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68A - 나무 젓가락 - Google Patents

나무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68A
KR20170069568A KR1020150176935A KR20150176935A KR20170069568A KR 20170069568 A KR20170069568 A KR 20170069568A KR 1020150176935 A KR1020150176935 A KR 1020150176935A KR 20150176935 A KR20150176935 A KR 20150176935A KR 20170069568 A KR20170069568 A KR 20170069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present
chopsticks
cent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관
Original Assignee
김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관 filed Critical 김상관
Priority to KR102015017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568A/ko
Publication of KR2017006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2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household utensils, e.g. spoons, clothes hangers, clothes p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나무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용기에 덧씌워져 있는 랩 비닐을 쉽게 절단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무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나무 젓가락{A wooden chopsticks}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나무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용기에 덧씌워져 있는 랩 비닐을 쉽게 절단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무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과 함께 제공되는 일회용 나무 젓가락은 일정 길이의 나무편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며 가운데 중앙으로는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절단면을 벌려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은 가공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아무 모양이 없는 것이나 특별히 용도를 위하여 별도 가공에 의한 무늬모양이나 형태를 추가하는 것도 있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용기에 덧씌워져 있는 랩 비닐을 쉽게 절단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무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음식물 용기에 씌어져 있는 랩 비닐을 뚫은 후, 가공된 톱니를 이용하여 썰듯이 랩 비닐을 절단하여 쉽게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하는 것이다.
즉, 일정 길이의 나무 편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며 가운데 중앙으로는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에 있어서,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면과 대응하는 양측 바깥면에 해당하는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하는 것이다.
또한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면 이외에 바깥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 하방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 부분을 사용하여 음식물 용기에 씌어져 있는 랩 비닐을 뚫은 후, 가공되어 있는 톱니를 사용하여 썰듯이 랩 비닐을 절단하여 쉽게 용기로부터 랩 비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 면 이외에 바깥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하면 톱니가 형성된 면을 찾지 아니하여도 어느 쪽으로나 다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에 형성된 부분 절단면을 벌려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바깥면에 형성된 톱니 모양의 돌기를 마주보게 하여 사용하면 톱니의 돌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미끄러지지 아니하고 쉽게 집어지는 더욱 상승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나무 젓가락을 분리하여 뒤집어 맞대어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물 용기에 덧씌어진 랩 비닐을 제거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와 같이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나무 젓가락의 가공 또는 생산방법에 상관없이 통상적인 일회용 나무 젓가락이면 전부 통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용기에 덧씌워져 있는 랩 비닐을 쉽게 절단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무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정 길이의 나무 편으로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며 가운데 중앙으로는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의 형상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나 가로 세로 비율이 2:1 정도의 것으로 부분적 절단면을 분리하였을 경우 한 개의 단면 형상이 거의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통상의 나무 젓가락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부분적 절단면을 양손으로 벌려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떼 내어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나무 젓가락을 분리하여 뒤집어 맞대어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음식물 용기에 덧씌어진 랩 비닐을 제거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와 같이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10)의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12)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 면과 대응하는 양측 바깥면에 해당하는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14)를 가공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14)는 가공방법이나 생산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공 또는 생산방법에 구애됨이 없이 어느 방식으로든지 톱니 모양 돌기(14)를 구성하는 정도면 족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 젓가락(10) 하방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14) 부분을 사용하여 음식물 용기에 씌어져 있는 랩 비닐을 뚫은 후, 가공되어 있는 톱니 모양 돌기(14)를 사용하여 썰듯이 랩 비닐을 절단하여 쉽게 용기로부터 랩 비닐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랩 비닐을 제거한 후, 나무 젓가락(10)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분적 절단면을 양손으로 벌려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12)을 떼 내어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바깥면에 형성된 톱니 모양의 돌기(14)를 마주보게 하여 사용하면 톱니의 돌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미끄러지지 아니하고 쉽게 잘 집어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무 젓가락(20)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22)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면을 제외한 바깥면 전부에 일정 구간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24)를 가공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무 젓가락(10,20) 하방 일정 구간에 형성하는 톱니 모양의 돌기(14, 24)는 하방으로부터 50 ~ 70mm 길이로 가공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톱니 모양 돌기(14, 24)의 크기는 도면 작도법상 크게 확대하여 그려졌으나, 랩 비닐을 제거하기 용이한 크기로 가공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 하방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 부분을 사용하여 음식물 용기에 씌어져 있는 랩 비닐을 뚫은 후, 가공되어 있는 톱니를 사용하여 썰듯이 랩 비닐을 절단하여 쉽게 용기로부터 랩 비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제외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 면 이외에 바깥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하면 톱니가 형성된 면을 찾지 아니하여도 어느 쪽으로나 다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 젓가락에 형성된 부분 절단면을 벌려 절단되지 아니한 붙어있는 구간을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바깥면에 형성된 톱니 모양의 돌기를 마주보게 하여 사용하면 톱니의 돌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미끄러지지 아니하고 쉽게 집어지는 더욱 상승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10, 20. 나무 젓가락 12, 22. 붙어있는 구간
14, 24. 톱니 모양 돌기

Claims (2)

  1. 일정 길이의 나무 편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며 가운데 중앙으로는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상기 절단면을 벌려 떼 내어 두 가락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는 일반적인 나무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면과 대응하는 양측 바깥면에 해당하는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젓가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젓가락 하방 끝 단부에서 중앙으로 부분적 절단면이 형성된 안쪽면 이외에 바깥면 전부의 일정 구간에 다수의 톱니 모양 돌기를 가공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 젓가락.
KR1020150176935A 2015-12-11 2015-12-11 나무 젓가락 KR20170069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35A KR20170069568A (ko) 2015-12-11 2015-12-11 나무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35A KR20170069568A (ko) 2015-12-11 2015-12-11 나무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68A true KR20170069568A (ko) 2017-06-21

Family

ID=5928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35A KR20170069568A (ko) 2015-12-11 2015-12-11 나무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95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7A (ko)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7A (ko) 2020-02-06 2021-08-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랩절단부를 구비한 나무젓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32736S1 (en) Tree decorating apparatus
USD893035S1 (en) Bandage
USD809339S1 (en) Knife handle
USD817493S1 (en)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D792151S1 (en) Knife handle
USD765217S1 (en) Fixed-blade knife
USD850977S1 (en) Portion of a buckle
USD835955S1 (en) Saw blade
USD752398S1 (en) Stackable disposable knife
USD735529S1 (en) Cutting tool handle
USD766672S1 (en) Large knife
USD885596S1 (en) Soft tissue mobilization tool
USD837374S1 (en) Blade grip
USD831212S1 (en) Surgical saw
USD909159S1 (en) Saw blade
USD745345S1 (en) Slice and sharpen for cutting board
USD720968S1 (en) Handles for a cutting instrument
USD805893S1 (en) Package
USD798987S1 (en) Knife handle
USD828123S1 (en) Stripping tool for leafy vegetables and herbs
USD831084S1 (en) Cutting tool
USD765216S1 (en) Fixed-blade knife
USD777003S1 (en) Cutting tool
USD880235S1 (en) Blade set
USD845372S1 (en) Gripp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