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802B1 - 작업대(Footing) - Google Patents

작업대(Foo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802B1
KR100275802B1 KR1019980027178A KR19980027178A KR100275802B1 KR 100275802 B1 KR100275802 B1 KR 100275802B1 KR 1019980027178 A KR1019980027178 A KR 1019980027178A KR 19980027178 A KR19980027178 A KR 19980027178A KR 100275802 B1 KR100275802 B1 KR 10027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affold
bracket
spiral shaf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954A (ko
Inventor
조시대
Original Assignee
조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시대 filed Critical 조시대
Priority to KR101998002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8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공사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작업대를 현장의 출입구에 출입될 수 있도록 넓이쪽을 절첩식으로 구성하고, 또한 높·낮이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공정 및 시공비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앵글 및 파이프형태의 프레임에 의해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합판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하부에 이동용 구름수단이 구비된 통상의 작업대에 있어서,
양측면에 실린더(1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 수개의 지지프레임(12)(21)이 각각 설치되고, 상부측 양측면부에 사다리(13)가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어진 상·하부지지프레임(10)(20)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의 지지프레임(12)(21)에 각각 부착되며, 중앙에 나선축(31)과 상기 나선축(31)의 양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어 나선축(31)상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편(32)으로 이루어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의 일측 이동편(32)에 설치된 브라켓(41)과 상기 브라켓(41)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조절구(30)의 나선축(3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력부(43)와, 상기 브라켓(41)의 저면과 일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조절구(30)의 상승 및 하강을 일정위치에서 멈추도록 하는 센서(45)(44)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고무판(51)과 합판(52)을 부착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면에 설치하되, 각 모서리부위에 삽입공(53)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전원 연결용 콘센트(54)와 구동부(40)에 신호를 보내 조절구(30)의 작동을 리모콘(56)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55)가 구비되어진 발판(5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판(50)의 양측면에 보조발판(60)을 절첩되게 부착하되,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는 상기 보조발판(6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구(14)를 다수개 고정하여 된 것으로, 운반이 간편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을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신속히 수행하게 되어 작업능률의 향상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대(Footing)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작업대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도록 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하고,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대는 공사중인 현장의 외벽이나 실내에 설치하여 현장 노무자가 이를 이용하여 실내외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대는 외벽의 외부에 격자형태로 설치하여 외벽 공사시에 사용되는 고정식과, 앵글이나 파이프등을 이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한 후 이 프레임 상부에 합판을 부착시켜 실내공사시에 주로 사용되는 이동식이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실내공사시에 사용되는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발판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실내공사 현장에서 즉 천장마무리공사나 전기공사 등 주로 높이가 높은 곳의 공사를 수행할 때는 상기 이동식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대의 기본틀을 구성하는 사각프레임의 부피가 커서 거실과 같이 공간이 넓은 곳에서는 별 문제가 없으나 각 실의 작업시에는 작업대가 출입구를 통과하지 못해 각실의 작업시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작업대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실의 작업시에는 상기의 이동식 작업대를 이용하기보다는 천장의 높이(작업하고자 하는 곳의 높이)와 작업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이격시킨 위치에 별도의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게 되면 발판설치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의 증가와 인력손실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어 시공비가 상승하게 되며, 발판이 설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또한 모든 작업자의 신체조건이 일정하지 않아 발판의 높이와 작업자의 신체조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업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공사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작업대를 현장의 출입구에 출입될 수 있도록 넓이쪽을 절첩식으로 구성하고, 또한 높·낮이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공정 및 시공비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발판이 하강하여 절첩되어진 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대 10 : 상부프레임
11 : 실린더 12 : 지지프레임
13 : 사다리 14 : 지지구
15 : 고무패킹 20 : 하부프레임
21 : 지지프레임 22 : 가이드부
23 : 이동부재 24 : 바퀴
25 : 고정핀 26 : 홀
27 : 구멍 30 : 조절구
31 : 나선축 32 : 이동편
33 : 상부판 34 : 하부판
40 : 구동부 41 : 브라켓
42 : 구동모터 43 : 동력전달부
44, 45 : 센서 50 : 발판
51 : 고무판 52 : 합판
53 : 삽입공 54 : 콘센트
55 : 조작스위치 60 : 보조발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대는,
앵글 및 파이프형태의 프레임에 의해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합판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하부에 이동용 구름수단이 구비된 통상의 작업대에 있어서,
양측면에 실린더(1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 수개의 지지프레임(12)(21)이 각각 설치되고, 상부측 양측면부에 사다리(13)가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어진 상·하부지지프레임(10)(20)과, 상기 상·하부지지프레임(10)(20)의 지지프레임(12)(21)에 각각 부착되며, 중앙에 나선축(31)과 상기 나선축(31)의 양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어 나선축(31)상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편(32)으로 이루어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의 일측 이동편(32)에 설치된 브라켓(41)과 상기 브라켓(41)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조절구(30)의 나선축(3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43)와, 상기 브라켓(41)의 저명과 일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조절구(30)의 상승 및 하강을 일정위치에서 멈추도록 하는 센서(45)(44)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고무판(51)과 합판(52)을 부착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면에 설치하되, 각 모서리부위에 삽입공(53)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전원 연결용 콘센트(54)와 구동부(40)에 신호를 보내 조절구(30)의 작동을 리모콘(56)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55)가 구비되어진 발판(5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판(50)의 양측면에 보조발판(60)을 절첩되게 부착하되,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는 상기 보조발판(6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구(14)를 다수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양측의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상·하부프레임(10)(20)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사이에 설치되어진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와, 상기 조절부(3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발판(50)과, 상기 발판(50)의 양측면에 절첩되게 설치되어진 보조발판(60)으로 구성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10의 상부프레임은 앵글이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사각파이프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중앙으로는 조절구(30)의 상부판(33)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개의 지지프레임(12)이 설치되며, 이 지지프레임(12)과 조절구(30)의 고정은 볼트 또는 용착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측면 즉 길이방향의 저면으로는 다수개의 지지구(14)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14)에는 고무패킹(15)을 부착하여 보조발판(60)이 펼쳐진 상태에서 보조발판(60)의 일측면이 접촉되게 되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좌우 양측면으로는 작업자가 작업대(1)에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다리를 각각 설치한다.
부호 20의 하부프레임은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2)과 동일하게 지지프레임(21)이 설치되어 조절구(30)의 하부판(34)이 고정되도록 하며, 좌우측면의 모서리 부위에는 바퀴(24)가 고정된 이동부재(23)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부(22)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부(22)의 상부면에는 이동부재(23)의 인출시 그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핀(25) 삽입용 홀(26)이 형성되게 되며, 이동부재(23)의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핀(25)이 체결되는 구멍(27)을 일정산격으로 형성하여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부재(23)의 인출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23)의 일측 저면으로 구비되어진 바퀴(24)는 작업대(1)의 이동시에는 구름운동을 하고, 이동이 완료되어 작업을 수행할때는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부착하도록 한다.
부호 30의 조절구는 상·하부판(33)(34)과 상기 상·하부판(33)(34)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되어진 양측의 이동편(32)과 상기 양측 이동편(32)을 연결하여 이동편(32)의 이동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일측이 동력전달부(43)에 연결되어진 나선축(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구(30)의 양측 이동편(32)은 두 개의 부재가 결첩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양측 이동편(32)의 힌지결합 부위로 나선축(31)이 연결되게 되고, 상기 일측의 이동편(32)에는 브라켓(41)을 고정시키되, 상기 브라켓(41)의 저면과 일측면에는 센서(45)(44)를 각각 부착하여 조절구(30)의 이동편(32)이 결첩 또는 펼쳐지며 발판(50)을 상승 및 하강시킬 때 이동편(32) 및 브라켓(41)이 일정위치에 도달하여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 조작스위치(55)에 신호를 보내 구동모터(42)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부호 40의 구동부는 조절구(30)의 나선축(31)일단에 연결된 동력전달부(43)와, 상기 동력전달부(43)를 구동시키며 브라켓(41)에 설치되어 고정된 구동모터(42)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42)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모터(42)가 정·역회전됨에 따라조절구(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42)의 온(ON)\오프(OFF) 및 정·역회전 방향의 결정은 발판(50)에 유동되게 설치된 리모콘(56)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부호 50의 발판은 고무판(51)과 합판(52)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무판(51)과 합판(52)은 접착제로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50)의 사방 모서리에는 삽입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53)은 이동부재(23)의 저면에 형성된 바퀴(24)가 삽입공(53)내로 삽입된다.
상기 발판(50)의 길이방향 양측면으로는 보조발판(60)이 절첩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조발판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직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하되, 펼쳐진 상태에서는 수직면 부위가 상부프레임(10)의 지지구(14)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하고, 절첩된 상태에서는 발판(50)의 상부면에 수평면 부위가 밀착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작업대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되는 발판(50)의 높낮이를 리모콘(56)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작업을 보다 원활히 진행되도록 하는 한편 협소한 공사현장에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는 작업자가 상부지지프레임(10) 상부면에 부착된 발판(50)에 올라가 리모콘(56)을 조작하면 상기 리모콘(56)에 연결된 조작스위치(55)가 이를 인식하여 구동모터(42)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42)에 연결된 동력전달부(43)가 구동되어 조절구(30)의 나선축(31)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나선축(31)이 회전하게 되면 이 나선축(31)에 양측으로 설치되어진 이동편(32)이 나선축(31)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편(32)이 절첩 및 펼쳐져서 조절구(30)의 상부판(33)에 고정된 상부프레임(10)과 이 상부프레임(10)에 부착된 발판(50)을 상승 및 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하부프레임(10)(20)의 길이방행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실린더(11)는 상부프레임(1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며 상·하부프레임(10)(20)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발판(50)의 일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된 전원 연결용 콘센트(54)는 작업을 진행할 때 각종 기기의 플러그를 꽂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작업자가 상부프레임(10)의 좌우측면에 설치된 사다리(13)를 이용하여 발판(50)위로 올라간 후, 리모콕(56)을 상승되도록 조작하면 구동모터(42)가 정회전하여 동력전달부(42)에 연결된 조절구(30)의 나선축(31)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나선축(31)에 연결된 양측 이동편(32)이 나선축(31)상에서 중앙쪽으로 이동되며 상부판(33)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발판(5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조절구(30)가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즉 조절구(30)의 이동편(32)이 브라켓(41)의 일측면에 구비된 센서(44)에 접촉되게 되면 상기 센서(44)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정지시켜 조절구(30)의 상승 작동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판(50)이 상승한 상태에서 발판(50)의 높이를 낮추려할 때는 리모콘(56)을 이용하여 구동모터(42)에 하강신호를 보내 구동모터(42)가 상승시와 반대로 역회전되도록 하여 조절구(30)의 이동편(32)이 나선축(31)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벌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편(32)이 벌어지면 두 개의 부재를 힌지결합하여된 이동편(32)이 상호 절첩되며 상부판(33)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발판(50)이 하강되어지게 된다.
이때 이동편(32)이 하부로 일정위치까지 도달하면 브라켓(41)의 저면에 부착된 센서(45)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정지시켜 조절구(30)의 하강작동이 멈추게 되는데, 상기 발판(50)이 부착된 상부프레임(10)은 양측면에 설치된 실린더(11)에 의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1)는 길이방향 양측면에 절첩되게 설치된 보조발판(60)을 이용하여 발판(50)의 폭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발판(60)의 사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발판(50)의 측면에 절첩되게 설치된 보조발판(60)을 180°회전시키면 상기 보조발판(60)의 수평면이 발판(50)의 상부면과 일치되며 펼쳐지게 되고, 이때 보조발판(60)의 수직면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에 고정된 다수개의 지지구(14)에 밀착되며 펼쳐진 상태의 고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보조발판(6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발판(60)을 다시 최초의 위치로 회전시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50)의 상부면에 절첩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대(1)를 사용할 때 작업대를 최고로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그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발판(50)의 상부로 또 다른 작업대(1)를 포개지게 올려 놓게되는데 이는 상부로 올려지는 작업대(1)의 바퀴(24)가 하부의 작업대 발판(50)에 형성된 삽입공(53)내로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포개진 작업대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포개진 작업대는 높이가 이중으로 높아지게 됨에 따라 강당이나 기타 공사현장이 높이가 높은 곳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는 출입구를 통과할때는 보조발판(60)을 발판(50)의 상부면으로 절첩시켜 놓고 출입구를 통과한 후에는 절첩되어 있던 보조발판(60)을 발판(50)의 측면쪽으로 회동시켜 수평면이 발판(50) 상부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하부프레임(20)에 좌우측 가이드부(22)내에 설치된 이동부재(23)는 발판(50)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할 때 균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부(22)상에서 외부로 인출한 후, 가이드부(22) 상부의 홀(26)을 통해 고정핀(25)을 삽입시키되, 상기 고정핀(25)은 이동부재(23)의 다수개의 구멍(27)중 어느 한 구멍(27)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동부재(23)가 하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은 상·하부프레임(10)(20)사이에 설치된 조절구(3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어지며, 상기 조절구(30)의 작동은 동력전달부(43)와 구동모터(42)로 이루어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40)는 조작스위치(55)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스위치(55)는 발판(50)상부에 위치한 리모콘(56)을 조작함에 따라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는 협소한 공사현장에서 특히 출입구를 통과하지 못해 문제가 되었던 기존의 작업대와 달리 작업대의 발판(50)을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출입구를 통과할 때는 절첩된 상태로 통과하고, 출입구를 통과한 후에는 절첩되어진 보조발판(60)을 펼쳐놓아 기존의 작업대의 발판의 크기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작업대는 발판을 절첩되게 형성하여 넓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협소한 공사현장에서 이동 및 출입구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대의 이동성이 더욱 향상되어 작업의 수행이 보다 원활하고 신속히 이루어질 뿐 아니라, 기존의 발판설치 작업등의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의 단축은 물론 인력의 낭비와 시공비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대는 소형화로 제작되어 다른 현장으로의 운반이 용이하며, 가장 큰 장점은 발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조절을 리모콘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발판위에서 직접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부합되는 위치로 발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을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신속히 수행하게 되어 작업능률의 향상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앵글 및 파이프형태의 프레임에 의해 기본 골격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는 합판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하부에 이동용 구름수단이 구비된 통상의 작업대에 있어서,
    양측면에 실린더(1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1)에 의해 상·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중앙부에 수개의 지지프레임(12)(21)이 각각 설치되고, 상무측 양측면부에 사다리(13)가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어진 상·하부지지프레임(10)(20)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의 지지프레임(12)(21)에 각각 부착되며, 중앙에 나선축(31)과 상기 나선축(31)의 양측으로 절첩되게 설치되어 나선축(31)상에서 이동되어지는 이동편(32)으로 이루어져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의 일측 이동편(32)에 설치된 브라켓(41)과 상기 브라켓(41)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의 동력을 전달받아 조절구(30)의 나선축(3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43)와, 상기 브라켓(41)의 저면과 일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조절구(30)의 상승 및 하강을 일정위치에서 멈추도록 하는 센서(45)(44)로 이루어진 구동부(40)와, 고무판(51)과 합판(52)을 부착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면에 설치하되, 각 모서리부위에 삽입공(53)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전원 연결용 콘센트(54)와 구동부(40)에 신호를 보내 조절구(30)의 작동을 리모콘(56)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조작스위치(55)가 구비되어진 발판(50)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50)의 양측면에 보조발판(60)을 절첩되게 부착하되,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측면으로는 상기 보조발판(6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구(14)를 다수개 고정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KR1019980027178A 1998-07-07 1998-07-07 작업대(Footing) KR10027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78A KR100275802B1 (ko) 1998-07-07 1998-07-07 작업대(Foo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178A KR100275802B1 (ko) 1998-07-07 1998-07-07 작업대(Foo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54A KR19980071954A (ko) 1998-10-26
KR100275802B1 true KR100275802B1 (ko) 2000-12-15

Family

ID=1954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178A KR100275802B1 (ko) 1998-07-07 1998-07-07 작업대(Foo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73B1 (ko) 2006-08-10 2007-06-28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CN111734102A (zh) * 2020-08-03 2020-10-02 烟台虹月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适用于脚手架的支撑装置
KR20230099082A (ko) 2021-12-27 2023-07-04 송근상 기본 공구 통합 실습 교육용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107A (ko) * 2001-03-19 2002-07-25 김행복 비계 파이프 설치 기계
KR100632799B1 (ko) * 2005-05-14 2006-10-12 (주) 동성산업 피로 방지용 안전 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73B1 (ko) 2006-08-10 2007-06-28 주식회사 포항컨설턴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작업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장치
CN111734102A (zh) * 2020-08-03 2020-10-02 烟台虹月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适用于脚手架的支撑装置
CN111734102B (zh) * 2020-08-03 2020-12-01 泰州市万达轮业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脚手架的支撑装置
KR20230099082A (ko) 2021-12-27 2023-07-04 송근상 기본 공구 통합 실습 교육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54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4999A (en) Adjustable building panel scaffold
KR100275802B1 (ko) 작업대(Footing)
US4942940A (en) Scaffold jack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CN214272856U (zh) 一种用于室内装修的可调节脚手架
US3028978A (en) Ceiling board lifter
US20110088237A1 (en) Novel scaffolding apparatus and method
JP2934944B2 (ja) 移動作業台
AU649856B2 (en) Cantilever scaffold device
US3608668A (en) Mobile scaffold
CN219993049U (zh) 一种房屋建筑工程施工用施工平台
JP2934943B2 (ja) 移動作業台
JPH01226687A (ja) 昇降路足場装置
CN218375059U (zh) 用于房屋建筑的便捷式脚手架
CN215167801U (zh) 一种工业与民用建筑用脚手架
JPH0133594Y2 (ko)
KR200155619Y1 (ko) 건축용 승강 작업대
CN214090887U (zh) 一种室内装潢用脚手架
CN220377758U (zh) 一种小型升降式脚手架
KR102478405B1 (ko) 창호용 자동 이동작업대
CN219363174U (zh) 一种可用于室外建筑和室内装饰可调节平台
CN113775164B (zh) 一种建筑电梯井施工平台
CN220414789U (zh) 一种房建施工支架
CN113047589B (zh) 一种楼房建筑装饰用辅助施工梯
CN219411735U (zh) 一种建筑工程用安全升降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