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873B1 -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873B1
KR100732873B1 KR1020060075898A KR20060075898A KR100732873B1 KR 100732873 B1 KR100732873 B1 KR 100732873B1 KR 1020060075898 A KR1020060075898 A KR 1020060075898A KR 20060075898 A KR20060075898 A KR 20060075898A KR 100732873 B1 KR100732873 B1 KR 10073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oving plate
signal
uni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7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지지대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판의 각 모서리부위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발판을 설치하며, 그 하단부에는 이동판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의 중앙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베이스판에 입설된 회전축의 외주연 수나사부에 조립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동되면 상하 이동하는 건축용 작업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입력받아 높낮이 조절 정도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의 위치감지 상태와 높낮이 조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건축용 작업지지대에서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건축용 작업지지대, 높낮이 조절, 센서, 모터, 이동판

Description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high and low adjustment in worktable for architecture}
도 1은 종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높낮이 조절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건축용 작업지지대 20: 베이스판
21: 홀더 22: 바퀴
23: 축공 30: 이동판
31: 조립공 32: 부싱
33: 발판 34: 슬라이드봉
35: 슬라이드공 36: 플랜지부
37: 볼트 38: 암나사부
39: 센서 40: 가이드봉
41: 베어링 42: 걸림판
50: 구동수단 51: 회전축
52: 원동기어 53: 수나사부
54: 핸들 55: 핸들축
56: 종동기어 57: 모터
60: 높이조절부 61: ADC
62: 위치판단부 63: 마이크로프로세서
64: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 65: 외부포트 인터페이스부
66: 모터구동부 67: DAL
7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용 작업지지대에서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작업지지대는 4개의 지주와 이 지주를 교차 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대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현장에서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등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고, 운반시에는 분해하여 운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제 20-2000-0028008 호의 '건축용 작업대'가 출원된 바 있다. 이는 구동 수단의 조작에 따라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작업대를 제공하였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전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작업지지대(110)는 각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봉(140)가 설치된 베이스판(100)과, 가이드봉(14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봉(134), 슬라이드봉(134)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발판(133)과 이동판(130) 그리고 이동판(1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 수단(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판(120)은 철판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나, 작업지지대 전체 무게를 감안하여 합성수지 판재 또는 다공판의 사용도 무방하다.
베이스판(120)의 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게 바퀴(122)가 설치되고, 각 모서리부위에는 홀더(121)가 설치되며, 이 홀더(121)의 내측으로 가이드봉(140)가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된다.
홀더(121)에 끼워지는 가이드봉(140)의 하단부에는 걸림판(142)이 구비되어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슬라이드봉(134)은 내부 중앙에 가이드봉(140)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슬라이드공(135)이 형성된 상태로, 가이드봉(140)에 끼워져 승하강한다.
슬라이드봉(134)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플랜지부(136)가 갖추어져 발판(133)과 이동판(130)을 연결하게 되는데, 상부측에는 발판(133)이 볼트(137)에 의해 조립되고, 하부측에는 이동판(130)이 상기와 같이 볼트(13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동판(130)의 중앙에는 구동수단(150)이 설치되어, 이동판(130)을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구동수단(150)은 회전축(151)과, 핸들(154), 그리고 기어(152, 156)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51)의 외주연에는 도면과 같이 수나사부(153)가 형성되고, 이동판(130)에는 수나사부(15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138)가 형성되어 회전축(151)이 회동함에 따라 이동판(130)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나사부(138, 153)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형식 예를 들면 스크류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회전축(151)의 하부는 베이스판(120)의 축공(123)에 설치된 베어링(141)에 끼워져 회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끝단부에는 가이드봉(140)과 마찬가지로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판(14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원동기어(152)가 장착되어 있다.
원동기어(152)에는 종동기어(156)가 맞물려 있으며, 이 종동기어(156)는 핸들축(155)에 설치되어 있다.
즉 핸들축(155)은 베이스판(120)에 설치된 베어링(141)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동판(130)의 조립공(131)을 관통하여 입설되고, 그 상부측에 종동기어(156)가 갖추어지며, 상단부에는 핸들(15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종동기어(156)와 원동기어(152)의 잇수는 2:1 내지 5:1의 비율로 설정하여 발판(133)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며, 이동판(130)에 형성된 조립공(131)에는 이동판(13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부싱(132)이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작업지지대(110)는 작업자가 핸들(154)을 돌려 발판(133)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먼저 작업자가 핸들(154)을 돌리면, 이 핸들축(155)에 설치된 종동기어(156)가 회전하고, 이 맞물린 원동기어(152)가 회전하며, 회전축(151)을 회동시킨다.
이때 회전축(151)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부(153)는 이동판(130)의 암사나부(138)와 나사 조립된 상태로, 이동판(130)은 이 나사부를 따라 승하강 하고, 그와 동시에 슬라이드봉(134)에 의해 연결된 발판(133)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또한 슬라이드봉(134)은 가이드봉(140)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판(130)과, 발판(13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발판(133)이 기울어지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구동 수단(150)을 가동시켜 이동판(1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작업지지대에서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는,
베이스판의 각 모서리부위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발판을 설치하며, 그 하단부에는 이동판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의 중앙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베이스판에 입설된 회전축의 외주연 수나사부에 조립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동되면 상하 이동하는 건축용 작업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입력받아 높낮이 조절 정도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의 위치감지 상태와 높낮이 조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ADC 변환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이동판의 위치를 감지하고,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상기 이동판의 높이를 상향시키도록 판별하면 상기 이동판이 상향 조절되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판의 높이를 하향시키도록 판별하면 상기 이동판이 하향 조절되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출력된 모터 구동 신호를 DAC 변환시킨 다음 DAC 변환된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구동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전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0)의 각 모서리부위에 가이드봉(40)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4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봉(34)의 상단부에 발판(33)을 설치하며, 그 하단부에는 이동판(30)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30)의 중앙 에 암나사부(38)를 형성하여 베이스판(20)에 입설된 회전축(51)의 외주연 수나사부(53)에 조립되어 구동 수단(50)에 의해 회전축(51)이 회동되면 상하 이동하는 건축용 작업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39)와; 상기 센서(39)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상기 이동판(30)의 위치를 입력받아 높낮이 조절 정도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판(30)이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높낮이 조절부(60)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60)에서의 위치감지 상태와 높낮이 조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60)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단(50)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판(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터(5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도 7에서 높낮이 조절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부(60)는, 상기 센서(39)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상기 이동판(30)의 아날로그 위치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1)와; 상기 ADC(61)에서 변환된 디지털 위치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판(30)의 높낮이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62)와; 상기 위치 판단부(62)에서 판단된 상기 이동판(30)의 높낮이에 대해 상향 또는 하향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판(30)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3)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3)에서의 위치 판단 상태와 제어 신호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7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65)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3)의 제어를 받아 외부포트와의 연결을 인터페이스 하는 외부포트 인터페이스부(65)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3)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57)를 구동시키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부(66)와; 상기 모터 구동부(66)로부터 디지털 모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모터(57)로 전달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9)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ADC 변환을 수행하는 제 1 단계(ST1, ST2)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이동판(30)의 위치를 감지하고,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높낮이 조절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T3, ST4)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상기 이동판(30)의 높이를 상향시키도록 판별하면 상기 이동판(30)이 상향 조절되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판(30)의 높이를 하향시키도록 판별하면 상기 이동판(30)이 하향 조절되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 3 단계(ST5, ST6)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출력된 모터 구동 신호를 DAC 변환시킨 다음 DAC 변환된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 모터(57)를 구동시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구동 수단(50)을 동작시키는 제 4 단계(ST7, ST8);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센서(39)는 이동판(30)에 설치되어, 이동판(30)이 건축용 작업지지대(10)에서 어떤 높이에 위치해 있는지를 감지하여 높낮이 조절부(60)로 전달한다.
그러면 ADC(61)는 센서(39)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위치 판단부(62)로 전달한다.
그리고 위치 판단부(62)는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이동판(30)의 위치가 어느 높이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63)에서는 이동판(30)의 위치를 감지하고,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높낮이 조절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그래서 이동판(30)의 높이를 높이는 것으로 판별하면, 자동으로 이동판(30) 이 상향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동판(30)의 높이를 낮추는 것으로 판별하면, 자동으로 이동판(30)이 하향 조절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모터 구동부(66)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63)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상향 모터 구동 신호 또는 하향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DAC(67)에서는 모터 구동부(66)의 디지털 신호인 상향 모터 구동 신호 또는 하향 모터 구동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모터(57)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모터(57)는 구동되어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구동 수단(50)을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구동 수단(50)이 자동으로 동작되어 이동판(3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건축용 작업지지대(10)에서 이동판(30)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64)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63)에서의 위치 판단 상태와 제어 신호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7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인터페이스 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70)는 이동판(30)의 높낮이 상태, 제어 신호 상태 등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건축용 작업지지대(10)의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외부포트 인터페이스부(65)는 마이크로프로세서(63)의 제어를 받아 외부포트와의 연결을 인터페이스 하게 된다. 그래서 높낮이 조절부(60)의 업데이트, 데이터 보완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건축용 작업지지대에서 작업자가 올라서는 발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베이스판의 각 모서리부위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발판을 설치하며, 그 하단부에는 이동판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이동판의 중앙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베이스판에 입설된 회전축의 외주연 수나사부에 조립되어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동되면 상하 이동하는 건축용 작업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상기 이동판의 아날로그 위치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C와, 상기 ADC에서 변환된 디지털 위치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동판의 높낮이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상기 위치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기 이동판의 높낮이에 대해 상향 또는 하향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위치 판단 상태와 제어 신호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외부포트와의 연결을 인터페이스 하는 외부포트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모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모터 구동부로부터 디지털 모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DAC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입력받아 높낮이 조절 정도를 판별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높낮이 조절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의 위치감지 상태와 높낮이 조절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상기 구동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이동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3. 삭제
KR1020060075898A 2006-08-10 2006-08-10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KR10073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98A KR100732873B1 (ko) 2006-08-10 2006-08-10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898A KR100732873B1 (ko) 2006-08-10 2006-08-10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873B1 true KR100732873B1 (ko) 2007-06-28

Family

ID=3837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898A KR100732873B1 (ko) 2006-08-10 2006-08-10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8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201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조립식 강관 비계틀
KR102054722B1 (ko) * 2019-07-30 2019-12-11 최여경 건축용 작업대
CN113530196A (zh) * 2021-08-16 2021-10-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
KR102363390B1 (ko)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802B1 (ko) 1998-07-07 2000-12-15 조시대 작업대(Foo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802B1 (ko) 1998-07-07 2000-12-15 조시대 작업대(Foot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201B1 (ko) * 2016-02-03 2016-06-22 (주)원프랜트 발전설비용 조립식 강관 비계틀
KR102054722B1 (ko) * 2019-07-30 2019-12-11 최여경 건축용 작업대
KR102363390B1 (ko) * 2021-05-18 2022-02-16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고우건축 분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CN113530196A (zh) * 2021-08-16 2021-10-2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873B1 (ko)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7412892B2 (ja) ねじ接続を締め付けるための装置
RU2429185C2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подъем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US10648617B1 (en) Automatic gas cylinder filling system and operating instructions
CN103459859A (zh) 液压缸位置检测和锁定系统及相应的方法
US20190016575A1 (en) Lifting loads with lifting devices
CN109296732A (zh) 用于测试蜗杆减速器性能的装置
CN112113720A (zh) 一种多工位球类气密性测试装置
CN110900227A (zh) 一种适用于支撑大管径管材上料的升降平台
US20120263534A1 (en) Automatic leveling boat lift motor controller
KR101276704B1 (ko) 안테나 폴의 구조
CN104389777B (zh) 机油泵测试装置
CN210625921U (zh) 一种多适应性工作负载变化检测装置
KR101490735B1 (ko) 호스클램프용 장력 시험기
CN209147873U (zh) 一种变速箱轴系高度测量机
KR101980055B1 (ko) 엘리베이터케이블 교체장치
CN217342393U (zh) 单向离合器打滑扭矩全自动检测装置
CN204924774U (zh) 一种用于硬度计的自动升降机构
CN202048978U (zh) 一种自动检定仪
CN114618798A (zh) 一种单向离合器打滑扭矩全自动检测装置
CN209605760U (zh) 一种自动测量仪
CN208414364U (zh) 过滤槽耕刀手动升降装置
KR100605667B1 (ko) 로드셀 컨트롤식 무중력 전기모터 구동식 리프터
CN217541715U (zh) 一种汽车检具旋转装置
CN219328562U (zh) 液力变矩器动平衡检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