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754B1 -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754B1
KR102364754B1 KR1020197001599A KR20197001599A KR102364754B1 KR 102364754 B1 KR102364754 B1 KR 102364754B1 KR 1020197001599 A KR1020197001599 A KR 1020197001599A KR 20197001599 A KR20197001599 A KR 20197001599A KR 102364754 B1 KR102364754 B1 KR 10236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composition according
composi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365A (ko
Inventor
크리스티나 푸포바크
한스-위르겐 클란커스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3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특허 출원은 A) 50 중량% 내지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B)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C)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1.0 내지 10.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 및 성분 C를 기준으로 2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용융 실리카, D) 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성분 C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성형품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본 발명은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상기 성형품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중합체성 블렌드 파트너, 예컨대 비닐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매우 많은 응용분야,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 건축 분야, 전기 기기/전자 기기 분야 및 가전제품을 위한 성형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정확한 제법에 의해, 조성물 및 따라서 또한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그것의 열적, 유변학적 및 기계적 특성의 측면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각각의 응용분야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열가소성 재료,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더 낮은 표면 경도 및 따라서 스크래치에 대해 더 높은 민감도를 갖는다. 구성 부품 표면 상의 스크래치는 눈에 쉽게 띄고 특히 고광택 성형품 상에서 눈에 거슬리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므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로 만들어진 성형품에는 종종 내스크래치성 바니시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 코팅은 부가적인 가공 단계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구성 부품 가격을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그 자체를 그것의 내스크래치성과 관련하여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어 왔다.
WO 2008/082225 A1에는 유기 실란으로 개질된 표면을 갖고 내스크래치성과 관련하여 개선된, 100 중량부의 열가소성 재료 (A) 및 0.1 내지 50 중량부의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WO 2013/079599 A1에는 고광택 표면을 갖는 성형 부품으로의 가공조차도 견디는, 증가된 강성도 외에도 높은 충격 강도, 파단 신율 및 또한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무기 충전제로 구성된 열가소성 성형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CN 105176037 A에는 ABS, 보강 첨가제, 산화방지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보강 첨가제는 2 내지 4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저온 충격 강도를 포함하는 우수한 강도, 및 열변형 내성을 특징으로 한다.
WO 2008/061644 A에는 높은 내스크래치성을 보유하면서도 개선된 유동성, 높은 강성도 및 낮은 가공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중공 유리 구체, 인-함유 난연제, 비닐 (공)중합체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충격-개질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WO 2011/073291 A1에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우수한 유동성 및 높은 내화학성을 나타내는, 표면-개질된 하소 카올린을 충전제로서 갖는 충격-개질된 난연성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WO 2011/073290 A1에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높은 내화학성을 갖는, 충격-개질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조성물은 경질 무기 화합물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실리카겔 화합물을 포함한다.
열거된 문헌 중 어떤 것에도 내스크래치성-개선 첨가제가 어떻게 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특히 고광택 응용분야의 경우에, 내스크래치성에 있어서 달성된 개선이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우수한 열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광택 및 개선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했다.
DIN EN 13300에 의거한 마모 시험 후 고광택 성형품의 우수한 광택 유지 및 고온 저장 시 용융 부피 유량의 높은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했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A) 5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5 중량% 내지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B) 5 중량%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내지 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3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C) 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18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중량%의, 1.0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 및 성분 C를 기준으로 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용융 실리카,
D) 0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성분 C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분 A 내지 D에 대한 중량% 값은 청구된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한다.
성분 A 내지 D의 구성비율은 개별 성분의 중량% 값의 합이 100 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D로 이루어지며, 구성비율은 중량%의 합이 100이 되도록 선택된다.
일부 응용분야의 경우에, 예를 들어 자동차의 고광택 내장 구성 부품의 경우에, 성형품이 선 크림(sun cream)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성분 A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성분 A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50 중량%의 구성비율,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5 중량%의 구성비율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60°의 관찰 각도에서 적어도 95의 표면 광택 및 DBL 7384에 따른 선 크림 시험 혼합물을 사용하는 BMW 시험 규격 PR551 (2014 버젼)에 따른, 적어도 6의 선 크림 내성 등급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성형품의 경우에, 내스크래치성은 DIN EN 13300에 의거하여 고광택 시트 상에서 돼지털로 만들어진 브러쉬 헤드 (DIN 53778)를 사용하여 건조 절차 (건조 마모) 및 총 10 사이클 (스트로크)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내스크래치성 성형품"은 이러한 시험 조건 하에 15% 미만의 광택을 손실하는 성형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성분 A
성분 A로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만이 성분 A로서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이러한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폴리에스테르의 구성비율은, 성분 A, B, C 및 D로 구성된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5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성분 A에 따른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라면, 예를 들어,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또한 DE-B 1 495 626, DE-A 2 232 877, DE-A 2 703 376, DE-A 2 714 544, DE-A 3 000 610, DE-A 3 832 396을 참조하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라면, 예를 들어 DE-A 3 077 934를 참조함).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디페놀과, 카르보닐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보닐 디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젠디카르보닐 디할라이드를, 계면 공정을 통해, 임의로 쇄 종결제, 예를 들어 모노페놀 및 임의로 3관능성 또는 3관능성 이상의 분지화제, 예를 들어 트리페놀 또는 테트라페놀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또 다르게는 디페놀과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의 반응을 통한 용융 중합 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디페놀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의 것이다.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1
여기서
A는 단일 결합, C1 내지 C5-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C6 내지 C12-아릴렌이며, 상기에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추가의 방향족 고리가 축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III)의 라디칼이고,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2
B는 각각의 경우에 C1 내지 C12-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로민이고,
x는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0, 1 또는 2이고,
p는 1 또는 0이고,
R5 및 R6은 각각의 X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X1은 탄소이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이며, 단 적어도 1개의 원자 X1 상에서, R5 및 R6은 동시에 알킬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C1-C5-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C5-C6-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또한 그것의 고리-브로민화된 및/또는 고리-염소화된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비페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비페닐 술피드, 4,4'-디히드록시비페닐 술폰, 및 또한 이것의 이- 및 사브로민화된 또는 염소화된 유도체, 예를 들어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디페놀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디페놀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쇄 종결제의 예는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및 2,4,6-트리브로모페놀, 및 또한 장쇄 알킬페놀, 예를 들어 4-[2-(2,4,4-트리메틸펜틸)]페놀, DE-A 2 842 005에 따른 4-(1,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및 알킬 치환기에 총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 예를 들어 3,5-디-tert-부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및 2-(3,5-디메틸헵틸)페놀 및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이용되는 쇄 종결제의 양은 각각의 경우에 사용된 디페놀의 몰 합계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5 mol% 내지 10 mol%이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둘 다가 적합하다.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거나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된 다른 디페놀, 특히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디페놀의 몰 합계를 기준으로 15 mol% 이하로 포함하는 비스페놀 A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방향족 디카르보닐 디할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의 디아실 디클로라이드, 테레프탈산의 디아실 디클로라이드, 디페닐 에테르 4,4'-디카르복실산의 디아실 디클로라이드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의 디아실 디클로라이드이다.
1:20 내지 20:1의 비의 이소프탈산의 디아실 클로라이드와 테레프탈산의 디아실 디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서 부가적으로 카르보닐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이 2관능성 산 유도체로서 함께 사용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쇄 종결제는 전술된 모노페놀뿐만 아니라 이것의 클로로탄산 에스테르, 및 또한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아실 클로라이드이고, 이것은 C1 내지 C22-알킬 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지방족 C2 내지 C22-모노카르보닐 클로라이드가 또한 여기서 쇄 종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쇄 종결제의 양은 페놀계 쇄 종결제의 경우에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및 모노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쇄 종결제의 경우에 디카르보닐 디클로라이드의 몰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mol%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또한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선형 또는 아니면 분지형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DE-A 2 940 024 및 DE-A 3 007 934를 참조함).
사용될 수 있는 분지화제의 예는 3 이상의 관능도를 갖는 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사용된 디카르보닐 디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mol%의 양의, 트리메소일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로일 트리클로라이드,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보닐 테트라클로라이드,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보닐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피로멜리토일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mol%의 양의, 3- 또는 다관능성 페놀, 예컨대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이다. 페놀계 분지화제는 디페놀과 함께 초기 충전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아실 클로라이드 분지화제는 아실 디클로라이드와 함께 도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중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체의 구성비율은 원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 기의 구성비율은 에스테르 기와 카르보네이트 기의 합계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mol% 이하, 특히 80 mol%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mol% 이하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분획 및 카르보네이트 분획 둘 다는 중축합물에 블록 형태 또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상대용액점도 (ηrel)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4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2의 범위 (25℃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100 ml 중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0.5 g의 용액에서 DIN 51652 - 1999 버젼에 따라 측정됨)이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GPC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하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6 kg/mol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4 kg/mol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33 kg/mol의 범위이다.
성분 A의 구성성분으로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향족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것의 반응성 유도체, 예컨대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과,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 여기서 고려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테레프탈산 라디칼, 및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중량%의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1,4-디올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라디칼뿐만 아니라 2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의 8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또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1,4-디올 라디칼뿐만 아니라, 2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의,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프로판-1,3-디올, 2-에틸프로판-1,3-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3-에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2,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2-에틸헥산-1,3-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헥산-2,5-디올, 1,4-디(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DE-A 2 407 674, 2 407 776, 2 715 932).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1 900 270 및 US 특허 3 692 744에 따라, 비교적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콜 또는 3가- 또는 4가 카르복실산의 혼입을 통해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스리톨이다.
오로지 테레프탈산 및 그것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그것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1,4-디올로부터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러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은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50 중량%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9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우벨로데(Ubbelohde) 점도계에서 DIN 53728-3에 따라 25℃에서 디클로로아세트산에서 1중량%의 농도로 측정된 0.4 내지 1.5 dl/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 dl/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결정된 고유점도는 측정된 비점도 x 0.0006907 + 0.063096으로부터 계산된다.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DIN EN ISO 1133에 따라 250℃에서 2.16 kg의 하중을 사용하여 측정된 9 g/10분 내지 60 g/10분의 용융 유량을 갖는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Kunststoff-Handbuch [플라스틱 핸드북], volume VIII, p. 695 et seq., Carl-Hanser-Verlag, Munich 1973)을 참조함).
성분 B
성분 B는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성분 B는 고무-무함유 비닐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성분 B에 따른 고무-개질된 비닐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DE-A 2 035 390 (= US 특허 3 644 574) 또는 DE-A 2 248 242 (= GB 특허 1 409 275) 또는 문헌(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울만 화학공업 백과사전], Vol. 19 (1980), p. 280 et seq.)에 기술된 바와 같은 ABS 중합체 (유화, 괴상 및 현탁 ABS)를 포함한다.
성분 B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1) 및 임의로 또한 괴상, 용액 또는 현탁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2)를 포함한다. 제조의 결과로, 성분 B1 및 B2는 자유, 즉 고무 기재에 결합되지 않은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고무-무함유 비닐 (공)중합체가 또한 개별 성분 (성분 B3)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성분 B는 B1로만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성분 A, B, C 및 D로 구성된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B1을 포함한다.
성분 B1
B1.1) 성분 B1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7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60 중량%의,
B1.1.1) B1.1을 기준으로,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고리-치환된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와
B1.1.2) B1.1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예를 들어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C1-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를 들어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
의 혼합물을
B1.2) 성분 B1을 기준으로, 9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엘라스토머성 그라프트 기재
상에 포함하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가 성분 B1로서 이용된다.
그라프트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계량법 (DSC)에 의해 표준 DIN EN 61006에 따라 10 K/min의 가열 속도에서 중간점 온도로서의 Tg의 정의 (탄젠트 방법) 및 보호 기체로서의 질소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혼합물 B.1.1은 또한 성분 B.1의 그라프트 가지(superstrate)라고 지칭된다.
성분 B1의 그라프트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μ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를 갖는다.
평균 입자 크기 d50은 입자의 50 중량%이 그것보다 크고 입자의 50 중량%가 그것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직경이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그것은 초원심분리에 의해 결정된다 (W. Scholtan, H. Lange, Kolloid, Z. and Z. Polymere [중합체] 250 (1972), 782-l796).
바람직한 단량체 B1.1.1은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한 단량체 B1.1.2는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B1.1.1 스티렌 및 B1.1.2 아크릴로니트릴 및 또한 B.1.1.1 = B.1.2.2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그라프트 중합체 B1에 적합한 그라프트 기재 B1.2는 예를 들어, 디엔 고무, 디엔-비닐 블록 공중합체 고무, EP(D)M 고무, 즉 에틸렌/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기재로 하는 것, 아크릴레이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및 또한 이러한 고무의 혼합물 또는 실리콘 성분과 아크릴레이트 성분이 서로 화학적으로 (예를 들어 서로에 그라프팅됨으로써) 연결된 것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이다.
바람직한 그라프트 기재 B1.2는 디엔 고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을 기재로 하는 것), 디엔-비닐 블록 공중합체 고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및 스티렌 블록을 기재로 하는 것), 디엔 고무와 추가의 공중합성 단량체 (예를 들어 B1.1.1 및 B1.1.2에 따르는 것)의 공중합체 및 전술된 고무 유형들의 혼합물이다. 순수한 폴리부타디엔 고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1에 따른 그라프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문헌(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울만 화학공업 백과사전], Vol. 19 (1980), p. 280 et seq.)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ABS 중합체이다.
성분 B1.1 및 B1.2로 구성된 그라프트 중합체가 코어-셸 구조를 갖고, 여기서 성분 B.1이 셸 (또한 시이드라고도 기술됨)을 형성하고 성분 B.2가 코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문헌(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CH-Verlag, Vol. A21, 1992, p. 635 and p. 656)을 참조함).
특히 적합한 그라프트 고무는 또한 US 특허 4 937 285에 따른 유기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의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산화환원 개시에 의한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ABS 중합체를 포함한다.
더욱 특히 적합한 그라프트 중합체 B1은 코어-셸 구조를 갖는 MBS 개질제이다.
그라프트 중합체의 겔 함량은 적어도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중량% (아세톤에서 측정됨)이다.
그라프트 중합체의 겔 함량은, 본 발명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25℃에서 용매로서의 아세톤 중 불용성 분획으로서 결정된다 (M. Hoffmann, H. Kroemer, R. Kuhn, Polymeranalytik I und II [중합체 분석 I 및 II], Georg Thieme-Verlag, Stuttgart 1977).
그라프트 중합체 B1은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그라프트 중합체 B1은 일반적으로 제조의 결과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톤)에 용해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 자유, 즉 고무 기재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B1.1.1과 B1.1.2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1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20 내지 180 kg/mol,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k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40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갖는 B1.1.1과 B1.1.2의 자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2
성분 B2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괴상, 용액 또는 현탁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B2.1) 성분 B2를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93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내지 92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87 중량% 내지 93 중량%의,
B2.1.1) 혼합물 B2.1을 기준으로, 65 중량%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고리-치환된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C1-C8)-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와
B2.1.2) 혼합물 B2.1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예를 들어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 (C1-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를 들어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
의 혼합물을
B2.2) 성분 B2를 기준으로, 95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7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8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내지 7 중량%의 적어도 1종의 그라프트 기재
상에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그라프트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다.
본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혼합물 B.2.1는 성분 B.2의 그라프트 가지라고도 지칭된다.
성분 B2의 그라프트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μ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μ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를 갖는다.
바람직한 단량체 B2.1.1은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한 단량체 B2.1.2는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B2.1.1 스티렌 및 B2.1.2 아크릴로니트릴이다.
그라프트 중합체 B2에 적합한 그라프트 기재 B2.2는 예를 들어, 디엔 고무, 디엔-비닐 블록 공중합체 고무, EP(D)M 고무, 즉 에틸렌/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기재로 하는 것, 아크릴레이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및 또한 이러한 고무의 혼합물 또는 실리콘 성분과 아크릴레이트 성분이 서로 화학적으로 (예를 들어 서로에 그라프팅됨으로써) 연결된 것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이다.
바람직한 그라프트 기재 B2.2는 디엔 고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을 기재로 하는 것), 디엔-비닐 블록 공중합체 고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및 스티렌 블록을 기재로 하는 것), 디엔 고무와 추가의 공중합성 단량체 (예를 들어 B2.1.1 및 B2.1.2에 따르는 것)의 공중합체 및 전술된 고무 유형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그라프트 기재 B2.2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와 순수한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혼합물이다.
그라프트 중합체 B2의 겔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중량% 내지 23 중량% (아세톤에서 측정됨)이다.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 B2는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2를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5 중량%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중합체이다.
그라프트 중합체 B2는 일반적으로 제조의 결과로,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톤)에 용해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 자유, 즉 고무 기재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B2.1.1과 B2.1.2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2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k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k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40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갖는 B2.1.1과 B2.1.2의 자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3
조성물은 추가의 성분 B3으로서 비닐방향족,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C1 내지 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임의로 포함할 수 있다.
B3.1 (공)중합체 B3을 기준으로, 50 중량%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내지 8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고리-치환된 비닐방향족 (예를 들어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C1-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와
B3.2 (공)중합체 B3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비닐 시아나이드 (예를 들어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 (C1-C8)-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단량체
의 (공)중합체가 성분 B3으로서 특별히 적합하다.
이러한 (공)중합체 B3은 수지질이며, 열가소성이며 고무-무함유이다. B3.1 스티렌과 B3.2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공)중합체 B3은 공지되어 있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특별히 유화, 현탁, 용액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공)중합체 B3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k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k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40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갖는다.
성분 C
성분 C로서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98 중량% 초과의 이산화규소 (석영)로 구성된 무기 충전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성분 C는 전기적으로 용융된 이산화규소로부터 무-철(iron-free) 연삭 및 후속되는 윈드 시프팅(wind sifting)에 의해 제조된, 미분된 용융 실리카 분말이다.
특히 바람직한 용융 실리카는 금속 산화물의 함량이 2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를 초과하지 않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용융 실리카 분말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Al2O3의 함량은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이고, Fe2O3의 함량은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이하이고, CaO+MgO의 함량은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이하이고, Na2O+K2O의 함량은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 이하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용융 실리카는 Al2O3의 함량이 0.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용융 실리카는 Fe2O3의 함량이 0.001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용융 실리카는 CaO+MgO의 함량이 0.001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용융 실리카는 Na2O+K2O의 함량이 0.001 중량% 내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별히, 1.0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실리카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따라서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크기 d50은 입자의 50 중량%이 그것보다 크고 입자의 50 중량%가 그것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직경이다. 그것은 초원심분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W. Scholtan, H. Lange, Kolloid, Z. and Z. Polymere [중합체] 250 (1972), 782-1796).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용융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100 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μm 미만,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15 μm 미만의 상위 입자/과립 크기 d90을 갖는다. 상위 입자/과립 크기 d90은 입자/과립의 90%가 초과하지 않는 크기를 나타낸다.
용융 실리카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ISO 9277 (2010 버젼)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0.6 내지 10.0 m2/g,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m2/g,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다.
수성 현탁액에서 ISO 10390 (2005 버젼)에 따라 측정된,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의 범위의 pH를 갖는 용융 실리카 분말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그것은 추가로, ISO 787-5 (1995 버젼)에 따른,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g/100 g의 오일 흡수가를 갖는다.
성분 D
조성물은 성분 D로서, 바람직하게는 난연제 (예를 들어 유기 인 또는 할로겐 화합물, 특히 비스페놀-A-기재의 올리고포스페이트), 적하-방지제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된 폴리올레핀, 실리콘, 및 또한 아라미드 섬유의 계열로부터의 화합물), 난연 상승작용제 (예를 들어 나노스케일 금속 산화물), 발연 억제제 (예를 들어 붕산아연), 윤활제 및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기핵제, 대전방지제, 전도성 첨가제, 안정화제 (예를 들어 가수분해, 열-노화 및 UV 안정화제, 및 또한 에스테르교환 억제제 및 산/염기 퀀처(quencher)), 유동 촉진제, 상용화제, 성분 B와 상이한 추가의 충격 개질제 (코어-셸 구조를 갖는 것 또는 갖지 않는 것), 추가의 중합체성 구성성분 (예를 들어 관능성 블렌드 파트너), 충전제 및 보강제 (예를 들어 탄소 섬유, 활석, 운모, 카올린, CaCO3) 및 또한 염료 및 안료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 C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난연제, 적하-방지제, 난연 상승작용제 및 발연 억제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윤활제 및 이형제, 안정화제, 유동 촉진제, 상용화제, 성분 B와 상이한 추가의 충격 개질제, 추가의 중합체성 구성성분,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윤활제/이형제 및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를 이형제로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 입체 장애 페놀, 유기 아인산염, 황-기재의 공-안정화제 및 유기 및 무기 브뢴스테드 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대표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 옥타데실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아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대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 1 내지 43이 하기에 기술된다:
1. A) 50 중량% 내지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B)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와 고무-무함유 비닐 (공)중합체의 혼합물,
C)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1.0 내지 10.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 및 성분 C를 기준으로 2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용융 실리카,
D) 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성분 C와 상이한 첨가제 또는 성분 C와 상이한 복수의 첨가제
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진 조성물.
2. 성분 A가, 24 kg/mol 내지 33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 Mw를 갖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실시양태 1에 따른 조성물.
3. 성분 B가, 그라프트 기재로서의 부타디엔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그라프트 가지를 갖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4.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1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5.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1 중량% 이하의 산화알루미늄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6.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5 중량% 내지 0.6 중량%의 산화알루미늄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7.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3 중량% 이하의 산화알루미늄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8.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의 Fe2O3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9.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의 Fe2O3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0.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3 중량% 이하의 Fe2O3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1.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의 CaO+Mg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2.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의 CaO+Mg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3.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3 중량% 이하의 CaO+Mg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4.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의 Na2O+K2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5.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05 중량% 내지 0.06 중량%의 Na2O+K2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6.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0.03 중량% 이하의 Na2O+K2O 함량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7. 성분 C가 3 내지 5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8. 성분 C가 15 μm 미만의 상위입자크기 d90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19. 성분 C가 DIN ISO 10390에 따라 측정된 5.0 내지 8.0의 pH를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0. 성분 C가 DIN ISO 10390에 따라 측정된 5 내지 6.5의 pH를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1. 성분 C가 ISO 9277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2.0 내지 8.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2. 성분 C가 ISO 9277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5.0 내지 7.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3. 성분 C가 ISO 787-5 - 1995 버젼에 따른 20 내지 30 g/100 g의 오일 흡수가를 갖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4. 성분 A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만을 포함하고, 성분 B가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1) 및 괴상, 용액 또는 현탁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성분 B2) 및 고무-무함유 비닐 (공)중합체 (성분 B3)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5. B1 대 B2+B3의 비가 적어도 2:1인, 실시양태 24에 따른 조성물.
26. B1 대 B2+B3의 비가 적어도 3:1인, 실시양태 24에 따른 조성물.
27. 성분 A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복수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성분 B가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로만 이루어진 것인, 실시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28. 사용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실시양태 27에 따른 조성물.
29. 폴리에스테르가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50 중량%의 구성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실시양태 1 내지 23 및 27 및 2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0. 폴리에스테르가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5 중량%의 구성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실시양태 29에 따른 조성물.
31. 55 중량% 내지 85 중량%의 성분 A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2. 6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성분 A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3. 7 중량% 내지 35 중량%의 성분 B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4. 8 중량% 내지 30 중량%의 성분 B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5.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1)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6. 3 중량% 내지 18 중량%의 성분 C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7. 4 중량% 내지 16 중량%의 성분 C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8. 성분 D가 난연제, 적하-방지제, 발연 억제제, 윤활제 및 이형제, 기핵제, 대전방지제, 전도성 첨가제, 안정화제, 유동 촉진제, 상용화제, 성분 B와 상이한 추가의 충격 개질제, 추가의 중합체성 구성성분, 충전제 및 보강제 및 또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첨가제인,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39. 0 중량% 내지 15 중량%의 성분 D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40. 0 중량% 내지 10 중량%의 성분 D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41. 성분 A 내지 D로 이루어진,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
42.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43. 실시양태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품.
성형 재료가 성분 A 내지 D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분들을 공지된 방식으로 혼합하고 통상적인 장치, 예컨대 내부 믹서, 압출기 및 트윈-스크류 기기에서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용융 배합 또는 용융 압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성형 재료)은 임의의 종류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출 및 취입-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가공은 사전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열성형에 의한 성형품의 제조이다.
이러한 성형품의 예는 필름, 프로파일, 임의의 유형의 하우징 부품, 예를 들어 가전제품, 예컨대 주스 프레스, 커피 머신, 믹서를 위한 것; 사무용 기계, 예컨대 모니터, 평면스크린, 노트북, 프린터, 복사기를 위한 것; 시트, 파이프, 전기 설치 덕트, 창문, 문 및 건축 분야 (내장 및 외장 응용분야)를 위한 다른 프로파일, 및 또한 전기 및 전자 부품, 예컨대 스위치, 플러그 및 소켓, 및 상용차, 특히 자동차 분야를 위한 구성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하기 성형품 또는 성형 부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버스 및 다른 동력차를 위한 내장 부품, 동력차를 위한 차체 부품, 소형 변압기를 갖는 전기 설비의 하우징, 정보 처리 및 전송 설비를 위한 하우징, 의료 설비의 하우징 및 마감재, 마사지 설비 및 그것을 위한 하우징,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 차, 시트형 벽 부재, 안전 설비를 위한 하우징, 단열된 수송 용기, 위생 및 목욕 설비를 위한 성형 부품, 통풍구를 위한 보호 그릴 및 원예 설비를 위한 하우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자동차 및 철도 차량을 위한 고광택 내장 및 외장 부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또 다른 형태의 가공은 사전에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의 취입-성형 또는 열성형에 의한 성형품의 제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수득가능한 임의의 종류의 성형품 또는 성형 부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성분 A-1:
25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하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에서의 GPC에 의해 결정됨)를 갖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2:
32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하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에서의 GPC에 의해 결정됨)를 갖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3:
260℃/2.16 kg (ISO 1133)에서 측정된 14 cm3/10 min의 용융 부피 유량 (MVR)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칸(Pocan)™ B1600, 란세스 아게(Lanxess AG)).
성분 A-4:
250℃/2.16 kg (ISO 1133)에서 측정된 45 cm3/10 min의 용융 부피 유량 (MVR)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칸™ B1300, 란세스 아게).
성분 B-1:
12:57:31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량비 및 초원심분리에 의해 결정된 340 nm의 그라프트 기재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중합체.
성분 B-2:
코어/셸 구조를 갖는 충격 개질제; 코어: 폴리부타디엔, 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파라로이드(Paraloid)™ EXL 2690, 다우(Dow)).
성분 B-3:
19:25:56의 A:B:S 비를 갖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중합체. 초원심분리에 의해 측정된 평균 고무 입자 크기 d50은 0.25 μm이다. 성분 B3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130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갖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자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4:
23:10:67 중량%의 A:B:S 비를 갖는 괴상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중합체. 초원심분리에 의해 측정된 평균 고무 입자 크기 d50은 0.85 μm이다. 성분 B3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결정된 125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Mw)을 갖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자유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성분 B-5:
23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및 약 130 kg/mol의 중량-평균 분자량 (폴리스티렌 표준물을 사용하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의 GPC에 의해 결정됨)을 갖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C-1: d50 = 4.0 μm (크기에 따라 분류되지 않음)의 평균 입자 크기, 1 중량% 미만의 금속 산화물 총함량 및 0.3 wt%의 Al2O3 함량을 갖는 콰르츠베르케 게엠베하(Quarzwerke GmbH)로부터의 아모실(Amosil)™ FW600 용융 실리카 분말 (이산화규소). 수성 분산액에서 용융 실리카는 ISO 10390에 따라 측정된 6의 pH를 갖는다. 용융 실리카 분말은 ISO 9277 (2010 버젼)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6.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다.
성분 C-2: d50 = 3.0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쓰리엠 도이칠란드 게엠베하(3M Deutschland GmbH) (에너지 및 첨단 재료 사업부(Energy and Advanced Material Division))로부터의 지오스피어즈(Zeeospheres)TM W-210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세라믹 미소구.
성분 C-3: 1.5 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버제스 피그먼트 캄파니(Burgess Pigment Company) (USA)로부터의 버제스(Burgess) CB™ 비닐실란-개질된 하소 카올린 (규산알루미늄).
성분 C-4: d50 = 3.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및 86 중량%의 SiO2 함량 및 12 중량%의 Al2O3 함량을 갖는, 열처리에 적용된 (하소된) 무정형 은정질(cryptocrystalline) 실리카와 층상 카올리나이트의 혼합물인, 실피트(Silfit)™ Z91 (호프만 미네랄(Hofmann Mineral), 독일).
성분 D-1: 이르가녹스(Irganox)™ 1076 (2,6-디-tert-부틸-4-(옥타데카녹시카르보닐에틸)페놀), 바스프(BASF) (독일 루드빅샤펜).
성분 D-2: 라인 케미 라이나우 게엠베하(Rhein Chemie Rheinau GmbH)로부터 아도베이트 써모스타브(Addovate ThermoStab)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비스(2-히드록시-3-시클로헥실-5-메틸페닐)메탄의 인 에스테르.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3
성분 D-3: 아인산 (시그마-알드리치 케미 게엠베하(Sigma-Aldrich Chemie GmbH)).
성분 D-4: 티누빈(Tinuvin)™ 360 UV 안정화제 (바스프).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성분 D-5: 록시올(Loxiol)™ P 861/3.5 특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에메리 올레오케미칼스 게엠베하(Emery Oleochemicals GmbH)).
성분 D-6: 32 중량%의 MgO 함량, 61 중량%의 SiO2 함량 및 0.3 중량%의 Al2O3 함량, 1.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이메리스 탈크(Imerys Talc) (미국)로부터의 제트핀(Jetfine)™ 3CA 활석.
성분 D-7: 블랙 펄스(Black pearls)™ 카본블랙 (캐보트 코포레이션(Cabot Corporation)).
본 발명의 성형 재료의 제조 및 시험
성분들을 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Werner & Pfleiderer)로부터의 ZSK-25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260℃의 용융물 온도에서 혼합하였다. 성형품을 아르버그(Arburg) 270 E 사출성형기에서 바리오써멀(variothermal) 사출 성형 기술 (급속 가열 사이클 성형(Rapid Heat Cycle Moulding: RHCM))을 사용하여 260℃의 용융물 온도 및 150℃의 금형 온도 (표 1, 실시예 1 내지 7) 또는 110℃의 금형 온도 (표 2, 실시예 8 내지 14)에서 제조하였다.
조성물의 열 안정성을 위해 이용되는 척도는 ISO 1133 (2012 버젼)에 따라 260℃에서 5 kg의 피스톤 하중을 사용하여 측정 시 300℃에서의 열 응력에 15분 노출 동안 (표 1, 실시예 1 내지 7) 및 260℃에서의 열 응력에 15분 노출 동안 (표 2, 실시예 8 내지 10, 12 및 13)의 MVR의 변화 (단위 %)였다.
문지름(scour) 내성 시험을 빅-가드너(BYK-Gardner)로부터의 (PB-5000) 마모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DIN EN 13300 (2001 버젼)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마모 내성을 고광택 시트 (160 x 110 x 3 mm, RHCM에 의해 수득됨) 상에서 돼지털로 만들어진 브러쉬 헤드 (DIN 53778)를 사용하여 건조 절차 (건조 마모) 및 총 10 사이클 (스트로크)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의거하여"는 표준물로부터 시작할 때 건조 절차 (건조 마모)를 사용하고 10 사이클 (스트로크)을 수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어서 광택을 측정하였다. 내스크래치성을 위해 이용되는 척도는 빅-가드너로부터의 광택 측정 기구 (반사계)를 사용하여 60°의 측정 각도에서 측정된 광택 변화 (단위 %)였다.
선 크림 내성을 DBL 7384에 따른 선 크림 시험 혼합물을 사용하는 BMW 시험 규격 PR551 (2014 버젼)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 견본 (고광택 시트)을 액적 도포를 통해 시험 크림에 노출시켰고, 여기서 액적의 크기는 직경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4
7 내지 10 mm였다. 이어서 시험 견본을 가열 오븐에서 60±2℃에서 24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시험 견본을 수평으로 저장하고, 액적을 견본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12 mm 떨어지게 배열하였다. 평가를 시험 규격 기준에 따라 시각적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4의 평가 지수는 시험 후의 현저한 광학적 결함을 나타내고 7의 평가 지수는 시험 후의 약간의 변화에 상응한다. 전혀 변화하지 않은 표면은 지수 9 및 10으로 평가된다.
<표 1>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5
<표 2>
성형 재료 및 그것의 특성
Figure 112019005795606-pct00006
표 1 및 2로부터, 무기 충전제로서 용융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만이 본 발명에 의해 논의되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 명백하며, 즉 실시예 2 및 3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 (표 1) 및 실시예 9 내지 11에 따른 본 발명의 조성물 (표 2)만이 더 높은 열적 가공 안정성과 더 높은 내스크래치성의 조합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0은 개선된 선 크림 내성을 나타낸다.

Claims (16)

  1. A) 50 중량% 내지 90 중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B)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적어도 1종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C)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1.0 내지 10.0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 및 성분 C를 기준으로 2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용융 실리카,
    D) 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성분 C와 상이한 적어도 1종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24 kg/mol 내지 33 kg/mol의 중량-평균 몰 질량 Mw를 갖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B가
    그라프트 기재로서의 부타디엔 고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그라프트 가지(superstrate)를 갖는, 유화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1 중량% 이하의 산화알루미늄 함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0.1 중량% 이하의 Fe2O3 함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3 내지 5 μm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을 갖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DIN ISO 10390에 따라 측정된 5 내지 6.5의 pH를 갖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ISO 9277에 따른 질소 흡착에 의해 결정된 2.0 내지 8.0 m2/g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만을 포함하고,
    성분 B가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및 괴상, 용액 또는 현탁 중합 공정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중합체 및 고무-무함유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가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복수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성분 B가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진 것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가 청구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5 중량%의 구성비율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유화 중합에서 제조된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성형품의 제조를 위해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수득가능한 성형품.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가, 성분 C를 기준으로 1 중량% 이하의 금속 산화물 함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KR1020197001599A 2016-07-22 2017-07-21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2364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0715 2016-07-22
EP16180715.1 2016-07-22
PCT/EP2017/068528 WO2018015557A1 (de) 2016-07-22 2017-07-21 Kratzfes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guter thermischer stabilit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365A KR20190032365A (ko) 2019-03-27
KR102364754B1 true KR102364754B1 (ko) 2022-02-18

Family

ID=5650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599A KR102364754B1 (ko) 2016-07-22 2017-07-21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9925B2 (ko)
EP (1) EP3487934B1 (ko)
KR (1) KR102364754B1 (ko)
CN (1) CN109476906B (ko)
TW (1) TWI752058B (ko)
WO (1) WO20180155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4073B1 (de) * 2018-05-17 2023-07-26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Gefüll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guter kratzfestigkeit und reduzierter vergilbung
JP7365514B2 (ja) * 2021-05-10 2023-10-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自動車内装材用複合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内装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5655A1 (en) 2011-10-14 2014-02-06 Silicon Power Corporation Matrix-stages solid state ultrafast switch
CN105176037A (zh) 2015-08-31 2015-12-23 宁波海雨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低温pc/abs合金
US20180194926A1 (en) 2015-07-08 2018-07-12 Covestro Deutschland Ag Boron nitride-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5626B1 (de) 1960-03-30 1971-06-09 Bay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estern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US3644574A (en) 1969-07-17 1972-02-22 Eastman Kodak Co Shaped articles of blends of polyesters and polyvinyls
US4013613A (en) 1971-10-01 1977-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inforced inter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DE2232877B2 (de) 1972-07-05 1980-04-10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JPS5039599B2 (ko) 1973-03-30 1975-12-18
DE2407776A1 (de) 1974-02-19 1975-09-04 Licentia Gmbh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JPS5292295A (en) 1976-01-29 1977-08-03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IT1116721B (it) 1976-04-02 1986-02-10 Allied Chem Copolimero bisfenolo a tereftalato carbonato lavorabili in massa fusa
US4156069A (en) 1976-04-02 1979-05-22 Allied Chemical Corporation Bisphenol-A/terephthalate/carbonate melt processable copolymers
DE2715932A1 (de) 1977-04-09 1978-10-19 Bayer Ag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DE2842005A1 (de) 1978-09-27 1980-04-10 Bayer Ag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S5594930A (en) 1979-01-10 1980-07-18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by improved bulk polymerization process
DE2940024A1 (de) 1979-10-03 1981-04-16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007934A1 (de) 1980-03-01 1981-09-17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carbo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738143A1 (de) 1987-11-10 1989-05-18 Bayer Ag Verwendung von redoxpfropfpolymerisaten zur verbesserung der benzinbestaendigkeit von thermoplastischen, aromatischen polycarbonat- und/oder polyestercarbonat-formmassen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DE102006055478A1 (de) 2006-11-24 2008-05-29 Bayer Materialscience Ag Schlagzähmodifizierte gefüll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KR100762298B1 (ko) 2006-12-29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나노복합체 수지 조성물
DE102008062903A1 (de) * 2008-12-23 2010-06-24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DE102009059075A1 (de) 2009-12-18 2011-06-22 Bayer MaterialScience AG, 51373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kratzfeste Polycarbonat-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DE102009059074A1 (de) 2009-12-18 2011-06-22 Bayer MaterialScience AG, 51373 Kratzfeste, schlagzähe Polycarbonat-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II
WO2013079599A1 (de) 2011-11-30 2013-06-06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oberfläche
CN103946309B (zh) * 2011-11-30 2016-01-20 拜耳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具有高的表面质量的成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5655A1 (en) 2011-10-14 2014-02-06 Silicon Power Corporation Matrix-stages solid state ultrafast switch
US20180194926A1 (en) 2015-07-08 2018-07-12 Covestro Deutschland Ag Boron nitride-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ion
CN105176037A (zh) 2015-08-31 2015-12-23 宁波海雨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低温pc/abs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5557A1 (de) 2018-01-25
KR20190032365A (ko) 2019-03-27
CN109476906A (zh) 2019-03-15
EP3487934B1 (de) 2023-02-01
US20190225796A1 (en) 2019-07-25
TWI752058B (zh) 2022-01-11
EP3487934A1 (de) 2019-05-29
US10899925B2 (en) 2021-01-26
TW201817810A (zh) 2018-05-16
CN109476906B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404B1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TWI419928B (zh) 經抗衝擊改質之填充聚碳酸酯組成物
JP5738837B2 (ja) 均一な表面光沢を有する金属化成形物を製造するための衝撃性改良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RU2504563C2 (ru) Огнестой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ударной прочностью из полиалкилентерефталата/поликарбоната
US20080132617A1 (en) Impact-resistance-modified fill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2291789B1 (ko) 대전방지성 및 광-안정성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배합물
CA2696245A1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molding materials
US10501624B2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polyester compositions
KR102364754B1 (ko)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8901216B2 (en) Impact-modified polyester/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elongation at break
KR102453601B1 (ko) 우수한 노치 충격 인성 및 개선된 용융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 및 열가소성 성형 배합물
CN109071930B (zh) 抗静电热塑性模塑料
CA2896570A1 (en)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molding materials iii
KR20100096186A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TWI709608B (zh) 具備改良韌性之經玻璃纖維強化之聚碳酸酯模塑組成物
KR102329692B1 (ko) 가수분해-안정성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20200090805A (ko)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CN110914364A (zh) 经滑石填充的组合物和热塑性模塑料
TW201837115A (zh) 具有降低的光澤與良好的耐化學性之組成物及熱塑性模塑料
KR20100094522A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MX2008007200A (en) 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