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65B1 -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65B1
KR102363665B1 KR1020197001358A KR20197001358A KR102363665B1 KR 102363665 B1 KR102363665 B1 KR 102363665B1 KR 1020197001358 A KR1020197001358 A KR 1020197001358A KR 20197001358 A KR20197001358 A KR 20197001358A KR 102363665 B1 KR102363665 B1 KR 10236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ystem
ramp
disc brake
brake actuator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050A (ko
Inventor
라스 마티스 세베린슨
Original Assignee
할덱스 브이아이이(샹하이) 일렉트로메케니컬 브레이크 시스템 시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할덱스 브이아이이(샹하이) 일렉트로메케니컬 브레이크 시스템 시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할덱스 브이아이이(샹하이) 일렉트로메케니컬 브레이크 시스템 시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1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36Helical cams, Ball-rotating 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는 전기구동장치(4)와 이러한 전기구동장치(4)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유닛(11)을 포함한다. 전동유닛(11)은 램프전동시스템(12)과 나선전동시스템(13)을 포함한다. 램프전동시스템(12)과 나선전동시스템(13)은 전동유닛(11)의 힘흐름에 직렬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예를 들어
- 상용차량,
- 전기에너지만으로 구동되는 차량, 및/또는
- 전기에너지와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
차량에 사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특히 작동력(또한 작동토크를 포함한다)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에 가하여지는(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병진운동 및 제동력을 제공하고,
- 적당한 변속비에 의하여 출력 또는 제동력에 대한 작동력을 증가시키며,
-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고,
- 브레이크 패드의 사용수명 중에 그 마모의 증가를 고려하며,
- 적당한 힘-전달-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형태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모든 통상적인 형태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결합된다.
특허문헌 JP 2001 041269 A에는 브레이크 패드가 램프 시스템(ramp system)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스턴에 의하여 작동되는 브레이크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램프 시스템은 로터(rotor)를 포함한다. 로터는 브레이크장치와 피스턴의 하우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는 하우징에 대하여 병진운동 자유도(translational degree of freedom)를 갖는다. 로터의 병진운동은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여 피스턴에 전달된다. 롤링요소를 구성하는 볼이 로터의 전면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다. 볼은 하우징에 의하여 형성된 램프면을 따라 굴러 로터의 회전운동이 피스턴과 브레이크 패드의 작동을 유도하는 로터의 회전축선을 따른 병진운동으로 변환된다. 하우징의 램프는 상이한 경사각도를 갖는 부분을 포함한다. 경사각도가 큰 부분은 패드간격을 통하여 신속히 통과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경사각도가 작은 부분은 제동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허문헌 US 6,749,044 B2에는 가동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는 피스턴이 유압수단과 파킹 브레이크 기구 모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캘리퍼를 갖춘 브레이크 디스크를 기술하고 있다. 파킹 브레이크 기구는 파킹 케이블에 의하여 회전되는 암을 갖는 로터를 포함한다. 가동판이 피스턴에 결합되고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나 피스턴과 함께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된 3개의 볼이 가동판과 로터 사이에 갇혀 있다. 가동판은 램프면을 포함함으로써 로터의 회전운동을 가동판 및 피스턴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의 병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램프 시스템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램프면은 로터의 회전이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사각도를 갖는다.
특허문헌 WO 98/39576 A1에는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유압작동형 피스턴을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조절유닛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피스턴은 부가적인 파킹 피스턴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파킹 레버를 회전시키면 파킹 피스턴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파킹 브레이크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파킹 레버의 회전운동이 파킹 피스턴의 축방향 병진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은 파킹 레버에 착설된 로터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었으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파킹 피스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압되는 단부판을 포함하는 전동유닛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토글 로드가 이들의 단부영역이 로터와 단부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로터의 회전으로 토글 로드의 방향이 변경되어 파킹 브레이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로터와 단부판 사이이 거리가 변경된다.
특허문헌 DE 101 18 871 A1에는 나선형 구동축이 트랜스미션을 통해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기술하고 있다. 구동축의 나선은 나선형 너트와 교합한다. 너트의 환상숄더의 전면은 램프면을 포함한다. 구동축과 너트는 U-형의 종방향 단면을 갖는 브레이크 피스턴내에 수용된다. 너트를 향하는 브레이크 피스턴의 U-형 부분의 베이스 각부의 전면이 램프면을 포함한다. 원통형 롤러가 브레이크 피스턴의 램프면과 너트의 램프면 사이에 개재된다. 디스크와 축방향 롤러 베어링을 통하여 압력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가하여지는 너트의 편향 때문에 원통형 롤러는 램프면 사이의 접촉력으로 고정된다. 브레이크 피스턴은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는 병진운동 자유도를 가지고 브레이크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반면에, 브레이크 피스턴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초기에 작은 제동력을 가하기 위하여 전기모터의 구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 원통형 롤러는 램프면에서 구르지 않고 너트는 회전없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너트의 축방향 이동으로 브레이크 피스턴이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하며, 구동축과 너트의 나선의 경사가 구동축의 회전각도와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한 브레이크 피스턴의 운동 사이의 관계를 결정한다. 증가된 제동력을 위하여, 원통형 롤러는 램프면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며, 구동축과 너트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구동축의 회전과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는 브레이크 피스턴의 운동 사이의 관계는 램프면의 경사에 따라서 달라진다.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 먼저 롤러가 램프면을 따라 구른다. 이러한 브레이크 해제 스트로크의 종료단계에서, 원통형 롤러는 너트와 구동축 사이에서 상대운동의 일치하는 초기화로 램프 숄더에 접속한다. 또한 특허문헌 DE 101 18 871 A1에는 전기모터와 구동축 사이에서 트랜스미션용으로 유성기어셋트를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GB 2 421 061 A는 파킹 브레이크 기능이 일체로 구성된 통상적인 유압 서비스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작동모드에서,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피스턴은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는 서비스 브레이크 유체압력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조절기조립체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보상하고 과잉조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절기조립체는 가역형 스크류를 갖는 조절스핀들, 스핀들에 나선결합된 조절슬리이브, 조절슬리이브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과, 바이어싱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역형 스크류 형태이다.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상태가 사전에 결정된 레벨을 초과하였을 때, 조절슬리이브가 조절스핀들에 대하여 회전이동하여 이를 전진시킨다. 제동작동이 해제되었을 때, 피스턴의 후퇴위치가 전진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보상한다. 과잉의 유체제동압력이 피스턴에 가하여졌을 때, 조절슬리이브는 조절스핀들에 대하여 회전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조절스핀들이 조절슬리이브와 함께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함으로써 과잉조절이 방지된다. 다른 작동모드에서,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와이어와 캠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파킹 레버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기구에 의하여 작동된다. 캠축의 회전은 캠축의 램프면과 조절스핀들의 배면 사이와 캠축의 캠면과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롤러에 의하여 전달된다.
특허문헌 US 2012/0145491 A1에는 전기모터가 직접 램프전동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은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램프디스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비회전램프디스크와, 램프면 사이에 개재된 롤링 볼을 포함한다. 비회전램프디스크의 축방향 운동은 브레이크 피스턴과 이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에 직접 전달된다. 나선전동시스템은 비회전램프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개재된다. 나선전동시스템은 브레이크 스트로크를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DE 198 50 923 A1에는 스핀들이 브레이크 패드에 부착된 브레이크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스핀들은 브레이크 스트로크에 맞추어 병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나 회전되지는 않는다. 스핀들은 병진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핀들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된 너트와 교합된다. 너트는 램프디스크를 형성하는 숄더를 포함한다. 피구동 램프디스크가 전기모터의 로터에 직접 결합된다. 케이지내에 고정된 롤러동체는 램프디스크 사이에 개재된다. 램프디스크는 각각 요구와 롤링동체를 위한 램프면을 포함한다. 압력스프링에 의한 압력으로, 롤링동체는 램프디스크 사이에 고정된다.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초기에, 램프디스크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너트의 램프디스크의 회전(이는 전기구동장치의 로터의 회전과 일치한다)은 너트와 스핀들 사이의 나선연결에 의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스핀들의 축방향 운동으로 전달된다. 브레이크 제동력의 한계치에 도달하였을 때, 램프디스크 사이에서 롤링동체의 롤링운동이 시작되며, 더 이상 너트와 스핀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브레이크가 해제되었을 때, 먼저 롤링동체가 이들의 본래 위치로 복귀이동하고, 연속된 브레이크 해제상태에서 너트가 스핀들에 대하여 그 본래의 회전위치로 복귀된다.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에 따라서, 각각의 경우 롤링동체는 이들의 초기위치로 복귀할 것이며, 이로써 마모는 너트와 스핀들 사이의 나선접촉에 의하여 보상된다. 여러 브레이크 상태 사이의 전환을 위한 한계치는 램프면의 경사각도와 요구의 깊이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으며, 롤링동체는 이들의 초기위치에 배열된다. 또한 특허문헌 DE 198 50 923 A1은 이용된 원리가 회전되지 않는 너트와 회전하는 스핀들을 이용함으로써 반전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추가로 특정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DE 103 53 695 A1에는 축방향으로는 고정되어 있으나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너트를 구비한 나선전동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너트는 전기모터의 구동축에 직접 착설된 기어로 구동된다.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시작시에, 너트의 구동회전은 스핀들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핀들의 축방향 이동은 램프전동시스템에 의하여 브레이크 피스턴과 이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의 일치하는 운동으로 직접 전달된다. 나선전동시스템은 브레이크 제동력의 한계치가 초과하였을 때 차단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의 램프디스크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램프디스크의 회전각도는 두 램프디스크의 정지요소의 접속회전접촉에 의하여 제한된다. 브레이크 패드를 향하는 일측 램프디스크의 전면은 램프디스크와 피스턴의 오정렬을 허용하기 위하여 피스턴의 대응하는 구형 윤곽에 적용되는 구형 윤곽을 갖는다.
특허문헌 US 2016/0032994 A1에는 브레이크 피스턴이 통상적으로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패달의 작동으로 발생된 유압으로 가압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 장치를 파킹 브레이크로써 이용할 수 있다. 파킹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전기모터는 다중교합의 기어와 유성기어셋트를 통하여 너트를 구동시킨다. 너트의 회전은 이러한 너트와 교합된 스핀들의 축방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스핀들에서 램프전동시스템에 의하여 지지된 압력판이 피스턴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이에 접속한다. 너트가 더욱 회전하여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피스턴이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한다. 브레이크 제동력의 한계치가 초과하였을 때, 스프링탄지형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너트와 함께 스핀들의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램프전동시스템에서, 양측이 롤링 볼의 개재하에 압력판과 하우징에 고정된 중간 램프가 다른 나선연결에 의하여 스핀들에 결합된다. 램프전동시스템의 램프디스크의 상대운동은 제2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부분에서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증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허문헌 DE 198 53 721 A1에 따라서, 나선전동시스템의 스핀들은 브레이크 패드가 구비된 피스턴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여기에서 스핀들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스핀들은 너트와 교합된다. 너트는 램프전동시스템을 통하여 전기구동장치의 로터에 결합된다. 특허문헌 DE 198 53 721 A1의 다른 실시예는 개방작동모드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기계적인 구동기구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스핀들 드라이브와 램프전동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작동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피스턴이 유압으로 직접 가압된다.
특허문헌 DE 10 2006 033 333 A1에는 상용 브레이크 제동력이 브레이크 피스턴의 유압작동으로 발생되는 브레이크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전기적인 파킹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장치에 통합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기모터는 램프전동시스템과 마선형 전동시스템을 통하여 브레이크 피스턴을 구동시킨다.
특허문헌 WO 2014/106672 A1은 유압이나 공압 또는 전기-기계적인 액추에이터로부터 얻는 작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브레이크레버를 통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작동되는 브레이크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 대안적인 디자인,
- 개선된 제동력 전달,
- 개선된 운동학,
- 개선된 성능,
- 브레이크 패드의 간극을 폐쇄하기 위한 스트로크 부분, 브레이크 패드가 작은 정규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는 스트로크 부분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높은 정규 제동력과 정규 제동력의 조심스러운 제어의 필요성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는 스트로크 부분과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여러 부분을 고려하기 위한 개선된 옵션.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청구항의 특징부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인 우선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공압 브레이크 챔버 대신에 전기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안한다. 전기구동장치의 이용은 확장된 제어옵션으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차량 자체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는 옵션을 제시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전기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동유닛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상이한 전동시스템을 포함한다.
- 램프전동시스템; 및
- 나선전동시스템.
이들 두 전동시스템은 모두 종료시에 회전구동운동을 브레이크 패드를 이동시키고 브레이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병진구동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그러나, 이들 두 전동시스템에서 상이한 구성과 특징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램프전동시스템과 나선전동시스템이 전동유닛의 힘흐름(force flow)에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특히 전동유닛에서 힘이 두 전동시스템으로 분할되지 않고 힘이 두 전동시스템에 가하여짐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동유닛의 출력에서 병진운동(특히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브레이크 패드의 병진운동)은 램프전동시스템과 나선전동시스템의 병진운동의 합과 같다.
본 발명의 두 전동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전동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각기 다른 전동시스템이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 자체의 특정한 작동상태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선전동시스템과 램프전동시스템은 순서에 상관이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우선실시예에 따라서, 전기구동장치로부터 전동유닛을 통한 힘흐름에서 보았을 때. 나선전동시스템이 램프전동시스템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일부의 작동상태 또는 모든 작동상태에서, 두 전동시스템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제안에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브레이크 스트로크에서, 제1 스트로크 부분에서 전기구동장치의 작동은 나선전동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반면에,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연속부분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이 작동된다(즉, 먼저 작동한 나선전동시스템은 작동치 않고 먼저 도달한 상태를 유지한다). 단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하여, 나선전동시스템이 작동되는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제1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간극을 폐쇄하기 위한 브레이크 스트로크 부분이거나 이러한 부분을 포함한다(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에 작은 힘으로 초기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램프전동시스템이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보다 큰 접촉력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아울러, 이러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간극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나선전동시스템을 특별히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선전동시스템의 특징은 전기구동장치의 회전으로 짧은 시간내에 브레이크 간극을 폐쇄하기 위한 비교적 큰 병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브레이크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을 위하여 제동력을 제어할 필요에 따라 램프전동시스템을 특별히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브레이크 복귀스트로크에서, 순서는 먼저 전기구동장치의 복귀작동이 램프전동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이어서 나선전동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램프전동시스템이 마모에 의한 브레이크 간극의 변화에 관계없이 그 초기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작동중에 전동구성요소의 상대회전에 대한 나선전동시스템의 저항력이 전동구성요소의 상대회전에 대한 램프전동시스템의 저항력과 동일하다는 가정(이론적인 가정)하에, 두 전동시스템은 동일한 구동토크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에 작동할 것이다. 나선전동시스템이 램프전동시스템에 앞서 작동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가지 제안에 따라서, 램프전동시스템의 저항력은 램프전동시스템을 탄지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증가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하여, 스프링은 램프에 대하여 램프전동시스템의 롤러를 가압하는 수직항력(normal force)을 증가시킬 것이다. 램프에서 수직항력을 증가시키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나선전동시스템의 나선은 스러스트 플레이트(thrust plate)에서 브레이크 수직항력과 관련되거나 동일한 수직항력에 의하여 가압된다. 대신에, 램프전동시스템의 수직항력은 스프링에 의한 힘으로부터 얻는 부가적인 수직항력 성분과 함께 스러스트 플레이트에서 브레이크 수직항력과 동일하거나 이에 해당하는 수직항력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롤러 또는 롤러 케이지를 램프의 시작점을 향하여 탄지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램프전동시스템을 탄지하는 스프링은 프리텐션형 스프링(pre-tensioned spring)이 좋다. 스프링 강도와 스프링 프리텐션량을 선택함으로써,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점을 조절할 수 있다.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의 전환(또는 그 반대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옵션은 많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경우,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의 전환은 자동적으로 트리거된다. 이러한 트리거기능은 나선전동시스템에서의 마찰, 램프전동시스템에서의 마찰, 램프전동시스템에서 램프경사도 및/또는 램프 시작점을 향하도록 램프전동시스템을 가압하는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달리 알려진 램프전동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에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은 회전구동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구동요소는 고정된 축방향 위치를 갖는다. 회전구동요소는 전기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더욱이, 램프전동시스템은 피구동요소(被驅動要素)를 포함한다. 피구동요소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가능하다. 피구동요소와 구동요소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롤링요소가 고정되면서 롤링요소는 피구동요소 및 구동요소와 함께 수직항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롤링요소는 구동요소와 피구동요소에 의하여 제공된 접촉면을 따라 구른다. 접촉면을 따른 롤링요소의 운동은 롤링요소와 구동 및 피구동요소 사이의 접촉영역에서 마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이 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의 램프전동시스템의 기능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예에 기초하여 설명될 수 있다: 만약 나선전동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 램프전동시스템은 차단벽을 형성하여 롤링요소의 롤링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상태에서, 구동요소의 회전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피구동요소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피구동요소의 회전은 나선전동시스템에 전달되어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대신에, 만약 다른 작동상태에서 롤링요소의 롤링운동이 있는 경우, 램프는 램프의 높이방향에서 구동요소와 피구동요소 사이의 상대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램프전동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롤링요소의 롤링운동에 의하여, 피구동요소는 그 회전방향이 바뀌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작동되는 램프전동시스템에 대하여 나선전동시스템은 작동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롤링요소와의 구동 및 피구동요소의 단 하나의 접촉면만이 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설계의 옵션은 구동요소의 접촉면과 피구동요소의 접촉면이 각각 램프를 형성하는 본 발명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위하여 확장된다.
일반적으로, 램프(적어도 하나의 램프)는 다양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램프는 주연방향으로 직선의 윤곽을 이루도록 하는 일정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윤곽은 경사도가 연속 변화하는 곡선의 형상 또는 경사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제안으로써, 램프는 상이한 경사도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경사도의 선택에 의하여, 특별히, 램프전동시스템의 특징을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여러 부분과 상이한 크기의 제동력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민김한 제동력의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 브레이크 디스크의 작동상태에서 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는 램프의 부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램프를 형성하는 접촉면은 전기구동장치로부터의 힘흐름에 통합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매우 콤팩트하고 강직한 설계의 경우, 본 발명은 램프전동시스템의 구동요소가 기어휠인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램프를 형성하는 접촉면은 기어휠의 전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롤링요소로써 볼이 사용된다. 그러나, 롤링요소와 접촉면 또는 램프 사이의 접촉영역은 비교적 좁다. 넓은 접촉영역의 이용을 위하여, 본 발명은 롤링요소로써 롤러나 더블-롤러의 사용을 제안한다. 이는 표면장력을 감소시키고 사용수명을 증가시키며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는 롤러에서 마찰특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으로써, 롤러 또는 더블-롤러(또는 다수의 롤러 또는 더블-롤러)가 조립공정에 유용하고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사용수명기간동안 롤링요소가 이들의 요구된 위치와 방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케이지요소내에 수용된다.
일반적으로, 추가의 전동유닛 또는 다른 구성요소가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와 나선전동시스템의 나선구동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는 나선전동시스템의 나선구동요소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환언컨데,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는 나선전동시스템의 구동요소를 직접 구동시켜 램프전동시스템과 나선전동시스템 사이의 매우 콤팩트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매우 강인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에 따라서,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와 나선전동시스템의 나선구동요소는 슬리이브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의 접촉면은 슬리이브의 링형 방사상 숄더에 의하여 형성된다. 나선구동요소의 나선은 슬리이브의 외면 또는 내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이는 나선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의 내면 또는 외면의 나선과 협동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구성요소의 변진운동 및/또는 회전운동은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위치, 그리고 브레이크 패드의 위치와 관련이 있어 감지될 수 있다. 일부 다른 비제한적인 실시예만을 언급하기 위하여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는 전기구동장치의 전기적인 상태와 에너지화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더욱이, 전기구동장치로부터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러스트 플레이트로부터의 힘흐름의 어느 부분에서 힘이 힘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신 실시예에서, 축방향에서 램프전동시스템의 축방향지지력은 축방향 힘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감지된 힘은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발생된 제동력과 상관이 있다. 힘흐름에서 힘센서의 통합을 위하여 여러 옵션이 있다. 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램프전동시스템의 회전구동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에서 지지요소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언급된 축방향에서 지지요소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언급된 축방향에서 지지요소의 축방향 지지력은 축방향 힘센서에 의하여 감지된다.
나선전동시스템의 설계에는 많은 옵션이 있다. 특별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서 본 발명은 나선전동시스템이 회전가능한 나선구동요소를 포함한다(이는 램프전동시스템의 피구동요소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더욱이, 나선전동시스템은 나선피구동요소를 포함한다. 나선피구동요소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나 축방향 자유도를 포함한다. 나선구동요소와 나선피구동요소는 서로 나선결합된다. 나선구동요소와 나선피구동요소 사이의 나선각도는 나선구동요소의 회전에 따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전기구동장치에 의한 나선구동요소의 회전은 나선전동시스템에 의하여 병진운동으로 변환된다(좋기로는 램프전동시스템의 개재하에). 여기에서, 나선구동요소와 나선피구동요소 사이의 전달특성은 나선구동요소와 나선피구동요소의 나선의 경사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본 발명은 또한 나선전동시스템의 나선구동요소가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은 전기구동장치의 작동이 중단되거나 복귀방향으로 전기구동장치가 작동할 때에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복귀 브레이크 스트로크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초기상태로 나선각도를 변화시키거나 복귀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서 두개의 다른 클러치기구 또는 스위칭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의 토크를 가하는 것은 슬라이딩 클러치부재에 의하여 제어된다. 슬라이딩 클러치부재는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토크를 슬라이딩 클러치에 의하여 한정된 한계값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의 토크를 가하는 것은 단일방향 클러치기구에 의하여 제어된다. 좋기로는 단일방향 클러치부재는 제동시의 브레이크 스트로크중에 토션 스프링을 비활성되게 하여 브레이크 스트로크중에 토션 스프링이 나선전동시스템 및 램프전동시스템에서 힘의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대신에, 복귀 브레이크 스트로크에서 브레이크의 해제시에 단일방향 클러치는 토션 스프링을 활성화시켜 토션 스프링의 토크가 나선전동시스템 및 램프전동시스템에 가하여진다.
전동유닛, 특히 램프전동시스템의 구동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한 옵션은 많다. 전동유닛은 전기구동장치의 출력축에 의하여 직접 구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제안에 따라서, 전동유닛은 공지된 다른 추가의 전동유닛을 통하여 전기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 특별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추가의 전동유닛은 유성기어셋트를 포함하고, 전동유닛 또는 램프전동시스템의 구동요소가 유성기어셋트의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러나, 본 발명의 한 특별한 제안에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캐리어는 기어휠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기어휠은 전동유닛의 기어휠과 교합된다.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전기구동장치의 출력축에 의하여 구동된다(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패드 위치 또는 제동력은 전기구동장치의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단독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제동력이 주어진 시간간격에서 일정하게 가하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전기구동장치의 전기적인 활성화가 이러한 시간간격 전체를 통하여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에서, 고정유닛이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제공된다. 고정유닛은 전기구동장치의 활성화에 무관하게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작동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여기에서, 고정유닛은 어떠한 방법으로든지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구성요소, 특히, 궁극적으로 제동이 가하여지는 위치에서 가하여진 제동력으로 브레이크 패드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성기어셋트, 추가의 전동유닛, 램프전동시스템 및/또는 나선전동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고정할 것이다. 고정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된 제1 고정요소와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에 고정된 제2 고정요소 사이의 잠금 또는 고정 등의 상호작용에 기초한다. 그러나, 고정유닛은 상기 언급된 고정요소 사이의 수직항력의 제어에 의한 전자기 고정력 또는 마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감지하는 센서가 디스크 브레이크 작동기에 통합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지는 않는다. 대신에, 센서는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을 감지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브레이크의 작동과 해제 후에 나선전동시스템이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증가시키는 방면으로 변화하는 작동위치(즉, 나선각도)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의 확인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나선각도를 감지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은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문의 서두에 언급된 특징과 이들 특징의 조합의 이점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들 이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필요로 함이 없이 다른 방식으로 또는 점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바와 같이 보호범위의 변경없이 다음의 설명은 원 출원 및 특허의 기술내용에 대하여 적용하며, 다른 특징들이 도면으로부터, 특히 상대측에 대한 다수의 구성요소의 예시된 구조 및 크기와 이들의 상대적인 배치 및 이들의 작동상 연결구성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 또는 청구항의 선택된 참조에 관계없이 여러 청구범위의 특징들의 조합이 가능하며 이는 동기부여가 된다. 또한 이는 별도의 도면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이들의 설명시에 언급되는 특징들에 관한 것이다. 이들 특징은 여러 청구항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는 청구항에서 언급되는 특징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징의 수는 정확한 수이거나 또는 "적어도"라는 부사를 예시적으로 이용함이 없이 언급된 수 보다 많은 수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롤러에 관하여 언급하자면, 이는 정확히 하나의 롤러이거나 또는 두개의 롤러 또는 그 이상의 롤러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가적인 특징들이 이들 특징에 부가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특징이 각 결과물의 유일한 특징일 수 있다.
청구항에 포함된 도면부호는 청구항에 의하여 보호되는 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면부호는 청구항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뿐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보인 예시적인 유선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공압 브레이크 챔버 대신에 전기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안하는 것으로, 전기구동장치의 이용은 확장된 제어옵션으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차량 자체의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는 옵션을 제시한다.
도 1은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와 브레이크 패드와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전기구동장치, 고정유닛, 유성기어셋트와, 램프전동시스템 및 나선전동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전동유닛을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통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전동시스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전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전동유닛의 일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램프를 포함하는 도 3 및 도 4의 전동유닛의 기어휠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램프의 윤곽과 램프의 경사도를 보인 그래프.
도 8은 링 디스크 내에 배치된 한쌍의 더블-롤러를 축방향에서 본 상세도.
도 9는 롤러의 수정형태를 보인 설명도.
도 10은 도 9에서 보인 두개의 수정형 롤러가 링 디스크 내에 배치된 것을 축방향에서 본 상세도.
도 11은 추가의 전동유닛으로써 웜전동유닛이 사용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다른 시점에서 본 사시도.
도 1은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1)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1)에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가 브레이크 패드(3)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패드(3)를 브레이크 디스크(도시하지 않았음) 측으로 이동시키고 브레이크 패드(3)에 제동력을 가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는 전동시스템을 통하여 브레이크 패드(3)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가 브레이크 패드(3)에 착설되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는 전기구동장치(4)를 포함한다. 전기구동장치(4)는 로터(5)와 스테이터(6)를 포함한다. 전자제어유닛(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기구동장치(4)의 전기적인 활성화는 로터(5)를 회전시키고 전기구동장치(4)의 출력축(8)을 통하여 추가의 전동유닛(9)으로 전달되는 구동토크를 제공한다. 전동유닛(9)은 적당한 전동비율로 토크(7)와 회전속도를 변화시킨다. 추가의 전동유닛은 유성기어셋트(10)를 포함한다. 추가의 전동유닛(9)은 전동유닛(11)을 구동시킨다. 전동유닛(11)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힘의 흐름에 직렬로 배치되는 램프전동시스템(12)과 나선전동시스템(13)을 포함한다. 전동유닛(11)은 두개의 서로 다른 전동비율, 즉, 램프전동시스템(12)에 의하여 정하여진 전동비율과 나선전동시스템(13)에 의하여 정하여진 다른 전동비율로 전동유닛(9)의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전동유닛(11)의 출력요소의 병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선전동시스템(13) 또는 전동시스템(11)의 출력요소, 특히 스러스트 플레이트(17)는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시킨다. 제동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4)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3)의 마모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나선전동시스템(13)의 나선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선세(15)는 전동유닛(11)에 통합구성된다. 더욱이,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는 선택적으로 추가의 전동유닛(9)의 구성요소 또는 출력축(8)의 작동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닛(16)을 포함한다.
도 2는 브레이크 패드에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를 결합하기 위한 스러스트 플레이트(17)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종단면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전기구동장치(4)는 중간에 작은 축방향 간극을 갖는 링형 로터(5)와 링형 스테이터(6)로 구성된다. 링형 로터(5)는 전기구동장치(4)의 출력축(8)에 고정된다. 전기구동장치(4)의 양측에서 출력축(8)이 베어링(18, 19)으로 지지된다. 베어링(19)으로부터 돌출된 자유단부영역(82)은 유성기어셋트(10)의 선기어(20)를 구성한다. 유성기어(21)가 선기어(20)에 교합한다. 유성기어(21)는 유성캐리어(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방사상 외측에서 유성기어(21)는 하우징(24)에 고정된 내부기어휠(23)에 교합한다. 유성캐리어(22)는 축(25)을 구동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성캐리어(22)는 축(25)에 고정적으로 착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축(25)은 기어휠(26)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축(25)은 베어링(77, 78)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휠(26)은 구동기어휠(28)에 의하여 구성된 전동유닛(11)의 구동요소(27)와의 교합으로 전동유닛(11)을 구동시킨다.
구동기어휠(28)은 램프전동시스템(12, 29)의 구성요소이다(도 3 참조). 램프전동시스템(29)은 구동기어휠(28), 롤러(30) 또는 더블-롤러(31)과 링디스크부분(33)으로 구성되는 피구동요소(32)으로 구성된다. 상대측으로 향하는 구동기어휠(28)과 링디스크부분(33)의 전면(34, 35)이 접촉면(36, 37)을 형성한다. 구동기어휠(28)과 링디스크부분(33)의 상대회전운동을 위하여, 롤러(30) 또는 더블-롤러(31)는 접촉면(36, 37)을 따라 구른다. 피구동요소(3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프리텐션형 스프링(83)이 수직항력으로 롤러 또는 더블-롤러(31)를 향하여 피구동요소를 가압하고 롤러 또는 더블-롤러(31)를 수직항력으로 구동기어휠(28)을 향하여 가압한다. 더블-롤러(31)는 링디스크(40)인 케이지요소(39)의 요구(38)내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더블-롤러(31)와 케이지요소(39)의 요구(38)는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6은 기어휠(28)의 입체 사시도이다. 접촉면(36)은 각각 대응하는 더블-롤러(31a, 31b, 31c)와 협동하는 3개의 램프(41a, 41b, 41c)를 형성한다. 특히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링디스크부분(33)의 접촉면(37)도 램프(42a, 42b, 42c)를 형성한다. 링디스크부분(33)과 기어휠(28)의 램프(41, 42)는 동일한 윤곽을 갖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들 윤곽은 동일한 주연방향에서 이들 램프(41, 42)가 다른 램프를 향하여(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사도를 갖도록 반전된다. 기어휠(28)에 다른 구동토크가 가하여짐이 없이(또는 스프링 83에 의하여 한정된 한계값 이하의 토크가 가하여진다) 더블-롤러(31)는 램프(41, 42)의 시작점(84)에 놓인다(도 3에서 보인 위치 참조). 만약 기어휠(28)은 회전하고 링디스크부분(33)이 회전하지 않는다면, 램프(41, 42)에서 접촉면(36, 37)을 따라 구르는 더블-롤러(31)의 롤링운동으로 링디스크부분(33)으로부터 기어휠(28)의 축방향 거리는 램프(41, 42)의 피치에 따라 변화하는 결과를 보인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램프전동시스템(29)은 기어휠(28)의 회전운동을 링디스크부분(33)의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더욱이, 전동유닛(11)은 나선전동시스템(13, 43)을 포함한다. 나선전동시스템(43)은 슬리이브부분(45)으로 구성되고 외부나선(46)을 갖는 나선구동요소(44)를 포함한다. 더욱이, 나선전동시스템(43)은 슬리이브부분(48)으로 구성되고 내부나선(49)을 갖는 나선피구동요소(47)를 포함한다. 나선피구동요소(47)는 도 3에서 종단면도로 보인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U-형이며, 여기에서, U-형의 두 수직각부가 슬리이브부분(48)을 형성하고 U-형의 수평부분은 스러스트 플레이트(17)를 형성한다. 나선피구동요소(47)는 도 4에서 보인 안내로드(50)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며 하우징(도시하지 않았음)의 대응하는 통공내에서 안내된다. 또한 예를 들어 HALDEX 사에서 판매하고 있고 기술내용이 본원 출원인의 유럽특허 EP 1 832 777 B1에 언급된 ModelT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와 브레이크 패드의 백플레이트 사이는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에 대하여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러스트 플레이트(17)의 둘레에 경질의 벨로우즈(68)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선구동요소(44)의 회전시에 나선구동요소(44)와 나선피구동요소(47) 사이의 나선각도(이는 나선구동요소 44와 나선피구동요소 47 사이의 회전각도를 의미한다)가 변화한다. 나선각도의 변화는 나선피구동요소(47)의 병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나선피구동요소(47)와 슬리이브부분(45)의 나선은 특히 다음과 같다: 나선의 외경은 64 mm 이고 피치는 14 mm 이며 7개의 나선 시작점을 갖는다. 이는 이들 두 나선부분의 상대회전이 큰 병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나선요소의 회전이 정지할 때 너무 큰 마찰 때문에 램프의 고속부분이 시작된다. 램프의 회전은 나선 보다 병진운동이 작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기어비가 낮아지도록 한다. 그러나, 램프의 경사도에 따라서, 램프를 따라 롤러가 롤링운동을 시작할 때,
- 램프전동시스템의 기어비는 나선전동시스템의 기어비와 동일하고 기어비는 램프를 따라서 롤링운동이 계속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또는
- 램프전동시스템의 기어비가 나선전동시스템의 기어비 보다 커서 기어비는 램프를 따라서 롤링운동이 계속함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한다.
전동유닛(11)에서 램프전동시스템(29)의 피구동요소(32). 여기에서는 링디스크부분(33)는 나선전동시스템(43)의 나선구동요소(44)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디스크부분(33)과 슬리이브부분(45)은 다단형 슬리이브(51)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고, 링디스크부분(33)은 슬리이브(51)의 방사상 컬러로 구성된다. 슬리이브부분(4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쪽의 링디스크부분(33)에서, 슬리이브(51)는 슬리이브부분(45)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른 슬리이브부분(52)을 형성한다. 슬리이브부분(52)의 외면은 케이지요소(39)와 구동기어휠(28)을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사상의 니들 베어링(53)은 슬리이브부분(52)에서 구동기어휠(28)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더블-롤러(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쪽에서 구동기어휠(28)은 지지요소(79)를 형성하는 지지디스크 또는 피스턴(56)에서 축상 니들 베어링(54, 5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케이지부재와 함께 축상 니들 베어링(54, 55)은 축상 베어링 유닛(70)을 형성한다. 지지디스크(56)는 하우징(24)에 지지되고 하우징(24)의 통공(59)을 통하여 외부압력 센서 유닛(58)과 연통하는 실리콘 센서 패드(57)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실리콘 센서 패드(57)와 압력 센서 유닛(58)은 수직항력 또는 제동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4)를 구성한다.
토션 스프링(60)이 슬리이브부분(45) 내에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60)과 스프링(83)은 단일의 다기능형 스프링(85)에 의하여 형성된다. 토션 스프링(60)의 일측 스프링 베이스는 슬리이브(51), 여기에서는 링디스크부분(33)에 의하여 형성된 숄더에 대하여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60)의 타측 스프링 베이스는 슬라이딩 스러스트 와셔(61)를 통하여 슬리이브(63)의 컬러(62)에 지지된다. 슬리이브(63)는 일방향 니들 롤러 베어링(64)에 의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지지로드(65)에 지지된다. 지지로드(65)는 전동유닛(11)을 통하여 연장되고 일측 단부영역에서 하우징(24)에 고정된다. 축방향에서 슬리이브(63)는 숄더가 축방향 니들 베어링(66)(또는 축상 볼 베어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베어링)과 와셔(67)에 의하여 지지로드(65)의 방사상 컬러(69)에 지지된다. 씰링(68)이 나선피구동요소(47)와 하우징(24)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이브(51)는 기어휠(71)을 포함한다. 기어휠(71)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센서(15)의 기어를 구동시킨다.
선택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는 제1 고정요소(72)와 제2 고정요소(73)를 갖는 고정유닛(16)을 포함한다(도 2 참조). 제1 고정요소(72)는 하우징(24)에 부착되는 반면에, 제2 고정요소(73)는 전기구동장치(4)의 출력축(8)에 고정적으로 착설된다. 고정유닛(16)의 작동시에 출력축(8)의 회전위치와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다른 부분의 회전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유닛(16)은 잠금브레이크(locking brake) 또는 마찰브레이크일 수 있다. 고정유닛(16)은 전기구동장치(4)의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고정유닛(16)은 전자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또한 고정유닛은 스프링에 의하여 활성화될 수 있으며, 고정유닛은 전자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스프링의 힘에 반작용하여 비활성화된다.
도 7은 주연연장선(75)에서 적어도 하나의 램프(41, 42)의 윤곽을 점선의 곡선(74)으로 보인 것이다. 실선의 곡선(76)은 동일한 주연연장선(75)을 따른 램프(41, 42)의 경사도를 보인 것이다. 제1 부분에서 램프(41, 42)는 크고 일정한 경사도에서 시작하고, 제2 부분에서는 경사도가 연속적으로 작게 감소하며 제3 부분에서는 일정하게 작은 경사도를 포함한다. 따라서, 곡선(74)의 형태는 제1 부분에서 높이가 신속히 증가하는 반면에, 제3 부분에서는 높이가 점점 느리게 증가한다.
나선전동시스템(43)과 램프전동시스템(29)의 작동 사이의 전환메카니즘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간단한 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나선(46, 49) 사이의 나선전동시스템(43)에서 토크 Mthread (구동요소 44와 피구동요소 47의 상대회전에 대한 저항 및 나선전동시스템 43의 작동에 대한 저항을 구성한다)는 다음과 같다.
Mthread = FN,thrust plate μRthread
여기서, FN,thrust plate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에서 수직항력의 제동력이고 μ는 나선에서 마찰계수이며 Rthread는 나선(46, 49)의 반경이다. 여기에서 μ는 이미 주어진 나선의 피치에서 마찰력의 종속성을 포함한다.(계수 μ가 고전적인 마찰계수를 나타내는 Mthread의 다른 공식에서 토크 Mthread 역시 나선의 피치에 따라 달라진다.)
대신에, 램프전동시스템(29)의 작동에 저항하는 토크 Mramp는 다음과 같다.
Mramp = FN,ramps sin α Rroller
여기에서, α는 롤러(30)의 접촉점에서 램프(41, 42)의 경사도이고, FN,ramps 는 롤러(30)와 램프(41, 42) 사이의 수직항력을 나타내며 Rroller는 롤러(30)와 램프(41, 42)의 접촉점의 방사상 거리를 나타낸다. 스프링(60, 83)에 의한 피구동요소(32)의 부가적인 가압에 의하여, 수직항력 FN,ramps는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수직항역 FN,thrust plate 과 스프링(60, 83)의 힘 Fs의 합과 같다.
FN,ramps = FN,thrust plate + Fs
수직항력 FN,thrust plate이 제로(zero)인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시작시에,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을 위하여 요구된 구동토크는 작은 반면에 스프링(60, 83)의 작용에 의하여 램프전동시스템(29)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된 구동토크는 크다. 따라서,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시작시에, 나선전동시스템(43)만이 작동되는 반면에 램프전동시스템은 견고한 블록으로써 회전한다.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점은 Mthread이 Mramp와 동일할 때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N,thrust plate μRthread = FN,ramps sin α Rroller
이 등식으로부터 나선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의 작동으로 전환되는 전환점 스러스트 플레이트 FN,thrust plate의 수직항력은 다음과 같다.
FN,thrust plate = Fs sin α Rroller / (μRthread - sin α Rroller)
상기 등식으로부터 램프전동시스템이 작동하게 될 최소 수직항력의 제동력은 경사도 α 와 스프링(60, 83)의 힘에 종속하며 다시 이는 축방향에서 스프링(63, 83)의 프리텐션과 축방향의 스프링강도에 종속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전환점은 Rroller, Rthread 및 마찰계수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a) 해제된 브레이크와 기존의 브레이크 간극에 대하여, 제어유닛은 전기구동장치(4)를 작동시켜 출력축(8)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출력축(8)의 회전은 추가의 전동유닛(9), 여기에서는 유성기어셋트(10)에 의하여 구동기어휠(28)을 구동시키는 기어휠(26)을 갖는 축(25)에 전달된다.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의 어떠한 접촉도 없이(또는 작은 접촉력으로) 상기 언급된 전환점의 아래에서, 더블-롤러(310의 롤링운동은 없다. 대신에, 구동기어휠(28)과 슬리이브(51)는 하나의 블록과 같이 회전한다. 따라서, 램프전동시스템(29)은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슬리이브(51)의 회전은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나선피구동요소(47)의 축방향 위치의 변화는 브레이크 간극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주어진 한계치 이하의 제동력이 가하여진다).
슬리이브(51)의 회전중에 회전운동은 토션 스프링(60)과 와셔(61)와의 마찰접촉에 의하여 슬리이브(63)에 전달된다. 일방향 롤러 니들 베어링(64)은 이러한 회전방향에서 지지로드(65)에 대하여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60)은 슬리이브(51)에 토크를 가할 수 없다.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이러한 작동은 "제1 브레이크 스트로크 부분"으로 불린다.
b) 만약 브레이크 간극이 폐쇄되면(또는 제동력이 주어진 한계치를 초과), 상기 언급된 전환점에 도달하여 요소(44, 47) 사이의 상대적인 나선운동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신에, 전기구동장치(4)의 추가 회전을 위한 전환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요소(44, 47)는 어떠한 회전도 일어남이 없이 단일 블록과 같이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언급된 전환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구동기어휠(28)의 회전운동은 램프전동시스템(29)에 의하여 슬리이브(51)의 축방향 운동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다음의 제동력(또는 한계치 이상의 제동력)에 대하여 수직항력의 제동력이 램프전동시스템(29)에서 발생될 것이다. 여기에서 전환특성은 램프(41, 42)의 윤곽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만약 램프경사도가 기어휠(28)의 회전각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우, 램프전동시스템의 스트로크 전달비는 감소하며 제동력을 가하는 것이 매우 조심스럽게 제어될 수 있다.
램프전동시스템(29)의 작동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의 이러한 작동은 "제2 브레이크 스트로크 부분"으로 불린다(제1 스트로크 부분에서 롤러 30, 31이 램프 41, 42의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2 스트로크 부분에서 롤러 30, 31은 큰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은 경사도에서 램프 41, 42와 접촉한다).
c) 만약 요구된 제동력이 가하여진 경우, 전기구동장치를 비활성화되도록 하고 고정유닛(14)의 적용으로 브레이크제동이 유지될 수 있다.
고정유닛(14)의 작동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이러한 작동은 "일정한 브레이크제동 부분"으로 불린다.
d)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고정요소(16)가 해제되고(이미 고정되어 있다면) 전기구동장치(4)가 반대방향으로의 복귀구동을 위하여 작동된다. 브레이크 해제를 위한 브레이크 복귀스트로크주에, 기어휠(28)의 회전이 먼저 램프전동시스템(29)에 의한 병진운동으로 전달되는 반면에, 브레이크 북귀스트로크의 이러한 과정중에 나선전동시스템(43)은 작동되지 않는다(따라서 나선전동시스템 43은 병진운동에 의하여서면 이동되는 단일의 블록을 형성한다).
램프전동시스템(29)의 작동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이러한 작동은 "제1 브레이크 복귀 스트로크 부분"으로 불린다.
e) 만약 램프전동시스템(29)이 그 초기단계(이는 램프의 시작위치의 정지구에 의하여 정하여진다)로 복귀되면, 브레이크 복귀 스트로크의 전환점에 도달한다.단일방향 클러치기구(80)(여기에서는 일방향 니들 베어링 64)의 사용은 나선전동시스템(43)의 상대회전이 허용되기 전에 램프전동시스템(29)이 그 본래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기어휠(28)의 추가 복귀운동으로 램프전동시스템(29)은 요소(27, 32) 사이의 상대회전이 없는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는 반면에, 나선전동시스템(43)은 요소(44, 47) 사이의 복귀나선운동에 의하여 작동된다.
복귀운동중에 일방향 롤러 니들 베어링(64)은 슬리이브(63)를 지지로드(65)에 고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슬리이브(51)의 회전은 토션 스프링(60)의 베이스와 와셔(61) 및 컬러(6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한되는 토션 스프링(60)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직항력과 마찰물질 및 마찰면의 선택에 의하여 마찰력의 한계치와 토션 스프링(60)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토크의 한계치가 정하여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60)은 7.5 Nm ± 30% 또는 20% 또는 10%를 초과하는 토크에 대하여 슬리이브(63)에 대한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과 함께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이러한 작동은 "제2 브레이크 복귀 스트로크 부분"으로 불린다. 이는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디스크 사이의 공칭간극을 한정하는 제2 브레이크 복귀 스트로크이다.
일방향 롤러 니들 베어링(64)은 단일방향 클러치기구(80)에 대한 한 실시예를 구성한다. 토션 스프링(60)의 베이스와 와셔(61) 및 컬러(62) 사이의 마찰접촉은 슬라이딩 클러치기구(81)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체형 스프링(85)이 램프전동시스템(29)에 수직항력을 제공하고 나선전동시스템(43)에 복귀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두가지 목적을 위하여 별도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램프전동시스템(29)의 작동의 전환점과 시작에 영향을 주는 스프링은 상대측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구동기어휠(28)과 피구동요소(32)에 수직항력을 가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프링은 램프전동시스템(29)의 시작위치를 향하여 피구동요소(32)와 케이지요소(39)를 가압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30)를 시작점(84)에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도 8은 링디스크(40)의 요구(38)내에 배치된 더블-롤러(31)를 축방향에서 본 것이다. 더블-롤러(31)의 두 롤러(86, 87)는 상대측에 대하여 안내되고 또는 롤러(86, 87)의 회전을 허용하는 적당한 케이지 또는 안내볼트에 의한 링디스크(40)에 의하여 안내된다. 그러나, 롤러(86, 87)는 달리 안내없이 요구(38)내에 수용될 수 있다. 램프(41, 42)를 따른 롤러(86, 87)의 롤링운동중에 도 8에서 보인 롤러(86, 87)의 오정렬이 있을 수 있다(도면에서는 약간 과장되게 표현하였음). 이러한 오정렬은 롤러(86, 87)가 요구(38)를 둘러싸고 있는 벽에 부딪치도록 한다(이 부분을 도면부호 88, 89로 보임). 또한 나란히 배치된 롤러(86, 87)는 특히 롤러(86, 87)의 전면의 외주연에 놓이는 위치(90)에서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정렬은 마람직하지 않은 마찰과 마모의 증가를 초래한다.
도 9는 수정된 형태의 롤러(86, 87)를 보인 것이다. 롤러(86, 87)는 만곡형 또는 반구형 윤곽을 갖는 전면(91, 92)을 갖는다. 전면(91, 92)의 직경(도 9에서 수평연장선)은 롤러(86, 87)의 롤링면(93)의 직경 보다 작다. 전면(91, 92)은 전이면(94, 95)을 통하여 롤링면(93)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이면(94, 95)은 경사지고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갖는다. 롤링면(93)으로 향하는 전이면(94, 95)의 전이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형일 수 있다. 전면(91, 92)은 평면상이거나 약간 만곡형이고, 특히, 직경은 롤링면의 직경 보다 두배 이상, 5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일 수 있다. 롤링면(93)의 윤곽은 직선이거나 또는 약간 만곡형 또는 약간 반원형일 수 있다. 또한 전이면(94, 95)은 직선, 만곡형, 특히 반원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8과 같이 축방향에서 본 것으로, 수정된 디자인의 롤러(86, 87)가 사용된 것이다. 롤러(86, 87)는 상대측에 대하여 그리고 요구(38)를 형성하는 벽에 대하여 간섭없이 약간 경사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인 실시예에서, 추가의 전동유닛(9)으로써의 유성기어셋트(10) 대신에 웜전동유닛(96)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전기구동장치(4)는 직접 웜스크류(97)를 구동시킨다. 웜스크류(97)는 구동기어휠(28)에 교합된 기어휠(99)에 견고히 결합된 웜휠(98)에 교합된다. 다른 구조적인 요소들과 힘흐름은 도 3의 실시예와 같다.
추가의 전동유닛(9)으로써 유성기어셋트(10) 또는 웜전동유닛(96)을 대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사이클로이드 드라이브(cycloidal drive)가 사용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았음. 참조; 예를 들어 SUMITOMO(SHI) Cyclo Drive Germany GmbH의 공보물 "fine cyclo-zero/speed redusers; spielfreie Getriebe", 카탈로그 999016/en/de-03/2011 또는 웹사이트 http://lcamtuf.coredump.cx/cycloid/).
도시된 실시예에서, 웜휠(98)(그리고 기어휠 99)의 축선은 스러스트 플레이트(17)의 운동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대신에, 웜스크류(97)의 회전축선과 전기구동장치(4)의 회전축선은 스러스트 플레이트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전기구동장치(4)는 램프전동시스템(12), 나선전동시스템(13) 및 스러스트 플레이트(17)의 전방 또는 후방, 특히 디스크 브레이크 작동기(2)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는 설치관점에서 긍정적인 것이다. 다른 구성요소의 전후방에서 전기구동장치(4)의 선택된 위치는 차량의 좌우측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축방향으로 전기구동장치(4)의 콤팩트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대직경의 전기구동장치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전문가라면 방사상 직경은 작으나 축방향 직경이 큰 전기구동장치(4)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된 사이클로이드 드라이브 또는 웜전동유닛(96)은 자기고정형으로써 다른 고정기구가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러스트 플레이트(17)가 더 이상 브레이크 패드와 접촉하지 않을 때 나선피구동요소(47)와 스러스트 플레이트(17)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7)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로드(50)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러스트 플레이트(17) 자체는 스러스트 플레이트(17)가 더 이상 브레이크 패드와 접촉하지 않을 때 패드고정구와 결합되어 스러스트 플레이트(17)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는 특히 마모된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리셋트하는 동안에 유용한 것이다.
브레이크 캘리퍼는 핑거-사이드(finger-side), 즉, 외측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하는 캘리퍼의 외측부가 없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캘리퍼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캘리퍼의 외측부는 도면에서 보인 캘리퍼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된다. 그러나, 또한 브레이크 캘리퍼도 단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기구를 리와인딩하기 위한 기어휠(71)(이는 코그 휠이라 할 수 있다)을 형성하는 다단형 슬리이브(51)도 기구를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단독으로 또는 스러스트 플레이트 17과 브레이크 패드사이의 연결과 협력하여) 원통형 슬라이딩 링(도시하지 않았음)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레이크 패드를 리셋팅하기 위한 다른 수단이 상기 슬라이딩 링에 인접하여 잠재적으로 새로운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센서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1: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 2: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3: 브레이크 패드, 4: 전기구동장치, 5: 로터, 6: 스테이터, 7: 토크, 8: 출력축, 9: 추가의 전동유닛, 10: 유성기어셋트, 11: 전동유닛, 12: 램프전동시스템, 13: 나선전동시스템, 14: 센서(제동력), 15: 센서(마모), 16: 고정유닛, 17: 스러스트 플레이트, 18, 19: 베어링, 20: 선기어, 21: 유성기어, 22: 유성캐리어, 23: 내부 기어휠, 24: 하우징, 25: 축, 26: 기어휠, 27: 구동요소, 28: 구동기어휠, 29: 램프전동시스템, 30: 롤러, 31: 더블-롤러, 32: 피구동요소, 33: 링디스크부분, 34, 35: 전면, 36, 37: 접촉면, 38: 요구, 39: 케이지요소, 40: 링디스크, 41, 42: 램프, 43: 나선전동시스템, 44: 나선구동요소, 45: 슬리이브부분, 46: 외부나선, 47: 나선피구동요소, 48: 슬리이브부분, 49: 내부나선, 50: 안내로드, 51: 슬리이브, 52: 슬리이브부분, 53: 방사상 니들 베어링, 54, 55: 축상 니들 베어링, 56: 지지디스크, 57: 실리콘 센서 패드, 58: 압력센서유닛, 59: 통공, 60: 토션 스프링, 61: 슬라이딩 스러스트 와셔, 62: 컬러, 63: 슬리이브, 64: 일방향 롤러 니들 베어링, 65: 지지로드, 66: 축상 니들 베어링, 67: 와셔, 68: 씰링, 69: 컬러, 70: 축상 베어링 유닛, 71: 기어휠, 72: 제1 고정요소, 73: 제2 고정요소, 74: 곡선, 75: 주연연장선, 76: 곡선, 77, 78: 베어링, 79: 지지요소, 80: 단일방향 클러치기구, 81: 슬라이딩 클러치기구, 82: 단부, 83: 스프링, 84: 시작점, 85: 일체형 스프링, 86, 87: 롤러, 88, 89, 90: 위치, 91, 92: 전면, 93: 롤링면, 94, 95: 전이면, 96: 웜전동유닛, 97: 웜스크류, 98: 웜휠, 99: 기어휠

Claims (24)

  1. 전기구동장치(4)와 상기 전기구동장치(4)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유닛(11)을 갖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에 있어서,
    전동유닛(11)이 램프전동시스템(12, 29)과 나선전동시스템(13, 43)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과 나선전동시스템(13, 43)은 전동유닛(11)의 힘 흐름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은
    고정된 축방향 위치를 가지고 전기구동장치(4)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구동요소(27)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한 피구동요소(3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요소(27)의 접촉면(36) 및 상기 피구동요소(32)의 접촉면(37)은 각각 램프(41, 42)를 형성하며, 상기 램프(41, 42) 중의 하나 이상이 상이한 주연부분에서 브레이크 스트로크의 여러 부분에 배치된 상이한 경사도의 부분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전동시스템(13, 43)은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을 위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브레이크 스트로크에서 상기 전기구동장치(4)의 작동은
    - 먼저 나선전동시스템(13, 43)을 작동시키고;
    - 이어서 램프전동시스템(12, 29)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브레이크 복귀스트로크에서 상기 전기구동장치(4)의 복귀작동은
    - 먼저 램프전동시스템(12, 29)를 작동시키고;
    - 이어서 나선전동시스템(13, 43)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은 상기 나선전동시스템(13, 43)을 가압하지 않는 스프링(60)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전동시스템(13, 43)의 작동으로부터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의 작동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은
    - 상기 나선전동시스템(13, 43)에서의 마찰에 의하여;
    -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의 램프경사도에 의한 롤링저항에 의하여; 또는
    - 램프(41, 42)의 시작점을 향하여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을 가압하는 스프링(6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전동시스템(12, 29)은 상기 구동요소(27)와 피구동요소(32)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요소(27)와 피구동요소(32)의 접촉면(36, 37)을 따라 구르는 롤링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요소(27)는 기어휠(28)이고 상기 램프(41)를 형성하는 접촉면(36)은 상기 기어휠(28)의 전면(34)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요소가 롤러(30) 또는 더블-롤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롤러(31)는 두 개의 롤러(86, 87)를 가지고, 상기 롤러(86, 87)는
    a) 경사진 전이면(94, 95); 또는
    b) 만곡형 전면(91, 92); 또는
    c) 만곡형 윤곽을 갖는 롤링면(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전동시스템(29)의 피구동요소(32)는 상기 나선전동시스템(43)의 나선구동요소(4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전동시스템(29)의 피구동요소(32)와 상기 나선전동시스템(43)의 나선구동요소(44)는 슬리이브(51)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전동시스템(29)의 피구동요소(32)의 접촉면(37)은 상기 슬리이브(51)의 방사상 링형 숄더로써 형성되며 상기 나선구동요소(44)의 나선(46)은 상기 슬리이브(51)의 외면 또는 내면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의 상기 램프전동시스템(29)의 축방향 지지력이 축방향 힘 센서(14)에 의하여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전동시스템(43)은
    a) 회전가능한 나선구동요소(44)와;
    b)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나선피구동요소(47)를 포함하고,
    c) 상기 나선구동요소(44)와 나선피구동요소(47)가 서로 나선결합되며,
    d) 상기 나선구동요소(44)와 나선피구동요소(47) 사이의 나선각도는 상기 나선구동요소(44)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전동시스템(43)의 상기 나선구동요소(44)가 토션 스프링(60)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60)의 토크 인가는 슬라이딩 클러치기구(81), 단일방향 클러치기구(80), 일방향 니들 롤러(64) 또는 일방향 랩 스프링(one-way wrap spring)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유닛(11)은 추가의 전동유닛(9)을 통하여 상기 전기구동장치(4)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전동유닛(9)은 유성기어셋트(10), 사이클로이드 드라이브 또는 웜 전동유닛(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1. 제20항에 있어서,
    a) 상기 유성기어셋트(10)의 유성캐리어(22)가 상기 전동유닛(11)의 기어휠(28)과 교합하는 기어휠(26)에 대하여 상대회전되지 않게 고정되고,
    b) 상기 유성기어셋트(10)의 선기어(20)가 상기 전기구동장치(4)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유닛(16)이 상기 전기구동장치(4)의 활성화에 관계없이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의 작동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15)가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15)는 상기 나선전동시스템(43)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 또는 상기 더블-롤러(31)가 케이지요소(39)내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2).
KR1020197001358A 2016-06-20 2017-06-13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KR102363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5327.2 2016-06-20
EP16175327.2A EP3260339A1 (en) 2016-06-20 2016-06-20 Disc brake actuator for a vehicle
PCT/EP2017/064462 WO2017220384A2 (en) 2016-06-20 2017-06-13 Disc brake actuator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050A KR20190017050A (ko) 2019-02-19
KR102363665B1 true KR102363665B1 (ko) 2022-02-15

Family

ID=5614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358A KR102363665B1 (ko) 2016-06-20 2017-06-13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3674B2 (ko)
EP (3) EP3260339A1 (ko)
JP (1) JP6974364B2 (ko)
KR (1) KR102363665B1 (ko)
CN (1) CN109641583B (ko)
WO (1) WO20172203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759B2 (ja) * 2018-06-29 2022-09-0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装置
DE102019209425A1 (de) * 2019-06-27 2020-12-31 Robert Bosch Gmbh Fremdkraft-Bremsdruckerzeug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CN112443599B (zh) * 2019-08-30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线控制动系统及车辆
DE102021101088A1 (de) * 2020-01-22 2021-07-22 Mando Corporation Reibungs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EP3939841A1 (en) 2020-07-17 2022-01-1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n actuator for a wheel brake unit of a vehicle
CN112572512A (zh) * 2020-12-07 2021-03-30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电制动缸及基础制动装置
CN113251089B (zh) * 2021-03-17 2022-06-28 眉山中车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自动停放功能的单元制动缸
DE202021103036U1 (de) 2021-06-04 2021-07-20 Haldex Brake Products Aktiebolag Fahrzeugrad-Steuereinheit und Lenk- und/oder Bremssystem eines Fahrzeugs
CN115465247A (zh) * 2022-08-24 2022-12-13 浙江夏厦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刹车的凸轮电刹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62B1 (ko) * 1997-07-10 2006-02-02 에스케이에프 엔지니어링 앤 리서치 센터 비.브이. 제어 센서가 있는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US20070227838A1 (en) * 2006-03-31 2007-10-04 Hiroshi Shigeta Electric disk brake, caliper for the electric disk brake, motor/controller unit for the electric disk brak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aliper for the electric disk brake
JP2013092207A (ja) * 2011-10-26 2013-05-16 Ntn Corp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ブレーキ装置
US20140090933A1 (en) * 2012-09-28 2014-04-0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isc brak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7788A (en) * 1985-07-05 1987-05-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urst type one-way roller clutch
US5881847A (en) 1997-03-04 1999-03-16 Sherman, Ii; William E. Rotary toggle mechanism for actuating a parking brake
DE19853721A1 (de) * 1997-11-21 1999-06-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ktuator
DE19850923A1 (de) * 1998-11-05 2000-05-11 Schaeffler Waelzlager Oh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Fahrzeugbremse
JP2001041269A (ja) 1999-07-30 2001-02-13 Tokico Ltd 電動ブレーキ
FR2817218B1 (fr) 2000-11-28 2003-01-10 Bosch Gmbh Robert Cylindre de frein a disque avec mecanisme de frein de parc
US6584388B2 (en) 2001-11-08 2003-06-24 Delphi Technologies, Inc. Adaptive rollov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DE10118871A1 (de) * 2001-04-18 2002-10-24 Ina Schaeffler Kg Brem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2004169729A (ja) * 2002-11-18 2004-06-17 Akebono Brake Ind Co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GB2421061B (en) * 2004-12-09 2009-05-06 Akebono Brake Ind Disc brake actuating apparatus with parking-brake operating mechanism
DE102006033333A1 (de) * 2006-02-10 2007-08-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Fahrzeugbremse mit integrierter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r Feststellbremse
DE102006010754A1 (de) 2006-03-08 2007-09-20 Haldex Brake Products Ab Scheibenbremse
KR101251507B1 (ko) * 2010-12-09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브레이크 장치
JP5529828B2 (ja) * 2011-10-19 2014-06-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CN103582135B (zh) 2012-07-27 2018-05-25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配置用于ePDCCH的eCCE的方法
WO2014106672A1 (en) * 2014-04-04 2014-07-10 Haldex Brake Products Ab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a disc brake and disc brake comprising the same
KR102228030B1 (ko) * 2014-07-31 2021-03-15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브레이크
DE112015005772T5 (de) * 2014-12-26 2017-09-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cheibenbremsen
KR102446044B1 (ko) * 2015-05-12 2022-09-2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JP6133360B2 (ja) * 2015-06-01 2017-05-24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62B1 (ko) * 1997-07-10 2006-02-02 에스케이에프 엔지니어링 앤 리서치 센터 비.브이. 제어 센서가 있는 전기 액츄에이터 및 이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US20070227838A1 (en) * 2006-03-31 2007-10-04 Hiroshi Shigeta Electric disk brake, caliper for the electric disk brake, motor/controller unit for the electric disk brak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caliper for the electric disk brake
JP2013092207A (ja) * 2011-10-26 2013-05-16 Ntn Corp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ブレーキ装置
US20140090933A1 (en) * 2012-09-28 2014-04-03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Disc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9349A1 (en) 2022-06-29
CN109641583A (zh) 2019-04-16
US20190118790A1 (en) 2019-04-25
US10843674B2 (en) 2020-11-24
EP4019349B1 (en) 2023-10-25
KR20190017050A (ko) 2019-02-19
CN109641583B (zh) 2021-10-08
EP3260339A1 (en) 2017-12-27
EP3472011A2 (en) 2019-04-24
EP3472011B1 (en) 2022-01-26
JP6974364B2 (ja) 2021-12-01
WO2017220384A2 (en) 2017-12-28
JP2019518182A (ja) 2019-06-27
WO2017220384A3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66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KR101644779B1 (ko) 전기기계 구동식 주차 브레이크를 갖는 결합식 차량 브레이크와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기어
US10480602B2 (en) Disc brake, brake actuation mechanism for such a disc brake and method for brake adjustment
US8448757B2 (en) Electromechanical friction brake
KR102281170B1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CN105723113B (zh) 机动车辆制动器
KR10221944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작동 기구
US20120168264A1 (en) Friction brake
US9989115B2 (en) Disc brake system
KR20090010085A (ko) 자동차 클러치용 이동 보상 액츄에이터
KR20140030209A (ko) 선택 셀프 로킹 기구를 가진 전기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모터 차량 브레이크
WO2010014313A1 (en) An automatic slack adjuster anchor unit with a one-way clutch
US6264011B1 (en) Device for actuating a vehicle brake
JP5614528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AU2009275457A1 (en) Adjusting device for a disk brake
JP7461383B2 (ja) 低剛性の弾性リザーブ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電気機械式ドラムブレーキ
JP596819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RU2156386C1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и зазоров
JP2022535289A (ja) コンパクト電気機械式ブレーキ
JP2007085421A (ja) 電動ブレーキ
CN112867877B (zh) 盘式制动器
WO2023120129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及び駆動ユニット
JP2024006640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