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973B1 - 이동식 서랍 - Google Patents

이동식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973B1
KR102359973B1 KR1020210115320A KR20210115320A KR102359973B1 KR 102359973 B1 KR102359973 B1 KR 102359973B1 KR 1020210115320 A KR1020210115320 A KR 1020210115320A KR 20210115320 A KR20210115320 A KR 20210115320A KR 102359973 B1 KR102359973 B1 KR 10235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drawer
movable
rail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1011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18Buffers, stop blocks or latches for single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6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상기 전면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이동서랍,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서랍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서랍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이동식 서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서랍은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서랍을 이동시켜 수납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서랍{MOVABLE DRAWER}
본 발명은 이동식 서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가벼우며 원가를 절감하여 제조된 이동서랍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서랍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에 배치되는 사무용 가구는 사용자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한정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1명의 사용자에게 책상, 의자 및 서랍 등의 수납공간이 제공된다. 또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가구로는 책상의 하부에 배치되며 자유롭게 이동하며 배치할 수 있는 이동식 서랍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서랍은 2~3개의 서랍을 제공하여, 그를 통해 사용자가 업무에 필요한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종이 서류, 필기구 등을 이동식 서랍에 보관하며, 사무실을 떠나는 경우 서랍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서랍에 보관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서랍에는 전면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공간을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서랍유닛이 구비된다. 이때, 이동서랍유닛은 수납공간을 구비한 이동서랍, 이동레일 및 롤러 등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이동레일 및 이동부재는 미리 제작된 기성품 중 사이즈가 가장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기성품을 사용함으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정해진 이동레일에 맞추어 서랍을 제작하거나, 딱 맞지 않는 이동레일을 사용하여야 하는 등 설계자유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이동서랍 및 이동레일을 제작하여 단가를 절감하고 활용도가 높은 이동식 서랍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치방식으로 작동되는 댐퍼를 이용한 이동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동서랍유닛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서랍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서랍은,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저면으로 구성된 내측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면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이동서랍,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서랍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서랍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제1이동 플레이트,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면에 밀착되는 제2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이동부재 결합홀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서랍의 전면부를 후방으로 터치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서랍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전방을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 및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과 상기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1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1이동부재 결합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2이동레일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 결합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3이동레일 결합홀, 상기 제1이동부재 결합홀과 상기 제2이동부재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4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2이동부재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5이동레일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5이동레일 결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에는 하부로 함몰된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5이동레일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서랍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서랍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에서 일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용 가방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는, 상기 저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 플레이트,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서 구부러져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과 대응되도록 상부로 연장된 측면 플레이트,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바퀴;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가 상기 저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서랍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이동서랍유닛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여 전체적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이동서랍과 이동레일을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여 설계자유도가 높으며 결합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서랍은 터치방식으로 작동되는 댐퍼를 이용한 이동서랍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동서랍유닛을 이동시켜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이동서랍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이동서랍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이동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측면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7에서 이동서랍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에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
도 12는 도 10의 이동식 서랍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0의 서랍용 가방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0의 이동식 서랍을 일부 생략하고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에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동서랍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서랍(1)은 대략적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은 전면(2), 후면(3), 좌측면(4), 우측면(5), 상면(7) 및 저면(6, 도 12참조)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저면(6)은 상기 이동식 서랍(1)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저면(6)은 대략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6)은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바닥면에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저면(6)의 각 모서리부에 4개의 지지부재(61, 62) 또는 바퀴부재(63, 64)가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저면(6)의 전방 모서리부에는 한 쌍의 지지부재(61, 62)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저면(6)의 후방 모서리부에는 한 쌍의 바퀴부재(63, 64)가 각각 배치된다. 이때, 모서리부는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엣지 포인트(edge point)의 근방을 의미한다.
상기 바퀴부재(63, 64)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이 바닥면을 따라 손쉽게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61, 62)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이 바닥면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퀴부재(63, 64) 및 상기 지지부재(61, 62)는 필요에 따라 서로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전면(2), 상기 후면(3), 상기 좌측면(4) 및 상기 우측면(5)은 상기 저면(6)의 각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전면(2), 상기 좌측면(4), 상기 후면(3) 및 상기 우측면(5)은 차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저면(6) 및 상기 상면(7)과 함께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서랍(1)은 이와 같이 형성된 수납공간을 구분하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랍(10, 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하로 구분된 상부서랍(10) 및 하부서랍(20)을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이동식 서랍(1)은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서랍(10)은 상기 전면(2)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서랍(20)은 상기 상부서랍(10)과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서랍(20)은 상기 상부서랍(10)보다 큰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잠금부재(22)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서랍(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하부서랍(20)에 수납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식 서랍(1)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사무용 가구에 해당하며 사무용 책상과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식 서랍(1)은 양 측으로 길게 연장된 사무용 책상의 일 측 하부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서랍(10)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상부서랍(10)을 이동서랍으로 명칭하고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이동서랍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서랍(10)은 이동레일(40) 및 이동부재(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상기 이동서랍(10), 상기 이동레일(40) 및 상기 이동부재(50)를 '이동서랍유닛'으로 명칭한다.
상기 이동서랍(10)은 전면부(11), 측면부(12), 후면부(13) 및 저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1)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전면(2)에 대응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1과 같이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부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11)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전면(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2)는 상기 전면부(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측면부(12)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양 측면(4, 5)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3)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후면(3)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한 쌍의 측면부(12)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전면부(11),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 및 상기 후면부(13)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저면부(14)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12)에 상기 이동레일(40) 및 상기 이동부재(5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서랍유닛에는 한 쌍의 이동레일(40)과 한 쌍의 이동부재(50)가 포함된다.
한 쌍의 이동레일(40)과 한 쌍의 이동부재(50)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동일한 형태로 작동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어느 하나의 이동레일(40) 및 이동부재(50)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모두 인용하고 생략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우측면(5)에 설치되는 이동레일(40) 및 이동부재(50)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좌측면(4)에 설치되는 이동레일(40) 및 이동부재(5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1)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이동부재(50)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식 서랍(1)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특히, 상기 우측면(5)의 내측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이동서랍(10)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40)은 상기 우측면(5) 및 상기 상면(7)에 밀착되어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레일(40)은 상기 우측면(5)과 상기 상면(7)이 결합되는 모서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40)은 상기 우측면(5)과 상기 상면(7)이 결합되는 모서리에 대응하여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이동레일(40)은 제1 내지 4 이동 플레이트(41, 43, 45, 4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물리적인 구분을 의미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이동레일(40)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어 각 이동 플레이트(41, 43, 45, 47)는 하나의 사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레일(40)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각 이동 플레이트(41, 43, 45, 47)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는 상기 우측면(5)에 밀착되는 평판의 형태에 해당되고,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는 상기 상면(7)에 밀착되는 평판의 형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는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의 상단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45)는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의 하단에서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4이동 플레이트(47)는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5)의 후단에서 상기 제2, 3이동 플레이트(43, 45)를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정리하면, 상기 우측면(5)에 밀착된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5)의 전단, 후단 및 하단에서 좌측면(4)을 향하여 제2 내지 4이동 플레이트(43, 45, 47)가 연장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40)은 전체적으로 전면 및 좌측이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레일(40)에는 상기 우측면(5) 또는 상기 상면(7)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의 이동레일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 및 제2이동레일 결합홀(4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이동레일 결합홀(401)을 통해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가 상기 우측면(5)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43)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된 제3 내지 5이동레일 결합홀(402, 404, 4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지 5 이동레일 결합홀(402, 404, 406)을 통해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가 상기 상면(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5이동레일 결합홀(401, 403, 402, 404, 4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제1, 2이동 플레이트(41, 43)가 상기 우측면(5) 또는 상기 상면(7)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설계에 따라 이동레일 결합홀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 등을 통해 이동레일 결합홀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동레일(40)이 상기 우측면(5) 또는 상기 상면(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 절삭부(45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레일 절삭부(451)는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45)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레일 절삭부(451)는 상기 제3이동레일 결합홀(402)에 결합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위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 절삭부(451)는 작업의 편의 또는 다른 결합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이동레일(40)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 경사부(453, 4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레일 경사부(453, 455)는 상기 이동서랍(10)이 완전히 상기 이동레일(4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에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453)이 형성되고,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45)에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45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453)는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43)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455)는 하부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45)의 전방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40)에는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은 상기 이동부재(50)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은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41)에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457) 및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459)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대략 전후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51)와 이동부(5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3)는 상기 본체부(51)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부(51)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본체부(51)에서 전방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부(53)는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51)의 내부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딸각'하는 결합음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이동부(53)가 상기 본체부(5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3)에 다시 외력을 가하면 '딸각'하는 분리음과 함께 상기 이동부(53)가 상기 본체부(5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된다. 즉, 그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50)가 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53)는 약 50mm정도 돌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50)는 50mm정도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에 끼움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에 대응하는 돌출부분(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457, 459)에 차례로 끼움결합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457)에 상기 본체부(51)의 전방이 거치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압입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본체부(51)의 후방이 상기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459)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상기 이동레일(40) 및 상기 이동부재(50)의 형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정리한다. 상기 제2이동레일 결합홀(403) 및 상기 제5이동레일 결합홀(406)은 상기 이동레일(40)의 전단부와 인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404),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 및 상기 제3이동레일 결합홀(402)이 차례로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즉, 상기 제3이동레일 결합홀(402)은 상기 이동레일(40)의 후단부 또는 상기 제4이동 플레이트(47)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453)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404)과 상기 제5이동레일 결합홀(406)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455)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40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453)가 상기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455)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457)은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과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404)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459)는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과 상기 제3이동레일 결합홀(402)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457)과 상기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459)의 사이에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50)가 결합되면,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401)은 상기 이동부재(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설명을 바탕으로 이동서랍유닛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의 측면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서 이동서랍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식 서랍(1)의 하부를 생략하고 도시하였으며, 상기 우측면(5)을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상기 이동서랍(10)의 전면부(11)의 양 측에는 전면돌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돌출부(16)는 도 7과 같이,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전면(2)에 걸리는 기능을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측으로 더 들어가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돌출부(16)는 상기 전면부(11)의 양 측에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이동서랍(10)이 돌출되는 경우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서랍(10)의 저면부(14)에는 저면돌출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돌출부(19)는 상기 저면부(14)의 모서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돌출부(19)는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저면부(14)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상기 이동서랍(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서랍(10)의 측면부(12)에는 측면돌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돌출부(15)는 상기 측면부(12)의 상방에서 양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돌출부(15)는 상기 이동레일(4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돌출부(15)가 상기 제2, 3이동 플레이트(43, 4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레일(4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면돌출부(15)는 상기 전면부(11)와 인접한 전방 측면돌출부(17)와 상기 후면부(13)와 인접한 후방 측면돌출부(18)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측면돌출부(17)는 상기 이동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측면돌출부(18)는 상기 이동레일 경사부(453, 455)에 걸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이동부(53)가 상기 본체부(5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측면돌출부(17)를 포함한 측면돌출부(15)는 상기 이동레일(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서랍(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이동서랍(10)의 일부가 상기 이동식 서랍(1)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외력은 상기 이동서랍(10)의 전면(11)을 후방으로 누르는 힘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가벼운 터치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서랍(10)이 후방으로 살짝 밀리며 상기 이동부재(50)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이동부(53)가 상기 본체부(51)의 외부로 돌출되며,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서랍(10)이 밀려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전방 측면돌출부(17)가 상기 이동레일(40)에서 돌출되어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전방 측면돌출부(17)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이동시킬 수 있는 함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서랍(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이동서랍(10)이 상기 이동식 서랍(1)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외력은 상기 이동서랍(10)을 전방으로 끄는 힘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인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서랍(10)이 전방으로 완전히 돌출되며 수납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돌출부(15)는 상기 이동레일 경사부(453, 455)에 의해 상기 후방 측면돌출부(18)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서랍(10)이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이동서랍(10)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서랍(1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53)가 상기 본체부(5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서랍(10)이 다시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에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이동식 서랍(1)은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식 서랍(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식 서랍(1)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를 모두 인용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식 서랍(1)에서 일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도 10에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좌측면(4)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고, 도 11에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좌측면(4)과 이격되도록 좌측으로 이동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거치공간(102)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거치공간(102)은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와 상기 좌측면(4)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을 의미한다. 즉, 상기 거치공간(10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 10에서 도 11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부서랍(10) 및 하부서랍(20)을 이용하여 소정의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공간은 사용자가 계속적인 보관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사무공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무용 물건들을 상기 이동식 서랍(1)의 내부에 계속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상기 거치공간(102)에 소정의 물건들을 수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공간은 사용자가 일시적인 보관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무공간을 떠날 때 함께 이동하는 개인용 물건들을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사용은 예시적인 구분으로 사용자는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우산이나 부피가 큰 겨울 패딩 등 일정 시점에서 사용되는 물건들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의 형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의 이동식 서랍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0의 서랍용 가방 거치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동식 서랍(1)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 부분을 제외한 다른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좌측면(4) 및 저면(6)에 밀착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측면 플레이트(105) 및 저면 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는 상기 좌측면(4)에 대응하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상기 저면(6)에 대응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상기 저면(6)과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상기 저면(6)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에서 구부러져 상기 좌측면(4)과 대응되도록 상부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전체적으로 수직하게 벤딩된 사각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접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모서리부는 각지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의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의 일측 모서리부는 각지며, 타측 모서리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사용자와의 접촉이 어려우나,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는 사용자와의 접촉이 손쉽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미관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는 모서리부가 부드럽게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벤딩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에는 관통하여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103)는 미관적인 아름다움 또는 필요에 따라, 각종 무늬를 형성하거나 문구를 형성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103)는 상기 거치공간(102)에 수납되는 물품의 건조를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통풍구(103)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의 무게를 줄이고 재료비를 저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거치대 바퀴(110) 및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바퀴(11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거치대 바퀴(11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 바퀴(1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거치바퀴 브라켓(115)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바퀴 브라켓(115)은 대략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거치대 바퀴(11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중심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 바퀴(110)는 앞서 설명한 지지부재(61, 62) 또는 바퀴부재(64, 65)와 별도로 배치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와 상기 저면(6)은 상기 바닥면을 따라 각각 이동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이동식 서랍(1)과 별도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상기 저면(6)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적어도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대향되는 양 측에서 구부러져 연장되고,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을 더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에는 한 쌍의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가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이동되는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에는 2개의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과 4개의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가 구비된다. 편의상 제1브라켓(106)과 제2브라켓(108) 및 제1 내지 4롤러(122, 124, 126, 128)로 명칭한다.
상기 제1브라켓(106)과 상기 제2브라켓(108)은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이동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서로 일방향과 수직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106)과 상기 제2브라켓(108)은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에서 벤딩되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에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와 반대방향으로 수직하게 벤딩되고 다시 수직하게 벤딩되어 단면이 'ㄱ'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106)에는 제1롤러(122) 및 제2롤러(124)가 일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1브라켓(106)에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106)에 한 쌍의 롤러(122, 124)가 설치됨에 따라, 보다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제2브라켓(108)에는 제3롤러(126) 및 제4롤러(12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에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의 일 측에서 구부러져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을 연결하는 보강 브라켓(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107)은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을 연결하여 이동시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일 모서리에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가 벤딩되어 길게 연장된다. 이와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보강 브라켓(107)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머지 대향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에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일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 바퀴(110)는 이와 같이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거치대 롤러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함께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에 설치되기 때문에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상기 거치대 바퀴(110)에 의해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에 의해 상기 저면(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는 바닥면 및 상기 저면(6)의 사이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기 측면 플레이트(105)와 상기 좌측면(4)이 이격되며 앞서 설명한 거치공간(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와 상기 이동식 서랍(1)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실시 예이며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이동식 서랍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랍 등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0의 이동식 서랍을 일부 생략하고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4는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일부분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상기 이동식 서랍(1)은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이동되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면(6)에 결합되는 레일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상기 레일부재(30)와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부재(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재(30)는, 레일본체부(31), 레일결합부(37), 레일연장부(33) 및 이탈방지부(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별도의 구성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상 서로 구분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레일본체부(31)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이동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레일본체부(31)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레일본체부(31)를 기준으로 각 구성들이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연장된 일 모서리에서 상기 저면(6)과 밀착되도록 구부러져 상기 저면(6)에 결합된다. 즉,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저면(6)과 인접한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일 모서리에서 상기 저면(6)과 평행하도록 벤딩되어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본체부(31)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저면(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연장부(33)는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연장된 타 모서리에서 상기 레일결합부(37)와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즉, 상기 레일연장부(33)는 상기 저면(6)에서 돌출된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일 모서리에서 상기 저면(6)과 평행하도록 벤딩되어 연장된다. 상기 레일결합부(37)가 연장된 방향을 외측, 상기 레일연장부(33)가 연장된 방향을 내측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5)는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양 측 모서리에서 상기 레일연장부(33)와 같은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35)는 상기 레일본체부(31)의 일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연장부(33)와 함께 내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본체부(31)와 상기 레일연장부(33)는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레일공간(34)을 형성한다.
상기 레일공간(34)은 상기 레일본체부(31), 상기 레일연장부(33) 및 상기 이탈방지부(3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상기 레일공간(34)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상기 레일본체부(31), 상기 레일연장부(33) 및 상기 이탈방지부(35)의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30)는 상기 저면 플레이트(104)가 이동되는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은 상기 한 쌍의 레일부재(30)와 각각 대응된다. 그에 따라,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상기 레일공간(34)과 상기 거치롤러 브라켓(106, 108)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특히, 상기 이탈방지부(35)에 의해 상기 거치대 롤러(122, 124, 126, 128)는 일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만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며 상기 거치공간(10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식 서랍에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서랍용 가방 거치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이동식 서랍(1) 및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는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가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좌측면(4)이 아닌 우측면(5)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조립을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 및 설치를 필요로 하며, 단지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다른 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으로 족하다. 즉, 이와 같은 조립형태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생략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식 서랍(1)이 설치된 장소를 고려하여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왼쪽(도 10) 또는 오른쪽(도 15)에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식 서랍(1)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거치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100)를 상기 이동식 서랍(1)에서 분리하여 다른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정리하면, 서랍 또는 이동식 서랍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수납공간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랍 등에 의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서랍용 가방 거치대는 상기 수납공간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에서 일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이동에 따라, 상기 서랍용 가방 거치대는 공간의 배치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거치공간은 이동식 서랍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 이동식 서랍
10 : 이동서랍
40 : 이동레일
50 : 이동부재

Claims (6)

  1.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저면으로 구성된 내측공간을 갖는 이동식 서랍에 있어서,
    상기 전면의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이동서랍;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서랍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서랍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제1이동 플레이트;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면에 밀착되는 제2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이동부재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서랍의 전면부를 후방으로 터치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서랍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전방을 돌출되며,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 및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방 이동부재 결합홀과 상기 후방 이동부재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1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2이동레일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3이동레일 결합홀;
    상기 제1이동레일 결합홀과 상기 제2이동레일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4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2이동레일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고, 상기 상면과의 결합을 위한 제5이동레일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내지 5이동레일 결합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우측면 및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레일은 상기 제1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서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 플레이트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이동 플레이트에는 하부로 함몰된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서랍.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레일 경사부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 및 상기 제5이동레일 결합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이동레일 경사부는 상기 제4이동레일 결합홀과 대응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서랍.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서랍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서랍.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서랍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서랍.
KR1020210115320A 2021-08-31 2021-08-31 이동식 서랍 KR10235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20A KR102359973B1 (ko) 2021-08-31 2021-08-31 이동식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20A KR102359973B1 (ko) 2021-08-31 2021-08-31 이동식 서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973B1 true KR102359973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20A KR102359973B1 (ko) 2021-08-31 2021-08-31 이동식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9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233U (ja) * 1984-05-25 1985-12-14 加藤電機株式会社 抽斗の開閉保持装置
JP2000125961A (ja) * 1998-10-26 2000-05-09 Okamura Corp トレー引出し装置
JP2004180954A (ja) * 2002-12-04 2004-07-02 Eidai Co Ltd 上面開放の物品収納器を前後動自在に支持するガイドレール
KR20090006879U (ko) * 2007-11-07 2009-07-08 정주용 이동식 서랍장
KR20110043050A (ko) * 2009-10-20 2011-04-27 이영철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레일과 바퀴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함.
KR20150134190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233U (ja) * 1984-05-25 1985-12-14 加藤電機株式会社 抽斗の開閉保持装置
JP2000125961A (ja) * 1998-10-26 2000-05-09 Okamura Corp トレー引出し装置
JP2004180954A (ja) * 2002-12-04 2004-07-02 Eidai Co Ltd 上面開放の物品収納器を前後動自在に支持するガイドレール
KR20090006879U (ko) * 2007-11-07 2009-07-08 정주용 이동식 서랍장
KR20110043050A (ko) * 2009-10-20 2011-04-27 이영철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레일과 바퀴가 장착된 플라스틱 수납함.
KR20150134190A (ko) * 2014-05-21 2015-12-01 장근대 서랍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5524S1 (en) Desk file rack
USD948236S1 (en) Lap desk with USB port
KR102359973B1 (ko) 이동식 서랍
CA2452437A1 (en) Sliding keyboard tray set
KR102347893B1 (ko) 서랍용 가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서랍
USD973662S1 (en) Stylus for touch screen
USD957159S1 (en) Laptop bed desk
US20140238800A1 (en) Luggage with support receptacle
USD909849S1 (en) Furniture hinge
USD333300S (en) Computer stand with sliding keyboard shelf
US7712848B1 (en) Storage device
JP4304344B2 (ja) 物品収納具および物品収納家具
USD518060S1 (en) Plastic cushion for corners supporting laptop computer
USD1021903S1 (en) Touch screen pen
JP3499618B2 (ja)
JP2630297B2 (ja) スライドボード
JP4525279B2 (ja) 机上棚
USD1023010S1 (en) Notebook computer storage combination including an accessory bag, a cover and a sleeve
KR200197091Y1 (ko) 컴퓨터 키보드용 수납함
USD1013423S1 (en) Computer desk
KR102331318B1 (ko) 서랍이 부설된 거울
JP3770591B2 (ja) 家具用シャッター及びそのシャッターを具備した家具
JP2727493B2 (ja) 家具の天板スライド装置
KR102157042B1 (ko) 휴대용 서랍 장치
JP4395699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