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703A - 갱폼 자동인양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자동인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83703A KR20090083703A KR1020080009669A KR20080009669A KR20090083703A KR 20090083703 A KR20090083703 A KR 20090083703A KR 1020080009669 A KR1020080009669 A KR 1020080009669A KR 20080009669 A KR20080009669 A KR 20080009669A KR 20090083703 A KR20090083703 A KR 200900837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device
- casing
- automatic lifting
- gangform
- r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장에서 벽체 시공을 위하여 사용된 갱폼을 다음 시공 대상층으로 인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중기를 동원하거나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설비만으로 갱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되, 인양되는 갱폼에 강한 흔들림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 콘크리트 양생 시에 미리 앵커를 매설, 준비하고 이에 모우터 및 감속기 그리고 이에 의하여 구동되는 와이어로프를 감은 권취릴 및 유압발생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압으로 진퇴 가능한 출몰간 선단의 안내 로울러 그리고 와이어로프 선단에 고정되어 갱폼의 내측에 걸리는 후크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화된 인양수단에 의하여 갱폼이 강한 흔들림이 없이 상승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고, 중기를 동원하지 않게 되므로, 소요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중기 사용 시에 비하여 설치 및 조작, 해체 등이 간편하게 되어 시공 작업 능률이 대폭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갱폼, 타워크레인, 인양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공사장에서 벽체 시공을 위하여 사용된 갱폼을 다음 시공 대상층으로 인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갱폼 인양작업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첫째는 도 1에 도시된 예로서, 타워크레인(100)의 붐대(101) 선단에 로우프(102) 및 후크(103)를 연결하고, 후크(103)에 갱폼(110)의 상단이 걸리도록 한후 양생 완료된 층에서 시공 대상층으로 갱폼(110)을 인양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한 인양 과정에서 타워크레인(100) 붐대(101) 자체가 바람에 의한 영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강선 로우프(102) 및 후크(103)에 의하여 더욱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하여 갱폼(110)을 안정적으로 인양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양 중 측근의 갱폼(110)을 타격하여 낙하시키게 됨으로써 귀중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둘째는 도 2에 도시된 예로서,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에 콘크리트 양생시에 미리 고리(201)를 매설, 준비하고, 지주(200)를 세운 다음 상단에 체인블럭(202)을 고정하고, 체인블럭(202)의 일단에 갱폼(210)의 상단을 고정하며, 체인을 당겨 갱폼(210)을 인양시키고, 인양완료 후 체인블럭(202)의 체인을 와이어로프로(203) 연결하여 전술한 매설된 고리(201)에 묶어 둠으로써 갱폼(210)의 인양을 완료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와이어로프(203)가 파단되는 경우 귀중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초래하는 매우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지 않음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는 있으나, 시설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어 작업 능률이 매우 저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는 도 3에 도시된 예로서,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과 그 하층의 바닥면에 미리 형성시킨 관통공(301)을 통과한 파이프(300)를 위한 고정수단(302)으로 설치하고 파이프(300) 상단에 롤러(303)를 설치하여 이에 로우프(304)를 걸고, 로우프(304)의 일단에 갱폼(310)을 걸며, 로우프(304)의 타단을 체인블록 등으로 당겨 갱폼(31)을 인양하고, 로우프(304)의 타단을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에 콘크리트 양생시에 미리 매설된 고리(305)에 고정하도록 한 방식이다. 그러나 이 역시 로우프(304)가 파단되는 경우 매우 심각한 귀중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지 않음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는 있으나, 시설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어 작업 능률이 매우 저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중기를 동원하거나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설비만으로 갱폼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되, 인양되는 갱폼에 하등의 흔들림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인양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갱폼 자동인양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1. 갱폼 인양장치를 소형화하고 자동화하여 설치 및 해체를 간편하고 손쉽게 하고 조작, 운용이 간편하도록 구성한다.
2. 콘크리트 슬래브(바닥) 제작시 앵커를 미리 매립해두어 갱폼 인양기 설치에 활용한다.
3. 낚시대 구조를 응용하여 와이어로프를 권취기에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권취기는 전동모터로 구동시키며, 와이어로프의 이동 범위 제어를 위해 출몰간과 안내롤러를 구비한다.
4. 출몰간은 유압발생기에 의해 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출몰간의 전진운동에 의해 벽면에 붙어 있는 갱폼을 밀어 벽면에서 떨어지게 하는 힘으로 활용한다.
5. 전동모터의 고장 등으로 인한 갱폼의 급락을 방지하기 위해 감속기와 래치기어를 설치한다.
6. 갱폼의 인양과정에서 벽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갱폼에 기립간을 설치한다. 상기 기립간에는 이동롤러를 장착하여 벽면을 따라 구르며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소형화된 인양수단에 의하여 갱폼이 흔들림이 없이 상승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갱폼 인양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되어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타워 크레인을 임대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요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갱폼 자동인양장치는 고정볼트만을 조이고 푸는 과정으로 신속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조작 과정도 간단하고 신속하여 시공 능률을 크게 향상시켜 공기 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싱 내부에, 선단에 후크가 결합된 와이어로프를 감은 귄취릴; 상기 권치릴을 구동시키는 전동모터; 및 유압발생기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케이싱 외부로 전진하거나 상기 케이싱 내부로 후퇴가능하고 선단에는 안내 로울러가 정착된 출몰간; 이 장착된 것이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권취릴에서 풀려나와 상기 출몰간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 로울러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갱폼 자동인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갱폼 자동인양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11) 내부에 권취릴(14), 전동모터(12) 및 출몰간(20)이 장착되고 구성요소간의 유기적 연결관계에 의해 그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케이싱(1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분리하여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면에는 상기 출몰간(20)이 돌출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는 상기 케이싱(11)의 후단을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 콘크리트 양생시에 미리 매설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앵커(30)와 결합시킴으로서 설치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앵커(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대상층의 바닥면 콘크리트 양생시에 미리 앵커(30)를 매설해 둘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앵커(30)는 하단에 넓은 지지판(31)이 구비된 것이고, 상단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된 것이다. 시공 대상층 바닥면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상기 나사부(32)에 캡볼 트(33)를 결합한 상태로 매립해 둠으로서, 상기 나사부(32) 안에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끼지 않게 하며, 갱폼 자동인양장치(10)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캡볼트(33)를 빼내고 고정볼트(34)를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케이싱(11)을 견고하게 설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11) 내부에는 와이어로프(15)를 감은 권취릴(14)과 상기 권취릴(14)을 구동시키는 전동모터(12)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로프(15)는 선단에 인양용 후크(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여러가닥의 강선을 꼬아 큰 인장력을 발휘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로프(15)는 상기 권취릴(14)에서 풀려나와 후술할 출몰간(20)을 관통하여 안내 로울러(16)에 걸쳐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울러(16)는 상기 권취릴(1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15)가 풀려 하강하거나, 감겨 상승하는 과정에서 꼬이거나 다른 부재에 감기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출몰간(20)은 유압발생기(17)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케이싱(11) 외부로 전진하거나 상기 케이싱(11) 내부로 후퇴가능하고 선단에는 안내 로울러(16)가 정착된 부재이다.
이 때, 상기 유압발생기(17)는 공지된 바와 같이 리저브탱크, 유압펌프 및 펌프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출몰간(20)은 실린더(19)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으 로서, 상기 출몰간(20) 중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린더(19) 내면과 접하는 격벽(23)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9)가 전실(24)과 후실(25)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리저브탱크와 상기 실린더(19)의 전실(24)과 후실(25)을 연결하는 유관(18)을 각각 배관하여, 상기 유압발생기(17)로부터 발생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출몰간(20)이 전진, 후퇴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갱폼 자동인양장치(10)에 전원을 연결하여 유압발생기(17)의 펌프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이에 따라, 펌프모터(12)가 작동되면서 리저브탱크에 있던 유류가 유관(18)을 거쳐 실린더(19)로 들어와 상기 출몰간(20)의 일측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즉, 유류가 상기 실린더(19)의 전실(24)로 들어오면 상기 출몰간(20)은 후퇴운동을 하게 되며, 유류가 상기 실린더(19)의 후실(25)로 들어오면 상기 출몰간(20)은 전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출몰간(20)의 전진운동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과 접해 있는 갱폼(50)을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먼저, 갱폼(50)의 타이 볼트(52)를 어느 정도 풀어 갱폼(50)과 양생된 벽면 사이의 긴장된 체결 상태가 풀어지도록 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대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로 체결 상태를 해체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몰간(20)을 전진운동시키면 갱폼(50)이 출몰간(20)의 선단에 닿아 밀려나는 것이며, 이때, 출몰간(20)은 실린더(19)에 의하여 밀려나는 거리가 한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출몰간(20)에 형성된 격벽(23)의 전후방에 각각 걸림턱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턱이 실린더 전후단에 걸리면서 상기 출몰간(20)의 전진, 후퇴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출몰간(20)의 전진거리 제한으로 갱폼(50)이 밀려나는 거리는 5Cm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출몰간(20)을 전진시켜 갱폼(50)을 밀어둔 상태에는 상기 전동모터(1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권취릴(14)을 회전시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5)를 풀어 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로프(15)는 안내롤러(16)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풀리게 되고, 와이어로프(15) 선단의 후크(21)는 그 하중에 의하여 갱폼(50)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하강된 후크(21)는 갱폼(50) 전체 상하 길이의 65% 내지 70% 되는 중간 보다 윗부분에 걸어 갱폼(50)을 안정감있게 인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21)를 갱폼(50)에 건 후에는 상기 전동모터(1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전동모터가 역회전하도록 하면, 이로 인해 상기 권취릴(14)이 다시 감겨 와이어로프(15)가 안내롤러(16)를 통과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지속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50)이 완전히 인양 완료된 상태로 되는 것이며, 와이어로프(15)도 권취릴(14)에 완전히 감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11) 내부에는 상기 전동모터(12)와 연계되어 상기 권취 릴(14)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13)를 더 장착할 수 있다. 갱폼(50) 인양 과정에서 정전 등으로 전동모터(12)의 회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감속기(13)에 의해 권취릴(14)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갱폼(50)의 급강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1) 내부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권취릴(14)에 물리거나 물림상태가 해제되는 래치기어(22)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기어(22)는 전동모터(12)의 고장 등이 발생하여 상기 권취릴(14)이 뜻하지 않게 회동함으로서 와이어로프(15)가 풀리면서 갱폼(50)이 급강하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래치기어(22)를 장착하면, 갱폼(50)에 후크(21)를 걸기 위하여 와이어로프(15)를 풀어주어야 할 경우에만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권취릴(14)에 물려 있던 래치(22)가 후퇴함에 따라, 권취릴(14)이 자유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전동모터(12)의 회전력으로 와이어로프(15)가 풀리면서 후크(21)가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크(21)를 갱폼(50)에 건 이후에는 솔레노이드가 작동을 중지하여 래치(22)가 권취릴(14)에 물리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릴(14)이 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15)가 감기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모우터(12)의 고장으로 권취릴(14)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에 갱폼(50)의 하중에 의하여 역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감속기(13)와 래치기어(22)는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으나, 갱폼 인 양작업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 감속기(13)와 래치기어(22)가 함께 구비된 갱폼 인양기(1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인양 갱폼(50)의 내측에 후크(21)를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여 인양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양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립간(40)을 갱폼 자동인양장치(10)의 구성요소로 제공한다.
상기 기립간은 피인양 갱폼(50)의 팽행하게 이격한 수직프레임(51)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판의 중단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된 걸림봉(42)과, 상기 수직프레임(51)과 양 측판의 상단부를 관통하며 축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고정축(41)과, 상기 양 측판의 하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이동롤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립간(40)의 걸림봉(42)에는 후크(21)가 걸려 갱폼(50)을 인양하게 되는 것인데, 후크(21)가 상기 걸림봉(42)에 걸리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기립간(4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41)을 기준으로 아래로 쳐져 있게 되나, 후크(21)가 상기 걸림봉(42)에 걸려 갱폼(50)이 인양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기립간(40)은 고정축(4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기립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43)가 벽면에 접하여 구르며 상승된다.
갱폼(50)이 인양되는 과정에서 흔들리면 벽면과의 충돌 및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립간(40)의 이동롤러(43)가 벽면을 따라 구르도록 함으로서 갱폼(50)이나 벽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갱폼(50)이 안정적으로 인양되면 전동모터(12)에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아 원활한 인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기립간(40)의 기립시 그 기립각도가 최적 상태로 제한되도록 스토퍼(44)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44)는 상기 기립간(40) 상부의 피인양 갱폼(50)의 평행한 수직프레임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갱폼(50) 인양작업 완료 후에는 상기 권취릴(14) 구동을 위해 전동모터(12)에 공급되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실런더(19) 전실(24)에 유류를 채워 출몰간(20)을 후퇴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몰간(20)은 작동 전의 상태로 되는 것이고, 이 후, 갱폼 자동인양장치(10)를 매설된 앵커(30)와 체결시키고 있던 고정볼트(34)를 해체하여 줌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작업자는 통상의 갱폼(50)과 같이 내측에 거푸집과 철근을 배치하고, 타이볼트(52)로 체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되,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앵커(30)를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매설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중기를 동원하지 않고도 갱폼(50)을 원하는 위치까지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레일(53)에 의한 인양을 실시하는 G.C.S.(Guide rail Climbing System, 60)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53) 사이로 후크(21)를 넣어 갱폼(50) 전체 상하 길이의 65% 내지 70% 되는 중간 보다 윗부분에 설치된 기립간(40)의 걸림봉(42)에 후크(21)가 걸리도록 하여 쉽게 인양이 가능하도록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워크레인을 이용한 갱폼 인양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2, 3은 종래의 체인블록을 이용한 갱폼 인양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시공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6은 갱폼에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후크를 건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기립간을 예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 자동인양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후크를 건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 자동인양장치의 후크를 걸어 인양 완료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 자동인양장치를 G.C.S.에 적용한 예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갱폼 자동인양장치 11: 케이싱
12: 모우터 13: 감속기
14: 권취릴 15: 와이어로프
16: 안내롤러 17: 유압발생기
18: 유관 19: 실린더
20: 출몰간 21: 후크
22: 래치 23 : 격벽(출몰간)
24 : 전실(실린더) 25 : 후실(실린더)
30: 앵커 31: 지지판
32: 나사부 33: 캡볼트
34: 고정볼트 40: 기립간
41: 고정축 42: 걸림봉
43: 롤러 44: 스토퍼
50: 갱폼 51: 수직 프레임
52: 타이 볼트 53: 레일
60: G.C.S.(Guide rail Climbing System)
Claims (8)
- 케이싱(11) 내부에, 선단에 후크(21)가 결합된 와이어로프(15)를 감은 귄취릴(14); 상기 권치릴(14)을 구동시키는 전동모터(12); 및 유압발생기(17)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케이싱(11) 외부로 전진하거나 상기 케이싱(11) 내부로 후퇴가능하고 선단에는 안내 로울러(16)가 정착된 출몰간(20); 이 장착된 것이며,상기 와이어로프(15)는 상기 권취릴(14)에서 풀려나와 상기 출몰간(20)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 로울러(16)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1항에서,시공 대상층의 바닥면 콘크리트 양생시에 미리 매설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앵커(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은 상기 앵커(30)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2항에서,상기 앵커(30)는 하단에는 지지판(31)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나사부(32)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나사부(32)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4)에 의해 상기 케이싱이(11) 상기 앵커(30)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 치(10).
- 제1항에서,상기 유압발생기(17)는 리저브탱크, 유압펌프 및 펌프모터로 구성되고,상기 출몰간(20)은 실린더(19)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출몰간(20) 중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린더(19)의 내면과 접하는 격벽(23)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9)가 전실(24)과 후실(25)로 구분되고,상기 리저브탱크와 상기 실린더(19)의 전실(24)과 후실(25)을 연결하는 유관(18)이 각각 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1항에서,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상기 전동모터(12)와 연계되어 상기 권취릴(14)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감속기(13);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1항에서,상기 케이싱(11) 내부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권취릴(14)에 물 리거나 물림상태가 해제되는 래치기어(22);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피인양 갱폼(50)의 팽행하게 이격한 수직프레임(51) 사이에 설치되는 기립간(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기립간(40)은, 양 측판의 중단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결합, 고정된 걸림봉(42); 상기 수직프레임(51)과 양 측판의 상단부를 관통하며, 축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된 고정축(41); 및 상기 양 측판의 하단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이동롤러(4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 제7항에서,상기 기립간(40) 상부의 피인양 갱폼(50)의 평행한 수직프레임(51) 사이에 장착된 스토퍼(4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자동인양장치(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669A KR100966596B1 (ko) | 2008-01-30 | 2008-01-30 | 갱폼 자동인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669A KR100966596B1 (ko) | 2008-01-30 | 2008-01-30 | 갱폼 자동인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703A true KR20090083703A (ko) | 2009-08-04 |
KR100966596B1 KR100966596B1 (ko) | 2010-06-29 |
Family
ID=4120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9669A KR100966596B1 (ko) | 2008-01-30 | 2008-01-30 | 갱폼 자동인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659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06002A (zh) * | 2015-02-13 | 2015-07-29 | 深圳市中升建科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高层施工升降安全防护屏 |
KR102344679B1 (ko) * | 2021-05-18 | 2021-12-30 | (주)종합건축사사무소고우건축 |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390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380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건축물에 밀착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405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건축공사용 승강식 안전펜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964B1 (ko) | 2022-07-15 | 2023-05-26 | 이승준 | 갱폼 인양용 가이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756B2 (ja) * | 1987-10-06 | 1994-05-11 | 鹿島建設株式会社 | 大型型枠の吊り上げ工法 |
JP2002326783A (ja) * | 2001-05-07 | 2002-11-12 | Maeda Corp | 資材吊上装置 |
KR100767371B1 (ko) * | 2001-10-08 | 2007-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직 배향형 액정 표시 장치 |
KR200329414Y1 (ko) * | 2003-06-26 | 2003-10-17 | 서영자 | 건축용 갱폼 인양기 |
-
2008
- 2008-01-30 KR KR1020080009669A patent/KR10096659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06002A (zh) * | 2015-02-13 | 2015-07-29 | 深圳市中升建科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高层施工升降安全防护屏 |
KR102344679B1 (ko) * | 2021-05-18 | 2021-12-30 | (주)종합건축사사무소고우건축 |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390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380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건축물에 밀착되는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
KR102363405B1 (ko) * | 2021-05-18 | 2022-02-16 |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 건축공사용 승강식 안전펜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6596B1 (ko) | 2010-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6596B1 (ko) | 갱폼 자동인양장치 | |
KR101345146B1 (ko) |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
KR101370981B1 (ko) | 케이지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 |
CN109973112B (zh) | 一种超大倾角窄空间隧道锚散索鞍门架系统及其安装方法 | |
CN204252879U (zh) | 一种液压钻杆盒 | |
CN114380186A (zh) | 一种基于bim实现房屋墙体吊运的吊运机构及其施工方法 | |
KR101198135B1 (ko) | 거푸집 고정장치 | |
JP6239455B2 (ja) | Pc鋼より線の巻き取り装置 | |
JP2006299559A (ja) |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 |
CN107476556A (zh) | 一种可移动式自动升降操作平台 | |
CN109230279B (zh) | 一种建筑施工提升装置 | |
CA3128440C (en) | A method for mounting a roll of protective mesh material to an underground rock drilling machine, a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ve mesh material to a rock surface and a mounting device | |
CN113582034A (zh) | 一种基于钢板埋件的塔吊支撑梁连接耳座吊装挂点装置 | |
KR100945243B1 (ko) | 갱폼 인양장치 | |
JP6998791B2 (ja) | 重量物固定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固定方法 | |
CN203174507U (zh) | 一种钢管拱吊杆安装装置 | |
CN207245131U (zh) | 一种可移动式自动升降操作平台 | |
CN110939262A (zh) | 一种外挂式外脚手架 | |
CN218492303U (zh) | 一种公路工程预制箱梁张拉设备存放作业操作架 | |
CN213417592U (zh) | 缆索牵引系统 | |
CN219620728U (zh) | 一种塔吊安全通道结构 | |
CN117509460B (zh) | 一种基坑逃生结构和逃生方法 | |
CN211113622U (zh) | 一种边坡防护锚杆钻孔施工平台 | |
CN211644432U (zh) | 一种大型设备在高层建筑安装的无平台吊运装置 | |
CN220564186U (zh) | 一种设备转运绞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