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95B1 -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95B1
KR102359495B1 KR1020200153485A KR20200153485A KR102359495B1 KR 102359495 B1 KR102359495 B1 KR 102359495B1 KR 1020200153485 A KR1020200153485 A KR 1020200153485A KR 20200153485 A KR20200153485 A KR 20200153485A KR 102359495 B1 KR102359495 B1 KR 10235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width direction
joint
perforation li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최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영 filed Critical 최기영
Priority to KR102020015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맞도록 적당한 형태로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용 에어완충재는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이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에 의하여 서로 접합되며, 상기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마다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이 서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하나의 에어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ir Cushioning Material For Packing}
본 발명은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맞도록 적당한 형태로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캡은 종래의 스티로폴로 제조된 완충재를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포장을 위한 제품의 형태와 크기마다 별도로 제조 성형해야 하는 불편함을 일소하면서 시트지의 형태로써 양호한 충격 흡수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더 중요하게는 제품의 형태나 모양에 관계없이 시트지 형태로써 알맞게 절단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캡 완충 시트는 사용자가 구매하여 자신이 포장하려는 제품의 크기에 맞게 직접 절단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그 재단 과정에 불편함이 있었다. 즉 커터 칼을 가지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정밀하게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캡 완충 시트는, 일반적으로 상부 원단에 복수의 캡 형태를 성형한 후, 캡 형태가 성형된 상부 원단의 하면에 하부 원단이 접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는 복수의 에어캡을 가진 에어캡 완충 시트가 제조된다.
종래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43587호 "에어캡 완충 시트"(2004. 2.21. 등록), 공개특허 제10-2011-0091913호 "절취선을 구비한 생분해성 완충 포장재"(2011. 8.17. 공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은 에어캡 완충 시트에 절취선을 형성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에어캡 완충 시트를 먼저 제조한 후 후가공으로 절취선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절취선을 형성하기 어렵고 그 결과 다양한 형태로 재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절취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그 과정에서 에어캡의 밀봉이 쉽게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또다른 종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123869호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2012. 2. 28. 등록), 특허등록 제10-1170606호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2012. 7. 25. 등록), 특허등록 제10-1743535호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2017. 5.30. 등록) 등과 같이 공기가 주입된 기둥 형태(스틱 형태)의 복수의 에어셀을 가진 포장용 에어완충재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에어셀이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태(스틱 형태)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포장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에어셀이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태(스틱 형태)이므로 에어셀에는 절취선을 형성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절취선의 형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나의 에어셀마다 체크밸브와 같은 공기주입밸브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하나의 에어셀을 제조할 때 매우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3587호 "에어캡 완충 시트"(2004. 2.21. 등록) 공개특허 제10-2011-0091913호 "절취선을 구비한 생분해성 완충 포장재"(2011. 8.17. 공개) 특허등록 제10-1123869호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2012. 2. 28. 등록) 특허등록 제10-1170606호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2012. 7. 25. 등록) 특허등록 제10-1743535호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2017. 5.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맞도록 적당한 형태로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부 원단의 폭방향 일측과 하부 원단의 폭방향 일측은 서로 분리되어 개방되며 상부 원단의 폭방향 타측과 하부 원단의 폭방향 타측은 서로 연결되어 밀폐된 상태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 ;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와,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를 교대로 반복하며, 상기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상기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 ; 상기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또는 상기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원단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공기 막음용 누름판으로 상기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을 눌러 길이방향 일측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면서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상기 공기 막음용 누름판 사이의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 사이의 개방된 부위로 하나의 공기주입 노즐을 삽입하여 상기 공기 막음용 누름판과 상기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의 공간과 이 공간에 연결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사이마다 공기를 주입하면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까운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며, 상기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각각과 상기 폭방향 접합 절취선 각각은 접합선과 상기 접합선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되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맞도록 적당한 형태로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용 에어완충재는,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따라 적절히 절취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박스 내에서 제품의 형태에 맞게 제품을 안정적으로 포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박스 내에는 불필요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과대 포장이 불필요하며 제품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오직 하나의 공기주입 노즐로 복수의 에어셀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제조 공정의 평면상 개념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튜브 형태의 원단의 단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도 9는 도 1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에어완충재의 평면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A-A 기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의 접합 절취선의 구조를 보이는 개념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포장용 에어완충재가 사용된 상태(박스에 제품을 포장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도 15에 따른 제조 공정의 평면상 개념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5의 원단의 단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제조 공정의 평면상 개념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튜브 형태의 원단의 단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1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에어완충재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의 접합 절취선의 구조를 보이는 개념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포장용 에어완충재가 사용된 상태(박스에 제품을 포장한 상태)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 개념도이다.
먼저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튜브 형태의 원단(110)이 공급되어 포장용 에어완충재가 제조된다.
여기서 튜브 형태의 원단(110)이란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의 폭방향 양측이 서로 연결되어 폭방향 양측이 밀폐되어 있는 형태의 원단을 말한다.
도 8은 튜브 형태의 원단(110)의 단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원단(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필름(LDPE, HDPE PP, OPP, PVC, PET 및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의미한다.
전체적인 제조 공정은, 제1권취 롤러(10)에 감긴 튜브 형태의 원단(110)이 제1권취 롤러(10)로부터 풀리면서 공급되어 포장용 에어완충재로 제조되며, 포장용 에어완충재로 제조된 원단은 제2권취 롤러(20)에 다시 감기게 되는 것이다.
튜브 형태의 원단(110)은 먼저 한 쌍의 측면 절개칼(30)을 지나면서 폭방향 양측이 절개되어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으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포장용 에어완충재의 제조를 위하여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이 후속 공정에 공급되는 것이다.
도 2는 튜브 형태의 원단(110)이 최초에 한 쌍의 측면 절개칼(30)을 지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원단과 하부 원단이 공급된 후 도 3과 같이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원단(110)이 측면 절개칼(30)을 지나면서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으로 분리된 후, 상부 원단(11)과 하부 원단(112)이 상하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복수의 공기주입 노즐(40)이 배치되도록 한다.
공기주입 노즐(40)을 지난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은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 사이를 지나면서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에 의하여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본 실시예는 10개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이 1차로 형성된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베이스부(52a)와, 제1베이스부(52a)의 하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는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에 하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는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또한 복수의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는 제1베이스부(52a)의 하부에서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에 의하여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는 10개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10개의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이 필요하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는, 후술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와 달리,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은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 절취선을 말한다.
또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은 폭방향으로 이격된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과 후술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는 접합 절취선(113, 114)의 일종으로서, 접합 절취선(113, 114)은 접합선(101)과 절취선(1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접합 절취선(113, 114)에서 절취선(102)은 접합선(101)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절취선(102)이 접합선(101)에 의하여 포위된 접합 절취선(113, 114)의 구조는, 도 11과 같이 2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접합 절취선의 구조를 보이는 개념 평면도이다.
1) 밴드 실링 : 먼저 3~10mm 정도의 폭(비교적 넓은 폭)으로 접합선(101)을 형성한 후 접합선(101)의 내부를 따라 절취선(102)을 가공하는 방식이다.(도 11의 (a) 참조)
2) 실선 실링 : 먼저 2개의 실선 형태(폭 0.2mm~3mm, 비교적 좁은 폭)의 접합선(101)을 형성한 후 2개의 접합선(101)의 사이에 절취선(102)을 가공하는 방식이다. (도 11의 (b) 참조)
여기서 접합선(101)이란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을 열융착에 의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선을 말하며, 절취선(102)이란 상부 원단(111) 및 하부 원단(112)으로 이루어진 원단(110)이 절취선을 따라 절취 가능하도록 상부 원단 및 하부 원단에 형성되는 선(실선은 물론이며 점선 형태 또는 파선 형태 등을 포함)을 말한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형성된 원단은, 도 4와 같이, 다음 단계로 이송되며, 다음 단계로의 이송에 의하여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 사이에 위치된 원단에는 다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따라서 원단에는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의 길이방향 길이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공기주입 노즐(40)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 사이마다 공기를 주입한다.
즉,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 사이에 삽입 배치되며,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 사이마다 배치된 복수의 공기주입 노즐(40)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 사이마다 각각 공기를 주입한다.
본 실시예는 10개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형성되며, 9개의 공기주입 노즐(4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2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형성된 후 공기주입 노즐(40)로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는, 제2밑판(61)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62)와 공기주입 노즐(4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6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베이스부(62a)와, 제2베이스부(62a)의 하면에 마련되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복수의 탄성부(62b)와, 탄성부(62b)의 하단부에 결합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는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에 하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52c)는 원단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은 원단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 절취선을 말한다.
또한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접합 절취선은 접합선과 절취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접합 절취선에서 절취선은 접합선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접합 절취선의 형태는 앞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베이스부(62a)의 하부에는 복수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는 탄성부(62b)에 의하여 제2베이스부(62a)에 연결된다.
아울러 복수의 탄성부(62b)가 상하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먼 위치는 긴 길이를 가지고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가까운 위치는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하며, 복수의 탄성부(62b)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이다.
아울러 복수의 탄성부(62b) 각각은 탄성부(62b)가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고 복원될 때 탄성부(62b)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방향 이동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제2베이스부(62a)가 하강하면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1)가 먼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며, 이후 순차적으로 다른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2, 62c-3,,, 62c-10)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1)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1)을 형성한 후, 다음으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2)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2)을 형성하며, 다음으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3)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3)을 형성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10)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10)을 형성하게 된다.
즉 각각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1 내지 62c-10)가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먼 위치에서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가까운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며, 각각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할 때마다 복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셀(115)이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할 때마다 공기가 주입되는 공간이 줄어들면서 내부 공기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 등으로 주입 중인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고 전용 압력 조절기(레귤레이터)로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도록 하여 균질한 공기압을 가진 에어셀(1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주입 노즐(40)로 공기로 주입할 때 공기주입 노즐(40)과 공기 주입구는 기밀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주입 노즐(40)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와인잔 등의 쉽게 파손되는 제품에 적용하는 포장용 에어완충재의 에어셀(115)이 과다한 공기압을 가지도록 한다면 외부 충격에 제품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한 후, 도 6과 같이, 원단이 이송된 후 원단 이송 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되며,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 후 도 7과 같이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2회에 걸쳐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형성한 후, 1회에 의하여 폭방향 절합 절취선(114)을 형성하였다.
즉, 1차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형성한 후, 원단(110)을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송하며, 이송된 후 1차로 형성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속되는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2차로 형성하며, 이후 1차로 형성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에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 이후에는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 형성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 형성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제조된 포장용 에어완충재는,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포장용 에어완충재는, 상부 원단(110)과 하부 원단(120)이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과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다.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마다 상부 원단(110)과 하부 원단(120)이 서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공기가 채워진 하나의 에어셀(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포장용 에어완충재(100)는,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따라 적절히 절취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적합한 형태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포장용 에어완충재가 박스 내 맞춤포장으로 사용된 상태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12 및 도 13와 같이 본 포장용 에어완충재(100)는, 박스(1) 내에서 제품(2)의 형태에 맞게 제품(2)을 안정적으로 포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박스(1) 내에는 불필요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과대 포장이 불필요하며 제품(2)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1실시예의 변형된 형태인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원단(111)이 제1-1권취 롤러(11)에 감겨 있으며, 하부 원단(112)이 제1-2권취 롤러(12)에 감겨 있는 상태로 공급되며,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은 측면 절개칼(30)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은 점을 제외하고는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의 개념 측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20은 도 15에 따른 제조 공정의 평면상 개념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15의 원단의 단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단(110)은 폭방향 일측이 개방되며 폭방향 타측은 밀폐된 상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원단(110)은, 도 21과 같이, 원단(110)이 반으로 접혀져 폭방향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며, 폭방향 타측이 밀폐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부 원단(111)의 폭방향 일측과 하부 원단(112)의 폭방향 일측은 서로 분리되어 개방되며, 상부 원단(111)의 폭방향 타측과 하부 원단(112)의 폭방향 타측은 서로 연결되어 밀폐된 상태의 원단이 제1권취 롤러(10)에 감겨있고, 원단(110)이 제1권취 롤러(10)로부터 풀리면서 공급되어 포장용 에어완충재로 제조되며, 포장용 에어완충재로 제조된 원단은 제2권취 롤러(20)에 다시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원단(110)이 공급된 후, 도 16과 같이,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는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와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교대로 반복되는 것이다.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은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 사이를 지나면서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에 의하여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이 형성된다.
이때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을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이라 한다.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에 의하여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이 형성된 원단은, 도 17과 같이, 다음 단계로 이송된 후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원단(110)의 이송 거리는 하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의 길이보다 길다.
다음 단계로의 이송에 의하여 제1밑판(51)과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52) 사이에 위치된 원단에는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따라서 원단(110)에는 2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2)이 형성되며, 이는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과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이는 원단(110)의 이송 거리가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과장은 계속 반복되며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2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2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2)이 형성된 후, 도 18과 같이, 다시 원단이 다음 단계로 이송된 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를 수행될 준비가 된다.
이때 원단(110)의 이송 거리는 비교적 짧다.
매우 짧은 이송에 의하여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에 대하여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가 수행될 준비가 된다.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는, 제2밑판(61)과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62)와 공기 막음용 누름판(63)과 공기주입 노즐(6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공기 막음용 누름판(63)은 상부 원단(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공기 막음용 누름판(63)은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공기 막음용 누름판(63)이 하강하면 제2밑판(61)과 공기 막음용 누름판(63) 사이에서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이 눌려져 길이방향 일측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과 공기 막음용 누름판(63) 사이의 상부 원단(111)과 하부 원단(112) 사이의 개방된 부위로 하나의 공기주입 노즐(64)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에 의하여 공기 막음용 누름판(63)과 복수의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의 공간과 이 공간에 연결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1번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1) 사이마다 각각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된 후, 도 19와 같이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한다.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6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각각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먼 위치에서 공기주입 노즐(40)로부터 가까운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1, 114-2,,,,114-10)을 형성하며, 각각의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을 형성할 때마다 복수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에어셀(1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62c)가 폭방향 접합 절취선(114-1, 114-2,,,,114-10)을 형성한 후, 공기주입 노즐(40)이 원단(110)으로부터 분리되고 다시 원단이 이송되어 추가적인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113-3)이 형성되면서 도 2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는 도 17터 도 20까지의 과정이 반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박스
2 : 제품
10 : 제1권취 롤러
11 : 제1-1권취 롤러 12 : 제1-2권취 롤러
20 : 제2권취 롤러
30 : 측면 절개칼
40 : 공기주입 노즐
51 : 제1밑판
52 :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
52a : 제1베이스부 52c : 단위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
61 : 제2밑판
62 :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구
62a : 제2베이스부 62b : 탄성부
62c : 단위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부
63 : 공기 막음용 누름판
64 : 공기주입 노즐
100 : 포장용 에어완충재
101 : 접합선 102 : 절취선
110 : 원단
111 : 상부 원단 112 : 하부 원단
113 :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114 : 폭방향 접합 절취선
115 : 에어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부 원단의 폭방향 일측과 하부 원단의 폭방향 일측은 서로 분리되어 개방되며 상부 원단의 폭방향 타측과 하부 원단의 폭방향 타측은 서로 연결되어 밀폐된 상태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 단계 ;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와,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를 교대로 반복하며, 상기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상기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 ;
    상기 제1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또는 상기 제2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원단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공기 막음용 누름판으로 상기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을 눌러 길이방향 일측 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면서 폭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과 상기 공기 막음용 누름판 사이의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 사이의 개방된 부위로 하나의 공기주입 노즐을 삽입하여 상기 공기 막음용 누름판과 상기 복수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의 공간과 이 공간에 연결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사이마다 공기를 주입하면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공기주입 노즐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가까운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상부 원단과 상기 하부 원단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폭방향 접합 절취선을 형성하는 폭방향 접합 절취선 형성 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며,
    상기 길이방향 접합 절취선 각각과 상기 폭방향 접합 절취선 각각은 접합선과 상기 접합선에 의하여 포위되도록 배치되는 절취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3485A 2020-11-17 2020-11-17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KR10235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85A KR102359495B1 (ko) 2020-11-17 2020-11-17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85A KR102359495B1 (ko) 2020-11-17 2020-11-17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495B1 true KR102359495B1 (ko) 2022-02-07

Family

ID=8025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485A KR102359495B1 (ko) 2020-11-17 2020-11-17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9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275A (ja) * 1997-10-20 1999-07-13 Kawakami Sangyo Kk 空気緩衝体
KR200343587Y1 (ko) 2003-11-27 2004-03-05 김종암 에어캡 완충 시트
JP2008296988A (ja) * 2007-05-31 2008-12-11 Kawakam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の空気袋緩衝材とその製造方法
KR20110091913A (ko) 2010-02-08 2011-08-17 박순기 절취선을 구비한 생분해성 완충 포장재
KR101123869B1 (ko) 2009-07-07 2012-03-15 (주)에어프라임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
KR101170606B1 (ko) 2009-07-07 2012-08-01 (주)에어프라임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
KR101173108B1 (ko) * 2011-09-07 2012-08-14 주식회사 레코 공기주입노즐 유도 구조가 구비된 완충용 포장재
JP6038891B2 (ja) * 2012-04-20 2016-12-07 克敏 吉房 空気セル緩衝材
KR101743535B1 (ko) 2016-10-28 2017-06-05 하태환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275A (ja) * 1997-10-20 1999-07-13 Kawakami Sangyo Kk 空気緩衝体
KR200343587Y1 (ko) 2003-11-27 2004-03-05 김종암 에어캡 완충 시트
JP2008296988A (ja) * 2007-05-31 2008-12-11 Kawakam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の空気袋緩衝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123869B1 (ko) 2009-07-07 2012-03-15 (주)에어프라임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
KR101170606B1 (ko) 2009-07-07 2012-08-01 (주)에어프라임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장치
KR20110091913A (ko) 2010-02-08 2011-08-17 박순기 절취선을 구비한 생분해성 완충 포장재
KR101173108B1 (ko) * 2011-09-07 2012-08-14 주식회사 레코 공기주입노즐 유도 구조가 구비된 완충용 포장재
JP6038891B2 (ja) * 2012-04-20 2016-12-07 克敏 吉房 空気セル緩衝材
KR101743535B1 (ko) 2016-10-28 2017-06-05 하태환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9242748B2 (en) Machine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ir-filled cushions
US7325370B2 (en) Machine to make E-Z open pouch with flap and bulge
US7404281B2 (en) Cushioning packaging body containing packaged article,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packaging body
US6682622B2 (en) Cellular cushioning material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US20140182244A1 (en) Gas Charging Method and Gas Charging Apparatus for a Bag Equipped with Gas Compartment
KR102359495B1 (ko) 포장용 에어완충재 제조 방법
KR101942340B1 (ko)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12991B1 (ko) 파우치 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1776A (ko) 물품포장 방법 및 장치
GB1243441A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4651459B2 (ja) 縦形製袋充填包装機及び製袋充填包装方法
KR100807755B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TW496845B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pneumatically filled packing cushions
JP2005515097A (ja) 少なくとも1つの連続する容器ストリップの製造装置
JP4927770B2 (ja) 縦形製袋充填包装機
GB2354971A (en) A bag featuring longitudinally reinforcing folds
US35434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with stationary inner mandrel for forming flat bottom package
JP5246871B2 (ja) 縦形製袋充填包装方法
TWI650273B (zh) 縱長包裝體的製造方法及縱長包裝體
JP4610045B2 (ja) ハーフカット形成装置
JP4447878B2 (ja) 自立袋の製袋装置
WO2015152392A1 (ja) 包装物品連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2002428A1 (en) A self-sealing bag
KR20230030099A (ko)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