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184B1 -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 Google Patents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184B1
KR102363184B1 KR1020190156183A KR20190156183A KR102363184B1 KR 102363184 B1 KR102363184 B1 KR 102363184B1 KR 1020190156183 A KR1020190156183 A KR 1020190156183A KR 20190156183 A KR20190156183 A KR 20190156183A KR 102363184 B1 KR102363184 B1 KR 10236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seaming
integrated body
bottom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661A (ko
Inventor
정형로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4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high-pressure containers, e.g. boilers,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3Extinguishers with spraying and projection of extinguishing agents by pressurised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0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for the propulsion of extinguish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 B21D51/46Placing sealings or seal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을 이용한 일체형 몸체(110)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바닥 플레이트(120)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일체형 몸체(110)와 바닥 플레이트(120)를 더블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화기 구조 및 소화기 제작에 있어서 소화기 몸체를 일체화 내지는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소화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고, 용접을 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제작된 재질에 대한 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밍툴을 이용해 각 구성요소간의 시밍을 통해 체결력 및 체결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 특성으로의 연성에 대한 강도를 보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Fire extinguisher for improved body integrity}
본 발명은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화기 구조 및 소화기 제작에 있어서 소화기 몸체를 일체화 내지는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소화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고, 용접을 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제작된 재질에 대한 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기(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화기(1)는 강판 소재로 형성되는 소화기 상부 몸체 중 소화기 손잡이(3)를 수용하기 위한 상단 체결부에 대한 상단 용접부(2a)를 통해 소화기 상부 몸체와 상부 체결부를 용접하고, 소화기 상부 몸체와 소화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하단 용접부(2b)에 대한 용접을 통해 소화기 상부 몸체와 소화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용접 부위에 대한 증가로 인해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소화기 상부 몸체, 소화기 하부 몸체, 그리고 상단 체결부에 대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작시간이 별도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강판 소재 중 적색의 컬러 강판 소재로 형성되는 각 구성부위인 소화기 상부 몸체와 상단 체결부 간의 용접시, 소화기 상부 몸체와 소화기 하부 몸체 간의 용접시 용접 열에 의해 색상이 변색되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소화기 제작에 있어서 소화기 몸체를 일체화 내지는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소화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고, 용접을 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제작된 재질에 대한 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8-0021059(2018.02.22)호 "소화기 및 소화기의 제조 방법(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기 구조 및 소화기 제작에 있어서 소화기 몸체를 일체화 내지는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소화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제작된 재질에 대한 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밍툴을 이용해 시밍을 통해 구성요소간의 체결력 및 체결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금속 재질 소재 특성으로의 연성에 대한 강도를 보완시키도록 하기 위한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의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을 이용한 일체형 몸체(110)를 제조하는 제 1 단계; 바닥 플레이트(120)를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일체형 몸체(110)와 바닥 플레이트(120)를 더블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일체형 몸체(110)와 결합부(130)를 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4 단계 이후, 결합부(130)를 통해 일체형 몸체(110) 내에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를 충진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5 단계 이후, 결합부(130)를 통해 소화기 손잡이(3)를 체결하여,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제조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는,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 몸체(110); 및 일체형 몸체(110)와 더블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되어 일체형 몸체(1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플레이트(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일체형 몸체(110)와 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되어 일체형 몸체(110) 상단에 형성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내부로 실링되는 결합부(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130)를 통해 일체형 몸체(110) 내에 충진되는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130) 내측의 나사산을 통해 소화기 손잡이(3)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일체형 몸체(110)는, 기존의 상부 소화기 몸체와 하부 소화기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음각 형상으로 원통을 따라 형성되어, 음각의 굴절면을 일체형 몸체(110)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형성되는 강도 향상 비드(1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은, 소화기 구조 및 소화기 제작에 있어서 소화기 몸체를 일체화 내지는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소화기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은, 용접을 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제작된 재질에 대한 변색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은, 시밍툴을 이용해 각 구성요소간의 시밍을 통해 체결력 및 체결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 특성으로의 연성에 대한 강도를 보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기(1)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에서 바닥 플레이트(120)의 더블시밍단(12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에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과 결합부(130) 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에서 바닥 플레이트(120)의 더블시밍단(12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에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과 결합부(130) 간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는 일체형 몸체(110), 바닥 플레이트(120),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몸체(110)는 기존의 상부 소화기 몸체와 하부 소화기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부(130)를 수용하기 위해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져서 원통 형상의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직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곡면형 입구부 형성되며, 곡면형 구조의 하부로는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향상 비드(111),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플레이트 체결단(110a)을 구비하여 기존의 단순히 강판 재질로 형성된 소화기 몸체와 차별적으로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강도 향상 비드(111)는 일체형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음각 형상으로 원통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굴절면을 일체형 몸체(1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강도 향상 비드(111)는 한 개로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은 일체형 몸체(110)의 곡면형 입구부의 상부로 연장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부로 소화기 손잡이(3)를 내측 나사산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결합부(130)가 삽입되기 위해 결합부(130)의 외주부의 직경과 같거나 미리 설정된 직경(1mm 내지 5mm) 만큼 큰 내주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내부로 결합부(130)가 삽입된 뒤, 시밍툴을 통해 결합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시밍 체결이 수행됨으로써,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은 결합부(1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을 결합부(130)로 시밍을 수행하는 시밍툴은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외측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성형롤과, 성형롤의 위치를 가압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가압 이후 다시 후진시키는 시밍아암을 포함함으로써, 각각이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상부는 직선형 수직단(112-1), 곡면형 내곡단(112-2), 직선형 수평단(1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선형 수직단(112-1)에 대한 내측 압력을 가하여 결합부(130)의 테두리 쪽을 향하여 직선형 수직단(112-1)의 방향과 180°진행하는 방향이 변형되도록 곡면을 성형함으로써, 곡면형 내곡단(112-2)이 형성되고, 곡면형 내곡단(112-2)의 끝단에 결합부(130)가 맞닿는 지점에서 결합부(13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향 90°로 접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직선형 수평단(1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시밍 방식 또는 가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곡면형 내곡단(112-2)과 직선형 수평단(112-3)이 만나는 지점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오링(112a)이 형성됨으로써,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상부와 결합부(130) 사이가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내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트 체결단(110a)은 일체형 몸체(110)의 최하단에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1
" 형상으로 도 4와 같이 횡단면이 일체형 몸체(110)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몸체(110)의 하단부의 원통형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길이가 짧은 상향형 체결 고리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레이트 체결단(110a)은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120)의 수평면상에 놓인 곡면 플레이트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체결형 직교면에 대한 더블시밍을 통한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하단 용접부(2b) 형성을 위한 용접이 수행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 특유의 연성을 활용한 견고한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플레이트(120)의 곡면 플레이트는 중앙이 상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압에 견디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곡면 플레이트와 수직체결형 직교면으로 형성되며, 수직체결형 직교면은 원판 형태의 곡면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는 곡면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개구된 원통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플레이트(120)는 일체형 몸체(110)와 동일하게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소화기의 무게와 중심을 잡기 위해 강판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바닥 플레이트(120)의 개구된 원통면이 1차 포밍을 통해 일체형 몸체(110)의 플레이트 체결단(110a)의 상향형 체결 고리의 상부면을 따라 굽혀지고 2차 포밍을 통해 상향형 체결 고리와 일체형 몸체(110)의 하단 외주면 사이로 내장됨으로써, 도 4와 같은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3
"와 같은 내측으로 두 차례 구부러진 바닥 플레이트(120)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더블시밍 형태에 해당하는 바닥 플레이트(120)의 외측부를 형성하기 위한 더블시밍툴은 바닥 플레이트(120)의 외측부를 둘러싸서 일체형 몸체(110)의 최하단에 단면이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4
"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체결단(110a)의 상향으로 바닥 플레이트(120)의 외측부를 가압하는 복수의 성형롤과, 성형롤의 위치를 가압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가압 이후 다시 후진시키는 시밍아암, 그리고 가압에 따라 1차 시밍이 완료되면, 1차 시밍이 완료된 상태의 내측으로 굽어진 바닥 플레이트(120)의 외측부를 플레이트 체결단(110a) 사이로 삽입시키기 위해 일체형 몸체(110)의 상향에서 하향으로 움직이는 원통 형상의 가압 부재로 형성되어 각각이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결합부(130)는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내측으로 원통형 구조체로 삽입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에 해당하는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에 대한 시밍툴을 이용한 시밍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에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결합부(130)의 내측에는 소화기 손잡이(3)의 하부 삽입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일체형 몸체(110)의 내측으로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소재에 해당하는 강도 보강 필름층(미도시)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강도 보강 필름층은 일체형 몸체(110)의 내벽에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접착층 상부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형성됨으로써, 일체형 몸체(110) 내부에 충진되는 분출용 가스에 의한 압력을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인 일체형 몸체(110)가 견딜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형 몸체(110) 내부에 채워지는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의 사용이 완료되면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를 재충진할 경우 바닥 플레이트(120)와 더블시밍 방식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플레이트(120)의 중앙 부분에 진공 흡입 방식을 통해 바닥 플레이트(120)를 하방으로 당기는 경우 일체형 몸체(110)의 소재 특성인 연성을 통해 바닥 플레이트(120)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강도 보강 필름층에 대한 주기적인 교체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을 이용한 일체형 몸체(110)를 제조한다(S11).
여기서 일체형 몸체(110)는 기존의 무게가 무거운 철제가 아닌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기존의 상부 소화기 몸체와 하부 소화기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부(130)를 수용하기 위해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져서 원통 형상의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직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곡면형 입구부를 형성하며, 곡면형 구조의 하부로는 하부면이 개구된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몸체(110)에서는 중앙 영역에 음각 형상으로 원통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굴절면을 일체형 몸체(11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강도 향상 비드(111)를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를 형성하며, 일체형 몸체(110)의 곡면형 입구부의 상부로 연장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부로 소화기 손잡이(3)를 내측 나사산으로 체결할 수 있는 결합부(130)가 삽입되기 위해 결합부(130)의 외주부의 직경과 같거나 미리 설정된 직경(1mm 내지 5mm) 만큼 큰 내주부 직경을 갖는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1) 이후, 바닥 플레이트(120)를 제조한다(S12). 바닥 플레이트(120)는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5
" 형상으로 최초 형성되되, 바닥 플레이트(120)의 수평면상에 놓인 곡면 플레이트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체결형 직교면을 구비함으로써, 후술하는 단계(S13)에서 더블시밍을 통한 일체형 몸체(110)과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 플레이트(120)는 곡면 플레이트와 수직체결형 직교면으로 형성되며, 수직체결형 직교면은 원판 형태의 곡면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는 곡면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는 개구된 원통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S12) 이후, 일체형 몸체(110)와 바닥 플레이트(120)를 더블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한다(S13). 상술한 플레이트 체결단(110a)은 일체형 몸체(110)의 최하단에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6
" 형상으로 횡단면이 일체형 몸체(110)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되는 형태로 일체형 몸체(110)의 하단부의 원통형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길이가 짧은 상향형 체결 고리가 외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므로,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레이트 체결단(110a)은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7
"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120)의 수평면상에 놓인 곡면 플레이트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체결형 직교면에 대한 더블시밍을 통한 체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닥 플레이트(120)의 개구된 원통면이 1차 포밍을 통해 일체형 몸체(110)의 플레이트 체결단(110a)의 상향형 체결 고리의 상부면을 따라 굽혀지고 2차 포밍을 통해 상향형 체결 고리와 일체형 몸체(110)의 하단 외주면 사이로 내장됨으로써, 도 4와 같은 "
Figure 112019123231309-pat00008
"와 같은 내측으로 두 차례 구부러진 바닥 플레이트(120)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더블시밍 과정을 통해 기존의 하단 용접부(2b) 형성을 위한 용접이 수행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 특유의 연성을 활용한 견고한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3) 이후, 일체형 몸체(110)와 결합부(130)를 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한다(S14). 여기서 결합부(130)는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의 내측으로 원통형 구조체로 삽입되며,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에 해당하는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에 대한 시밍툴을 이용한 시밍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에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30)의 내측에는 소화기 손잡이(3)의 하부 삽입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내부로 결합부(130)가 삽입된 뒤, 시밍툴을 통해 결합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시밍 체결이 수행됨으로써,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은 결합부(1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기존의 상단 용접부(2a) 형성을 위한 용접이 수행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아연강판, 칼라강판 재질, 그 밖의 금속 재질 특유의 연성을 활용한 견고한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4) 이후, 결합부(130)를 통해 일체형 몸체(110) 내에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를 충진한다(S15).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에 해당하는 일체형 몸체(110) 내에 분말상의 소화제와 이 소화제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용 가스를 충진함으로써, 소화기 손잡이(3)를 통해 조절되는 분출용 가스의 분출력에 의해 소화제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S15) 이후, 결합부(130)를 통해 소화기 손잡이(3)를 체결함으로써,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100)를 제조할 수 있다(S16).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110 : 일체형 몸체
110a : 플레이트 체결단
111 : 강도 향상 비드
112 : 시밍형 상부 체결단
120 : 바닥 플레이트
121 : 더블시밍단
130 : 결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알루미늄, 아연강판 및 칼라강판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일체형 몸체(110);
    일체형 몸체(110)와 더블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되어 일체형 몸체(1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 플레이트(120);
    일체형 몸체(110)와 시밍을 통해 연결부위에 대한 실링을 수행되어 일체형 몸체(110) 상단에 형성된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및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 내부로 실링되는 결합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몸체(110)는 하단부가 상측 외곽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120)는 하단부가 상측 외곽 방향으로 절곡되고 여기에서 연장된 부분은 하측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일체형 몸체(110)의 하단부가 상측 외곽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120)에서 하단부가 상측 외곽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과 여기에서 연장되어 하측 내부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실링되며,
    상기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은 내부로 결합부(130)가 삽입된 뒤 결합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 형태로 시밍 체결이 수행되어 시밍형 상부 체결단(112)은 결합부(1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으로 하는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결합부(130)를 통해 일체형 몸체(110) 내에 충진되는 분말상의 소화제와 분출용 가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결합부(130) 내측의 나사산을 통해 소화기 손잡이(3)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일체형 몸체(110)는,
    상부 소화기 몸체와 하부 소화기 몸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일체형 몸체(110)의 중앙 영역에 음각 형상으로 원통을 따라 형성되어, 음각의 굴절면을 일체형 몸체(110)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형성되는 강도 향상 비드(11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KR1020190156183A 2019-11-28 2019-11-28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KR102363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83A KR102363184B1 (ko) 2019-11-28 2019-11-28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83A KR102363184B1 (ko) 2019-11-28 2019-11-28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61A KR20210066661A (ko) 2021-06-07
KR102363184B1 true KR102363184B1 (ko) 2022-02-15

Family

ID=7637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183A KR102363184B1 (ko) 2019-11-28 2019-11-28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199A (ja) 1998-09-07 2000-03-21 Mitsubishi Materials Corp 液化ガス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14117A (ja) * 2003-04-15 2004-11-11 Morita Ug:Kk 円筒状圧力容器とそ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04537008A (ja) 2001-04-11 2004-12-09 パク,ジン−ハ エアゾールバルブアセンブリ及びエアゾール容器
JP2006026638A (ja) 2004-07-12 2006-02-02 Honshu Seikan Kk 角形状缶
JP2006333892A (ja) * 2005-05-31 2006-12-14 Air Water Sol Kk 消火ガス噴射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72972B1 (ko) 2014-11-10 2015-11-30 주식회사 오일금속 자동확산 소화용구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129A (ja) * 1989-11-21 1991-07-11 Maeda Seisakusho:Kk 断続ビードを持つ缶および断続ビードの成形装置
KR920009965B1 (ko) * 1990-09-14 1992-11-09 곽태수 고압용기 성형장치
JPH0811261B2 (ja) * 1993-03-09 1996-02-07 橋田技研工業株式会社 瓶状金属容器の底付け加工方法とその装置
KR20030004198A (ko) * 2002-11-23 2003-01-14 이성형 소화기용 약제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2876A (ko) * 2006-04-17 2007-10-22 홍영표 이음매없는 가스용기 몸체의 제조방법
KR20090054683A (ko) * 2007-11-27 2009-06-01 대성산업 주식회사 재충전 가스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1199A (ja) 1998-09-07 2000-03-21 Mitsubishi Materials Corp 液化ガス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537008A (ja) 2001-04-11 2004-12-09 パク,ジン−ハ エアゾールバルブアセンブリ及びエアゾール容器
JP2004314117A (ja) * 2003-04-15 2004-11-11 Morita Ug:Kk 円筒状圧力容器とそ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2006026638A (ja) 2004-07-12 2006-02-02 Honshu Seikan Kk 角形状缶
JP2006333892A (ja) * 2005-05-31 2006-12-14 Air Water Sol Kk 消火ガス噴射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72972B1 (ko) 2014-11-10 2015-11-30 주식회사 오일금속 자동확산 소화용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6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9238A (en) Pressure resistant sheet metal end closure
EP1237666B1 (en) Can lid closure and method of joining a can lid closure to a can body
NO851729L (no) Beholdere for overtrykk
EP3512781B1 (en) Compact aerosol container
EP3326926B1 (en) Drawn and ironed aerosol can
US5421480A (en) Thin-walled can having a displaceable bottom
JP2019514690A (ja) グロメットを有する飲料缶
US20110011896A1 (en) Steel one-piece necked-in aerosol can
JP2019508333A (ja) 凹形の缶端部
KR102363184B1 (ko) 몸체 일체성 향상을 위한 소화기
EP0243107B1 (en) Bottom seam for a pail
US2388300A (en) Method of making reinforced chime construction for cans or containers
US20030113416A1 (en) Metal container with seam connecting body and top portion
JP2009166078A (ja) コップ状容器に二重構造のフランジを設ける方法および成形金型
JP2021031181A (ja) 缶体
JP5219131B2 (ja) マウンティングカップのクリンチ部の構造
CA2979582A1 (en) Can body
CN108248979A (zh) 瓶罐、带盖瓶罐及其制造方法
JP2008522828A5 (ko)
US7454827B2 (en) Threaded pedestal cup
JP6576772B2 (ja) 易開封性容器蓋
KR100646261B1 (ko) 금속 캔과 이의 제조 방법
US2762538A (en) Container arranged with a spout in one end
JPH01213148A (ja) 一体成形耐圧缶とその製造方法
US20140209556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C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