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28B1 -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28B1
KR102360928B1 KR1020210111979A KR20210111979A KR102360928B1 KR 102360928 B1 KR102360928 B1 KR 102360928B1 KR 1020210111979 A KR1020210111979 A KR 1020210111979A KR 20210111979 A KR20210111979 A KR 20210111979A KR 102360928 B1 KR102360928 B1 KR 10236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emi
finished product
seas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문
정태현
곽동주
이준석
최소정
정지환
이가영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1011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28B1/ko
Priority to PCT/KR2022/012045 priority patent/WO2023027397A1/ko
Priority to AU2022332758A priority patent/AU2022332758A1/en
Priority to CN202280057900.2A priority patent/CN11785864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는, 회전함으로써, 투입되는 반제품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마련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부; 반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모듈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투입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작업대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SAUCE SPREADING APPARATUS AND EDIBLE PRODUC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식용 제품의 생산을 위한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식재를 가공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가공에는 식재를 세척하거나 다듬는 과정뿐 아니라 다른 식재로 구성된 양념 등을 첨가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양념은 식재에 도포될 수 있는데, 여기서 도포란 식재의 표면에 양념을 접촉시키는 것뿐 아니라 식재의 내측에 양념을 버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절임식품(salting food)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절임식품은 소금을 첨가하여 저장성을 높인 식품으로, 김치, 단무지, 짠지 및 오이지 등이 있으며, 이 중 김치, 특히 포기김치가 대표적이다.
포기김치를 제조할 경우, 여러 겹의 잎으로 감싸져 있는 통배추를 절단해 염수에 절인 후 양념을 도포한 뒤 숙성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포기김치 제조시 사용되는 양념은 무채,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새우젓 등을 포함한 김치 속일 수 있다.
이러한 김치 속이 큰 용량의 저류조에 담긴 상태에서, 저류조 근처에서 절임배추를 하나씩 작업자가 파지해 김치 속을 적정량 퍼서 넣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양념의 도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김치 속을 손으로 집어서 절임배추에 도포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양념 양에 대한 작업자간의 편차가 컸으며, 동일한 작업자라도 균일한 양념 양을 도포할 것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서 양념 도포의 전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양념이 고르게 포기김치에 도포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자가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매우 오랜 시간을 소요해야 해서, 전체적인 제품 생산 공정의 생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용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양념을 식용 제품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는, 회전함으로써, 투입되는 반제품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마련되는 교반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부; 반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모듈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투입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작업대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은, 원물에 양념을 제공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양념 제공 장치; 및 상기 반제품에 양념을 도포하여 제품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양념 도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도포 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반제품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부; 및 상기 양념 제공 장치로부터 전달된 반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교반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투입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량의 식용 제품이 적은 시간 안에 생산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양념이 식용 제품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의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100)은, 양념 제공 장치(2)와 양념 도포 장치(1)를 포함한다. 양념 제공 장치(2)로 원물이 투입되고, 양념 제공 장치(2)에서 원물에 양념이 제공되어 일차적으로 양념이 묻은 원물인 반제품(M)이 형성되고, 반제품(M)은 양념 도포 장치(1)로 전달되어 반제품(M)에 대한 양념 도포를 통해 이차적으로 양념이 보다 고르게 묻은 원물인 제품(P)으로 형성돼 배출된다. 양념의 제공이, 원물에 대해 양념을 토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원물은 절임배추로, 제품(P)은 포기김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원물과 이러한 원물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 제품(P)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원물이 투입되고 제품(P)이 배출되며 반제품(M)이 전달되는, 전체적인 공정의 진행 방향을 기준방향이라 지칭하자. 양념 도포 장치(1)와 양념 제공 장치(2)는 기준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기준방향은 일직선상의 방향일 수도 있으나, 일직선을 그리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방향이 전방인 것으로 가정하나, 그 방향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전방, 후방, 좌방, 우방, 상방 및 하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표현이며,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100)과 그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를 옆에서 바라본 형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투입부(40)와 교반부(10)를 포함한다. 양념 도포 장치(1)는 배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념 도포 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이 전방으로 가면서 하나씩 나열될 수 있다.
구분부(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구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부(20)는 투입부(40)로 낱개의 반제품(M)을 전달하기 위해, 투입부(4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반제품(M)을 이송하는 부분이다. 구분부(20)는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양념 제공 장치(2)에서 전달된 반제품(M)을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구분부(20)가 각 반제품(M)들을 낱개로 구분하여 투입부(40)로 전달하기 위해, 구분부(20)가 구동되는 속도는 양념 제공 장치(2)의 반제품 배출부재의 구동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구분부(20)는 반제품(M)을 전달받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방을 따라 반제품(M)을 이송시켜, 각 반제품(M) 간의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최대한 각 반제품(M)들이 낱개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반제품계수부(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반제품계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제품계수부(30)는 지나가는 반제품(M)의 개수를 계수한 뒤 반제품(M)을 투입부(40)로 전달한다. 반제품계수부(30)는 반제품(M)의 이송을 위한 계수컨베이어와 광학센서를 포함하여, 계수컨베이어의 상측에 안착되는 반제품(M)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다. 광학센서는 반제품(M)이 지나가는 계수컨베이어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러한 이미지로부터 반제품을 인식해 계수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반제품계수부(30)는 후술할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획득한 이미지 또는 반제품(M)의 개수를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이미지 또는 반제품(M)의 개수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양념 도포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의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반제품계수부(30)는 구분부(20)의 전측에 위치하여 구분부(20)로부터 반제품(M)을 전달받을 수 있고, 투입부(40)의 후측에 위치하여 투입부(40)로 이미지가 획득된 반제품(M)을 전달할 수 있다. 반제품계수부(30)는 반제품(M)의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를 상술한 것과 같이 계수컨베이어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반제품(M)의 이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로봇 팔, 롤러 등 다양한 장치가 이동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학센서 역시 카메라가 아닌 물체의 통과를 파악할 수 있는 IR센서 등일 수 있다.
투입부(40)
투입부(40)는 반제품(M)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후술할 교반부(10)의 2개의 교반모듈(11, 12)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한다. 투입부(40)는 반제품계수부(30)를 거친 반제품(M)을 교반부(10)로 전달할 수 있다.
투입부(40)는 스윙 컨베이어일 수 있다. 스윙 컨베이어는 안착된 물체를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 이송하되,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2개의 교반모듈(11, 12)은 제1 교반모듈(11)과 제2 교반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투입부(40)는 제1 교반모듈(11)에 반제품(M)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1 상태와, 제2 교반모듈(12)에 반제품(M)이 제공되도록 하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상태에서, 투입부(40)의 전단은 제1 교반모듈(11)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상태에서, 투입부(40)의 전단은 제2 교반모듈(12)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기 위해, 투입부(40)는 후단부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교반모듈(11)과 제2 교반모듈(12)은 좌우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는데, 투입부(40)가 회전함에 따라서 투입부(40)의 전단의 위치가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교반모듈(11)에 인접하거나 제2 교반모듈(12)에 인접하게 될 수 있다. 다만 투입부(40)의 회전축이 되는 가상의 선의 경우 투입부(40)의 회전에 따라 투입부(40)의 전단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이라면,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투입부(40)는 전방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입부(40)에 안착된 반제품(M)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투입부(40)의 전단에 도달한 반제품(M)은 교반모듈(11, 12)의 상측에 위치하는 교반개구(120)로 낙하하여 각 교반모듈(11, 12)에 투입될 수 있다.
투입부(40)는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2개의 교반모듈(11, 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교반개구(120)가 상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어느 하나의 교반모듈(11, 12)이 반제품(M)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에 놓일 때, 투입부(40)의 전단이 반제품(M)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교반모듈(11, 12)의 교반개구(120)와 인접하게, 투입부(40)가 전방에 대해 가지는 경사도가 낮아지도록 투입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교반모듈(12)이 반제품(M)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에 예시적으로 놓여있다.
프로세서는 교반모듈(11, 12)에 대한 반제품(M)의 투입이 완료된 후에는 투입부(40)의 경사도가 높아져 투입부(40)의 전단이 교반모듈(11, 12)로부터 멀어지도록 투입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투입부(40)의 경사도에 대한 제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반제품(M)이 안정적으로 교반모듈(11, 12)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투입이 완료된 후 교반모듈(11, 12)이 동작할 때에는 교반모듈(11, 12)의 동작을 투입부(40)가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스윙 컨베이어가 사용되는 대신, 구분부, 반제품계수부 및 투입부가 전체적으로 이동장치에 의해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트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반제품계수부에서 반제품(M)이 계수되고 어떠한 교반모듈(11, 12)에 반제품(M)이 투입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되면, 해당하는 교반모듈(11, 12) 앞으로 이동장치가 구분부, 반제품계수부 및 투입부를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반제품(M)이 해당 교반모듈(11, 12)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교반부(10)
교반부(10)는 반제품(M)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교반부(10)는 2개의 교반모듈(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교반모듈(11, 12)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1개일 수도 있고, 2개보다 많을 수도 있다.
교반모듈(11, 12)은 회전함으로써, 내부로 투입되는 반제품(M)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여 제품(P)을 생산한다. 2개의 교반모듈(11, 12)은 좌우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방향을 따라서 2개의 교반모듈(11, 12)이 선후관계를 가지지 않고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교반모듈(11, 12)은 좌우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각각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교반모듈(11, 12)이 지나치게 넓은 공간을 차지함이 없이 밀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 교반모듈(11, 12)의 회전축이 동일한 직선인 회전축선(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교반모듈(11, 12)의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각 교반모듈(11, 12)을 회전시키는 2개의 구동모듈(51, 52)을 구비하는 구동부(50)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가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듈(51, 52)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521)와, 각 교반모듈(11, 12)에 연결되어 각 교반모듈(11, 12)을 회전시키는 모터(5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듈(51, 52)은 좌우방향을 따라 각 교반모듈(11, 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방향을 따라 2개의 구동모듈(51, 52)이 2개의 교반모듈(11, 12)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교반모듈(11)에는 제1 구동모듈(51)이, 제2 교반모듈(12)에는 제2 구동모듈(52)이 연결될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은 각각 원판에 가까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원기둥을 형성하는 높이가 비교적 작게 형성된 드럼형으로 교반모듈(11, 12)이 형성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양념과 반제품(M)을 회전에 따라 서로 교반할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의 내부로 투입되는 양념과 반제품(M)은 교반모듈(11, 1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였다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섞일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은 교반조(121)와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조(121)는 내부에 교반공간을 가지는 통형의 용기를 의미한다. 도어(122)는 교반조(121)에 형성되는 교반개구(120)를 개폐하도록 교반조(121)에 결합된다. 프로세서가 구동부(50) 및 교반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교반조(121)의 회전과 교반조(1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교반개구(120)는 교반조(121)의 곡면형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2)는 교반개구(120)를 덮어 가리는 판체형의 가림부와, 가림부와 교반조(121)에 결합되는 개폐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개폐 실린더가 동작함에 따라 가림부가 교반개구(120)의 주변 영역에 밀착하여 교반개구(120)를 폐쇄하거나, 교반개구(120)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여 교반개구(120)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 실린더는 가림부가 교반조(1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이동하도록 교반조(121)와 가림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가림부의 움직임과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교반조(1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가림부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은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교반공간에 투입되는 반제품(M)과 양념을 교반하도록 교반조(12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는 교반조(121)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블레이드는 양념과 반제품(M)을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교반개구(120)가 하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교반개구(120)를 통해 잔여 양념을 배출하도록 회전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교반개구(120)를 통해 반제품(M)이 교반조(121)로 투입될 때, 반제품(M)이 교반조(121)의 바닥까지 한 번에 낙하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교반조(121)와 함께 회전할 수도 있으나, 교반조(1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교반모듈(11, 12)은 일 방향 및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은 360도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만큼 일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반대 방향으로 다른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스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교반모듈(11, 12)은 다양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회전 또는 스윙 동작을 수행하여 효과적으로 반제품(M)과 양념을 교반해 균일하게 양념이 도포된 제품(P)을 생산할 수 있다.
배출부(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의 배출부(6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배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60)는 교반부(10)에서 배출되는 제품(P)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작업대(70)에 제공한다. 배출부(60)는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여, 교반모듈(11, 12)에서 배출된 반제품(M)을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교반모듈(11, 12)에서 제품(P)이 배출될 때, 교반개구(120)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한 뒤 도어(122)가 열려 제품(P)이 자중에 의해 배출부(60)로 낙하할 수 있다.
배출부(60)와 교반모듈(11, 12) 사이에는 슈터가 배치되어, 교반개구(120)로부터 배출되는 제품(P)이 잘못된 위치로 낙하하지 않고 배출부(60)로 안정적으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슈터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깔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출부(60)의 후단부(61)는 교반모듈(11, 12)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제품(P)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교반모듈(11, 1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부(60)의 후단부(61)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60)의 중간부(62)는 전방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출부(60)의 전단부(63)는 작업대(70)와 연결되어, 작업대(70)로 제품(P)을 전달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품(P)에 대한 양념 도포 작업을 마무리하도록 마련되는 작업대(70)는 배출부(60)의 후단부(6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부(60)가 상술한 형태를 가져,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높이에 작업대(7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작업대(70)에 배출부(60)가 제품(P)을 전달할 수 있다.
배출부(60)는 복수의 배출턱(64)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턱(64)이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출부(6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턱(64)이 우상향하는 형상을 가지는 배출부(60)의 중간부(62)에서 제품(P)이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굴러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방 및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될 수 있다. 배출턱(64)과 유사한 구조가 투입부(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도포 장치(1)는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양념 도포 장치(1)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해 전달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등이 프로세서로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고,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반적인 양념 도포 장치(1)에 의한 제품 생산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100)의 제품 생산 공정에 대해 원물, 반제품(M) 또는 제품(P)의 이동을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100)은 원물과 양념과 같은 부재료가 입고되면 원물 및부재료에 대해 압축공기와 스팀을 이용해 원물 및 부재료를 세척하고, 원물 및 부재료의 상태를 카메라, 센서 등을 이용해 분석해 입고 검사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기준을 충족하는 원물과 부재료를 각각의 보관 조건에 맞게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보관시 원물과 부재료는 냉장될 수 있다.
보관된 원물에 대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원물이 절임배추인 경우, 낱잎 중 제품(P) 제작에 사용되기 적합하지 않은 낱잎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선별작업이 완료된 원물은 양념 제공 장치(2)로 제공된다.
토출되어야 하는 양념의 양이 세팅되고, 작업자 또는 이송 기구가 원물을 노즐의 하측에 위치시킨 뒤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작업 시작 신호가 노즐로 전달되어 작업이 시작되도록 하면, 양념 제공 장치(2)로부터 원물로 양념이 토출된다. 양념이 원물에 토출되어 형성된 반제품(M)은 반제품 컨베이어에 작업자 또는 이송 기구에 의해 안착되어 기준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구분부(20)가 양념 제공 장치(2)의 반제품 컨베이어로부터 반제품(M)을 전달받는다. 프로세서가 구분부(20)를 제어하여 동작시킴에 따라, 반제품(M)간의 간격이 증가해 낱개의 반제품(M)으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구분부(20)에 의해서 반제품계수부(30)로 반제품(M)이 전달된다. 프로세서는 반제품계수부(30)가 획득한 반제품(M)의 이미지 또는 개수를 기초로 상기 반제품(M)이 전달되어야 할 교반모듈(11, 12)을 결정하고, 결정된 교반모듈(11, 12)로 반제품(M)을 반제품계수부(30)를 작동시켜 투입부(40)에 전달하며, 투입부(40)는 결정된 교반모듈(11, 12)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반제품(M)이 교반모듈(11, 12)로 안전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는 투입부(40)가 전방에 대해 가지는 경사도가 줄어들도록 투입부(4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결정된 교반모듈(11, 12)의 도어(122)가 열리거나,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가 2개의 교반모듈(11, 12) 중 반제품(M)이 투입되어야 할 교반모듈(11, 12)을 결정하기 위해서, 2개의 교반모듈(11, 12) 각각에 투입되고 배출되지 않은 반제품(M)들의 개수에 투입부(40)에 의해 이송되는 반제품(M)의 개수을 합한 값이 소정의 한계개수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단계를 통해 프로세서는 한계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교반모듈(11, 12)에 현재 이송되는 반제품(M)이 전달되도록 투입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계개수는 각 교반모듈(11, 12)이 수용할 수 있는 반제품(M)의 개수의 상한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교반모듈(11, 12) 중 현재 교반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교반모듈(11, 12)로 반제품(M)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모든 교반모듈(11, 12)이 교반작업 수행중이거나, 교반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교반모듈(11, 12)에 투입된 반제품(M)의 개수의 누적값이 한계개수를 초과할 경우, 프로세서는 구분부(20), 반제품계수부(30) 및 투입부(40)를 제어하여 반제품(M)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것을 잠시 중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한계개수에 다다르지 않은 교반모듈(11, 12)이 반제품(M)을 전달받을 수 있은 상태에 놓이도록, 한계개수에 다다르지 않은 교반모듈(11, 12)의 교반개구(120)가 상방을 향하도록 교반모듈(11, 12)을 회전시켜 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이러한 한계개수에 다다르지 않은 교반모듈(11, 12)의 교반개구(120)와 인접하게 투입부(40)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투입부(40)의 경사도를 낮출 수 있다. 반제품(M)의 투입 과정에서 프로세서는 블레이드를 교반조(1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반제품(M)이 안전하게 교반조(121)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일부 보충 양념을 더 교반조(121) 내에 투입할 수 있다. 보충 양념은 보충 양념 제공부에 의해 교반개구(120)를 통하여 교반모듈(11, 12)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반제품(M)을 투입받아 어떠한 교반모듈(11, 12)이 한계개수에 도달할 경우, 더 이상 해당 교반모듈(11, 12)로는 반제품(M)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해당 교반모듈(11, 12)에서 교반작업이 일어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투입부(40)의 전방에 대한 경사도를 상승시켜 해당 교반모듈(11, 12)의 교반개구(120)로부터 이탈하도록 하고, 도어(122)를 제어해 교반개구(120)를 폐쇄한다. 이후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교반모듈(11, 12)과 구동부(50)를 제어해 교반모듈(11, 12) 내에서 반제품(M)과 양념의 교반이 일어나 고르게 양념이 반제품(M)에 도포된 제품(P)이 형성되도록 한다. 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교반모듈(11, 12)과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회전 각도, 회전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작업이 완료되면, 프로세서는 교반개구(120)가 하방을 바라보도록 교반모듈(11, 12)을 회전시킨다. 프로세서는 도어(122)를 개방시켜 교반개구(120)를 통해 제품(P)을 배출부(60)로 낙하시켜 제품(P)을 교반모듈(11, 12)로부터 배출시킨다. 프로세서는 교반개구(120)를 통해 잔여 양념 또는 반제품(M)으로부터 분리된 낱잎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블레이드를 교반조(1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계개수의 누적값을 프로세서가 초기화시켜, 제품(P)을 배출한 교반모듈(11, 12)에 다시 반제품(M)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이 완료된 후 프로세서는 도어(122)를 제어해 교반개구(120)를 폐쇄할 수 있다.
배출부(60)로 배출된 제품(P)은 배출부(60)에 의해 전방 및 상방으로 이송되어 작업대(70)로 전달된다. 작업대(70)에는 제품(P)의 중량을 획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울이 배치되어, 작업자가 전달받은 제품(P)의 중량을 확인하고 중량이 소정의 기준중량범위의 하한보다 부족할 경우 낱잎이나 양념 등을 더하고, 중량이 기준중량범위의 상한보다 많을 경우 낱잎을 제품(P)으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으로 중량보정을 실시해 제품(P)의 중량이 기준중량범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보정된 제품(P)의 중량이 기준중량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저울을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품(P)은 작업자 또는 포장장치에 의해 파우치에 투입되고, 케이블타이 또는 클립을 이용해 파우치를 결속 및 밀봉하는 방식으로 내포장될 수 있다. 내포장된 제품은 엑스레이 금속검출기를 통과하여 금속검사를 받을 수 있고, 엑스레이 금속검출기를 통과한 내포장된 제품은 다시 포장지에 의해 외포장 될 수 있다. 내포장된 제품에는 일부인이 날인될 수 있다. 외포장된 제품은 냉장보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양념 도포 장치
2 : 양념 제공 장치
10 : 교반부
11 : 제1 교반모듈
12 : 제2 교반모듈
20 : 구분부
30 : 반제품계수부
40 : 투입부
50 : 구동부
51 : 제1 구동모듈
52 : 제2 구동모듈
60 : 배출부
61 : 배출부의 후단부
62 : 배출부의 중간부
63 : 배출부의 전단부
64 : 배출턱
70 : 작업대
100 :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120 : 교반개구
121 : 교반조
122 : 도어
521 : 지지대
522 : 모터
M : 반제품
P : 제품

Claims (15)

  1. 회전함으로써, 투입되는 반제품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여 제품을 생산하도록 마련되는 2개의 교반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부;
    반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2개의 교반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투입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배출되는 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작업대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양념 도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제품을 계수한 뒤 계수된 반제품을 상기 투입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반제품계수부; 및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반제품계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반제품계수부를 거친 반제품을 상기 교반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제품계수부가 획득한 반제품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반제품계수부를 통과한 반제품이 전달되어야 할 교반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교반모듈로 상기 반제품계수부를 통과한 반제품이 전달되도록 상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양념 도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개의 교반모듈 각각에 투입되고 배출되지 않은 반제품들의 개수에 투입부에 의해 이송되는 반제품의 개수를 합한 값이 소정의 한계개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고, 한계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교반모듈에 상기 이송되는 반제품이 전달되도록 상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양념 도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로 낱개의 반제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투입부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반제품을 이송하는 구분부를 더 포함하는, 양념 도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2개의 교반모듈 중 제1 교반모듈에 반제품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1 교반모듈과 인접하게 상기 투입부의 전단이 위치하는 제1 상태와, 상기 2개의 교반모듈 중 제2 교반모듈에 반제품이 제공되도록 상기 제2 교반모듈과 인접하게 상기 투입부의 전단이 위치하는 제2 상태를 가지는 스윙 컨베이어인, 양념 도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개의 교반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교반개구가 상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교반모듈이 반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에 놓일 때, 상기 투입부의 전단이 상기 교반개구와 가까워지게, 상기 투입부가 전방에 대해 가지는 경사도가 낮아지도록 상기 투입부를 제어하는, 양념 도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교반모듈은 좌우방향을 따라 나열되고, 좌우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각각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양념 도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모듈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양념 도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모듈은, 내부에 교반공간을 가지는 통형의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에 형성되는 교반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교반조에 결합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양념 도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모듈은, 상기 교반공간에 투입되는 반제품과 양념을 교반하도록 상기 교반조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양념 도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반개구가 하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개구를 통해 잔여 양념을 배출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양념 도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반모듈이 일 방향 및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양념 도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후단부는 상기 교반모듈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제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교반모듈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부의 중간부는 전방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양념 도포 장치.
  15. 원물에 양념을 제공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양념 제공 장치; 및
    상기 반제품에 양념을 도포하여 제품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양념 도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도포 장치는,
    투입되는 상기 반제품을 양념과 함께 교반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교반모듈을 포함하는 교반부; 및
    상기 양념 제공 장치로부터 전달된 반제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교반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KR1020210111979A 2021-08-24 2021-08-24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KR10236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79A KR102360928B1 (ko) 2021-08-24 2021-08-24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PCT/KR2022/012045 WO2023027397A1 (ko) 2021-08-24 2022-08-11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AU2022332758A AU2022332758A1 (en) 2021-08-24 2022-08-11 Sauce spreading apparatus and edible product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same
CN202280057900.2A CN117858649A (zh) 2021-08-24 2022-08-11 酱料撒布设备和包括该设备的食用产品制造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79A KR102360928B1 (ko) 2021-08-24 2021-08-24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928B1 true KR102360928B1 (ko) 2022-02-14

Family

ID=8025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79A KR102360928B1 (ko) 2021-08-24 2021-08-24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360928B1 (ko)
CN (1) CN117858649A (ko)
AU (1) AU2022332758A1 (ko)
WO (1) WO20230273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97A1 (ko) * 2021-08-24 2023-03-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61B1 (ko) * 2013-11-19 2014-09-30 한국식품연구원 양념 속 넣기 장치
KR20190113356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혼합장치
KR102162960B1 (ko) * 2019-04-26 2020-10-07 나옥주 식재료 혼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9489B2 (ja) * 2015-01-23 2018-10-03 株式会社一山機械 食品撹拌搬送装置及び食品撹拌搬送システム
KR20210111979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60928B1 (ko) * 2021-08-24 2022-02-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61B1 (ko) * 2013-11-19 2014-09-30 한국식품연구원 양념 속 넣기 장치
KR20190113356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양념 혼합장치
KR102162960B1 (ko) * 2019-04-26 2020-10-07 나옥주 식재료 혼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97A1 (ko) * 2021-08-24 2023-03-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397A1 (ko) 2023-03-02
CN117858649A (zh) 2024-04-09
AU2022332758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8596A (en) Pizza-topping apparatus
US20170174370A1 (en) Pasta dosing machine, particularly for long-type pasta
KR102360928B1 (ko) 양념 도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용 제품 생산 시스템
US20080072771A1 (en) Sp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tributing ingredients on top of a dough base
CN109258729A (zh) 一种煎饼馃子自动摊制售卖系统
US5927186A (en) Food breading apparatus
KR100580366B1 (ko) 혼합 시스템 및 방법
US6117235A (en) Continuous coating and breading apparatus
KR20210056992A (ko) 스크류 공급방식을 이용하는 식품 정량 공급장치
US5294452A (en) Steaming process for short cut pasta
JP2006296363A (ja) 計量味付け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菓子製造システム
US10966450B2 (en) Coating of food products with a particulate coating material
US5134926A (en) Steaming process for short cut pasta
US2273735A (en) Machine for filling forms with biscuit material
EP3618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product in flavouring
JP3611914B2 (ja) 秤量箱詰め装置
DK2919588T3 (e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transported in a product stream
JP6705973B2 (ja) 振分計量供給装置
US7967502B2 (en) Vertical mixer with moveable floor
KR101470797B1 (ko) 식품 포장 장치
CN213894203U (zh) 自动送饭机
JP3965428B2 (ja) 混合システムおよび混合方法
KR20020054620A (ko) 마늘 선별장치 및 방법
JPH0624405A (ja) 包装用袋へ食品を挿入する方法及び装置
JP3683579B2 (ja) 計量味付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