이 설치되어 실린더(40)의 신축작동시에 로드(30)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베어링(60)은 통상의 샤프트 가이드 베어링과 같이 로드(30)의 축방향으로 구름이 가능하여 실린더(40)가 로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이며, 이에 의해서는 슬라이드 과정에서 실린더(40)의 흔들림이나 편심하중 등이 작동됨이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과정에서의 실린더(40) 또는 로드(30)의 편측 마모나 긁힘 등과 같은 장치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측정상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드(30)를 코어축으로 하여 실린더(40)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로드(30)에 비해 직경이 큰 실린더(40)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40)와 그에 결합된 확경캡(50)이 피측정물에 대해 넓은 접촉면적으로 지지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로드(30)를 로드셀(20) 상에 고정한 상태에서 실린더(40)를 작동시킴에 따라, 가이드베어링(60)을 개재한 상태로 장치를 제작하는 데에 용이한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확경캡(50) 상에 별도의 후크와 같은 지그(70)를 결합하여 로드셀(2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측정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방력이나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의 작용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측정본체(11) 상에 결합되는 커버(18)와 상기 확경캡(50) 상에 지그(70)를 결합하도록 된 체결공(51)을 나타낸 것이며, 다른 부호는 상기 로드셀(20) 상에 코일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도록 홈이 형성된 받침캡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푸쉬풀 게이지 11: 측정본체
14: 밀착면 15: 패드
20: 로드셀 30: 로드
31: 헤드부 40: 실린더
41: 관통공 42: 확장공간
43: 요홈 45: 코일스프링
50: 확경캡 60: 가이드베어링
70: 지그

Claims (3)

  1.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작동에 따른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측정하기 위한 푸쉬풀 게이지에 있어서;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16)이 형성되는 측정본체(11)와;
    상기 수용공간(16)의 일측에 내장 설치되는 로드셀(20)과;
    상기 로드셀(20)에 결합되어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선단에 헤드부(31)가 확장 형성된 로드(30)와;
    상기 로드(30)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정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로드(30)가 통과되는 관통공(41) 및 상기 관통공(41)에 비해 확장되어 상기 로드(30)의 헤드부(31)가 내재되는 확장공간(42)이 형성된 실린더(40)와;
    상기 확장공간(4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40)의 슬라이드 작동시에 상기 로드(30)를 따라 안내되도록 결합된 가이드베어링(60)과;
    상기 로드(30)를 내장하도록 상기 로드셀(20) 상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코일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0)의 일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가 안착되는 요홈(43) 또는 상기 코일스프링(45)의 단부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본체(11)에는 편평하게 형성된 밀착면(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KR1020200169498A 2020-12-07 2020-12-07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KR10236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98A KR102365105B1 (ko) 2020-12-07 2020-12-07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98A KR102365105B1 (ko) 2020-12-07 2020-12-07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105B1 true KR102365105B1 (ko) 2022-02-17

Family

ID=8049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98A KR102365105B1 (ko) 2020-12-07 2020-12-07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1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272Y1 (ko) * 1995-12-31 1999-06-15 정몽규 도어 슬램력 측정지그
KR20080059979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문의 작용력 측정장치
KR101631390B1 (ko) 2014-12-31 2016-06-17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푸쉬풀게이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272Y1 (ko) * 1995-12-31 1999-06-15 정몽규 도어 슬램력 측정지그
KR20080059979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문의 작용력 측정장치
KR101631390B1 (ko) 2014-12-31 2016-06-17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푸쉬풀게이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4004C2 (ru) Управление крутящим моментом при торможении
JP4885884B2 (ja) エレベータモータブレーキのトルク測定装置
CN101443565B (zh) 轴承失效指示器
KR100680840B1 (ko) 스냅링 장착 시스템
EP1359110B1 (en) Weight detector for elevator
JP4994711B2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JP52283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65105B1 (ko)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점검용 푸쉬풀 게이지
US20150198506A1 (en) Rotation drum alignment ascertaining device
US20040154178A1 (en) Length sensor
JP2005189157A (ja) 被覆付きワイヤロープの異常検出装置
CN212722017U (zh) 张紧器柱塞检测装置
CN104697413B (zh) 一种孔位面差检测装置
KR101631390B1 (ko) 푸쉬풀게이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운동에너지 측정장치 및 방법
JP2008073787A (ja) スナップリング組み付け検査装置
US20150292590A1 (en) Dampening device for a surveying rod and surveying rod comprising a dampening device
CN205332979U (zh) 一种间隙测量装置
US10919742B2 (en) Endless cable winch
CN113063536A (zh) 用于钢丝绳的张力检测装置及张力检测方法
KR100454363B1 (ko) 구조물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유동변위 측정장치
JP4656995B2 (ja) 回転体装置
CN220064352U (zh) 一种高斯计探头浮动结构及砝码磁性测量装置
RU22963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усилия затяжки резьб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7963047B2 (en) Braking device of measuring instrument and measuring instrument
JP6355588B2 (ja) 半導体検査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