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390B1 -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390B1
KR102363390B1 KR1020210063778A KR20210063778A KR102363390B1 KR 102363390 B1 KR102363390 B1 KR 102363390B1 KR 1020210063778 A KR1020210063778 A KR 1020210063778A KR 20210063778 A KR20210063778 A KR 20210063778A KR 102363390 B1 KR102363390 B1 KR 10236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fence
building
coupl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관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Priority to KR102021006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는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건축물(1)의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윈치(C)를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 상기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펜스본체(B)가 원활히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safety fence}
본 발명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을 시공할 때는 건축물의 외측면에 안전펜스를 설치하여, 작업자나 건축자재가 추락하거나, 분진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안전펜스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건축물(1)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서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윈치(C)와,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이 구비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D)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작하여 펜스본체(B)를 가이드레일(A)에 고정함으로써,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C)를 구동시켜 와이어(3)를 감으면, 상기 펜스본체(B)가 상승되며, 상기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가이드레일(A)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외측을 막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안전펜스는 상기 윈치(C)로 펜스본체(B)를 상측으로 당길 때 펜스본체(B)가 원활히 상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펜스본체(B)가 건축물(1)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펜스본체(B)와 건축물(1)의 둘레면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건축물(1)의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작은 공구 등이 틈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90418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건축물(1)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서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윈치(C)와,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을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1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커버(20)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22)과 상기 관통공(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바(12)의 외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관체(23)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12)의 상면에는 랙기어열(12a)과 상기 랙기어열(12a)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열(12a)과 고정홈(12b)에 대응되는 개구부(23a)와 결합공(23b)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지지브라켓(23c)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41b)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23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둘레부에는 상기 개구부(23a)를 관통하여 상기 랙기어열(1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열(41a)이 형성된 구동휠(41)과, 상기 회전축(4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내측단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공(23b)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2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42a)가 형성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부재(42)에 연결되어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가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41)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42)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1c)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43)의 탄성은 상기 제1 탄성부재(30)의 탄성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고, 상기 윈치(C)의 와이어(3)는 상기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감지수단(51,52,53)은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패널(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거리표시수단(52)과,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리표시수단(52)에 출력하여 거리감지수단(51)에 측정된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가 거리표시수단(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유닛(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는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건축물(1)의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윈치(C)를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 상기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펜스본체(B)가 원활히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의 슬라이드구동수단을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의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를 도시한 것으로,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건축물(1)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서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윈치(C)와,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내측단이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11)가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12)의 외측단에는 직경이 큰 플랜지부(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D)은 상기 지지바(11)에 구비되어, 고정수단(D)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패널(10)이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20)는 상기 지지패널(10)에 비해 넓게 구성되며 내측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패널(10)의 외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둘레부에는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21)의 상하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A)이 삽입되는 삽입홈(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20)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22)과, 상기 관통공(22)의 외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바(12)의 외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관체(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2)의 상면에는 랙기어열(12a)과 상기 랙기어열(12a)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홈(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열(12a)과 고정홈(12b)에 대응되는 개구부(23a)와 결합공(2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23a)는 내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3b)은 상기 외부커버(2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12b)과 일치되도록 위치설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지지브라켓(23c)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3c)은 상기 개구부(23a)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30)는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외측단과 가이드바(12)의 플랜지부(13)에 밀착되도록 가이드바(12)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관체(23)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외부커버(20)의 밀착부(21)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41b)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23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둘레부에는 상기 개구부(23a)를 관통하여 상기 랙기어열(1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열(41a)이 형성된 구동휠(41)과, 상기 회전축(4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내측단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공(23b)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2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42a)가 형성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부재(42)에 연결되어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가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휠(41)은 상기 회전축(41b)과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축(41b)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회동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회동부재(42)의 상면에 걸려 회동부재(42)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1c)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42)는 상기 회전축(4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휠(41)과 별도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43)는 상기 회전축(41b)의 외측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구동휠(41)과 회동부재(42)에 각각 구비된 지지핀(41d,42b)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4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2 탄성부재(43)의 탄성은 상기 제1 탄성부재(30)의 탄성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윈치(C)를 이용하여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를 상측으로 당기면, 제2 탄성부재(43)가 압축되면서 회동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C)의 와이어(3)는 상기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에 연결되어, 작동시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를 상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동감지수단(51,52,53)은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패널(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거리표시수단(52)과,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리표시수단(52)에 출력하여 거리감지수단(51)에 측정된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가 거리표시수단(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유닛(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은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홈(23d)의 내부에 회전축(5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 둘레부가 상기 가이드바(12)의 하측면에 밀착된 회전휠(51a)과, 상기 회전축(51b)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휠(51a)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51c)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에 의해 슬라이드관체(23)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회전휠(51a)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각도센서(51c)로 상기 회전휠(51a)이 회전되는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표시수단(52)은 거리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된 LCD패널을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거리감지수단(51)에서 출력된 회전휠(51a)의 회전각도와 상기 회전휠(51a)의 지름을 연산하여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값을 구하고, 구해진 거리값을 상기 거리표시수단(52)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상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커버(20)는 상기 제1 탄성부재(30)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밀차부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건축물(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나 공구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42)의 고정돌부(42a)는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결합공(23b)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바(12)의 고정홈(12b)에 결합됨으로써,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외부커버(20)가 외측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윈치(C)를 작동시키면, 도 6d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탄성부재(43)가 압축되면서 상기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가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고정돌부(42a)와 고정홈(12b)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외부커버(20)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2)가 상기 스토퍼(41c)에 걸리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42)와 함께 구동휠(41)이 회전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열(41a)과 랙기어열(12a)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관체(23)를 포함한 외부커버(20) 전체가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2)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수단(D)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윈치(C)를 작동시켜 회동부재(42)를 상측으로 당기면,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외부커버(20) 및 지지패널(10), 즉, 상기 펜스본체(B) 전체가 상측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본체(B)가 적절한 위치로 상승되면, 작업자가 상기 고정수단(D)을 조작하여 지지패널(10)이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윈치(C)를 제어하여 와이어(3)를 풀어내면, 상기 제1 탄성부재(30)에 의해 외부커버(20)가 내측으로 밀려나서, 외부커버(20)의 밀착부(21)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와이어(3)를 더욱 풀어내면, 제2 탄성부재(43)에 의해 회동부재(42)가 회동되어 회동부재(42)에 구비된 고정돌부(42a)가 가이드바(12)의 고정홈(12b)에 결합되어, 외부커버(20)가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에 의해 외부커버(20)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커버(20)가 슬라이드된 거리값을 구하고, 측정된 거리값을 상기 거리표시수단(52)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외부커버(20)가 슬라이드된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는 펜스본체(B)가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으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건축물(1)의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윈치(C)를 이용하여 펜스본체(B)를 상승시킬 때 상기 외부커버(20)가 건축물(1)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펜스본체(B)가 원활히 승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은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을 때는 외부커버(20)가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강한 바람이 불거나, 작업자가 실수로 외부커버(20)를 외측으로 밀어낼 때, 외부커버(20)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감지수단(51,52,53)은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패널(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거리표시수단(52)과,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리표시수단(52)에 출력하여 거리감지수단(51)에 측정된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가 거리표시수단(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유닛(53)으로 구성되어, 상기 윈치(C)를 제어하여 상기 펜스본체(B)를 승강시킬 때, 작업자가 상기 외부커버(20)가 슬라이드된 거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윈치(C)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건축물 A. 가이드레일
B. 펜스본체 C. 윈치
D. 고정수단

Claims (1)

  1. 건축물(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 가이드레일(A)과,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펜스본체(B)와,
    상기 건축물(1)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본체(B)에 연결된 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서 펜스본체(B)를 승강시키는 윈치(C)와,
    상기 펜스본체(B)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펜스본체(B)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D)을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밀폐식 안전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본체(B)는
    상기 가이드레일(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패널(10)과,
    상기 지지패널(10)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이 상기 건축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부커버(2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연결되어 외부커버(2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30)와,
    상기 외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윈치(C)의 와이어(3)가 연결된 슬라이드구동수단(40)과,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의 작동을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51,52,5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1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12)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커버(20)에는 상기 가이드바(12)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22)과 상기 관통공(22)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바(12)의 외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관체(23)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12)의 상면에는 랙기어열(12a)과 상기 랙기어열(12a)의 내측에 위치되는 고정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상기 랙기어열(12a)과 고정홈(12b)에 대응되는 개구부(23a)와 결합공(23b)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상면에는 지지브라켓(23c)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41b)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23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둘레부에는 상기 개구부(23a)를 관통하여 상기 랙기어열(12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열(41a)이 형성된 구동휠(41)과,
    상기 회전축(41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내측단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공(23b)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12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42a)가 형성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부재(42)에 연결되어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가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43)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휠(41)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42)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1c)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43)의 탄성은 상기 제1 탄성부재(30)의 탄성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고,
    상기 윈치(C)의 와이어(3)는 상기 회동부재(42)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감지수단(51,52,53)은
    상기 작동감지수단(51,52,53)은 상기 슬라이드관체(2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관체(23)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51)과,
    상기 지지패널(10)의 내측면에 구비된 거리표시수단(52)과,
    상기 거리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리표시수단(52)에 출력하여 거리감지수단(51)에 측정된 슬라이드관체(23)가 슬라이드된 거리가 거리표시수단(5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유닛(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20210063778A 2021-05-18 2021-05-18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236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78A KR102363390B1 (ko) 2021-05-18 2021-05-18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78A KR102363390B1 (ko) 2021-05-18 2021-05-18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390B1 true KR102363390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78A KR102363390B1 (ko) 2021-05-18 2021-05-18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39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49A (ko) * 1998-08-26 2000-03-1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0732873B1 (ko) * 2006-08-10 2007-06-28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904186B1 (ko) 2008-08-26 2009-06-22 이송복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20090083703A (ko) * 2008-01-30 2009-08-04 삼성물산 주식회사 갱폼 자동인양장치
KR20130009217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근하기공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60030490A (ko) * 2016-01-11 2016-03-18 이옥순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813664B1 (ko) * 2017-03-27 2018-01-30 노환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1994069B1 (ko) * 2019-01-31 2019-06-27 김은영 지하건축물 재건축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49A (ko) * 1998-08-26 2000-03-1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0732873B1 (ko) * 2006-08-10 2007-06-28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20090083703A (ko) * 2008-01-30 2009-08-04 삼성물산 주식회사 갱폼 자동인양장치
KR100904186B1 (ko) 2008-08-26 2009-06-22 이송복 작업발판을 갖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20130009217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근하기공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60030490A (ko) * 2016-01-11 2016-03-18 이옥순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813664B1 (ko) * 2017-03-27 2018-01-30 노환길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1994069B1 (ko) * 2019-01-31 2019-06-27 김은영 지하건축물 재건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4487B1 (en) Barrier operator controller with user settable control limits when entrapment device present
JP2013500413A (ja) 可撓性のカーテンを備えたサービスドア用の落下防止伝達装置
KR102363390B1 (ko)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N107247004A (zh) 木材硬度测量仪
KR102363405B1 (ko) 건축공사용 승강식 안전펜스
KR102363380B1 (ko) 건축물에 밀착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WO2017002192A1 (ja) エレベータの綱溝摩耗量検知装置
KR101650874B1 (ko) 안전진단기능을 갖춘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2344679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1104351B1 (ko) 무대장치용 승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75195B1 (ko) 소리 분석 기반의 원격 밸브 제어 장치
CN116081513A (zh) 一种具有拉力测量的多功能测井滑轮及自动测井装置
CN207074039U (zh) 一种气动执行器快速检测装置
KR100967844B1 (ko) 벽체 두께 측정용 안전진단장비
CN114034278A (zh) 一种电梯用钢丝绳的弹性伸长的检测装置
JP4179464B2 (ja) シートシャッタ
CN209513573U (zh) 一种饰面砖粘接强度检测装置
CN104047535B (zh) 一种用于卷筒式隐形纱窗的启闭装置
CN111715704A (zh) 一种精轧机侧导板标定方法
JP6429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CN209101926U (zh) 一种钢卷尺校准装置
CN219552100U (zh) 一种拉力检测装置
KR102655840B1 (ko)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길이 원거리 측정장치
CN204040875U (zh) 一种用于卷筒式隐形纱窗的启闭装置
CN219469552U (zh) 一种具有拉力测量的多功能测井滑轮及自动测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