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511B1 - 작업차용 변속기 - Google Patents

작업차용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511B1
KR102364511B1 KR1020200176047A KR20200176047A KR102364511B1 KR 102364511 B1 KR102364511 B1 KR 102364511B1 KR 1020200176047 A KR1020200176047 A KR 1020200176047A KR 20200176047 A KR20200176047 A KR 20200176047A KR 102364511 B1 KR102364511 B1 KR 102364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ont case
shaft
unit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하
김두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0017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 A01B33/065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vertical or steeply-inclined shaft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ors carried by an elongate, substantially closed transmission casing, transversely connectable to a tr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작업차용 변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는, 미션케이스 및 미션케이스에 수용되어 보호되는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포함하는 작업차용 변속기에 있어서, 미션케이스는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수용하는 전방케이스부와,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동축 결합되고 차동유닛을 수용하며 후방 양 측면부에 좌우 한쌍의 뒷차축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는 후방케이스부와, 전방케이스부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서로 이축(異軸) 선상에 배치되는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전방회전지지체를 포함하며, 전방회전지지체를 기준으로 전방케이스부의 전방 내부공간에 전후진 변속유닛이 배치되고 후방 내부공간에 상기 주변속유닛과 부변속유닛이 배치되며, 전방케이스부의 제1 측벽 외면부에는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이 형성되고,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에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되, 복수의 유로 중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전방회전지지체가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후방케이스부가 결합되는 후단 결합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차용 변속기{Transmission for work}
본 발명은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업용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작업차에 탑재되는 작업차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 라 불리우는 농업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다. 그러나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며, 경작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기체 후방에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는 그 특성 상 주행 속도 및 PTO 축(Power Take Off Shaft, 엔진 동력을 작업차 후방에 연결되는 작업기로 인출시키기 위한 동력인출축)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농업용 작업차의 변속기는 일반 자동차의 변속기에 비해 변속구간의 폭이 훨씬 넓고, 따라서 그 구성도 상당히 복잡하다.
이처럼 폭 넓은 구간에 걸친 변속 구현을 위해 일반적으로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변속기는 흔히 알려진 자동차용 변속기와는 달리, 복수의 변속유닛(전후진 변속유닛, 주변속유닛, 부변속유닛, PTO 클러치 유닛 등)들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변속유닛들이 기존 동기치합식 수동변속방식에서 최근 유압식 자동변속방식으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유압식 자동변속방식은 복수의 유압식 다판 클러치(이하, '유압 클러치'라 함)들의 동작 상태 조합을 통해 원하는 변속단을 만들어내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동력을 끊거나 이어주는 축이음 장치인 복수의 유압 클러치들의 동작 상태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속 조합이 만들어 지며, 그 결과 폭 넓은 구간에 걸친 변속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변속기 중에서도 전후진 방향 변속단이 적어도 4단이상인 다단 변속기는, 유압 클러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밸브조합(변속제어밸브)과 유압식 클러치의 배치, 그리고 상기 밸브조합과 유압 클러치를 연결하는 유로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변속 응답성(반응속도)이나 정확성이 클러치의 배치나 유로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4단이상 다단 변속기 중에서도 예를 들어, 전진과 후진 방향으로 변속단수가 8단인 작업차용 변속기를 구현하려면, 전후진 클러치 2개, 주변속 클러치 4개, 부변속 클러치2개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 클러치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유로가 최소 8개(클러치 각각에 대해 유압이 출입하는 유로 및 각 클러치를 윤활시키기 위한 오일이 공급되는 유로)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이처럼 8개 이상의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튜브와 O링, 베어링 커버 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때문에 종래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8단 이상 다단 변속기 대부분은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공수 많고, 어려운 공차 관리와 제작비가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만큼이나 유로가 길어 유압 제어의 정밀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8155호(등록일자 2010. 10.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클러치(변속 클러치)와 밸브(변속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유압튜브나 베어링 커버와 같은 유로 형성용 부품을 삭제 또는 대폭 줄여 원가나 조립 공수 절감에 유리하면서도 유압 제어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차용 변속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션케이스 및 상기 미션케이스에 수용되어 보호되는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포함하는 작업차용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는,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수용하는 전방케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동축 결합되고 차동유닛을 수용하며 후방 양 측면부에 좌우 한쌍의 뒷차축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는 후방케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서로 이축(異軸) 선상에 배치되는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전방회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지지체를 기준으로 전방케이스부의 전방 내부공간에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이 배치되고 후방 내부공간에는 상기 주변속유닛과 부변속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제1 측벽 외면부에는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에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전방회전지지체가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후방케이스부가 결합되는 후단 결합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회전지지체는, 상기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방케이스부 내에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제2 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와 제1, 제2 보스부를 연결하여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 제2 보스부를 다른 높이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브리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장착면에서 상기 전방회전지지체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의 전진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와, 상기 주변속유닛을 구성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브리지 중 상기 제1 측벽과 제1 보스부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1 브리지를 통해 상기 전후진 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1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브리지 중 상기 제1 측벽과 제2 보스부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2 브리지를 통해 상기 주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2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는, 상기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주변속축과 동축 배치되는 부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후방회전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회전지지체는, 상기 부변속축이 관통하는 제3 보스부와, 상기 제3 보스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장착면에서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후단 결합면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부변속유닛을 구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고,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후단 결합면에 형성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 각각에 기밀히 접하도록 대응되는 2개의 중간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 유로는 상기 부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3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에 의하면, 클러치(변속 클러치)와 밸브(변속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유압튜브나 베어링 커버와 같은 유로 형성용 부품이 대거 삭제되거나 대폭 준 단순한 구조로서, 원가 및 조립 공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로가 단순하고 짧아진만큼 중간에 손실되는 유압도 줄어들어 유압 제어의 정밀성과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션케이스 중 전방케이스부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방케이스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절 단면도.
도 4는 변속유닛 및 변속축을 삭제한 전방케이스부의 사시도.
도 5는 후방케이스부와 연결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전방케이스부의 배면도.
도 6은 전술한 미션케이스의 전방케이스부를 후방케이스부와 연겯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결합되는 후방회전지지체를 전방케이스부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션케이스 중 전방케이스부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방케이스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절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1)는, 미션케이스(10) 및 상기 미션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되는 복수의 변속유닛을 포함한다. 미션케이스(10)는 바람직하게, 전방케이스부(10F)와 후방케이스부(10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변속유닛에는 전후진 변속유닛(14)과 주변속유닛(16), 그리고 부변속유닛(18) 등이 포함된다.
미션케이스(10)의 전방케이스부(10F) 내부에는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14)과 주변속유닛(16) 그리고 부변속유닛(18)이 설치된다. 그리고 미션케이스(10)의 상기 후방케이스부(10R)는 상기 전방케이스부(10F) 후단에 동축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동유닛(Differential Unit)이 수용되며 그 후방 양 측면부에 좌우 한쌍의 뒷차축 케이스(1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미션케이스(10)의 상기 전방케이스부(10F)에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엔진 플라이휠을 덮는 플라이휠 하우징(H)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전후진 변속유닛(14)과 주변속유닛(16), 그리고 부변속유닛(18) 각각은, 적어도 둘 이상의 유압 클러치(부호 생략) 및 해당 유압 클러치들이 설치되는 전용 변속축을 포함한다.
전후진 변속축(15)은 엔진 동력을 출력하는 엔진 플라이휠에 단속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엔진 플라이 휠과 동축 선상에 배치되며, 주변속축(17)은 전후진 변속축(15)과 다른 축선, 즉 이축(異軸) 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주변속축(17)의 후방의 동축 선상에 상기 부변속축(19)이 배치되되, 주변속축(17)과 부변속축(19)은 서로의 회전에 대해 자유롭게 구성된다.
전방케이스부(10F)의 내부에는 전방회전지지체(12)가 일체로 구성된다. 전방회전지지체(12)를 기준으로 전방케이스부(10F)의 전방 내부공간에 전후진 변속유닛(14)이 배치되고 후방 내부공간에는 주변속유닛(16)과 부변속유닛(18)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케이스부(10F)의 제1 측벽(102) 외면부에는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이 형성되며,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에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전방회전지지체(12)는 이축(異軸) 선상에 배치되는 전후진 변속축(15)과 주변속축(17)의 회전운동을 지지한다. 또한 두 변속축(15, 17) 각각에 형성된 유로(P1 ~ P6)와 회로적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에서 시작하는 복수의 유로 중 일부(P1 ~ P6)가 상기 제1 측벽(102) 내부를 따라 전방회전지지체(12)가 두 변속축(15, 17)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된다.
도 4는 변속유닛 및 변속축을 삭제한 전방케이스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후방케이스부와 연결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전방케이스부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회전지지체(12)는 전후진 변속축(15)과 주변속축(17)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방케이스부(10F) 내에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보스부(120) 및 제2 보스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케이스부(10F)와 상기 제1 보스부(120) 및 제2 보스부(122)를 연결하여 전방케이스부(10F)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 보스부(120)와 제2 보스부(122)를 다른 높이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브리지를 구비한다.
밸브 장착면(104)에서 상기 전방회전지지체(12)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P1 ~ P6)는, 전후진 변속유닛(14)의 전진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P1, P2)와, 주변속유닛(16)을 구성하는 적어도 셋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주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셋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P3 ~ P6)를 포함한다.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P1, P2)는 상기 복수의 브리지 중 제1 측벽(102)과 제1 보스부(120)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1 브리지(121)를 통해 제1 보스부(120)의 내주면까지 연장된다. 제1 보스부(120)의 내주면에는 전후진 변속축(15)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되,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P1, P2) 각각이 전후진 변속축(15)에 형성되는 두 개의 내부유로(150) 각각에 하나씩 대응되어 기밀히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에 장착되는 변속제어밸브(20)의 절환 상태에 따라,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P1, P2) 각각을 통해 2개의 내부유로(150) 중 하나에 택일적으로 유압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유압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전진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 중 하나가 인게이지(Engage)되고 다른 하나는 디스인게이지(Disengage)됨으로써 전진 또는 후진 변속이 구현된다.
셋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P3 ~ P6)는 복수의 브리지 중 제1 측벽(102)과 제2 보스부(122)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2 브리지(123)를 통해 제2 보스부(122)의 내주면까지 연장된다. 이때에도 제2 보스부(122)의 내주면에 주변속축(17)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되, 4개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P3 ~ P6) 각각이 주변속축(17)에 형성되는 4개의 내부유로(170) 각각에 하나씩 대응되어 기밀히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에 장착되는 변속제어밸브(20)의 절환 상태에 따라, 4개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P3 ~ P6) 각각을 통해 상기 4개의 내부유로(170) 중 어느 하나의 유로에만 택일적으로 유압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4개 주변속 클러치 중 하나(1단 ~ 4단 클러치 중 하나)만 인게이지(Engage)되고 나머지는 디스인게이지(Disengage)됨으로써 해당 주변속단이 체결된다.
한편, 전술한 변속제어밸브 장착면(104)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 중 다른 일부(도 2의 도면부호 P7과 P8)는 전방케이스부(10F)의 상기 제1 측벽(102) 내부를 따라 상기 후방케이스부(10R)가 결합되는 후단 결합면(100)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케이스부(10F) 후단에 결합되는 후방회전지지체(13)를 통해 부변속축(19)의 내부유로(190)와 회로적으로 기밀하게 접속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전술한 미션케이스의 전방케이스부를 후방케이스부와 연겯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결합되는 후방회전지지체를 전방케이스부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1)는 전방케이스부(10F) 후단에 결합되는 상기 후방회전지지체(13)를 포함한다. 후방회전지지체(13)는 주변속축(17)의 후방에 이와는 회전 자유롭게 동축 배치되는 부변속축(19)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면서 부변속축(19)에 형성된 내부유로(190, 도 3 참조)와 회로적으로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회전지지체(13)는 구체적으로, 1, 2차에 걸쳐 최종 변속된 동력을 후방케이스부(10R)의 차동유닛(미도시) 측으로 출력하는 부변속축(19)이 관통하면서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 보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보스부(130)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보스부(130)에서 후방회전지지체(13)의 측면 가장자리를 부분을 향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유로 형성부(132)를 구비한다.
전술한 밸브 장착면(104)에서 전방케이스부(10F)의 후단 결합면(100)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는, 부변속유닛(18)을 구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7, P8)일 수 있으며, 상기 유로 형성부(132)의 내부에는 후단 결합면(100)에 형성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P7, P8) 각각에 기밀히 접하도록 대응되는 2개의 중간 유로(134, 135)가 형성된다.
블록 형태의 유로 형성부(132)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중간 유로(134, 135)는 상기 부변속축(19)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3 보스부(130)의 내주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제3 보스부(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부변속축(19)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되, 2개의 중간 유로(134, 135) 각각이 부변속축(19)에 형성되는 두 개의 내부유로(190) 각각에 하나씩 대응되어 기밀히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변속제어밸브(20)의 절환 상태에 따라,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P7, P8) 및 2개의 중간 유로(134, 135) 각각을 통해 부변속축(19) 내부의 두 내부유로(190) 중 하나에 택일적으로 유압이 공급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유압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압이 공급된 부변속 클러치는 인게이지(Engage)되고 다른 하나는 디스인게이지(Disengage)됨으로써 해당 부변속단이 체결된다.
4단이상 다단 변속기 중에서도 전진과 후진 방향으로 변속단수가 8단인 작업차용 변속기를 구현하려면, 전후진 클러치 2개, 주변속 클러치 4개, 부변속 클러치2개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 클러치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유로가 최소 8개(클러치 각각에 대해 유압이 출입하는 유로 및 각 클러치를 윤활시키기 위한 오일이 공급되는 유로)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이처럼 8개 이상의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튜브와 O링, 베어링 커버 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때문에 종래 농업용 작업차에 적용되는 8단 이상 다단 변속기 대부분은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공수 많고, 어려운 공차 관리와 제작비가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만큼이나 유로가 길어 유압 제어의 정밀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변속기는, 클러치(변속 클러치)와 밸브(변속 제어 밸브)를 연결하는 유압튜브나 베어링 커버와 같은 유로 형성용 부품이 대거 삭제되거나 대폭 준 단순한 구조로서, 원가 및 조립 공수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로가 단순하고 짧아진만큼 중간에 손실되는 유압도 줄어들어 유압 제어의 정밀성과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작업차용 변속기 10 : 미션케이스
10F : 전방케이스부 10R : 후방케이스부
11 : 뒷차축 케이스 12 : 전방회전지지체
13 : 후방회전지지체 14 : 전후진 변속유닛
15 : 전후진 변속축 16 : 주변속유닛
17 : 주변속축 18 : 부변속유닛
19 : 부변속축 20 : 변속제어밸브
100 : 후단 결합면 102 : 제1 측벽
104 : 변속제어밸브 장착면 120 : 제1 보스부
121 : 제1 브리지 122 : 제2 보스부
123 : 제2 브리지 130 : 제3 보스부
132 : 유로 형성부 134, 135 : 중간 유로
150 : 전후진 변속축의 내부유로 170 : 주변속축의 내부유로
190 : 부변속축의 내부유로 P1, P2 : 전후진 클러치 유로
P3, P4, P5, P6 : 주변속 클러치 유로 P7, P8 : 부변속 클러치 유로

Claims (8)

  1. 미션케이스 및 상기 미션케이스에 수용되어 보호되는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포함하는 작업차용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는,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과 주변속유닛 그리고 부변속유닛을 수용하는 전방케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동축 결합되고 차동유닛을 수용하며 후방 양 측면부에 좌우 한쌍의 뒷차축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는 후방케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서로 이축(異軸) 선상에 배치되는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전방회전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회전지지체를 기준으로 전방케이스부의 전방 내부공간에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이 배치되고 후방 내부공간에 상기 주변속유닛과 부변속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제1 측벽 외면부에는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에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전방회전지지체가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측벽 내부를 따라 상기 후방케이스부가 결합되는 후단 결합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방회전지지체는 상기 전후진 변속축과 주변속축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방케이스부 내에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보스부 및 제2 보스부와,
    상기 전방케이스부와 제1 보스부 및 제2 보스부를 연결하여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제1 보스부와 제2 보스부를 다른 높이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브리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에서 상기 전방회전지지체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전후진 변속유닛의 전진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와,
    상기 주변속유닛을 구성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후진 클러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브리지 중 상기 제1 측벽과 제1 보스부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1 브리지를 통해 상기 전후진 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1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셋 이상의 주변속 클러치 유로는 상기 복수의 브리지 중 상기 제1 측벽과 제2 보스부를 연결하는 수평방향 제2 브리지를 통해 상기 주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2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케이스부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주변속축과 동축 배치되는 부변속축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후방회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회전지지체는,
    상기 부변속축이 관통하는 제3 보스부와,
    상기 제3 보스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밸브 장착면에서 상기 전방케이스부의 후단 결합면에 걸쳐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부변속유닛을 구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변속 클러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이 이동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이고,
    상기 유로 형성부에는 상기 후단 결합면에 형성되는 2개의 부변속 클러치 유로 각각에 기밀히 접하도록 대응되는 2개의 중간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로는 상기 부변속축의 외주면 일부가 기밀하게 접하는 상기 제3 보스부의 내주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용 변속기.

KR1020200176047A 2020-12-16 2020-12-16 작업차용 변속기 KR10236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47A KR102364511B1 (ko) 2020-12-16 2020-12-16 작업차용 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047A KR102364511B1 (ko) 2020-12-16 2020-12-16 작업차용 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511B1 true KR102364511B1 (ko) 2022-02-18

Family

ID=8049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047A KR102364511B1 (ko) 2020-12-16 2020-12-16 작업차용 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5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2446A (ja) * 1999-06-14 2000-12-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変速装置
JP2002079839A (ja) * 2000-09-07 2002-03-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3445366B2 (ja) * 1994-06-15 2003-09-08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トラクタの伝動構造
JP4043096B2 (ja) * 1998-04-13 2008-02-06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用の走行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0988155B1 (ko) 2008-01-23 2010-10-18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구조
KR20170027992A (ko) * 2015-09-03 2017-03-13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 미션 조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366B2 (ja) * 1994-06-15 2003-09-08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トラクタの伝動構造
JP4043096B2 (ja) * 1998-04-13 2008-02-06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両用の走行駆動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0352446A (ja) * 1999-06-14 2000-12-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両における変速装置
JP2002079839A (ja) * 2000-09-07 2002-03-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0988155B1 (ko) 2008-01-23 2010-10-18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의 트랜스미션구조
KR20170027992A (ko) * 2015-09-03 2017-03-13 대동공업주식회사 트랙터 미션 조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7346B2 (en) Power unit
EP1975461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s
US7581461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s
US7677378B2 (en) Vehicular transmission
US8528434B2 (en)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US9989127B2 (en) Automatic transmission
US4682516A (en) Vehicular transmission with additional low speed
CN105073473A (zh) 具有包括连续密封凸缘的多部分外壳组件的动力传输部件
KR0148165B1 (ko) 작업차의 동력전달장치
US4799399A (en) Manually controlled multiple speed ratio transmission
KR20140108137A (ko) 작업 차량
EP1031762B1 (en) Manual transaxle
JPS6039564Y2 (ja) 自動車用歯車変速機
KR100373595B1 (ko) 트랙터의 변속장치
US11084370B1 (en) Hybrid powertrain for vehicle
KR102364511B1 (ko) 작업차용 변속기
KR870001671Y1 (ko) 작업차의 전 · 후진 변환장치
JP3483707B2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5094104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4860449B2 (ja) 油圧管路構造
KR830002489Y1 (ko) 농업용 트랙터
US8534149B2 (en)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JP3474705B2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JP3873014B2 (ja) 変速機
JP3349042B2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