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2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21B1
KR102357521B1 KR1020170069269A KR20170069269A KR102357521B1 KR 102357521 B1 KR102357521 B1 KR 102357521B1 KR 1020170069269 A KR1020170069269 A KR 1020170069269A KR 20170069269 A KR20170069269 A KR 20170069269A KR 102357521 B1 KR102357521 B1 KR 10235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diffraction
disposed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024A (ko
Inventor
이소영
강선미
김현호
장철
정선영
조상환
최충석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21B1/ko
Priority to US15/981,837 priority patent/US10903284B2/en
Priority to CN201810554702.2A priority patent/CN108987605B/zh
Publication of KR2018013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01L51/527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33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a diffractive element [DOE] contributing to a non-imaging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51/5253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지며, 휘도 및 시야각이 크고,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효 발광 면적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블러링 시인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 및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단면의 폭을 제1 길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1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0.4 ≤ d1/DP1 < 1
(상기 수학식 1에서 DP1은 제1 주기, d1은 제1 길이)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효 발광 면적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블러링 시인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및 회절 패턴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화소부의 평면 및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봉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봉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I2-I2'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1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면적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유효 발광 면적비가 증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I2-I2'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발광 영역을 만족하기 위한 휘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기준 발광 패턴, 제1 복제 발광 패턴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에서의 휘도를 표시 색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도 8에 도시한 기준 발광 패턴을 기준으로 제1 복제 발광 패턴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에서의 휘도를 정규화시킨 그래프이다.
도 13의 (a)는 유기 발광 소자가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의 (b)는 유기 발광 소자가 녹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의 (c)는 유기 발광 소자가 적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의 (a) 내지 (c)는 도 12의 (a) 내지 (c) 각각을, 기준 발광 패턴의 휘도를 기준으로, 제1 복제 발광 패턴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의 휘도를 정규화시킨 그래프이다.
도 15는 제1 회절 거리를 결정하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부의 화소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력 감지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a는 도 17에 도시한 제1 도전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7에 도시한 제2 도전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도 2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회절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6 내지 도 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한 I3-I3'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한 제2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6의 (b)는 도 56의 (a)의 제3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7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7의 (b)는 도 57의 (a)의 제4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소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시점에 따라 다른 소자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된 당해 구성은 "층"으로 표현된다. 또한, 다른 구성과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된 구성은 "패널"로 표현된다. 패널은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층을 포함하지만, 층은 상기 베이스 층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층"이라 표현하면, 다른 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 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베이스 층은 일 실시예로 합성 수지 필름, 복합 재료 필름 및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감지층(300)은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경우 입력 감지 패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은 베이스 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각각 반사 방지층 및 윈도우 층으로 표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표시 패널(100)은 일 실시예로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10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표시 패널(100)은 퀀텀 닷(quantum dot) 표시 패널 또는 액정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10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후술하는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도면 부호 100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도면 부호 101 또는 102로 표현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표시 패널(100)과 일 실시예로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부재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 부재는 일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OCR) 또는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절 패턴층(200)은 표시 패널(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 소자는 일 실시예로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즉, 회절 패턴층(200)이 표시 패널(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시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회절 패턴층(200)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회절 패턴층(200)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 및 제1 보호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 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0) 상에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시켜, 광의 발광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일 실시예로, 주기성을 갖는 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주기성 및 형상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보호층(220)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220)은 일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220)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1 보호층(220)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보호층(220)은 공기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입력 감지층(300)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300)은 일 실시예로, 제1 보호층(220) 상에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300)은 외부 입력, 예를 들어 터치(touch) 등을 통해,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층(300)은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거나, 사용자 손가락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지문 감지 패널일 수 있다.
입력 감지층(300)은 일 실시예로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감지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입력 감지층(300)은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압력 감지 방식을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입력 감지층(300)이 표시 패널(100)과 전체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입력 감지층(300)은 표시 패널(10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만 중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입력 감지층(30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과 중첩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입력 감지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일 실시예로, 입력 감지층(300)과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 부재(61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 부재(610)는 다른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610)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R)일 수도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윈도우 패널(500)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일 실시예로 위상 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자는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 또는 액정 코팅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위상 지연자는 λ/2 위상 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 또는 액정 코팅 타입일 수 있다. 여기서, 필름 타입은 연신형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코팅 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는 일 실시예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 자체는 반사 방지 패널(400)의 베이스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위상 지연자 및 편광자가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경우라면, 상기 보호 필름이 반사 방지 패널(400)의 베이스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일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과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착 부재(62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접착 부재(620)는 다른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620)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R)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표시 패널(100) 상에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로, 표시 패널(101, 102) 상에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및 반사 방지 패널(500)간의 적층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100) 및 회절 패턴층(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 및 회절 패턴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화소부의 평면 및 단면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10), 제1 화소 전극(121)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120), 화소 정의막(130),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공통 전극(150), 제1 버퍼층(151) 및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화소 전극(121) 및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를 포함하는 화소부를 제1 화소부(PX1)로 표현하기로 한다.
제1 기판(110)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일 실시예로, 유리, 석영, 고분자 수지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다른 실시예로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복수의 화소 전극(120)은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기판(110)과 복수의 화소 전극(120) 사이에는 복수의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성은 일 실시예로 버퍼층, 복수의 도전성 배선, 절연층 및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아몰퍼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산화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등을 채널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의 채널층의 종류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역할 또는 공정 순서를 고려하여,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저온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화소부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복수의 화소 전극(120)에 대해서는 제1 화소 전극(12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화소 전극(121)은 일 실시예로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21)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 제1 화소 전극(121)은 반사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성 재료는 일 실시예로, 은(Ag), 마그네슘(Mg), 크롬(Cr), 금(Au), 백금(Pt), 니켈(Ni), 구리(Cu), 텅스텐(W) 및 알루미늄(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사막과 반사막 상에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130)은 제1 화소 전극(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30)은 제1 화소 전극(12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OP1)를 포함한다. 화소 정의막(13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130)은 포토 레지스트, 폴리이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 화합물,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 전극(121)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 마름모일 수 있다. 또한,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 마름모일 수 있다. 다만, 제1 화소 전극(121)의 형상 및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1 화소 전극(121)의 형상 및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의 형상은 복수의 화소부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는 복수의 화소 전극(120) 및 화소 정의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에 대해서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제1 화소 전극(121) 중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를 통해 노출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130)의 개구부(OP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일 실시예로 적색(red) 광, 녹색(green) 광 및 청색(blue) 광 중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적색 광의 파장은 약 620nm 내지 750nm일 수 있으며, 녹색 광의 파장은 약 495nm 내지 570nm일 수 있다. 또한, 청색 광의 파장은 약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백색(white)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가 백색을 발광하는 경우,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일 실시예로,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유기 발광 소자(141)는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등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공통 전극(150)은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화소 정의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150)은 일 실시예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화소 정의막(130)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150)은 일 실시예로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150)은 일 실시예로 Li. Ca, Lif/Ca, LiF/Al, Al, Ag, 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극(150)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150)은 일 실시예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 Oxide), (IGO, Indium Gallium Oxide) 및 AZO(Aluminum Zinc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다.
제1 버퍼층(151, buffer layer)은 공통 전극(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퍼층(151)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1 버퍼층(151)은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버퍼층(151)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가 단층 또는 적층 구조로 적층된 형태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버퍼층(151)은 공기층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버퍼층(151)이 공기층인 경우는 공통 전극(150)과 제1 봉지층(160) 사이에 특별한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버퍼층(151)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통 전극(150) 상에는 캐핑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캐핑층은 공통 전극(150)으로 입사된 광이 전반사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캐핑층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버퍼층(151)은 일 실시예로 캐핑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봉지층(160)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를 덮도록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는 제1 기판(110)과 제1 봉지층(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봉지층(160)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를 외부의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제1 봉지층(160)은 일 실시예로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제1 봉지층(160)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일 수 있다. 제1 봉지층(160)과 제1 기판(110) 사이에는 제1 봉지층(160) 및 제1 기판(110)의 합착을 위해, 실링(sealing)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봉지층(160)은 투명 절연 기판인 경우를 예시하며, 후술하는 제2 봉지층(170)은 유/무기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회절 패턴층(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이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회절 패턴층(200)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절 패턴층(200)은 도 2를 기준으로 제1 봉지층(16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회절 패턴층(200)이 제1 봉지층(1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주기성을 갖는 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일 실시예로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주기성 및 형상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봉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봉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I2-I2'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일 실시예로 제1 봉지층(160)으로부터 도 4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방향은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도 2 참조)에서 출사되는 광 경로 방향이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형상은 일 실시예로 원기둥일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여기서, 원형은 평면 상 실질적으로 원에 가까운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원형은 타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에 가까운 다각형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1)는 도 6을 기준으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하부 면에서 상부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1 주기(DP1)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1 길이(d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의 정의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회절 패턴(211a) 및 제2 회절 패턴(212a)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1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가상 선(cl1)을 따라 자른 단면 영역(cs1)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 가상 선(cl1)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두께(t1)의 절반 지점을 지나가는 선을 의미한다. 도면 부호 211a1은 제1 가상 선(cl1)을 따라 자른 제1 회절 패턴(211a)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212a1은 제1 가상 선(cl1)을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a)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주기(DP1)는 제2 회절 패턴(212a)의 단면(212a1)의 일 측과 인접한 제1 회절 패턴(211a)의 단면(211a1)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절 패턴(212a)의 단면(212a1)의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회절 패턴(212a)을 예를 들면, 제1 길이(d1)는 제2 회절 패턴(212a)의 단면(212a1)의 폭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제1 가상 선(cl1)을 따라 자른 단면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패턴(210) 중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 간의 주기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 간의 주기는 일 실시예로 모두 제1 주기(DP1)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의 개수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의 개수는 일 실시예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X)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행 방향으로 정의된다. 제2 방향(Y)은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제1 방향(X)과 수직으로 교차되는 열 방향으로 정의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주기(DP1), 제1 길이(d1) 및 제1 두께(t1)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에서 출사되는 광의 제1 회절 각(θ1, 도 8 참조), 회절 패턴층(200)을 통과한 광의 제2 회절 각(θ2, 도 8 참조), 제1 회절 거리(β1, 도 8 참조) 및 휘도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발광 면적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의 회절에 의해 발광 면적이 확대되는 것을 제1 화소부(PX1)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일부 구성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에 의해, 제1 영역(TA1)에 생성된 발광 패턴을 제1 발광 패턴(EP1)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을 통과한 광(L2a, L2b, L2c)에 의해, 제2 영역(TA2)에 생성된 발광 패턴을 제2 발광 패턴(EP2)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회절 패턴층(200)을 통과한 광(L2a, L2b, L2c)을 이하 회절 광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은 제1 봉지층(160)을 통과하여 회절 패턴층(20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은 제1 봉지층(160) 및 제1 버퍼층(151)의 굴절률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광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1 봉지층(160) 및 제1 버퍼층(151)의 굴절률에 의해 광 경로가 변경되는 내용은 후술하는 제1 회절 거리(β1)와의 관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회절시켜, 제1 내지 제3 회절 광(L2a, L2b, L2c)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절 광(L2a, L2b, L2c)은 각각 0차(order) 및 1차 회절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0차 회절 광은 회절 패턴층(200)에 의해 회절되기 전과 후의 광 경로가 동일한 광을 의미한다. 또한, 1차 회절 광은 광 경로가 회절 패턴층(200)에 의해 변경되되, 0차 회절 광을 기준으로 제2 회절 각(θ2)을 갖는 광을 의미한다.
도 8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도면 부호 L2b1, L2a1 및 L2c1은 0차 회절 광이다. 또한, 도면 부호 L2b2, L2b3, L2a2, L2a3, L2c2 및 L2c3는 1차 회절 광이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내지 제3 회절 광(L2a, L2b, L2c)은 2차 이상의 회절 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내지 제3 회절 광(L2a, L2b, L2c)이 0차 회절 광 및 1차 회절 광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회절 광(L2a, L2b, L2c)은 각각 제1 기판(110)에 수직 방향의 광 경로를 갖는 제1 내지 제3 유효 광(L2a1, L2b3, L2c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제1 기판(110)을 기준으로 완전히 수직인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직에 가까운 방향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효 광은 제1 기판(110)에 수직 방향의 광 경로를 갖는 경우라면, 회절 광의 차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유효 광은 수직 방향의 광 경로를 갖는 경우라면, 0차 회절 광 및 1차 회절 광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회절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유효 광(L2a1, L2b3, L2c2)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발광 패턴(EP2)은 기준 발광 패턴(Pref) 및 기준 발광 패턴(Pref)으로부터 복제된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준 발광 패턴(Pref)과 제1 복제 발광 패턴(P1)의 휘도는 다를 수 있다. 이하,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에 대해서는 제1 복제 발광 패턴(P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영역(TA1)과 제2 영역(TA2)은 면적이 동일하다. 이에 반해, 제2 영역(TA2)에 포함되는 발광 패턴의 개수는 제1 영역(TA1)에 포함되는 발광 패턴의 개수보다 많다. 이는 곧, 제2 영역(TA2)의 발광 영역의 면적이 제1 영역(TA1)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의미한다. 즉, 제2 영역(TA2)이 제1 영역(TA1)에 비해, 발광되지 않는 영역(즉, 비발광 영역)의 면적이 적은 것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영역의 면적이 넓은 것은 유효 발광 면적비가 큰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유효 발광 면적비는, 일 영역의 면적 대비, 일 영역 내에 존재하는 발광 패턴의 면적의 비로 정의된다. 여기서, 유효 발광 면적비를 계산하기 위한 발광 패턴은 기준 발광 패턴 및 복제 발광 패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영역(TA2)은 기준 발광 패턴(Pref) 및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을 포함하여 9개의 발광 패턴이 존재하는데 반해, 제1 영역(TA1)은 1개의 발광 패턴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제2 영역(TA2)의 유효 발광 면적비는 제1 영역(TA1)의 유효 발광 면적비보다 크다.
다만, 유효 발광 면적비를 산출하기 위한 복제 발광 패턴은 기준 발광 패턴의 휘도의 약 3% 이상의 휘도를 갖는 복제 발광 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이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의 휘도를 갖는 경우, 상기 유효 발광 면적비를 산출하는 요소로써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복제 발광 패턴이 기준 발광 패턴의 휘도의 약 3% 이상의 휘도를 갖는 경우라면, 복제 발광 패턴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의 휘도보다 높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유효 발광 면적비가 증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9의 (a)는 회절 패턴층(200)을 통과하기 전의 발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도 9의 (b)는 회절 패턴층(200)을 통과한 이후의 발광 패턴이 배치된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TA1'은 제1 영역(TA1, 도 8 참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TA2'은 제2 영역(TA2, 도 8 참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TA1' 및 TA2'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영역(TA1')에 비해, 제2 영역(TA2')의 경우가 동일한 면적에서 발광 영역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유효 발광 면적비가 증가한 것임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을 회절시킴으로써, 유효 발광 면적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발광 면적비가 증가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으로부터 출사된 광(L1)의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을 만족하기 위한 요소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I2-I2'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발광 영역을 만족하기 위한 휘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기준 발광 패턴, 제1 복제 발광 패턴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에서의 휘도를 표시 색 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은 도 8에 도시한 기준 발광 패턴을 기준으로 제1 복제 발광 패턴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에서의 휘도를 정규화시킨 그래프이다.
기준 발광 패턴(Pref) 및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의 휘도는 제1 주기(DP1), 제1 길이(d1), 제1 두께(t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굴절률(n1)과 제1 보호층(220)의 굴절률(n2)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 간의 관계가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제1 두께(t1),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굴절률(n1) 및 제1 보호층(220)의 굴절률(n2)의 굴절률 간의 관계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턴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중 기준 발광 패턴(Pref)과 동일 행 또는 동일 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복제 발광 패턴(P1, P2, P3, P4)은 일 실시예로 서로 휘도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중 기준 발광 패턴(Pref)과 대각선 방향에 배치되는 제5 내지 제8 복제 발광 패턴(P5, P6, P7, P8)은 일 실시예로 서로 휘도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복제 발광 패턴(P1, P2, P3, P4) 및 제5 내지 제8 복제 발광 패턴(P5, P6, P7, P8)은 일 실시예로 서로 휘도가 다를 수 있다. 이하, 기준 발광 패턴(Pref),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전술한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해야 한다.
[수학식 1]
0.4 ≤ d1/DP1 ≤ 1
상기 수학식 1에 대해, 도 8,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의 (a)는 유기 발광 소자가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 d1/DP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의 (b)는 유기 발광 소자가 녹색을 발광하는 경우, d1/DP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의 (c)는 유기 발광 소자가 적색을 발광하는 경우, d1/DP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도 11의 (a) 내지 (c) 각각을,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를 기준으로,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의 휘도를 정규화시킨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의 intensity는 휘도의 강도를 의미한다.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d1/DP1의 값이 증가할 때,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가 대체로 감소하는 반면,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의 휘도는 대체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준 발광 패턴(Pref)을 기준으로 휘도를 정규화시킨 도 12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d1/DP1의 값이 약 0.4 이상일 때, 제1 복제 발광 패턴(P1)의 휘도는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인 것을 알 수 있다. d1/DP1의 값이 약 0.7 내지 0.9인 경우, 제1 복제 발광 패턴(P1)의 휘도는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d1/DP1의 값이 1인 경우는 결국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므로,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가 서로 동일하더라도,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단면은 인접한 회절 패턴의 단면과 접하지 않는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d1/DP1의 값은 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두께(t1),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굴절률(n1) 및 제1 보호층(220)의 굴절률(n2)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해야 한다. 만약, 복수의 회절 패턴(210) 상에 제1 보호층(220) 대신 다른 구성이 배치되는 경우, 하기의 n2는 상기 다른 구성의 굴절률로 치환될 수 있다.
[수학식 2]
(m * λ) - 60(nm) ≤ A ≤ (m * λ) + 60(nm)
A ≠ △nt1
(△nt1 및 A의 단위: nm, △n = |n1-n2|, m은 0 이상의 정수)
상기 수학식 2에 대해, 도 8, 도 10,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의 (a)는 유기 발광 소자가 청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의 (b)는 유기 발광 소자가 녹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의 (c)는 유기 발광 소자가 적색을 발광하는 경우, △nt1 값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의 (a) 내지 (c)는 도 12의 (a) 내지 (c) 각각을,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를 기준으로,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의 휘도를 정규화시킨 그래프이다.
도 1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기준 발광 패턴(Pref)은 △nt1 값이 커짐에 따라 휘도의 증감이 반복된다. 기준 발광 패턴(Pref)의 △nt1 값에 따른 휘도는 그래프 상 대체로 사인(si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준 발광 패턴(Pref)을 기준으로 휘도를 정규화시킨 도 1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nt1 값이 커짐에 따라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각각의 휘도의 증감이 반복된다. 즉,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각각의 △nt1 값에 따른 휘도는 그래프 상 대체로 사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4의 (c)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c)에 도시된 m1 내지 m3 구간은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모두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미만인 영역이다. 즉, m1 내지 m3 구간은 상기 수학식 2의 A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nt1 값의 범위는 상기 수학식 2의 A의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도 14의 (c)의 m2 구간은 m=1일 때의 A 값의 범위를 나타낸 구간이다. 한편, 도 14의 (c)에서의 λ는 620nm이므로, 상기 값들을 수학식 2에 반영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1 * 620nm) - 60(nm) ≤ A ≤ (1 * 620nm) + 60(nm)
=> 560nm ≤ A ≤ 680nm
도 1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A의 범위(560nm ≤ A ≤ 680nm)에서,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모두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nt1 값이 상기 수학식 2의 A의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 간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으며, 제1 두께(t1),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굴절률(n1) 및 제1 보호층(220)의 굴절률(n2)의 굴절률 간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패턴의 휘도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 간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1 주기(DP1)는 약 3.5um 이상 20um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길이(d1)는 약 1.4um 이상 20u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두께(t1),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굴절률(n1) 및 제1 보호층(220)의 굴절률(n2)의 굴절률 간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경우라면, △n 및 t1의 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n은 약 0.47일 수 있다. 또한, 제1 두께(t1)는 약 500nm 이상 내지 650n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할 때, d1/DP1 값이 0.45 이상 1 이하인 경우,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모두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일 수 있다.
즉, d1/DP1 값이 0.45 이상 1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고, △nt1 값이 수학식 2의 A의 범위와 다른 경우라면, 제1 복제 발광 패턴(P1) 및 제5 복제 발광 패턴(P5) 모두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일 수 있다. 이는 곧,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모두가 기준 발광 패턴(Pref)의 휘도의 약 3% 이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유효 발광 면적비와 제1 회절 거리(β1)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유효 발광 면적비는 제1 회절 거리(β1)가 클수록 대체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절 거리(β1)는 기준 발광 패턴(Pref)과 복수의 복제 발광 패턴(P1 내지 P8, 도 8 참조) 중 하나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제1 회절 거리(β1)는 기준 발광 패턴(Pref)과 제1 복제 발광 패턴(P1)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β1(um) 유효 발광 면적비(%)
적색(R) 녹색(G) 청색(B)
0.0 5.8 6.6 6.9
2.4 13.4 19.1 14.8
4.8 19.5 32.1 27.7
7.2 24.7 48.6 39.0
9.6 47.8 82.6 61.1
12.1 74.4 93.9 83.8
14.5 77.1 86.6 89.0
16.9 79.5 97.9 93.8
19.3 89.1 85.6 96.5
즉, 유효 발광 면적비는 제1 회절 거리(β1)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제1 회절 거리(β1)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제1 회절 거리를 결정하는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회절 거리(β1)는 일 실시예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의 발광 색,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의 거리(Z),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의 굴절률, 즉 제1 봉지층(160)의 굴절률(nEN) 및 제1 버퍼층(151)의 굴절률(n151),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주기(DP1), 제1 회절 각(θ1) 및 제2 회절 각(θ2)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버퍼층(151)이 공기층인 경우라면, 제1 버퍼층(151)의 굴절률(n151)은 공기층의 굴절률(약 1)로 표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회절 거리(β1)는 아래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1
여기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는 z1 및 z2의 합으로 정의된다. z1은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제1 봉지층(160)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며, z2는 제1 봉지층(16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즉, z2는 제1 봉지층(160)의 두께로도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θ1 및 θ2는 각각 제1 회절 각 및 제2 회절 각을 의미한다.
제1 회절 각(θ1)은 하기의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2
여기서, λ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의 발광 색의 파장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회절 각(θ2)은 하기의 수학식 5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3
즉, 제1 회절 각(θ1)은 제1 주기(DP1) 및 제1 버퍼층(151)의 굴절률(n15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절 각(θ2)은 제1 주기(DP1) 및 제1 봉지층(160)의 굴절률(nEN)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 수학식 4 및 5를 대입하면, 제1 회절 거리(β1)는 아래의 수학식 6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4
일 실시예로, 제1 버퍼층(151) 대신, 제1 봉지층(160)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사이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수학식 6의 n151는 상기 다른 구성의 굴절률로 치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버퍼층(151)이 생략되고, 제1 봉지층(160)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수학식 6의 n151은 공기층의 굴절률(약 1)로 치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버퍼층(151)의 두께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라면, 결국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사이의 최단 거리(Z)는 제1 봉지층(160)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절 거리(β')는 아래의 수학식 7로도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5
즉, 제1 회절 거리(β1)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의 발광 색,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의 거리(Z), 제1 봉지층(160)의 굴절률(nEN),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주기(DP1), 제1 회절 각(θ1) 및 제2 회절 각(θ2)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발광 면적비는 제1 회절 거리(β1)가 길어질 때 대체로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1 회절 거리(β1)가 길어지는 경우, 블러링(blurring)이 발생될 수 있다. 블러링은 인접 화소와의 표시 색이 겹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이미지 번짐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유효 발광 면적비 증가와 블러링에 대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적절한 제1 회절 거리(β1)를 산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 유효 발광 면적비 및 블러링 각각은 화소 간의 거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배치가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동일한 회절 거리(β)를 갖는 경우라도, 화소 배치가 달라 인접한 화소 간의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효 발광 면적비 및 블러링 발생 정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유효 발광 면적비 및 블러링의 균형을 위해, 제1 회절 거리(β1)뿐만 아니라 인접한 화소 간의 거리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16를 참조하여, 화소 간의 거리에 대해 먼저 정의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2에 도시한 표시 패널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소부의 화소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도 16에서는 화소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1 화소부(PX1)를 도시하였으나, 도 2에 도시한 제1 화소부(PX1)와 도 16에 도시한 제1 화소부(PX1)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6을 참조하여, 제1 화소부(PX1) 내지 제4 화소부(PX4)의 배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화소부(PX1)는 제3 화소부(PX3)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부(PX2)는 제4 화소부(PX4)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부(PX1)는 제2 화소부(PX2)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화소부(PX3)는 제4 화소부(PX4)와 제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화소부(PX1) 내지 제4 화소부(PX4)는 일 실시예로 평행 사변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구성과 제2 구성이 이웃한다”고 표현하는 경우,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 제1 구성 및 제2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화소부(PX1) 내지 제4 화소부(PX4)는 일 실시예로, 모두 마름모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화소부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도 14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화소부(PX1)는 일 실시예로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화소부(PX1)는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4 화소부(PX2, PX4)는 일 실시예로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및 제4 화소부(PX2, PX4)는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화소부(PX3)는 일 실시예로 청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3 화소부(PX3)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 내지 PX4)는 하나의 화소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 내지 PX4)는 RGBG 펜타일(pentile) 방식으로 화소 영역(DA1)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화소 영역(DA)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부의 배치 관계는 도 16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부의 배치 관계는 화소부의 표시 색, 적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해상도 및 개구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화소 간의 거리(PP1)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부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부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하, 녹색을 발광하는 제2 화소부(PX2) 및 제4 화소부(PX4)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 간의 거리(PP1)는 제2 화소부(PX2) 내에 위치하는 제1 중심점(cp1) 및 제4 화소부(PX4) 내에 위치하는 제2 중심점(cp2)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중심점(cp1) 및 제2 중심점(cp2)은 각각 제2 화소부(PX2) 및 제4 화소부(PX4)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의 중심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회절 거리(β1), 화소 간의 거리(PP1) 및 유효 발광 면적비와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2는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에 따른 유효 발광 면적비를 나타낸 것이다.
β1 / PP1 유효 발광 면적비(%)
적색(R) 녹색(G) 청색(B)
0.00 5.8 6.6 6.9
0.05 13.4 19.1 14.8
0.10 19.5 32.1 27.7
0.15 24.7 48.6 39.0
0.21 47.8 82.6 61.1
0.26 74.4 93.9 83.8
0.31 77.1 86.6 89.0
0.36 79.5 97.9 93.8
0.41 89.1 85.6 96.5
표 2를 참조하면, 유효 발광 면적비는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가 커질수록, 대체로 증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표 3을 참조하여, 제1 회절 거리(β1), 화소 간의 거리(PP1) 및 블러링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3는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에 따른 블러링 인지 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블러링 인지 점수는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을 변경하면서 이에 대한 블러링 인지 정도를 사용자들에게 실험한 결과로써, 사용자들 각각의 블러링 인지 정도를 평균 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블러링 시인 점수가 5점 이상인 경우는, 사용자들이 화면을 볼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블러링이 인지되는 경우이다.
β1 / PP1 블러링 인지 점수(만점: 10점)
0.2 1.3
0.45 1.2
0.89 2.4
1.33 4.0
1.89 5.1
2.26 6.4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이 약 1.89 이상일 때, 사용자들의 블러링 인지 점수는 5점 이상이 된다. 이는 곧,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이 약 1.9보다 큰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블러링을 인지하여 불편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표 2 및 표 3을 고려할 때,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은 하기의 수학식 8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8]
0.1 ≤ β1 / PP1 ≤ 1.9
즉,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은 유효 발광 면적비 및 블러링 시인 정도의 균형을 위해, 0.1 이상 1.9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블러링 시인으로 인한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유효 발광 면적비를 증가시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회절 거리(β1) / 화소 간의 거리(PP1)의 값이 0.1 이상 1.9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라면, 제1 회절 거리(β1) 및 화소 간의 거리(PP1) 각각의 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1 봉지층(16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의 최단 거리(z2), 즉 제1 봉지층(160)의 두께(z2)와 제1 주기(DP1)는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값을 가질 수 있다.
case z2(mm) DP1(um)
1 0.2 0.88 - 15.3
2 0.3 1.24 - 22.7
3 0.5 2 - 37.4
다음으로,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300)에 대해 도 1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17 내지 도 28은 회절 패턴층(200)과 입력 감지층(3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 표시 패널(100), 회절 패턴층(200) 및 입력 감지층(300)만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반사 방지 패널(400) 또는 별도의 보호층 등이 표시 패널(100), 회절 패턴층(200) 및 입력 감지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입력 감지층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감지층(300)이 "층" 형태로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됨에 따라, 베이스 층이 생략되어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도전층(310), 제1 절연층(320), 제2 도전층(330) 및 제2 절연층(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은 일 실시예로,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은 일 실시예로,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은 다른 실시예로, 도 17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을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 구조의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은 다층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층의 금속층은 일 실시예로,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 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310)은 복수의 제1 도전 패턴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330)은 복수의 제2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및 제2 도전 패턴 각각은 복수의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 및 제2 절연층(340)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320) 및 제2 절연층(340)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복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절연층(320) 및 제2 절연층(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절연층(320) 및 제2 절연층(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을 이하 제1 입력 감지층(301)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입력 감지층(301)은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표시 영역(DD-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은 비표시 영역(DD-N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DD-DA)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또한, 비표시 영역(DD-NDA)은 표시 영역(DD-DA)의 외곽에 위치한 영역으로써,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한편,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의 적층 구조 및 재료는 센싱 감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감도는 RC 딜레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금속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은 투명 도전층 대비 저항이 작으므로, RC 값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따라, 금속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 사이에서 정의되는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은 상대적으로 RC 값이 크다. 이에 따라,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은 금속층 대비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고, 입력 면적이 증가하여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금속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감지 전극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로 메쉬(mes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일 실시예로, 뮤추얼 캡(mutual cap) 방식 및/또는 셀프 캡(self cap)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다른 실시예로, 제1 구간 동안에 뮤추얼 캡 방식 외부 입력의 좌표를 산출한 후 제2 구간 동안에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재 산출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각각은 복수의 제1 연결부(310a) 및 복수의 제1 센서부(3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 각각은 복수의 제2 센서부(330b)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일 실시예로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다각형 형상을 갖거나, 또는 센서부 및 연결부의 구분이 없는 형상(예컨대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인접한 복수의 제1 센서부(330a)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는 인접한 복수의 제2 센서부(330b)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은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의 일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은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은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을 포함하는 제1 입력 감지층(301)에 대비하여, 센싱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대비 길이가 크기 때문에, 검출 신호(또는 송신 신호)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센싱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을 통해 검출 신호(또는 전송 신호)를 제공하므로, 검출 신호(또는 송신 신호)의 전압 강하을 방지하여 센싱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은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은 라인부(SL-L) 및 패드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SL-P)는 패드 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입력 감지층(301)은 복수의 신호 패드(DP-P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패드(DP-PD)는 일 실시예로, 패드 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은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회로 기판 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입력 감지층(301)은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적 더미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1 입력 감지층(301)의 단면 배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a는 도 17에 도시한 제1 도전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7에 도시한 제2 도전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도전층(310)은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도전층(310)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는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와 다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는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일 실시예로 이들과 다른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제1 도전층(310)은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제1 도전층(310)으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각각은 일체의 형상(single body)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320)은 복수의 제1 연결부(310a)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은 일 실시예로, 표시 영역(DD-DA) 및 비표시 영역(DD-NDA)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320)에는 복수의 제1 연결부(310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1 연결 컨택홀(CNT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층(320)에는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제1 라인부(SL2-11 내지 SL2-41)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복수의 제2 연결 컨택홀(CNT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9b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도전층(330)은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복수의 제2 센서부(330b)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 각각은 일 실시예로,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서부(330a)는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과 이격된다.
제2 도전층(330)은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2 라인부(SL1-12 내지 SL1-52),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패드부(SL-P),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2 라인부(SL2-12 내지 SL2-42)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패드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층(330)은 복수의 신호 패드(DP-P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복수의 제2 센서부(330b)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는 일 실시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복수의 제2 센서부(330b)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c)는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2 라인부(SL1-12 내지 SL1-52),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패드부(SL-P),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제2 라인부(SL2-12 내지 SL2-42) 및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패드부(SL-P) 및 복수의 신호 패드(DP-PD)는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복수의 제2 연결부(330c) 및 복수의 제2 센서부(330b)와 동일 공정 또는 다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절연층(340)은 표시 영역(DD-DA) 및 비표시 영역(DD-NDA)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40)은 패드 영역(NDA-PD)을 노출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센서부(330a)는 복수의 제1 연결 컨택홀(CNT1)을 통해 복수의 제1 연결부(3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1 센서부(330a)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각각 복수의 제2 연결부(330c)와 교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연결부(310a)의 폭(평면에서 측정됨)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생 캐패시턴스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센싱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저항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제1 연결부(310a)는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제1 라인부(SL1-11 내지 SL1-51)와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은 고분자층, 예를 들면 아크릴 고분자층일 수 있다. 제2 절연층(340) 역시 고분자층, 예를 들면 아크릴 고분자층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입력 감지층(301)이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리티(flexblitiy)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및 복수의 제2 센서부(330b)는 메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센서부(330a) 및 복수의 제2 센서부(330b)는 메탈 메쉬(metal mesh) 패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7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보호층(350a)은 제1 입력 감지층(301)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보호층(350a)은 회절 패턴층(200)과 제1 입력 감지층(30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절 패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보호층(350a)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3은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다만, 도 17 내지 도 2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입력 감지층(301)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은 제1 입력 감지층(3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도전층(310)은 표시 패널(10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은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봉지층(160)은 일 실시예로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으므로, 결국 입력 감지층(300)은 투명 절연 기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1 입력 감지층(3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2 절연층(3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연층(340)은 일 실시예로 평탄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절 거리(β1, 도 8)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 사이의 거리(Z)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만약,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 사이의 거리(Z)가 작아지는 경우, 동일한 제1 회절 거리(β1)를 얻기 위해서라면, 제1 주기(DP1)가 작아져야한다. 제1 주기(DP1)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 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하므로, 제1 주기(DP1)가 작아지는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 간의 이격 거리가 짧아 공정 상 복수의 회절 패턴(210)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 사이의 거리(Z)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 사이의 다른 구성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다른 구성의 두께 및 굴절률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22를 참조할 때, 회절 패턴층(200)이 제1 입력 감지층(301) 상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거리(β1)가 변동될 수 있다. 변동된 제1 회절 거리를 이하, 제2 회절 거리(β2)로 표기하기로 한다.
제2 회절 거리(β2)는 하기의 수학식 9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9]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6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7
여기서,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는 z1, z2 및 z3의 합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z3는 제1 입력 감지층(301)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n301은 제1 입력 감지층(301)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즉, 제2 회절 거리(β2)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의 발광 색,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의 거리(Z), 제1 봉지층(160)의 굴절률(nEN), 제1 입력 감지층(301)의 굴절률(n301) 및 복수의 회절 패턴(210)의 제1 주기(DP1)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봉지층(160)의 두께(즉, z2)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제1 입력 감지층(301)이 배치됨에 따라, 작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제1 입력 감지층(30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내지 도 29는 도 2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5 내지 도 29는 도 18에 도시한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대응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3 보호층(350b)은 제1 입력 감지층(301)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보호층(350b)은 회절 패턴층(200)과 제1 도전층(31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절 패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보호층(350b)은 회절 패턴층(200)에 대해, 평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보호층(350b)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3 및 도 2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1에 도시한 제2 보호층(350a)이 제1 입력 감지층(301)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2 입력 감지층(302)은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b)은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b)는 컨택홀을 통해 복수의 제1 센서부(330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 감지층(302)은 도 20에 도시한 제1 입력 감지층(301) 대비, 제1 도전층(310) 및 제2 도전층(330)의 적층 순서가 서로 변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는 복수의 제1 연결부(310b) 보다 도 25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제1 신호 라인(SL1-1 내지 SL1-5)의 복수의 패드부(SL-P)와 복수의 제2 신호 라인(SL2-1 내지 SL2-4)의 복수의 패드부(SL-P)는 제2 도전층(330)보다 상측에 배치된 제1 도전층(310)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3 보호층(350c)은 회절 패턴층(200)과 회절 패턴층(330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보호층(350c)은 제1 보호층(22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3 보호층(350c)은 일 실시예로,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물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한 표시 장치 대비,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회절 패턴층(200)의 적층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투명 절연 기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연층(340)은 일 실시예로 평탄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이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거리(β1)가 변동될 수 있다. 변동된 제1 회절 거리를 이하, 제3 회절 거리(β3)로 표기하기로 한다.
제3 회절 거리(β3)는 하기의 수학식 10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0]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8
Figure 112017053199593-pat00009
여기서, z3는 제2 입력 감지층(302)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n302은 제2 입력 감지층(302)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4 보호층(350d)은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보호층(350d)은 회절 패턴층(200)과 제2 입력 감지층(302) 사이에 배치되어, 회절 패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보호층(350d)은 회절 패턴층(200)에 대해, 평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4 보호층(350d)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표시 패널(100) 사이에도 별도의 보호층 또는 버퍼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3 입력 감지층(303)은 복수의 절연 패턴(320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제1 절연층(320b)은 상기 복수의 절연 패턴(320c)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c)는 복수의 절연 패턴(320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c)는 복수의 절연 패턴(320c) 상에서, 복수의 절연 패턴(320c)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제1 센서부(330d)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절연 패턴(320c)은 감광물질, 이산화 실리콘, 이산화티타늄, 산화 아연,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및 산화 탄탈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절연 패턴(320b)은 그 밖의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0은 도 1에 도시한 표시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회절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만, 도 1 내지 도 29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1)은 제2 봉지층(170) 및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봉지층(170)은 일 실시예로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봉지층(170)은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171)은 공통 전극(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기층(171)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층(172)은 제1 무기층(17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172)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층(172)은 화소 정의막(130)에 의한 단차를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무기층(173)은 유기층(17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기층(173)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1에서는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이 단일 층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은 다층 구조로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무기층(171) 및 제2 무기층(173)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무기층이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경우, 상기 다층 구조의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HMDSO층(Hexamethyldisiloxane layer)일 수 있다. HMDSO 층(Hexamethyldisiloxane layer)은 스트레스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봉지층(170)은 보다 유연해 질 수 있다.
제2 버퍼층(180)은 제2 무기층(17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퍼층(180)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2 버퍼층(180)은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 버퍼층(180)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버퍼층(18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을 일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제2 버퍼층(180)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회절 거리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버퍼층(180)의 두께는 일 실시예로 약 200um 이하일 수 있다.
제2 버퍼층(18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면, 요구하는 회절 거리가 형성되지 않아, 유효 발광 면적 확대의 효과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버퍼층(180)이 생략되는 경우라면, 회절 패턴층(200)의 배치 순서를 변경시킴으로써,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회절 패턴층(200)이 제2 봉지층(17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절 패턴층(200)은 제2 봉지층(17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되, 제2 봉지층(170)에 포함되는 유기막 또는 무기막의 상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무기층(173)의 상부 면을 식각함으로써 회절 패턴층(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사이의 거리(Z')는 도 31의 도면 부호 z3, z4, z5 및 z6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31에서는 제2 봉지층(170)이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 순서로 적층된 형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z3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에서 유기층(172)의 최하면까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여기서, 유기층(172)의 최하면은 제1 무기층(171)과 직접 접촉하는 면 중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의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면을 의미한다. z4는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에서 상기 유기층(172)의 최하면부터 유기층(172)의 상면까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유기층(172)의 상면은 제2 무기층(173)과 직접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z5는 유기층(172)의 상면에서 제2 버퍼층(180)까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z6는 제2 무기층(173)의 두께로도 정의될 수 있다. z6는 제2 무기층(173)의 상면에서 회절 패턴층(200)까지의 최단 거리로 정의된다. z6은 제2 버퍼층(180)의 두께로도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제2 무기층(173) 및 버퍼층(180)의 굴절률을 각각 n171, n172, n173 및 n180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4 회절 거리(β4)는 아래의 수학식 1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0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1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 사이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다른 구성의 굴절률 및 두께를 고려하여, 제4 회절 거리(β4)가 변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봉지층(170) 및 버퍼층(180)의 굴절률이 모두 동일한 경우(제2 봉지층(170)의 굴절률을 n17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라면,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사이의 회절 거리(β'')는 아래의 수학식 12로도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2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4 입력 감지층(304)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일 실시예로, 저온 공정이 가능한 은, 알루미늄, 구리, 크롬, 니켈, 티타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1 내지 IE1-5)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1 내지 IE2-4)은 복수의 화소 정의막(130)과 중첩되므로,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복수의 제1 센서부(330f)의 복수의 메쉬 배선은 복수의 메쉬 홀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쉬 배선은 일 실시예로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메쉬 홀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메쉬 홀의 평면상 형상은 일 실시예로 마름모, 다각형 또는 코너부가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5 입력 감지층(305)은 일 실시예로, 다층 구조를 갖는 제1 센서부(330f1, 330f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센서부(330f1, 330f2)는 메쉬 배선층(330f1) 및 상기 메쉬 배선층(330f1) 상에 연속적으로 적층된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330f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적층 순서는 도 34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투명 전도성 산화물층(330f2)이 메쉬 배선층(330f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4 입력 감지층(304)은 표시 패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4 입력 감지층(3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 입력 감지층(304)의 제1 절연층(320c)은 버퍼층(1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제2 절연층(340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40c)은 일 실시예로, 평탄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이 제4 입력 감지층(304) 상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유기 발광 소자(141)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a)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거리(β1)가 변동될 수 있다. 변동된 제1 회절 거리를 이하, 제5 회절 거리(β5)로 표기하기로 한다.
제5 회절 거리(β5)는 하기의 수학식 13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01)에 포함되는 구성 각각의 굴절률 및 각 구성 간의 이격 거리는 표시 패널(101) 전체를 하나의 인자로써 표현하기로 한다.
[수학식 13]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3
여기서, n101는 표시 패널(101)의 굴절률을 의미하며, n304은 제4 입력 감지층(304)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한편, 제4 입력 감지층(304)의 두께(즉, z2a)가 필요로 하는 제5 회절 거리(β5)를 만족하기 위해 충분한 값을 갖는 경우라면, 버퍼층(180)은 생략되거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10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5 보호층(350e)은 제4 입력 감지층(304) 및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5 보호층(350e)은 회절 패턴층(200)과 제4 입력 감지층(304) 사이에 배치되어, 회절 패턴층(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5 보호층(350e)은 회절 패턴층(200)에 대해, 평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5 보호층(350e)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만, 도 2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2 입력 감지층(302)은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표시 패널(101)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7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 대비, 유/무기층이 적층된 형태를 갖는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1) 상에 제2 입력 감지층(302)이 배치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층 및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표시 패널(101)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8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37에 도시된 표시 장치 대비,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회절 패턴층(200)의 적층 순서가 바뀐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도 37 및 도 3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한 표시 장치 각각은 회절 패턴층과 입력 감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일 실시예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8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101),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 패널(300a),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300a)은 일 실시예로,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회절 패턴층(2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 패널(300a)은 도 1에 도시한 입력 감지층(300)에 비해, 별도의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회절 패턴층(200)과 결합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입력 감지 패널(300a)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3 접착 부재(63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접착 부재(630)는 일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OCR) 또는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을 제외한 표시 패널(100, 101), 입력 감지 패널(300a),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은 모두 베이스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 패널(300a) 및 반사 방지 패널(400)의 적층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 101)은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한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이거나, 도 30에 도시한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1)일 수 있다. 입력 감지층(300)은 제1 및 제2 봉지층(160, 17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의 봉지층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101),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층(400a) 및 윈도우층(500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 감지층(300a), 반사 방지층(400a) 및 윈도우층(500a)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이 제공하는 베이스 면 상에서,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층(400a) 및 윈도우 층(500a)이 연속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의 적층 순서는 표시 패널(100, 101)의 종류 및 입력 감지층(300)의 종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41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회절 패턴층(200), 입력 감지층(300)(또는, 입력 감지 패널(300a)),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의 적층 순서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1a 내지 도 41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각 구성 간의 적층 순서가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4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1a 내지 도 41f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봉지층(160)은 일 실시예로 유리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즉, 도 41a 내지 도 41f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제1 봉지층(160)이 유리 절연 기판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41a를 먼저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력 감지층(301)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입력 감지층(301)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회절 패턴층(200) 및 제1 입력 감지층(301)은 일 실시예로 연속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성과 제2 구성이 연속된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표현하면,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이 하나의 객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제1 입력 감지층(301)과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1b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1 입력 감지층(3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 감지층(301)은 제1 봉지층(16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0) 및 제1 입력 감지층(301)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1c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1d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접착 부재(620)와 윈도우 패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윈도우 패널(5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1e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 자체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도 41f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도 41f를 기준으로, 윈도우 패널(500) 하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회절 패턴(210)이 윈도우 패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의 위치가 달라지게되면,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의 이격 거리도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 간의 제1 주기(DP1),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들의 두께 및 각 구성의 굴절률을 반영하여, 회절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1a 내지 도 41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 대신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1)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는, 도 41a 내지 도 41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 대신,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되,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지 않는 표시 패널(102)로 대체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은 도 41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구성의 하부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입력 감지층(300) 또는 별도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접착 부재, 베이스 층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2b 내지 도 42g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각 구성 간의 적층 순서가 상이하다. 도 42a의 경우, 표시 패널(101)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는 반면, 도 42b 내지 도 42g의 경우, 표시 패널(102)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2a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2b 내지 도 42g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2a 내지 도 42g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1, 102)은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봉지층(170)은 일 실시예로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2a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표시 패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1)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은 일 실시예로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회절 패턴층(20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 감지층(302)과 제3 접착 부재(630) 사이에는 베이스 층(36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층(360)은 제2 입력 감지층(302)에 베이스 면을 제공한다. 베이스 층(36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의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베이스 층(360)은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3 접착 부재(630)가 생략되는 경우라면,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베이스 층(360)은 회절 패턴층(2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제1 입력 감지층(301)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베이스 층(360),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반사 방지 패널(400)은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은 베이스 층(360) 및 제2 입력 감지층(302)과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 후, 베이스 층(360) 및 제2 입력 감지층(302)과 결합될 수도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2b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3 접착 부재(630)와 베이스 층(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제2 입력 감지층(302) 및 베이스 층(36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은 다른 실시예로, 제2 입력 감지층(302), 베이스 층(360) 및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2c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과 제2 입력 감지층(302)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2d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2e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접착 부재(620)와 윈도우 패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윈도우 패널(5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2f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 자체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도 42g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도 42g를 기준으로, 윈도우 패널(500) 하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회절 패턴(210)이 윈도우 패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2a 내지 도 42g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1, 102) 대신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은 도 42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구성의 하부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입력 감지층(300) 또는 별도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접착 부재, 베이스 층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b 내지 도 43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각 구성 간의 적층 순서가 상이하다. 도 43a의 경우, 표시 패널(101)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는 반면, 도 43b 내지 도 43f의 경우, 표시 패널(102)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3a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3b 내지 도 43f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3a 내지 도 43f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1, 102)은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봉지층(170)은 일 실시예로 제1 무기층(171), 유기층(172) 및 제2 무기층(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a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표시 패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1)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4 입력 감지층(304)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 입력 감지층(304)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회절 패턴층(200) 및 제4 입력 감지층(304)은 일 실시예로 연속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제1 입력 감지층(301)과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3b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4 입력 감지층(3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입력 감지층(304)은 제2 봉지층(17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3c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회절 패턴층(20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3d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접착 부재(620)와 윈도우 패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윈도우 패널(5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3e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 자체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도 43f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도 43f를 기준으로, 윈도우 패널(500) 하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회절 패턴(210)이 윈도우 패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은 도 43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구성의 하부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입력 감지층(300) 또는 별도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접착 부재, 베이스 층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4b 내지 도 44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되, 각 구성 간의 적층 순서가 상이하다. 도 44a의 경우, 표시 패널(101)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는 반면, 도 44b 내지 도 44f의 경우, 표시 패널(102)이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4a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4b 내지 도 44f에서도, 제2 버퍼층(180)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4a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표시 패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표시 패널(101)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회절 패턴층(2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 방지 패널(400)과 제2 입력 감지층(302)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는 보강 필름(640)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필름(640)은 제2 입력 감지층(302)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필름(6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보강 필름(64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4b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표시 패널(102)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반사 방지 패널(4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2 입력 감지층(302)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4c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입력 감지층(3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제2 입력 감지층(302)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4d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제2 접착 부재(620)와 윈도우 패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윈도우 패널(500)과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4e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 상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 자체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도 44f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0)은 도 44f를 기준으로, 윈도우 패널(500) 하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회절 패턴(210)이 윈도우 패널(5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필름 형태로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회절 패턴층(200)은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에 무기막 등을 적층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윈도우 패널(500)의 하부를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과 윈도우 패널(50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4a 내지 도 44f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1, 102) 대신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은 도 44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구성의 하부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2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은 반사 방지 패널(400), 입력 감지층(300) 또는 별도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접착 부재, 베이스 층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5a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300a1)은 도 39에 도시한 입력 감지 패널(300a)의 일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45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1)은 복수의 유/무기층이 적층된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300a1)은 표시 패널(1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감지 패널(300a1)은 표시 패널(101)과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입력 감지 패널(300a1)은 제1 입력 감지층(301), 회절 패턴층(200),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제6 보호층(380) 및 제7 보호층(39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층(360)은 입력 감지 패널(300a)의 베이스 면을 제공한다. 베이스 층(36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의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370)은 베이스 층(360)과 제6 보호층(380)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 층(360)과 제6 보호층(38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접착층(370)은 일 실시예로 UV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층(37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6 보호층(380)은 접착층(370)을 통해 베이스 층(360)과 결합될 수 있다. 제6 보호층(380)은 일 실시예로, 고분자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유기 재료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acid),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타일렌(polystylene),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보호층(380)은 회절 패턴층(200) 및 제1 입력 감지층(301)을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입력 감지 패널(300a1)은 제6 보호층(380)과 제1 입력 감지층(301) 사이에 배치되되, 제1 입력 감지층(301)을 외부의 접촉으로부터 추가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6 보호층(38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회절 패턴층(200)은 입력 감지 패널(300a1)의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즉, 회절 패턴층(200)은 입력 감지 패널(300a1)을 제조 시, 연속 공정을 통해 제6 보호층(38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7 보호층(390)은 회절 패턴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보호층(390)은 회절 패턴층(200) 및 제1 입력 감지층(301)을 외부의 접촉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7 보호층(390)의 굴절률은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의 굴절률과 제1 입력 감지층(301)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7 보호층(39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입력 감지층(301)은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20b)은 복수의 제1 센서부(330d) 및 복수의 제2 연결부(330e)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b)는 컨택홀을 통해 복수의 제1 센서부(330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40b)은 제1 절연층(320b) 상에서 배치되되, 상기 제1 연결부(310b)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입력 감지 패널(300a1)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 부재(61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의 편광자 및 위상 지연자(retard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 방지 패널(400)은 편광자 또는 편광층이 생략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반사 방지 패널(400)은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착 부재(620)는 일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일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 등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b)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거리(β1)가 변동될 수 있다. 변동된 제1 회절 거리를 이하, 제6 회절 거리(β6)로 표기하기로 한다.
제6 회절 거리(β6)는 하기의 수학식 14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01)에 포함되는 구성 각각의 굴절률 및 각 구성 간의 이격 거리는 표시 패널(101) 전체를 하나의 인자로써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의 굴절률이 동일한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수학식 14에서는 n38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수학식 14]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4
만약,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의 굴절률이 상이한 경우라면, 각 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이용하여 제6 회절 거리(β6)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1)은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이 배치됨에 따라,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퍼층(180, 도 30 참조)을 생략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45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다만, 도 45a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5b를 참조하면, 제6 입력 감지층(306)은 접착 재료를 갖는 제2 절연층(34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40d)은 반사 방지 패널(40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감지 패널(300a2)은 반사 방지 패널(400)과 제2 절연층(340d)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층 또는 보호층의 재료가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별도의 접착 부재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도 45a의 표시 패널(101)은 유리 절연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0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제1 입력 감지층(301), 회절 유닛(200a), 반사 방지 패널(400) 및 윈도우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일 실시예로 유리 절연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제1 봉지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감지층(301)은 표시 패널(100)의 상기 유리 절연 기판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회절 유닛(200a)은 제1 입력 감지층(3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절 유닛(200a)은 제1 입력 감지층(301)과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접착 부재(630)는 일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또는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회절 유닛(200a)은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제6 보호층(380), 회절 패턴층(200) 및 제7 보호층(39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제6 보호층(380), 회절 패턴층(200) 및 제7 보호층(390)이 입력 감지 패널(300a)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회절 유닛(200a)의 구성 요소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회절 유닛(200a)은 제조 공정 상 별도의 객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 제1 입력 감지층(301) 및 반사 방지 패널(400)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회절 유닛(200a)은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제1 입력 감지층(301)과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방지 패널(400)은 제1 접착 부재(610)를 통해 회절 유닛(200a)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 부재(610)는 일 실시예로, 감압 접착 부재(PSA)일 수 있다. 윈도우 패널(500)은 제2 접착 부재(620)를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착 부재(620)는 일 실시예로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일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제1 입력 감지층(301),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Zc)는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 비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거리(β1)가 변동될 수 있다. 변동된 제1 회절 거리를 이하, 제7 회절 거리(β7)로 표기하기로 한다.
제7 회절 거리(β7)는 하기의 수학식 15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00)에 포함되는 구성 각각의 굴절률 및 각 구성 간의 이격 거리는 표시 패널(100) 전체를 하나의 인자로써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입력 감지층(301)의 경우도 하나의 인자로써 표현하기로 한다. 나아가,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의 굴절률이 동일한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수학식 15에서는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의 굴절률을 n380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수학식 15]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5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6
만약,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의 굴절률이 상이한 경우라면, 각 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이용하여 제7 회절 거리(β7)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00)은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제1 입력 감지층(301),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및 제6 보호층(380)이 배치됨에 따라,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봉지층(16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제1 입력 감지층(301), 반사 방지 패널(400), 회절 유닛(200b) 및 윈도우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절 유닛(200b)은 반사 방지 패널(400)과 윈도우 패널(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회절 유닛(200b)은 접착층(370)을 통해 반사 방지 패널(4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반사 방지 패널(400) 및 회절 유닛(200b)은 서로 접착층(370)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을 포함하는 회절 유닛(200b)은 반사 방지 패널(400) 상에 배치되므로, 필름 타입의 위상 지연자로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층(36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반사 방지 패널(40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패널(40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의 두께 및 각 구성의 굴절률을 반영하여, 회절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1), 제4 입력 감지층(304), 반사 방지 패널(400), 회절 유닛(200b) 및 윈도우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2)은 복수의 유/무기층이 적층된 제2 봉지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2)은 도 30에 도시한 제2 버퍼층(18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표시 패널(102)은 도 30에 도시한 제2 버퍼층(180)과 두께가 다른 버퍼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4 입력 감지층(304)은 표시 패널(1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 입력 감지층(304)은 제2 무기층(173) 상에 연속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4 입력 감지층(304)은 복수의 메쉬 홀을 정의하는 복수의 메쉬 배선을 갖는 복수의 제1 센서부(330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쉬 배선은 일 실시예로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센서부(330f)는 일 실시예로 화소 정의막(130)과 제1 기판(110)을 기준으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반사 방지 패널(40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 패널(40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의 두께 및 각 구성의 굴절률을 반영하여, 회절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회절 유닛(200c)은 제3 접착 부재(630)를 통해, 제4 입력 감지층(304)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0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도 49에 도시한 표시 장치 대비, 반사 방지 패널(400)이 회절 유닛(200d) 상에 배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회절 유닛(200d)은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층(360)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층(360)은 일 실시예로, 필름 타입의 위상 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제6 보호층(380) 및 제7 보호층(390)과, 제4 입력 감지층(304)이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40)와 회절 패턴층(200)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층(360), 접착층(370), 제6 보호층(380) 및 제7 보호층(390)과, 제4 입력 감지층(304)의 두께 및 각 구성의 굴절률을 반영하여, 회절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표시 패널, 회절 패턴층, 입력 감지층(또는, 입력 감지 패널), 반사 방지층(또는, 반사 방지 패널) 및 윈도우층(또는, 윈도우 패널) 간의 배치 관계 및 각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표시 패널, 회절 패턴층, 입력 감지층(또는, 입력 감지 패널), 반사 방지층(또는, 반사 방지 패널) 및 윈도우층(또는, 윈도우 패널)의 배치 관계 및 각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을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절 패턴층(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1은 도 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한 I3-I3'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한 제2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1 내지 도 5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 봉지층(160) 상에 회절 패턴층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절 패턴층(201)은 도 30에 도시된 제2 봉지층(17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1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201)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a) 및 제1 보호층(2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은 제1 보호층(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1 내지 도 54에 도시된 회절 패턴층(201)은 제1 봉지층(160) 방향으로 제1 보호층(221)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음각 홀(2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제2 두께(t2)는 도 53을 기준으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의 하부 면(즉, 제1 봉지층(160)의 상부 면)에서 상부 면(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의 상부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은 제2 주기(DP2)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은 제2 길이(d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기(DP2) 및 제2 길이(d2)는 제2 가상 선(cl2)을 따라 자른 단면 영역(cs2)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제2 가상 선(cl2)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a)의 제2 두께(t2)의 절반 지점을 지나가는 선을 의미한다. 도면 부호 211b1은 제2 가상 선(cl2)을 따라 자른 제1 회절 패턴(211b)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212b1는 제2 가상 선(cl2)을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b)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4를 참조하면, 제2 주기(DP2)는 제2 회절 패턴(212b)의 단면(212b1)의 일 측과 인접한 제1 회절 패턴(211b)의 단면(211b1)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절 패턴(212b)의 단면(212b1)의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회절 패턴(212b)을 예를 들면, 제2 길이(d2)는 제2 회절 패턴(212b)의 단면(212b1)의 폭을 의미한다.
다시 도 51 내지 도 53을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패턴(210a) 중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 간의 주기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 간의 주기는 일 실시예로 모두 제2 주기(DP2)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의 개수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되는 회절 패턴의 개수는 일 실시예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5는 도 1에 도시한 회절 패턴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5를 참조하면, 회절 패턴층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복수의 회절 패턴(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회절 패턴(210b)의 형상이 평면 상에서 정사각형인 경우, 복수의 회절 패턴(210b)은 일 실시예로 형상이 정육면체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회절 패턴(210b)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 상기 수학식 1은 하기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변경된 수학식 1]
0.4 ≤ d1/DP1 < 1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b)의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제1 주기(DP1) 및 제1 길이(d1)가 서로 동일하면, 회절에 필요한 최소한의 공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d1/DP1의 값이 1인 경우는 제외된다.
한편, 복수의 회절 패턴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6 및 도 57은 복수의 회절 패턴층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의 면적이 상이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6의 (b)는 도 56의 (a)의 제3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배치되되,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은 제1 봉지층(160)으로부터 광 출사 방향으로 반구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은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제3 두께(t3)는 도 56의 (a)를 기준으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의 하부 면(즉, 제1 봉지층(160)의 상부 면)에서 상부 면(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의 상부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은 제3 주기(DP3)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은 제3 길이(d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주기(DP3) 및 제3 길이(d3)는 제3 가상 선(cl3)을 따라 자른 단면 영역(cs3)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제3 가상 선(cl3)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c)의 제3 두께(t3)의 절반 지점을 지나가는 선을 의미한다. 도면 부호 211d1은 제3 가상 선(cl3)을 따라 자른 제1 회절 패턴(211d)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212d1은 제3 가상 선(cl3)을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d)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6의 (b)를 참조하면, 제3 주기(DP3)는 제2 회절 패턴(212d)의 단면(212d1)의 일 측과 인접한 제1 회절 패턴(211d)의 단면(211d1)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절 패턴(212d)의 단면(212d1)의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회절 패턴(212d)을 예를 들면, 제3 길이(d3)는 제3 가상 선(cl3)에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d)의 단면(212d1)의 폭을 의미한다.
도 57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절 패턴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7의 (b)는 도 57의 (a)의 제4 가상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배치되되,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은 제1 봉지층(160)으로부터 광 출사 방향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절 패턴(176)은 제4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제4 두께(t4)는 도 57의 (a)를 기준으로,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의 하부 면(즉, 제1 봉지층(160)의 상부 면)에서 상부 면(즉,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의 상부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은 제4 주기(DP4)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은 제4 길이(d4)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4 주기(DP4) 및 제4 길이(d4)는 제4 가상 선(cl4)을 따라 자른 단면 영역(cs4)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제4 가상 선(cl4)은 복수의 회절 패턴(210d)의 제4 두께(t4)의 절반 지점을 지나가는 선을 의미한다. 도면 부호 211e1은 제4 가상 선(cl4)을 따라 자른 제1 회절 패턴(211e)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212e1는 제4 가상 선(cl4)을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e)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7의 (b)를 참조하면, 제4 주기(DP4)는 제2 회절 패턴(212e)의 단면(212e1)의 일 측과 인접한 제1 회절 패턴(211e)의 단면(212e1)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 회절 패턴(212e)의 단면(212e1)의 일 측에 대향되는 타 측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제2 회절 패턴(212e)을 예를 들면, 제4 길이(d4)는 제4 가상 선(cl4)에 따라 자른 제2 회절 패턴(212e)의 단면(212e1)의 폭을 의미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절 패턴층(200)은 일 실시예로 제1 봉지층(16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절 패턴층(200)은 제1 봉지층(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곧, 회절 패턴층(200)과 제1 봉지층(160)이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회절 패턴층(20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회절 패턴층(200)은 제1 봉지층(160) 상에 무기층을 성막한 이후,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층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각 공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 건식 식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간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유효 발광 면적비 및 블러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여, 화소 간의 거리를 정의하는 화소 배치 형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a 내지 PX4a)는 동일 행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a 내지 PX4a)는 일 실시예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a 내지 PX4a)의 형상 및 각 화소부의 크기는 도 58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화소부(PX1a)는 일 실시예로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화소부(PX1a)는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4 화소부(PX2a, PX4a)는 일 실시예로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및 제4 화소부(PX2a, PX4a)는 녹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화소부(PX3a)는 일 실시예로 청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3 화소부(PX3a)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a 내지 PX4a)는 하나의 화소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화소부(PX1 내지 PX4)는 RGBG 펜타일(pentile)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화소 간의 거리(PP2)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부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하, 녹색을 발광하는 제2 화소부(PX2a) 및 제4 화소부(PX4a)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 간의 거리(PP2)는 제2 화소부(PX2a)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제1 중심점(cp1b)을 및 제4 화소부(PX4a)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제2 중심점(cp2b)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9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6 화소부(PX1b 내지 PX6b)는 동일 행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화소부(PX1b 내지 PX6b)는 일 실시예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부(PX1b 내지 PX3b)는 일 실시예로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4 내지 제6 화소부(PX4b 내지 PX6b)는 일 실시예로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화소부(PX1b 내지 PX3b)는 하나의 화소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내지 제6 화소부(PX4b 내지 PX6b)는 하나의 화소부를 구성할 수 있다.
화소 간의 거리(PP3)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부 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에 따라, 화소 간의 거리(PP3)는 제2 화소부(PX2b)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제1 중심점(cp1c)을 및 제5 화소부(PX5b)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제2 중심점(cp2c)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화소 간의 최단 거리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부 간의 최단 거리로 정의되는 것이며, 화소 배치 형태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기판;
120: 복수의 화소 전극;
121: 제1 화소 전극;
130: 화소 정의막;
140: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141: 제1 유기 발광 소자;
150: 공통 전극;
160, 180: 봉지층;
170: 회절 패턴층;
171: 복수의 회절 패턴;
190: 보호층;

Claims (4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봉지층은 유리 절연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유리 절연 기판 상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입력 감지층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입력 감지층과 상기 회절 패턴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입력 감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 및 상기 봉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입력 감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윈도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단면의 폭을 제1 길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1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1]
    0.4 ≤ d1/DP1 < 1
    (상기 수학식 1에서 DP1은 제1 주기, d1은 제1 길이)
  1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시켜 기준 발광 패턴 및 제1 복제 발광 패턴을 생성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의 휘도는 상기 기준 발광 패턴의 휘도의 3% 이상인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사이의 거리를 회절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간의 거리를 이격 거리로 정의하면,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7

    (상기 수학식 2에서 β는 회절 거리, z는 이격 거리, DP1은 제1 주기,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nEN은 봉지층의 굴절률)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동일 색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 간의 거리를 발광 소자 간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간의 거리를 회절 거리라고 정의하면,
    상기 발광 소자 간 거리 및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3]
    0.1 ≤ β / PP1 ≤ 1.9
    (상기 수학식 3에서, PP1은 발광 소자 간 거리, β는 회절 거리)
  1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보호층은 제2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1 굴절률, 상기 제2 굴절률 및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는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4]
    (m * λ) - 60(nm) ≤ A(nm) ≤ (m * λ) + 60(nm)
    A ≠ △nt1 (nm)
    (상기 수학식 4에서, △n = |n1-n2|, n1은 제1 굴절률, n2는 제2 굴절률, t1은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m은 0 이상의 정수)
  1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 및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입력 감지층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 및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층은 고분자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층은 위상 지연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삭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유리 절연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은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 및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시켜 기준 발광 패턴 및 제1 복제 발광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사이의 거리를 회절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간의 거리를 이격 거리로 정의하면,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21124646178-pat00018

    (상기 수학식 1에서 β는 회절 거리, z는 이격 거리, DP1은 제1 주기,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nEN은 봉지층의 굴절율)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동일 색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 간의 거리를 발광 소자 간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간의 거리를 회절 거리라고 정의하면,
    상기 발광 소자 간 거리 및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3]
    0.1 ≤ β / PP1 ≤ 1.9
    (상기 수학식 3에서, PP1은 발광 소자 간 거리, β는 회절 거리)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단면의 폭을 제1 길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1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2]
    0.4 ≤ d1/DP1 < 1
    (상기 수학식 2에서 DP1은 제1 주기, d1은 제1 길이)
  29.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층; 및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회절 패턴은 각각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절 패턴층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보호층은 제2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1 굴절률, 상기 제2 굴절률 및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는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4]
    (m * λ) - 60(nm) ≤ A(nm) ≤ (m * λ) + 60(nm)
    A ≠ △nt1 (nm)
    (상기 수학식 4에서, △n = |n1-n2|, n1은 제1 굴절률, n2는 제2 굴절률, t1은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m은 0 이상의 정수)
  3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입력 감지층; 및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절 패턴을 갖는 회절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절 패턴은 일 방향을 따라 제1 주기를 갖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단면의 폭을 제1 길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주기 및 상기 제1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1]
    0.4 ≤ d1/DP1 < 1
    (상기 수학식 1에서 DP1은 제1 주기, d1은 제1 길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은 입력 감지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유기층 및 무기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리 절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감지층은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 상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입력 감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입력 감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윈도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은 상기 입력 감지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은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과 상기 봉지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고분자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층은,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전극; 및
    복수의 제2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센서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부는 서로 동일 층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상기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시켜 기준 발광 패턴 및 제1 복제 발광 패턴을 생성하는 표시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사이의 거리를 회절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간의 거리를 이격 거리로 정의하면,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17053199593-pat00019

    (상기 수학식 2에서 β는 회절 거리, z는 이격 거리, DP1은 제1 주기,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nEN은 봉지층의 굴절률)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동일 색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 간의 거리를 발광 소자 간 거리로 정의하고, 상기 기준 발광 패턴 및 상기 제1 복제 발광 패턴 간의 거리를 회절 거리라고 정의하면,
    상기 발광 소자 간 거리 및 상기 회절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3]
    0.1 ≤ β / PP1 ≤ 1.9
    (상기 수학식 3에서, PP1은 발광 소자 간 거리, β는 회절 거리)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층은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보호층은 제2 굴절률을 가지고,
    상기 제1 굴절률, 상기 제2 굴절률 및 상기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는 하기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수학식 4]
    (m * λ) - 60(nm) ≤ A(nm) ≤ (m * λ) + 60(nm)
    A ≠ △nt1 (nm)
    (상기 수학식 4에서, △n = |n1-n2|, n1은 제1 굴절률, n2는 제2 굴절률, t1은 복수의 회절 패턴 중 하나의 두께, λ는 제1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m은 0 이상의 정수)
KR1020170069269A 2017-06-02 2017-06-02 표시 장치 KR10235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69A KR102357521B1 (ko) 2017-06-02 2017-06-02 표시 장치
US15/981,837 US10903284B2 (en) 2017-06-02 2018-05-16 Display device
CN201810554702.2A CN108987605B (zh) 2017-06-02 2018-06-01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69A KR102357521B1 (ko) 2017-06-02 2017-06-0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024A KR20180133024A (ko) 2018-12-13
KR102357521B1 true KR102357521B1 (ko) 2022-02-03

Family

ID=6446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69A KR102357521B1 (ko) 2017-06-02 2017-06-0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3284B2 (ko)
KR (1) KR102357521B1 (ko)
CN (1) CN108987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9180B (zh) * 2017-07-07 2020-05-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作方法
JP6977042B2 (ja) * 2017-07-27 2021-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導電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2478497B1 (ko) * 2017-09-22 2022-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CN108630732B (zh) * 2018-04-25 2020-07-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650669B1 (ko) 2018-07-19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8784B1 (ko) 2018-08-23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4289B1 (ko) * 2019-01-03 2024-0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후방 글라스 터치 센서
CN109786577B (zh) * 2019-01-30 2020-12-11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装置用oled屏体和指纹识别装置
US11380863B2 (en) * 2019-03-19 2022-07-05 Nanosys, Inc.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210018714A (ko) * 2019-08-09 2021-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0187A (ko) 2019-08-13 2021-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88899B (zh) * 2019-08-26 2023-12-05 关键禾芯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装置
US11462718B2 (en) 2019-10-23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10120B1 (ko) * 2019-11-06 2023-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KR20210069768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77848A (ko) * 2019-12-17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83816A (ko)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99679A (ko) 2020-02-04 2021-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6611A (ko) 2020-02-20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51101A (ko) * 2020-10-16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DE112021001193T5 (de) 2021-02-23 2022-12-1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aschenstruktur in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berührungssteuerungsstruktur, anzeigetafel,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lichtdurchlässigkeit in der anzeigetaf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maschenstruktur
KR20230100167A (ko) * 2021-12-28 2023-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40135477A (ko) * 2023-03-02 2024-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9014A1 (en) * 2009-09-23 2011-03-24 Wei-Lung Huang Glare-resistant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0123B2 (ja) * 2005-02-10 2010-02-03 株式会社東芝 有機elディスプレイ
US7957621B2 (en) * 2008-12-17 2011-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 with nanoparticle coatings
KR101929427B1 (ko) * 2012-06-14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65472B (zh) 2014-06-13 2019-07-11 美商3M創新有限公司 用於閃光抑制之光學堆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9014A1 (en) * 2009-09-23 2011-03-24 Wei-Lung Huang Glare-resistant touch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03284B2 (en) 2021-01-26
US20180350883A1 (en) 2018-12-06
CN108987605A (zh) 2018-12-11
KR20180133024A (ko) 2018-12-13
CN108987605B (zh)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21B1 (ko) 표시 장치
US11803278B2 (en)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des having sensor and auxiliary sensor parts
KR102516923B1 (ko)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KR10238689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78497B1 (ko)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US10644083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503762B1 (ko)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US11093065B2 (en) Display device
KR20220058716A (ko) 표시 장치
US11513650B2 (en) Transparent touch display device
JP7511051B2 (ja) 検出装置付き表示機器
KR20190135587A (ko) 표시 장치
US11605679B2 (en) Display device
US20220131111A1 (en) Display apparatus
US1203560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inorganic deposition layer on light emitting element
KR20230127429A (ko) 보호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202032341A (zh) 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