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806B1 - 비틀림 진동 감쇠기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806B1
KR102364806B1 KR1020167021818A KR20167021818A KR102364806B1 KR 102364806 B1 KR102364806 B1 KR 102364806B1 KR 1020167021818 A KR1020167021818 A KR 1020167021818A KR 20167021818 A KR20167021818 A KR 20167021818A KR 102364806 B1 KR102364806 B1 KR 10236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al vibration
vibration damper
output side
mass
in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409A (ko
Inventor
플로리안 슈나이더
바이렌 삭세나
요헨 볼링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1410001016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4001016A1/d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1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33Spiral springs, e.g. lying in one plane, around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5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with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e.g. planet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3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21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 F16F15/1428Metallic springs, e.g. coil or spiral springs with a singl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64Masses connected to driveline by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 F16F15/1471Masses connected to driveline by a kinematic mechanism or gear system with a kinematic mechanism, i.e. linkages,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2)에 관한 것으로, 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입력측(16), 출력측(18), 및 원주 방향(12, 14)으로 입력측(16)과 출력측(18)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체(34)를 가지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는, 복원 장치(4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질량부(42)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비틀림 진동 감쇠기{TORSIONAL VIBRATION DAMPER}
본 발명은 입력측, 출력측, 및 원주 방향으로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체를 갖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예컨대 구동 유닛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는 입력측 및 예컨대 변속기 또는 클러치 입력측에 연결될 수 있는 출력측을 갖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알려져 있다.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는,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입력측과 출력측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에너지 저장체가 배치되어 있다.
알려져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잘 입증되어 있지만, 토크 충격 발생시의 진동 거동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틀림 진동을 감쇠시키고 또한 토크 충격을 흡수하는데에 특히 적합한 비틀림 진동 감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에 명시되어 있는 특징적 사항으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입력측을 갖는다. 이 입력측은 예컨대 플라이휠의 출력측 및/또는 구동 유닛, 예컨대 내연 기관의 출력측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예컨대 클러치 입력측 및/또는 변속기 입력측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 출력측을 갖는다. 따라서, 입력측은 바람직하게는 일차 구동기가 제공되는 일차 요소를 가지며, 출력측은 바람직하게는 이차 구동기 요소가 제공되는 이차 요소를 갖는다. 또한,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 있는 에너지 저장체를 갖는데, 이 에너지 저장체는 원주 방향으로 입력측과 출력측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에너지 저장체는 예컨대 하나의 스프링 요소 또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에서 볼 때 위에서 언급한 일차 구동기와 이차 구동기 사이에 배치된다. 에너지 저장체의 스프링 요소는 예컨대,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스프링 축선 또는 휘어진 스프링 축선을 갖는 헬리컬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 바람직하게는 출력측에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가능한 질량부가 배치되는데, 이 질량부를 관성부 또는 관성 질량부라고도 한다. 따라서, 질량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있어서 그 질량부가 배치되는 측부에 대해, 즉 입력측에 대해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여기서, 질량부는 복원 장치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질량부는 예컨대 복원 장치를 통해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장치는 복원력을 직간접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가능한 질량부 때문에,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에 의해 특히 효과적인 비틀림 진동 감쇠를 실현할 수 있으며,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인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복원력 특성 곡선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해,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각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발생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복원력 특성 곡선의 변화로 상기 복원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원력 특성 곡선의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복원 장치의 조정에 의해 복원력 특성 곡선의 구배가 변하여 복원 장치의 강성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복원 장치의 조정에 의해,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넓은 여기(exitation) 진동수 범위에 적응될 수 있으며, 그래서, 각각 발생되는 토크 충격에 유연하게 적응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복원 장치는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장치의 자동적인 조정은 바람직하게는 관련된 내연 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수행되며, 관련된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가 작동 상태에 대한 특성 변수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복원 장치의 자동적인 조정은 그 특성 변수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일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복원 장치는 내연 기관의 비활성화의 결과로 자동적으로 출발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또한 내연 기관의 시동 후에는 상기 출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로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는 자동적인 시동-정지 장치를 갖는 차량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 상기 복원 장치는 출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보다 그 출발 위치에서 더 높은 강성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원 장치는 출발 위치에서 가장 높은 강성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 방향 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 질량부의 반경 방향 진동 또는 운동이 방지될 수 있는데, 그래서, 질량부의 그러한 반경 방향 진동 또는 운동에 대한 보상은 설계에서 무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복원 장치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 예컨대 스프링 기구를 갖는 것이 기본적으로 가능하고, 그 기구의 작동력은 질량부에 직접 작용하며, 그래서, 발생된 작동력은 마찬가지로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복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레버 요소를 가지며, 이 레버 요소에 의해 작동력이 질량부에 전달되어, 그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이점으로서, 첫째,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원 장치의 상기 기구(예컨대, 스프링 기구)는 질량부에 직접 작용할 필요가 없고, 대신에,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입력측 또는 출력측 상의 어떤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기구의 공간 절약적이고 더욱 유연한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 상기 레버 요소(바람직하게는 휘어질 수 있는 정도로 강성적이거나 비가요적인 형태로 되어 있음) 때문에,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복원 장치의 대응하는 기구에 의해 발생된 작동력 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에 근거하여 레버 비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특히 강성적인 기구에 대한 필요가 없이, 복원 장치의 강성을 레버 요소의 레버 비를 넘어 예컨대 목표하는 방식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버 요소는, 레버 요소의 레버 비의 변화와 함께 조정 및/또는 이동될 수 있는 관절점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관절점의 조정 및/또는 이동에 의해, 상기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복원력 특성 곡선의 변화로, 상기 복원 장치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요소의 관절점을 조정 및/또는 이동시켜, 즉 변화시켜 복원 장치의 강성을 간단한 방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다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레버 요소는 작동력 작용점과 관절점 사이에 있는 제 1 레버부 및 관절점과 복원력 작용점 사이에 있는 제 2 레버부를 가지며, 상기 레버 비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의 길이는 상기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으로 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레버부의 변화(즉,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것)는 이 경우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레버부는 예컨대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일 수 있다. 각각의 설계예에 상관 없이, 레버부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질량부는 상기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소정의 반경 방향 간격을 유지하면서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는, 특히 관절점, 작동력 작용점 및/또는 복원력 작용점의 영역에서의 설계 구성으로 인해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의 결과 레버 비가 약간 변할 수 있는 설계예도 포함한다. 이러한 약간의 변화는 예컨대,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 동안에 작동력 작용점이 직선(가능하게는 반경 방향 라인에 평행한 직선)을 따라 이동하고, 복원력 작용점은 회전 축선 주위의 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및 다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의 결과로 레버 비가 최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 또는 최대 1% 변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점 중의 2개, 즉 관절점, 힘 작용점 및 복원력 작용점 중의 두 점은, 상기 레버부의 길이의 변화와 함께 레버 요소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한편으로 관절점 및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력 작용점 또는 복원력 작용점은 레버부의 길이의 변화와 함께 레버 요소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머지 점은 레버 요소에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복원 장치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스프링 기구는 제 1 스프링 요소와 제 2 스프링 요소를 가지며, 이들 스프링 요소는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에 작용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에 작용하는 상기 두 스프링 요소는 압축 스프링, 가능하게는 헬리컬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레버 요소는 스프링 기구의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의 예압(preload)을 받으면서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한 이점은, 초기 위치 주위로의 레버 요소의 회전각 범위에서 상기 스프링 기구의 특히 높은 강성이 얻어진다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최대 회전각 범위에 걸쳐 각각의 작동력을 레버 요소에 가하도록 예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스프링 기구의 증가된 강성이 질량부의 최대 회전각 범위에 걸쳐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 및 제 2 스프링 요소 각각은,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회전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 있는 길이 방향 축선를 갖는다. 이렇게 해서,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입력측 및/또는 출력측은, 상기 스프링 요소의 방해를 받음이 없이, 회전 축선의 영역에서 상류 요소, 예컨대 플라이휠의 출력측 또는 구동 유닛의 출력측 및/또는 하류 요소, 예컨대 클러치 입력측 또는 변속기 입력측에 확실하게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프링 요소 및 그의 길이 방향 축선은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의 상기 길이 방향 축선은 공통의 직선을 따라 그리고/또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반경 방향 라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 및/또는 제 2 스프링 요소에는, 스프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이 할당된다. 이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스프링 요소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소음 발생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스프링 요소가 손상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최대 회전 각 범위가 상기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에 의해 제한되거나 제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가 예압되는 실시 형태와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레버 요소는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의 예압 없이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 초기 위치 주위의 영역에서 스프링 기구의 강성의 증가가 없고, 대신에 단지 하나의 스프링 요소가 질량부의 일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고, 다른 스프링 요소만이 질량부의 다른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 수용 공간은 예컨대 환형일 수 있고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입력측, 바람직하게는 일차 요소에 의해 또는 출력측, 바람직하게는 이차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질량부는 환형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단지 하나의 질량부만 제공되면 되고, 환형 때문에, 불균형이 생기지 않으며 또한 의도적인 균형 잡기는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의 공간 절약적인 배치가 가능하도록, 질량부는 반경 방향으로 상기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외측에 배치된다.
질량부는 예컨대 내측에서,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최대 외경에, 또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있어서 질량부 쪽을 향하는 측부의 최대 외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질량부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제공되고, 반경 방향 내측에서 질량부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질량부 쪽을 향하는 측부의 최대 외경 보다 작은 직경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 또는 지탱 면이 상당히 감소되어, 예컨대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한 질량부의 회전 동안에 더 낮은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더욱이, 비교적 작은 직경의 영역에서 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제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부는 반경 방향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입력측 또는 출력측과 동일한 직경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는 반드시 반경 방향 내측에서 입력측 또는 출력측과 동일한 직경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어야 할 필요는 없고, 대신에, 지지부가 반경 방향 내측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직경은, 입력측 또는 출력측이 반경 방향 내측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직경과는 최대 10%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즉 입력측 또는 출력측이 반경 방향 내측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직경 보다 10%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첫째로 반경 방향 내측에서의 신뢰적인 지지를 보장하고 둘째로 지지부의 작은 축방향 구조 길이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는 디스크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크형 지지부는 절개부 또는 창(window)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절개부는 또는 창은, 예컨대 지지부에 스포크(spoke) 또는 스트러트(strut)가 사이에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그의 전체 반경 방향 연장에 걸쳐, 질량부 보다 작은 축방향 연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지지부는 축방향에서 볼 때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두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는 절개부 또는 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절개부는 또는 창은, 예컨대 상기 디스크에 스포크 또는 스트러트가 사이에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특히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질량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측부와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질량부 쪽을 향하는 측부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질량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측부가,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있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질량부 쪽을 향하는 측부에 지지될 필요가 없으며, 그래서, 여기서는 마찰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제조비가 증가될 필요가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 질량부는 반경 방향 내측에서 지지부를 통해서만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그래서 입력측 또는 출력측과의 마찰점이 없게 되고 또한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제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유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체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슈우(shoe) 또는 연결 슈우를 가지며, 이들 슈우는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저장체의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를 지지하고/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또는 연결 슈우는 예컨대 소위 슬라이드 슈우, 엔드 슈우 등일 수 있고, 이러한 슈우는 에너지 저장체의 스프링 요소, 예컨대 헬리컬 스프링에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더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출력측 또는 입력측에 대한 질량부 및/또는 입력측 또는 출력측의 회전을 바람직하게는 마찰 접촉으로 방해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복원 장치는, 이 복원 장치가 가능하게는 지지부를 통해 질량부 및/또는 출력측 또는 입력측과 상호 작용하게 되는 위치, 가능하게는 출발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관절점을 형성하는, 복원 장치의 이동 가능한 또는 조정 가능한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돌출부는 상기 위치에서 질량부 및/또는 출력측 또는 입력측과 전술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출력측의 부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출력측의 다른 부분 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중 지탱부(80)의 일 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도 4 는 도 2 및 3 의 출력측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도 2 ∼ 4 의 출력측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도 1 ∼ 5 의 스프링 기구의 작동력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7 은 도 1 ∼ 5 에 따른 질량부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복원력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8 은 앞 도에 나타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를 관절점의 영역에서 나타낸 부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서로 반대의 축방향(4, 6), 서로 반대의 반경 방향(8, 10), 및 서로 반대의 원주 방향(12, 14)은 대응하는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비틀림 진동 감쇠기(2)는 축방향(4, 6)으로 있는 회전 축선(15)을 갖는다.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2)는 입력측(16)과 출력측(18)을 갖는다. 입력측(16)은 실질적으로 일차 요소(20)로 형성되며, 이 일차 요소는 반경 방향(10) 내측에서 출력 허브(22)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출력 허브(22)는 예컨대 플라이휠체(더 상세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출력 허브 또는 구동 유닛(더 상세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예컨대 내연 기관의 출력 허브이다. 반경 방향(8) 외측에서 입력측(16)은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환형 수용 공간(24)을 형성하며, 이 공간은 원주 방향(12, 14)으로 에워싸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16)의 일차 요소(20)에는, 상기 수용 공간(24) 안으로 진입해 있는 일차 구동기(26)가 또한 제공되어 있다.
반경 방향(10) 내측에서,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출력측(18)(이 출력측은 실질적으로 이차 요소(28)로 형성됨)은 입력 허브(30)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입력 허브(30)는 예컨대 클러치 장치, 바람직하게는 다중 클러치 장치 또는 변속기의 입력 허브(30)일 수 있다. 출력측(18)의 이차 요소(28)는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상기 수용 공간(24) 안으로 연장되어 있고, 반경 방향(8)으로 수용 공간(24) 안으로 진입하는 이차 구동기(32)가 이차 요소(28)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24) 안에는, 원주 방향(12, 14)으로 입력측(16)과 출력측(18)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체(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에너지 저장체(34)는 수용 공간(24) 안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36)(바람직하게는, 헬리컬 스프링)을 갖는데, 이 스프링 요소는 원주 방향(12, 14)에서 볼 때 일차 구동기(26)와 이차 구동기(32)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36)에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해 회전가능한 복수의 지지 또는 연결 슈우(shoe)가 또한 할당되어 있는데, 도 1 에서, 반경 방향(8) 외측에서, 일차 요소(20)의 경계 벽(반경 방향(8) 외측으로 수용 공간(34)의 경계를 한정함)에, 스프링 요소(36)를 슬라이딩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 슈우(38)가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 슈우가 에너지 저장체(34)의 2개 이상의 스프링 요소(36)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그 연결 슈우는 개선된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출력측(18)에는, 복원 장치(4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원주 방향(12, 14)으로 출력측(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질량부(42)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질량부를 관성부 또는 관성 질량부라고도 한다. 질량부(42)는 에너지 저장체(34)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 공간(24)의 외부에 배치되며, 환형으로 되어 있고(즉, 원주 방향(12, 14)으로 환형으로 에워싸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음), 반경 방향(8)에서 볼 때 출력측(18)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1 과 그 다음의 도 2 및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복원 장치(40, 4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복원 장치(40, 40)는 아래에서 한 복원 장치(40)만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그 설명은 두 복원 장치(40, 4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출력측(18)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서로에 연결되는 2개의 디스크(44, 46)를 가지며, 이들 디스크는 축방향(4, 6)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8, 10)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44)는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이차 요소(28) 또는 그의 일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디스크(44)는 이차 요소(28)와는 별개로 형성되고 또한 그 디스크(44)가 이차 요소(28)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특히 도 2 ∼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창(window) 또는 절개부가 디스크(44, 46)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창 또는 절개부는 상기 디스크의 중량을 줄여 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창 또는 절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스포크(spoke) 또는 스트러트(strut)로 상기 디스크의 높은 강성을 보장해 준다. 상기 디스크(46) 및 출력측(18)은 직경(d1)에서 입력 허브(30)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된다.
상기 질량부(42)는 디스크형 지지부(48)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디스크형 지지부(48)(복수의 창 또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음)는 질량부(42) 보다 작은 축방향(4, 6) 연장을 가지며 질량부(42)로부터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방향(4, 6)에서 볼 때 디스크형 지지부(48)는 출력측(18)의 디스크(44, 46) 사이에 배치된다. 지지부(48)는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질량부(42)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부(48)는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질량부(42)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직경(d2)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고, 여기서, 지지는 입력 허브(30) 상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의 지지는 출력측(18)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직경(d2)은, 출력측(18)에 있어서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질량부(42) 쪽을 향하는 측부(50)의 최대 외경(d3) 보다 작다. 또한, 직경(d2)은 위에서 언급한 직경(d1)과 실질적으로 같으며, 그래서, 지지부(48)는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출력측(18)과 동일한 직경(d1)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인(plain) 베어링이 바람직하게 지지부(48)와 입력 허브(30) 또는 대안적으로 출력측(18) 사이에 형성된다. 직경(d2)이 직경(d3)으로부터 반경 방향(10) 내측에 재위치됨으로써, 여기서 생기는 마찰력은 작으며, 상기 종류의 플레인 베어링의 제조가 또한 간단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플레인 베어링의 형태가 아닌 예컨대 구름 베어링의 형태로 되어 있는 레이디얼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도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질량부(42)에 있어서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향하는 측부(52)와 출력측(18)에 있어서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질량부(42) 쪽을 향하는 측부(50) 사이에 간격을 두고, 질량부(42)가 지지부(48)에 지지되는데, 그래서, 여기서는 지지 및/또는 마찰이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질량부(42)는 지지부(48)를 통해서만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된다.
이하, 도 2 ∼ 5 를 참조하여 상기 복원 장치(40)를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복원 장치(40)는 실질적으로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54) 및 회전가능한 레버 요소(56)로 구성된다. 레버 요소(56)(휘어질 수 있는 정도로 강성적이거나 비가요적인 레버 요소(56)의 형태로 되어 있음)는 도 2 ∼ 5 에 나타나 있는 초기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8, 10)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 요소(56)는 관절점(58)을 가지고 있는데, 이 관절점에서 레버 요소(56)가 출력측(18)에 회전가능하게 관절식 연결된다. 제 1 레버부(60)가 작동력 작용점(62)(이 작용점에 스프링 기구(54)의 작동력이 작용하고 또한 그 작용점 주위로 레버 요소(56)가 회전할 수 있음)과 관절점(58)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레버부(60)는 관절점(58)으로부터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레버 요소(56)는 관절점(58)으로부터 반경 방향(8) 외측으로 복원력 작용점(66)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 2 레버부(64)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레버부(60)는 길이(l1)를 가지며, 제 2 레버부(64)는 길이(l2)를 갖는다. 복원력 작용점(66)에서 레버 요소(56)는 질량부(42)에 연결되어 있어 복원력이 상기 복원력 작용점(66)을 통해 질량부(42)에 전달되며, 레버 요소(56)는 복원력 작용점(6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요소(56)의 레버 비는 l1/l2 인데, 이는 l1을 l2 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 기구(54)에 의해 작동력 작용점(62)에 가해지는 작동력은 레버 요소(56)를 통해 질량부(42)에 전달되어 질량부(42)에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 복원력은 상기 복원력 작용점(66)을 통해 작용한다. 그러나, 대응하는 레버 비 l1/l2 는, 반경 방향(8 또는 10)으로의 관절점(58)의 조정 및/또는 이동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축방향(4, 6)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8)가 출력측(18)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는 관절점(58)을 형성하도록 레버 요소(56)의 기다란 안내부(70) 안에서 연장되어 있고, 돌출부(68)는 레버 비 l1/l2 를 변화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8, 10)으로 조정 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출력측(18)에 배치된다. 따라서, 복원력 작용점(66)에서 질량부(42)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복원력 특성 곡선(아래에서 도 7 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함)의 변화로 복원 장치(40)가 조정될 수 있다(이 경우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방식으로).
상기 질량부(42)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출력측(18)의 회전 축선(15)으로부터 소정의 반경 방향 간격(r1)을 유지하면서 출력측(18)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 레버 비 l1/l2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출력측(18)에 대해 질량부(42)를 원주 방향(12, 14)으로 회전시켜, 레버부(60, 64)의 길이(l1, l2 )를 변화시킬 수 있다(즉, 짧게 하거나 길게 할 수 있음). 이러한 목적으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요소(56)에 있는 안내부(70)에서 돌출부(68)가 이동 가능하게 안내됨으로써, 관절점(58)은 레버 요소(5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두 점 중의 적어도 하나, 즉 복원력 작용점(66) 또는 작동력 작용점(62)도 레버 요소(56)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원력 작용점(66)은 레버 요소(56)에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되며, 작동력 작용점(62)은 질량부(42)의 회전으로 레버 요소(5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작동력 작용점(62)을 형성하기 위해, 축방향(4, 6)으로 돌출하는 돌출부(72)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는 레버 요소(56)에 있는 안내부(74)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스프링 기구(54)는 제 1 스프링 요소(76) 및 제 2 스프링 요소(78)를 갖는다. 두 스프링 요소(76, 78) 각각은 압축 스프링(이 경우 헬리컬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고 서로 반대쪽에서 상기 돌출부(72)를 통해 그래서 작동력 작용점(62)의 영역에서 레버 요소(56)에 작용한다. 그러나, 두 스프링 요소(76, 78)는 돌출부(72)에 직접 작용하지 않고, 대신에,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72)가 배치되어 있는 이동 가능한 하중 지탱부(80)의 양 측면에 작용하게 되며, 상기 돌출부는 작동력 작용점(62)을 형성하도록 레버 요소(56)에 있는 안내부(74)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레버 요소(56)는 제 1 스프링 요소(76)와 제 2 스프링 요소(78)의 예압(preload)을 받으면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두 스프링 요소(76, 78) 각각은 초기 위치에서 예압을 받으며, 그 초기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76, 78)는 일측에서 출력측(18)에 지지되고 다른 측에서는 하중 지탱부(80) 및 레버 요소(56)에 지지된다. 두 스프링 요소(76, 78)는 각 경우 길이 방향 축선(82, 84)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이들 길이 방향 축선은 회전 축선(15)에 대해 반경 방향(8) 외측으로 벗어나 있고 반경 방향(8, 10)이 걸쳐지는 평면 내에 있다. 여기서, 두 스프링 요소(76, 78)의 길이 방향 축선(82, 84)은 공통의 직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데, 즉 두 길이 방향 축선(82, 84)은 서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또한, 길이 방향 축선(82, 84)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출력측(18)의 반경 방향 라인(반경 방향(8, 10)으로 연장되어 있음)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 축선(82, 84)은 회전 축선(15)에 대해 반경 방향(8) 외측으로 벗어나 있어, 스프링 요소(76, 78) 자체는, 반경 방향 간격(r2)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축선(15)으로부터 반경 방향(8)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 스프링 요소(76, 78) 각각에는, 스프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86)이 할당되어 있는데,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그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은 실질적으로, 헬리컬 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는 스프링 요소(76, 78)의 권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스프링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86)은, 각 스프링 요소(76, 78)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각 스프링 요소(76, 78)의 스프링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그 차단 상태에서는 스프링 요소(76, 78)의 서로 인접하는 권선이 서로 접하거나 서로에 지지된다. 또한,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86)은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최대 회전각 범위를 제한한다.
도 6 은 스프링 기구(54)의 작동력을 도 3 의 초기 위치로부터 관절점(58) 주위로의 레버 요소(56)의 회전각에 대해 나타낸 선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첫째로 제 1 스프링 요소(76)의 작동력 특성 곡선(F1) 및 둘째로 제 2 스프링 요소(78)의 작동력 특성 곡선(F2)이 나타나 있고, 이들 작동력 특성 곡선으로부터 스프링 기구(54) 전체의 작동력 특성 곡선(FS)이 얻어진다. 도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스프링 요소(76, 78)의 예압에 근거하여 작동력 특성 곡선(FS)이 얻어지는데, 이 작동력 특성 곡선은 초기 위치 주위로의 회전각 범위 "a"에서 더 가파른 구배를 가지며, 그래서 스프링 기구(54)의 강성이 상기 회전각 범위 "a"에서 증가된다.
상기 복원력 작용점(66)의 영역에서 질량부(42)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대응적으로 구성된 복원력 특성 곡선(R1)이 도 7 에 나타나 있는데, 도 7 에서, 복원력(R)은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각에 대해 나타나 있다. 상기 복원력 특성 곡선(R1)은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절점(58) 및 돌출해 있는 돌출부(68)의 위치에 적용된다. 스프링 기구(54)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관절점(58)이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조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 비 l1/l2는 커지며, 그래서 복원력 특성 곡선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조치로, 복원력 특성 곡선은 도 7 에서 대시선으로 나타나 있는 복원력 특성 곡선(R2)이 되며, 이 복원력 특성 곡선은 모든 영역에서 복원력 특성 곡선(R1) 보다 가파른 구배를 갖는다. 반면에, 스프링 기구(54)의 강성을 감소시키고자 할 때에는, 관절점(58)이 도면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조정되거나 이동되며, 그래서 레버 비 l1/l2는 감소되며 복원력 특성 곡선은 도 7 에서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복원력 특성 곡선(R3)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76, 78)는 바람직하게는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최대 회전각 범위에 걸쳐 각각의 작동력을 레버 요소(56)에 가하도록 예압된다. 따라서, 스프링 기구(54)는 도 6 에 있는 위에서 언급한 회전각 범위 "a"에서만 작동되며, 그래서, 복원력(R)은 또한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각 범위 "b"(도 7 에 나타나 있음)에서만 발생된다. 이는 회전각 범위 "a" 및/또는 "b"의 대응하는 제한으로 실현될 수 있고, 위에서 언급한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86)이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56)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76, 78)의 예압이 없이, 레버 요소(56)가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레버 요소(56)의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대안적으로 가능하다.
도면에 더 이상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복원 장치(40) 또는 그의 관절점(58)은 관련된 구동 유닛 또는 관련된 내연 기관의 작동 상태(가능하게는 회전 속도)에 따라 바람직하게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장치(40)는 내연 기관의 비활성화의 결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적으로 출발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또한 내연 기관의 시동 후에는 상기 출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로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8 은 상기 비틀림 진동 감쇠기(2)의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복원 장치(40)(도 8 에서는 관절점(58)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68)에 기초해서만 나타나 있음)는 제 1 위치(88)(이 위치에서 복원 장치(40)는 이 경우 지지부(48)를 통해 질량부(42)와 상호 작용하게 됨)로 조정되어,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을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 형태에서, 제 1 위치(88)에서 상기 돌출부(68)는 지지부(48)에 있는 수용부(90)에 배치되고, 그리하여, 원주 방향(12, 14)으로의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복원 장치(40)는 제 2 위치(92)(이 위치에서 복원 장치(40)는 이 경우 지지부(48)를 통해 질량부(42)와 상호 작용하게 됨)로 조정되어,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 및 출력측(18)에 대한 입력측(16)의 회전을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특정 실시 형태에서, 돌출부(68)는 제 2 위치(92)에 있을 때, 상기 수용부(90)와 입력측(16)에 있는 수용부(94) 둘다에 배치되고, 그리하여, 원주 방향(12, 14)으로의 출력측(18)에 대한 입력측(16)의 회전을 추가로 방지하며, 그래서 이를 에너지 저장체(34)의 우회라고도 한다.
위의 예시와는 달리, 상기 복원 장치(40)는 두 위치(88, 92) 중의 한 위치로만 조정될 수 있고 이때 두 위치(88, 92) 중의 다른 위치는 제공되지 않는 것도 자명하다. 또한, 상기 위치(88, 92)에서 회전을 완전히 방지할 필요는 없는데,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마찰 접촉으로 회전을 방해하고 그리고/또는 상대 회전각 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비틀림 진동 감쇠기
4 축방향
6 축방향
8 반경 방향
10 반경 방향
12 원주 방향
14 원주 방향
15 회전 축선
16 입력측
18 출력측
20 일차 요소
22 출력 허브
24 수용 공간
26 일차 구동기
28 이차 요소
30 입력 허브
32 이차 구동기
34 에너지 저장체
36 스프링 요소
38 슬라이드 슈우
40 복원 장치
42 질량부
44 디스크
46 디스크
48 지지부
50 측부
52 측부
54 스프링 기구
56 레버 요소
58 관절점
60 제 1 레버부
62 작동력 작용점
64 제 2 레버부
66 복원력 작용점
68 돌출부
70 안내부
72 돌출부
74 안내부
76 제 1 스프링 요소
78 제 2 스프링 요소
80 하중 지탱부
82 길이 방향 축선
84 길이 방향 축선
86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
88 제 1 위치
90 수용부
92 제 2 위치
94 수용부
α,β 회전각
a, b 회전각 범위
d1 , d2 직경
d3 최대 외경
F1, F2 작동력 특성 곡선
FS 합 작동력 특성 곡선
l1, l2 길이
R 복원력
R1, R2, R3 복원력 특성 곡선
r1 소정의 반경 방향 간격
r2 반경 방향 간격

Claims (38)

  1. 비틀림 진동 감쇠기(2)로서, 입력측(16), 출력측(18), 및 원주 방향(12, 14)으로 상기 입력측(16)과 출력측(18)을 회전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체(34)를 가지며, 상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는 질량부(42)가 배치되어서, 상기 질량부(42)가 복원 장치(40)의 복원력에 대항하여 상기 질량부(42)가 배치된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복원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레버 요소(56)를 가지며, 이 레버 요소에 의해 작동력이 질량부(42)에 전달되어, 이 질량부(42)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발생되고,
    상기 질량부(42)에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8)가 제공되고,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질량부(42)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측부(50)의 어느 한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복원 장치(40)의 스프링 기구(54)의 강성이 조정될 수 있어서, 상기 강성이 조정됨에 따라 상기 질량부(42)에 작용하는 복원력의 복원력 특성 곡선이 변화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연속적으로 가변적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관련된 내연 기관의 작동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내연 기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내연 기관의 비활성화의 결과로 출발 위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또한 내연 기관의 시동 후에는 상기 출발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42)는 상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회전 축선(15)으로부터 소정의 반경 방향 간격(r1)을 유지하면서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56)는 레버 요소(56)의 제1 레버부(60)의 길이(l1)와 제2 레버부(64)의 길이(l2)의 비를 나타내는 레버 비(l1/l2)의 변화와 함께 조정 및/또는 이동될 수 있는 관절점(58)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점(58)은 자동적으로 조정 및/또는 이동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56)는 작동력 작용점(62)과 관절점(58) 사이에 있는 제 1 레버부(60) 및 관절점(58)과 복원력 작용점(66) 사이에 있는 제 2 레버부(64)를 가지며, 상기 레버 비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의 길이(l1, l2)는 상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으로 변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 작용점(62)과 상기 복원력 작용점(66) 중 하나, 및 상기 관절점(58)은 상기 제 1 및 제 2 레버부(60, 64)의 길이(l1, l2)의 변화와 함께 레버 요소(56)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력 작용점(62)과 상기 복원력 작용점(66)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점은 레버 요소(56)에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54)를 가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기구(54)는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56)에 작용하는 제 1 스프링 요소(76)와 제 2 스프링 요소(78)를 가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76)와 제 2 스프링 요소(78)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76)와 제 2 스프링 요소(78)는 헬리컬 압축 스프링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56)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76, 78)의 예압(preload)을 받으면서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링 요소(76, 78)는 상기 질량부(42)의 최대 회전각 범위에 걸쳐 각각의 작동력을 레버 요소(56)에 가하도록 예압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76) 및 제 2 스프링 요소(78) 각각은,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회전 축선(15)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 있는 길이 방향 축선(82, 84)을 가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축선(82, 84)은 공통의 직선을 따라 연장하거나 및/또는 반경 방향 라인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그리고/또는 상기 스프링 요소(76, 78)들은 회전 축선(15)으로부터 반경 방향(8, 10)으로 이격되어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 요소(76) 및/또는 제 2 스프링 요소(78)에는, 스프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86)이 할당되어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이동 제한 수단에 의해, 각각의 스프링 요소(76, 78)가 차단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질량부(42)의 최대 회전각 범위가 제한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요소(56)는 서로 반대쪽에서 레버 요소(56)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76, 78)의 예압 없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42)는 상기 에너지 저장체(34)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24)의 외부에 배치되고, 환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8)으로 상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외측에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6. 제 1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질량부(42)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측부(50)의 최대 외경(d3) 보다 작은,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질량부(42) 쪽을 향하는 상기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측부(50)의 직경(d2)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측부(50)의 직경(d2)과 동일한 직경(d1)의 영역에서 지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8)는 디스크형으로 되어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질량부(42) 보다 작은 축방향(4, 6) 연장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축방향(4, 6)에서 볼 때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두 디스크(44, 46) 사이에 배치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29. 제 26 항에 있어서,
    질량부(42)에 있어서 반경 방향(10) 내측으로 향하는 측부(52)와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있어서 반경 방향(8) 외측으로 질량부(42) 쪽을 향하는 측부(50)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부(48)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부(42)는 반경 방향(8, 10)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48)를 통해서만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체(34)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 슈우(shoe) 또는 연결 슈우를 가지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슈우 또는 연결 슈우는 에너지 저장체(34)의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36)을 지지 및/또는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18) 또는 입력측(16)에 대한 질량부(42) 및/또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회전을 방해하거나 방지하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복원 장치(40)가 질량부(42)와 상호 작용하게 되는 제2 위치(92) 또는 출력측(18) 또는 입력측(16)과 상호 작용하게 되는 제1 위치(88)로 조정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가 조정될 수 있는 제1 위치(88) 및/또는 제2 위치(92)는 출발 위치인,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88) 및/또는 제2 위치(92)에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지지부(48)를 통해 질량부(42)와 상호 작용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출력측(18) 또는 입력측(16)에 대한 질량부(42)의 회전 및/또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회전을 마찰 접촉으로 방해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40)는 출력측(18) 또는 입력측(16)에 대한 질량부(42) 및/또는 입력측(16) 또는 출력측(18)의 회전을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으로 방지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38. 제 33 항에 있어서,
    관절점(58)을 형성하도록, 레버 요소(56)의 안내부(70) 안에서 축방향(4, 6)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8)가 복원 장치(40)에 제공되고, 안내부(70)를 따라 반경 방향(8, 10)으로 이동 가능한 또는 조정 가능한 상기 돌출부(68)는 질량부(42) 및/또는 출력측(18) 또는 입력측(16)과 상호 작용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기(2)..
KR1020167021818A 2014-01-25 2015-01-21 비틀림 진동 감쇠기 KR102364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1016.3 2014-01-25
DE201410001016 DE102014001016A1 (de) 2013-02-18 2014-01-25 Torsionsschwingungsdämpfer
PCT/US2015/012175 WO2015112550A1 (en) 2014-01-25 2015-01-21 Torsional vibration dam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409A KR20160111409A (ko) 2016-09-26
KR102364806B1 true KR102364806B1 (ko) 2022-02-18

Family

ID=5368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818A KR102364806B1 (ko) 2014-01-25 2015-01-21 비틀림 진동 감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1144B2 (ko)
EP (1) EP3097322B1 (ko)
JP (1) JP6778614B2 (ko)
KR (1) KR102364806B1 (ko)
CN (1) CN105899840B (ko)
WO (1) WO20151125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5601A (zh) * 2019-12-23 2020-04-10 周兵经 旋转阻尼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26B1 (ko) * 2000-12-05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JP2012077810A (ja) * 2010-09-30 2012-04-19 Aisin Aw Co Ltd 流体伝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3075908A1 (de) * 2011-11-23 2013-05-30 Zf Friedrichshafen Ag Drehschwingungsdämpf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US20130231195A1 (en) * 2010-11-26 2013-09-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sional vibration attenu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50A (en) * 1903-02-06 1903-12-15 Mary D Bixby Wheel or pulley.
DE19907216C1 (de) 1999-02-19 2000-10-12 Univ Hannover Drehschwingungstilger
JP2005299742A (ja) 2004-04-08 2005-10-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スプリングカップリング
JP2008025629A (ja) * 2006-07-18 2008-02-07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DE102008017352A1 (de) * 2007-09-10 2009-03-12 Magna Powertrain Ag & Co Kg Zweimassenschwungrad
JP5533883B2 (ja) * 2009-12-03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5408096B2 (ja) * 2010-09-30 2014-02-0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流体伝動装置
DE102011014243A1 (de) * 2011-03-17 2012-09-20 Borgwarner Inc.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Gleitschuh
EP2835560A1 (en) * 2012-04-04 2015-0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evice and transmission
DE102012205797A1 (de) * 2012-04-10 2013-10-10 Zf Friedrichshafen Ag Drehschwingungsdämpfungsanordnung
WO2015063430A1 (fr) 2013-10-31 2015-05-07 Valeo Embrayages Mécanisme de filtration des fluctuations de couple d'un organe seconda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26B1 (ko) * 2000-12-05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삼중 질량 진동 감쇠 플라이휠
JP2012077810A (ja) * 2010-09-30 2012-04-19 Aisin Aw Co Ltd 流体伝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31195A1 (en) * 2010-11-26 2013-09-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sional vibration attenuation apparatus
WO2013075908A1 (de) * 2011-11-23 2013-05-30 Zf Friedrichshafen Ag Drehschwingungsdämpf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02894A1 (en) 2017-01-05
EP3097322A4 (en) 2017-11-22
CN105899840B (zh) 2019-10-18
JP2017503981A (ja) 2017-02-02
KR20160111409A (ko) 2016-09-26
US10451144B2 (en) 2019-10-22
EP3097322B1 (en) 2020-08-19
EP3097322A1 (en) 2016-11-30
WO2015112550A1 (en) 2015-07-30
JP6778614B2 (ja) 2020-11-04
CN105899840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234B2 (en) Spring seat and damper disk assembly
JP6252686B2 (ja) ダンパ装置
US8029370B2 (en) Spring seat and damper disk assembly
KR20150120375A (ko) 자동차의 클러치의 마찰 디스크용 토션 댐퍼
JP2018504565A (ja) 自動車の動力伝達チェーンに対する振動減衰装置
JP2003004101A (ja) トルク伝達装置
JP6630352B2 (ja) ブレード付きトーショナルダンパ
WO2015166828A1 (ja) ダンパ装置
JP5376061B2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WO2016181832A1 (ja) ダンパ装置
JP6998648B2 (ja) スプリング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た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2018096534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5447339B2 (ja) 捩れ緩衝装置
KR102364806B1 (ko) 비틀림 진동 감쇠기
JP7020574B2 (ja) 遠心振り子ダンパ及びトルク伝達装置
KR20140093241A (ko) 개선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
JP6182192B2 (ja) 流体式動力伝達装置
WO2018037821A1 (ja) 振動低減装置
CN110985601A (zh) 旋转阻尼器
JPH10169715A (ja) ダンパー機構
JP6587388B2 (ja) 自動車用の動吸振装置、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KR20240056795A (ko) 회전축을 갖는 진자 로커 댐퍼
US20190145491A1 (en) Vibration reduction device
KR20200141453A (ko) 원심력 진자
JP2018054002A (ja) フライ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