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12B1 -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 Google Patents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12B1
KR102358712B1 KR1020200014521A KR20200014521A KR102358712B1 KR 102358712 B1 KR102358712 B1 KR 102358712B1 KR 1020200014521 A KR1020200014521 A KR 1020200014521A KR 20200014521 A KR20200014521 A KR 20200014521A KR 102358712 B1 KR102358712 B1 KR 10235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p
cutting
wooden chopsticks
cutting blade
woo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477A (ko
Inventor
김영아
정현경
이수현
김민영
김은진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나무젓가락의 후단머리부분에 절단날을 갖는 랩절단부를 형성하되 가압하지 않아도 포장랩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여 쉽게 포장랩을 뜯어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포장랩 절단과정에서 절단날이 파손되어 음식물로 내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강도를 향상시킨 나무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Wooden chopstick having a wrap cutting part}
본 발명은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나무젓가락의 후단머리부분에 절단날을 갖는 랩절단부를 형성하되 가압하지 않아도 포장랩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여 쉽게 포장랩을 뜯어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포장랩 절단과정에서 절단날이 파손되어 음식물로 내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강도를 향상시킨 나무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달음식을 주문하게 되면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 랩이나 비닐수지로 밀폐시켜 포장하고, 나무젓가락을 함께 제공하여 포장된 음식물의 섭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밀폐용기는 보관음식에 수분이 다량 포함될 경우 뜯는 과정에서 음식물 수분이 튕겨서 사용자의 옷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밀폐수단이 잘 분리되지 않아 과하게 포장랩을 뜯으면 음식물을 쏟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일부 음식점에서는 랩칼등을 별도로 제공하여 밀폐용 랩을 용이하게 파손시켜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회에서는 일회용물품에 대한 사용을 억제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최대한 일회용 플라스틱의 제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랩칼을 제공하지 않고 랩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007호(2006.06.09.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나무젓가락 랩 절단장치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분리되지 않은 젓가락의 상단 상부모서리에서 대향되는 하부모서리까지 절단하여 경사면에 의한 절단날이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랩칼을 제공하지 않고 젓가락에 형성된 절단날에 의해서 포장랩을 쉽게 절단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1은 날을 형성하는 바닥면과 경사면의 각도가 30도 이하여서 절단날 부분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포장랩을 절단하기 위해 초기에 포장랩 상부에 절단날을 가압하여 내입시키는 과정에서 절단날의 파손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1은 절단날 부분에 별도의 강고보강액을 도포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강도보강액으로 수지 또는 코팅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전히 합성수지 사용량을 제거하지는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9568호(2017.06.21.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나무젓가락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젓가락의 다리부분 중 대향되는 내측면 또는 내측면과 인접한 양측면에 톱니모양의 돌기를 가공하여 포장랩을 뜯을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선행문헌2는 젓가락의 면에 톱니모양을 형성되고, 톱니도 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를 밀폐시키는 포장랩을 관통시키기에는 상당량의 가압력이 필요하고, 관통과정에서 가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 젓가락 자체에 랩 절단부를 구비하되, 포장랩에 밀착시 강한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쉽게 밀착되어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나무젓가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007호(2006.06.09.등록) : 나무젓가락 랩 절단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9568호(2017.06.21.공개) : 나무젓가락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은,
나무젓가락의 머리부분에 랩절단부를 형성하되 랩절단부의 절단날에 첨단부를 형성하여 포장랩과 접촉시 쉽게 관통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첨단부는 대향된 두 면의 내각을 45도 이상으로 형성하여 구조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조를 갖는 나무젓가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랩절단 과정에서 음식물의 국물이 묻어도 흡수되지 않도록 식용녹말이 코팅된 나무젓가락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은,
손으로 잡는 상측의 머리부와 음식을 집는 하측의 다리부로 구성되어 직사각형이 수평단면을 갖으며, 폭을 형성하는 전후면의 중앙을 따라 머리부 상측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하단으로부터 절단선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나무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수평단면의 장축인 양측면에 첨단부가 배치되도록 랩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랩절단부는 머리부의 양측면으로 각각 돌출된 사각뿔을 나무젓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하되 상기 사각뿔은 인접한 사각뿔과 중첩되도록 연결되고, 사각뿔의 첨단부를 기준으로 수평절단면은 마름모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랩절단부는 마름모의 단축부분이 외면에는 나무젓가락이 양측으로 분리가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분리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랩절단부는, 인접한 사각뿔과의 갈라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인 상부의 절단날과, 내측방향인 하부의 지지부로 구획되고; 상기 절단날의 돌출된 두께는 지지부의 두께의 0.5~1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랩절단부는. 식용녹말을 도포한 녹말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은,
사각뿔이 연속배치된 구조로 절단날을 제공하여 첨단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구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단날을 구성하는 다수의 첨단부에 의해 절단날부분을 포장랩에 밀착만시켜도 첨단부 일부가 포장랩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 나무젓가락을 포장랩과 동일한 수평면으로 당기기만 해도 쉽게 포장랩을 뜯어서 분리할 수 있어 과도한 가압에 의한 음식국물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부분에 식용 녹말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 포장랩의 절단과정에서 나무젓가락의 절단날 부분이 음식국물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코팅층이 식용이기 때문에 박피된 것을 먹어도 인체에 무해하는 등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나무젓가락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젓가락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팅층이 형성된 랩절단부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랩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젓가락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10)은, 일반적인 일회용 나무젓가락과 같이 손으로 잡는 상부측의 머리부(20)와, 음식을 집는 하부측의 다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나무젓가락은 머리부에서 다리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나무젓가락(10)은 좌우 막대가 한쌍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쌍의 구조는 상부측인 머리부의 일부는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 머리부와 하부의 다리부(40)는 절단선(11)에 의해 분리구성되어 사용시 양측을 벌려서 간단하게 분리하여 사용하게 한다.
이러한 나무젓가락의 머리부(20)는 직사각형 단면 중 장축방향인 양측에 랩절단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랩절단부(30)는 첨단부(31)를 갖는 다수개의 돌기로 형성되되, 직사각형 단면의 나무젓가락 양측면 방향으로 첨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한쌍의 나무젓가락을 절단선을 따라 분리하기 이전에 포장랩을 절단하거나, 한쌍의 나무젓가락을 분리한 다음 포장랩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첨단부(31)를 갖는 돌기는 도시된 바와같이 첨단부가 측면으로 배치된 사각뿔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배열간격은 인접한 사각뿔이 서로 일정폭 겹치게 함으로써 나무젓가락 머리부 측면 중 일부분만 절단날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2b와 도 2c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나무젓가락을 분리하기 이전의 랩절단부(30)의 단면은 상하로 장축을 갖는 마름모형태를 갖는 것으로, 랩절단부(30) 중앙인 마름모단면의 단축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분리홈(50)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홈(50)은 절단되어 분리된 나무젓가락의 두 다리를 벌렸을 때 분리홈을 따라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홈(50)은 U홈 또는 V홈으로 형성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라인을 안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리홈(50)은 랩절단부(30) 뿐만 아니라 나무젓가락 폭의 중앙을 따라 전체 나무젓가락 길이방향에 형성되거나 양측으로 분리되지 않은 부분에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을 갖는 랩절단부(30)는 대향되는 두 분리홈(50)을 연결하는 가상의 절단선을 밑면으로 하여 상부와 하부로 각각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랩절단부(30)는 V홈이 형성되되 V홈은 분리홈이 형성된 부분까지 파이지 않고 외측으로 일부분만 파여진 형태를 갖는다. 이는 사각뿔의 돌출부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배치하되 일정량 겹치게 함으로써 겹쳐지지 않은 상부에 절단날(32)이 형성되고, 겹쳐진 하부는 지지부(3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같이 사각뿔형태의 절단날(32)을 형성하는 4개의 면 중 서로 대향되는 두면의 내각(a)은 적어도 45~70도의 각도로 형성하여 첨단부(31)에 전달되는 압력의 분산력을 증가시켜 구조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대향되는 두면의 내각은 70도 이상 120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70도 이상으로 형성하면 첨단부의 날카로움이 낮아져 포장랩을 쉽게 관통하기 어려움으로 상기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단날(32)은 전체 랩절단부에서 일측에만 사각뿔 형태로 형성되고, 절단날의 하부 지지부(33) 측면도 절단날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삼각 수직단면을 갖게 한다. 이는 첨단부(31)를 포함하는 절단날(32)에 가해지는 압력을 절단날 뿐만 아니라 랩절단부(30) 하부의 지지부(33)까지 고르게 전달되는 압력분산이 이루어져 포장랩 절단시 절단날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날(32)의 돌출된 길이는 지지부(33)의 폭길이 대비 0.5~1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날(32)의 돌출길이가 지지부(33) 폭길이보다 크게 형성하면 절단날의 홈부분에 대한 구조강도가 낮아져서 포장랩을 절단하는 과정이나 사용자가 파지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 돌기 사이의 연결부위인 홈부분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절단날(32)의 돌출길이가 지지부의 폭길이의 0.5배 이하로 형성하면 돌출된 길이가 낮아 절단기능을 충실하게 제공하기 어려움으로 상기 범위의 비율로 절단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랩절단부(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면에 식용녹말로 도포한 녹말코팅층(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녹말코팅층은 절단날(32)의 강도를 보강함은 물론 포장랩 절단과정에서 나무재질의 랩절단부가 음식물의 국물과 접촉시 나무젓가락이 국물을 흡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 청결한 유지가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녹말코팅층에 일부 국물이 묻더라도 흡수되지 않고 외면에만 묻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닦아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랩 절단과정에서 녹말코팅층(60)의 일부가 박피되어 음식물에 들어가도 녹말코팅층 재질이 식용녹말이기 때문에 박피된 녹말코팅물을 섭취하여도 인체에 무해하다.
아울러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녹말코팅층(60)의 박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나무젓가락의 랩절단부에는 외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한 다음 녹말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녹말코팅층 내측인 나무젓가락과 접하는 면에 홈 및 홈을 메우는 코팅돌기(61)에 의해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녹말코팅층의 수평방향 저항을 증가시켜 녹말코팅층이 측면으로 밀려나 박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무젓가락(10)은 좌우를 분리한 상태인 개별 나무젓가락의 랩절단부 단면이 삼각형인 것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4a와 같이 하부에 사각단면의 지지부(33a)를 형성하고, 지지부의 상부측으로 사각뿔을 돌출시켜 절단날(32a)이 형성되게 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부(33b)가 형성되되 절단날(32b)이 지지부의 내측으로 내입된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하어 절단날과 지지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의 형상을 사각뿔 이외에 사각뿔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절단날의 밑면은 동일하게 설정하면서 돌출길이를 더 증가시키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10)은,
나무젓가락의 머리부분 중 외측면에 랩절단부(30)가 형성되되, 랩절단부(30)는 사각뿔을 일정폭 겹쳐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형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절단날(32)은 외측 일부분만 형성되지만 절단날에 작용하는 하중은 절단날은 물론 절단날을 지지하면서 절단날과 동일한 삼각단면을 형성하는 지지부(33)까지 전달되어 분산되게 함으로 절단날에만 하중이 집중되는 형태보다는 강한 구조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첨단부(31)를 갖는 절단날(32)의 구조가 사각뿔로 형성하되 대향되는 두 경사면의 내각이 45도 이상으로 형성됨으로 일측면에만 경사를 형성하여 절단날을 형성하는 형태보다는 절단날(32) 자체의 구조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포장랩 절단과정에서 절단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첨단부(31)를 구비하기 때문에 포장랩에 접촉만 하여도 절단날의 첨단부가 포장랩을 파고들어 안치됨으로 간단하게 당기기만 해도 포장을 뜯어낼 수 있다.
10 : 나무젓가락
11 : 절단선
20 : 머리부
30 : 랩절단부
31 : 첨단부 32 : 절단날
33 : 지지부
40 : 다리부
50 : 분리홈
60 : 녹말코팅층
61 : 코팅돌기

Claims (4)

  1. 손으로 잡는 상측의 머리부와 음식을 집는 하측의 다리부로 구성되어 직사각형이 수평단면을 갖으며, 폭을 형성하는 전후면의 중앙을 따라 머리부 상측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하단으로부터 절단선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나무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0)는, 수평단면의 장축인 양측면에 첨단부(31)가 배치되도록 랩절단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랩절단부(30)는, 머리부(20)의 양측면으로 각각 돌출된 사각뿔을 나무젓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하되 상기 사각뿔은 인접한 사각뿔과 중첩되도록 연결되고, 사각뿔의 첨단부(31)를 기준으로 수평절단면은 마름모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랩절단부(30)는 마름모의 단축부분 외면에 나무젓가락 길이방향으로 분리홈(50)을 형성하여 나무젓가락이 양측으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랩절단부(30)는. 식용녹말을 도포한 녹말코팅층(60)이 형성되되 외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녹말코팅층 내면에는 홈을 메우는 코팅돌기(61)을 형성하여 접촉면적 증가로 녹말코팅층의 수평방향 저항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절단부(30)는, 인접한 사각뿔과의 갈라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인 상부의 절단날(32)과, 내측방향인 하부의 지지부(33)로 구획되고;
    상기 절단날(32)의 돌출된 길이는 지지부(33) 폭길이의 0.5~1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4. 삭제
KR1020200014521A 2020-02-06 2020-02-06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KR10235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21A KR102358712B1 (ko) 2020-02-06 2020-02-06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21A KR102358712B1 (ko) 2020-02-06 2020-02-06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77A KR20210100477A (ko) 2021-08-17
KR102358712B1 true KR102358712B1 (ko) 2022-02-07

Family

ID=7746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21A KR102358712B1 (ko) 2020-02-06 2020-02-06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1U (ko) 2022-07-01 2024-01-09 김형중 음식물 용기의 포장랩 절단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415A (ja) * 1999-10-26 2001-05-08 Soki Bin 自然分解性箸類
JP3170567B2 (ja) * 1996-11-07 2001-05-28 ゲオルク フィッシャー ロールライツングスシステム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パイプと鋳型との間の連結
KR200419007Y1 (ko) * 2006-02-10 2006-06-15 강승구 나무젓가락 랩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67U (ja) * 2011-07-08 2011-09-22 ダイゴコーギョー株式会社
KR20170069568A (ko) 2015-12-11 2017-06-21 김상관 나무 젓가락
KR20190062945A (ko) * 2017-11-29 2019-06-07 배삼훈 감자껍질 대패형 반구 나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567B2 (ja) * 1996-11-07 2001-05-28 ゲオルク フィッシャー ロールライツングスシステム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パイプと鋳型との間の連結
JP2001120415A (ja) * 1999-10-26 2001-05-08 Soki Bin 自然分解性箸類
KR200419007Y1 (ko) * 2006-02-10 2006-06-15 강승구 나무젓가락 랩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51U (ko) 2022-07-01 2024-01-09 김형중 음식물 용기의 포장랩 절단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77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712B1 (ko)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US8851285B2 (en) Secondary packag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or container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ackage
US5320895A (en) Perforated absorbent pad with tufts of tissue projecting from the underside
DE69821598T2 (de) Tropfensammelnder Halter für Eis, Joghurts, Eis-Lollies und dergleichen, die in Umhüllungen verpackt sind, welche zur Verzehrzeit abnehmbar sind
US2984346A (en) Capsule packaging
US3367785A (en) Package and method for hydrating a hydratable product
US20040091580A1 (en) Infusion bag squeezing assembly
JPH0343360A (ja)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ヒートシールロール
FR2663302A1 (fr) Dispositif d'emballage pour groupe d'objets.
WO2013081500A2 (ru) Одноразовое сито c системой отжима
JP6022900B2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KR200421613Y1 (ko) 피자포장용 지지기구
JP2003519057A (ja) パッケージ及びプロセスチーズ部分を含む組立品
KR101598812B1 (ko) 롤원단 포장장치에서의 포장지 컷팅/접착을 위한 히팅 나이프
JP3398355B2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体
US3851068A (en) Cheese package
CA2504724C (en) Method for vacuum packaging pre-cooked lobsters
US5482725A (en) Alimentary paste food product and methods of manufacture
AU677715B2 (en) Infusion package
FR2554790A1 (fr) Sachet en matiere synthetique souple comportant un element rigide amovible servant d'element de bouchage
JP6925618B2 (ja) 袋入清拭布及び包装用フィルム
JP7038875B1 (ja) 多層構造食品容器
KR200479816Y1 (ko) 삼각김밥 포장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 삼각김밥 제작 세트
KR102595768B1 (ko) 밥기반 간편식 세트와 그 제조방법 및 제공방법
US2838400A (en) Tea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