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67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679A
KR20210099679A KR1020200012995A KR20200012995A KR20210099679A KR 20210099679 A KR20210099679 A KR 20210099679A KR 1020200012995 A KR1020200012995 A KR 1020200012995A KR 20200012995 A KR20200012995 A KR 20200012995A KR 20210099679 A KR20210099679 A KR 20210099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ffraction patterns
pixels
dispos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택
최성식
정용식
황용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679A/ko
Priority to US17/117,627 priority patent/US11672144B2/en
Priority to CN202110152484.1A priority patent/CN113224116A/zh
Publication of KR2021009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01L27/3216
    • H01L27/3218
    • H01L27/3244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한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들 중 센서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의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화면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주변을 감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복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은 화소들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표시 장치의 베젤(bezel)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화면의 전면을 표시 영역으로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의 외부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한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한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의 높이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화소들은 복수 개의 제1 화소 그룹들로 그룹핑되고, 상기 제2 화소들은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로 그룹핑된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들이 배치된 제2 표시 영역 상에 회절 패턴들을 배치하여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선명도 차이를 줄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배치 구조를 갖는 회절 패턴들 또는 제2 화소 그룹들에 의해 제2 표시 영역의 선명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더욱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1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A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3)으로 정의된다.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젼,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표시 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표시 장치(DD)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I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메인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DM)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DM)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DM)로부터 수신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DM)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IF)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및 카메라 모듈(C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메인 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선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선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및 지문 감지부(FSP)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부(ISP), 및 지문 감지부(FSP)가 도시되었으나, 표시 모듈(DM)은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어 모듈(CM)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어 모듈(CM)의 제어에 의해 초기 모드 및 초기 모드 다음의 메인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초기 모드는 사용자 인증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초기 모드에서 사용자로 인증되면, 제어 모듈(CM)은 표시 패널(DP)을 메인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메인 모드에서 표시 패널(DP)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들을 표시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방식은 지문 인증, 비밀 번호 인증, 안면 인식 인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인증 방식으로서 지문 인증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입력 감지부(ISP)는 외부의 입력(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 펜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입력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 모듈(CM)에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CM)은 입력 감지부(ISP)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DP) 및 지문 감지부(FSP)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SS)는 조도 센서, 카메라 센서, 모션 센서, 지문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SS)는 외부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패널(DP) 상에서 센서(SS)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외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광 경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상에 입력 감지부(ISP)가 배치되고, 입력 감지부(ISP) 상에 윈도우(WIN)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및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투명한 기판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을 구현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SUB) 위에 배치된 화소층(PXL) 및 박막 봉지층(TFE)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레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입력 감지부(ISP)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접착제(OCA)에 의해 입력 감지부(IS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 다양한 접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모듈(DM)의 제조시, 표시 패널(DP)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입력 감지 패널로 제조되고, 접착제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 아래에는 센서들(SS, 도 2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들은 표시 패널(DP)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상부 영역에는 조도 센서, 모션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기판(SUB) 상에 배치되는 화소들 및 비표시 영역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SUB)의 표시 영역(DA)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일반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표시 영역(DA2)은 센서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1 방향(D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2)으로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제1 표시 영역(DA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제2 표시 영역(DA2)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일측 단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방향(D1)으로 단변들을 갖고 제2 방향(D2)으로 장변들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장변들의 길이는 제1 표시 영역(DA1)의 단변들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는 센서들(미 도시됨)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조도 센서, 모션 센서, 및 카메라 센서 등일 수 있다. 센서들은 기판(SUB)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표시 영역(DA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비표시 영역(NDA, 도 3 참조)은 표시 영역(DA)의 넓이에 비해 상당히 얇게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에는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DD)는 일반 표시 영역인 제1 표시 영역(DA1)뿐만 아니라 센서들이 배치되는 제2 표시 영역(DA2)에서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사용자에게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2 표시 영역(DA2)의 형상이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장치(DD)에 배치되는 센서들의 종류, 센서들의 개수, 센서들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기판(SUB) 상에 어느 위치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의 단위 면적에 배치된 화소들의 개수는 제2 표시 영역(DA2)의 단위 면적에 배치된 화소들의 개수보다 많다. 이하에서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되는 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영역(DA1)에는 복수 개의 제1 화소들(PX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들(PX1)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들(PX1)은 제1 방향(D1)으로 장변들을 갖고 제2 방향(D2)으로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제1 화소들(PX1)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화소들(PX1)은 복수 개의 레드 화소들(PX_R), 복수 개의 그린 화소들(PX_G), 및 복수 개의 블루 화소들(PX_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들(PX1)은 복수 개의 제1 화소 그룹들(PXG1)로 그룹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그룹(PXG1)은 레드 화소(PX_R), 그린 화소(PX_G), 및 블루 화소(PX_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영역(A1)에는 복수 개의 제1 화소 그룹들(PXG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단위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의 넓이는 1 inch X 1 inch일 수 있다.
제1 영역(A1) 내에서, 제1 화소 그룹들(PXG1)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 화소 그룹들(PXG1)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에 8개의 제1 화소 그룹들(PXG1)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도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A1)에 배치되는 제1 화소 그룹들(PXG1)의 개수는 더 많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화소들(PX1)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질적으로 제1 화소들(PX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들(PX1)은 발광 소자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 및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영역이 사각형 영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화소(PX1)는 발광 소자(OLED) 및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유기 발광층(OEL)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애노드일 수 있으며, 제2 전극(E2)은 캐소드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TR)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발광 영역(PA)과 발광 영역(PA) 주변의 비발광 영역(NP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PA)은 발광 영역(PA)을 에워싸을 수 있다. 제1 화소(PX1)의 발광 소자(OLED)는 발광 영역(PA)에 배치되고, 트랜지스터(TR)는 비발광 영역(NPA)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도체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중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층(SM)의 채널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화소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개구부(PX_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경우 제1 전극(E1)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E2)은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된 제1 봉지층(EN1), 제1 봉지층(EN1) 상에 배치된 제2 봉지층(EN2), 및 제2 봉지층(EN2) 상에 배치된 제3 봉지층(EN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 봉지층들(EN1, EN3) 각각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봉지층(EN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봉지층(EN2)의 두께는 제1 및 제3 봉지층들(EN1, EN3) 각각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제1 전압(ELVDD)이 제1 전극(E1)에 인가되고, 제2 전압(ELVSS)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A2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영역(A2)에는 복수 개의 제2 화소들(PX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복수 개의 제2 화소들(PX2) 및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들(OP)에는 실질적으로 화소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화소들(PX2)은 제1 화소들(PX1)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화소들(PX2)은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PXG2)로 그룹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 그룹(PXG2)은 레드 화소, 그린 화소, 및 블루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과 마찬가지로 단위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A2)과 제1 영역(A1)은 서로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A2)에는 2개의 제2 화소 그룹들(PXG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에서 제2 화소 그룹들(PXG2)이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부분들은 개구부들(OP)로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하는 광 경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되는 센서들은 개구 영역들(OP)을 통해 투과되는 광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표시 영역(DA1)에 배치된 제1 화소들(PX1)의 배치 밀도는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된 제2 화소들(PX2)의 배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의 제1 영역(A1)에는 24개의 제1 화소들(PX1)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제2 영역(A2)에는 6개의 제2 화소들(PX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모두 단위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DA1)에 배치된 제1 화소들(PX1)은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된 제2 화소들(PX2)보다 높은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개수가 아니라 단위 화소의 크기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화소들의 개수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화소들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다만,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화소들 각각의 넓이가 제2 화소들 각각의 넓이보다 클 경우, 여전히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되는 회절 패턴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Ⅰ-Ⅰ’선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에서는 버퍼층(BFL)과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 사이의 층은 소자층(EL)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2 표시 영역(DA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2 화소들(PX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회전 패턴들(DIP)은 제3 방향(D3)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평면상에서 봤을 때,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원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절 패턴들(DIP)은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회절 패턴들(DIP)은 사각 기둥, 오각 기둥, 및 육각 기둥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절 패턴들(DIP)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회절 패턴들(DIP)은 무기층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무기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1 회절 패턴들(DIP1) 내지 제n 회절 패턴들(DIP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절 패턴들(DIP1)은,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회절 패턴들(DIP) 중 제1 표시 영역(DA1)에 가장 인접한 회절 패턴들일 수 있다. 제n 회절 패턴들(DIPn)은,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회절 패턴들(DIP) 중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회절 패턴들일 수 있다. 제1 회절 패턴들(DIP1) 내지 제n 회절 패턴들(DIPn)은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상에는 제1 화소 그룹들(PXG1) 및 제2 화소 그룹들(PXG2)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화소 그룹들(PXG1) 사이의 거리는 인접한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들(PXG1) 및 제2 화소 그룹들(PXG2) 위에는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회절 패턴들(DIP1~DIPn)은 제2 표시 영역(D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회절 패턴들(DIP1~DIPn)은 도 8에 도시된 회절 패턴들(DIP) 중 하나의 열(Column)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일 수 있다.
회절 패턴들(DIP)은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절 패턴들(DIP) 상에 절연막이 배치되고 절연막 상에는 입력 감지부(ISP, 도 3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회절 패턴들(DIP)이 반드시 박막 봉지층(TFE)의 상면에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회절 패턴들(DIP)은 제2 화소들(PX2) 위에 배치되는 구조라면 특정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패턴들(DIP)은 입력 감지부(ISP, 도 3 참조)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제1 방향(D1)으로의 간격(d)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제2 방향(D2)으로의 간격 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패턴들(DIP)은 제2 화소들(PX2)과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은 제2 화소들(PX2)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회절시켜, 제2 표시 영역(DA2) 상의 발광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화소들(PX2)로부터 출사되는 광들 중 일부는 회절 패턴들(DIP)에 제공되고, 나머지는 회절 패턴들(DIP)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는 회절 패턴들(DIP)로 제공되는 광들 및 회절 패턴들(DIP) 사이로 제공되는 광들의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제2 표시 영역(DA2)의 유효 발광 면적과 선명도는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는 제2 표시 영역(DA2) 상에 회절 패턴들(DIP)을 배치하여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를 줄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제1 회절 패턴들(DIP1)과 제2 회절 패턴들(DIP2) 사이의 간격(d1)은 제2 회절 패턴들(DIP2)과 제3 회절 패턴들(DIP3) 사이의 간격(d2)보다 클 수 있다. 제2 회절 패턴들(DIP2)과 제3 패턴들(DIP3) 사이의 간격(d3)은 제3 패턴들(DIP3)과 제4 패턴들(DIP4) 사이의 간격(d4)보다 클 수 있다. 즉,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n-1 회절 패턴들(DIPn-1)과 제n 회절 패턴들(DIPn) 사이의 간격(dn-1)은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 중 가장 좁을 수 있다.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의 변화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는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이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변화하게 되면,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 역시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절 패턴들(DIP)의 간격들이 점진적으로 가변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더욱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질 수 있다.
제1 회절 패턴들(DIP1)과 제2 회절 패턴들(DIP2) 사이의 간격(d1)은 제2 회절 패턴들(DIP2)과 제3 회절 패턴들(DIP3) 사이의 간격(d2)보다 작고, 제2 회절 패턴들(DIP2)과 제3 회절 패턴들(DIP3) 사이의 간격(d2)은 제3 회절 패턴들(DIP3)과 제4 회절 패턴들(DIP4) 사이의 간격(d3)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인접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n-1 회절 패턴들(DIPn-1)과 제n회절 패턴들(DIPn) 사이의 간격은 인접한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 중 가장 넓을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1 지점(P1)까지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제1 지점(P1)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제2 화소들(PX2) 위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절 패턴들(DIP1')의 높이들(h1)은 제2 회절 패턴들(DIP2')의 높이들(h2) 보다 낮고, 제2 회절 패턴들(DIP2')의 높이들(h2)은 제3 회절 패턴들(DIP3')의 높이들(h3)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제1 회절 패턴들(DIP1')로부터 제3 회절 패턴들(DIP3')로 이동할수록 회절 패턴들의 높이는 증가할 수 있다. 제3 회절 패턴들(DIP3')이 배치되는 위치는 제1 지점(P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회절 패턴들(DIP3')의 높이들(h3)은 제4 회절 패턴들(DIP4')의 높이들(h4) 보다 크고, 제4 회절 패턴들(DIP4')의 높이들(h4)은 제5 회절 패턴들(DIP5')의 높이들(h5)보다 클 수 있다. 제n-1 회절 패턴들(DIPn-1')의 높이들(hn-1)은 제n 회절 패턴들(DIPn')의 높이들(hn)보다 클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DA1)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1 회절 패턴들(DIP1')의 높이들은 낮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는, 제1 표시 영역(DA1)에 가장 인접한 제1 회절 패턴들(DIP1')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선명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절 패턴들(DIP1')은 제2 표시 영역(DA2)에 배치된 제2 화소 그룹들(PXG2)로부터 제공받은 광들을 회절시킬 뿐만 아니라 제1 표시 영역(DA1)에 배치된 일부 제1 화소 그룹들(PXG1)로부터 제공받은 광들을 회절시켜 제1 표시 영역(DA1) 상의 선명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회절 패턴들(DIP1')은 낮은 높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화소들(PX2) 위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을 따라 제1 회절 패턴들(DIP1')로부터 제n 회절 패턴들(DIPn')로 이동할수록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제1 회절 패턴들(DIP1')에서 가장 낮고, 제n 회절 패턴들(DIPn')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절 패턴들(DIP1')의 높이들(h1)은 가장 낮게 설계되기 때문에 제1 표시 영역(DA1)의 선명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절 패턴들(DIP')에 의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1차적으로 줄어들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이 점진적으로 가변함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간격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영역(DA2)에는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PXG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 그룹들(PXG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이격되는 제1 그룹(PXG2_1), 제2 그룹(PXG2_2), 제3 그룹(PXG2_3), 및 제4 그룹(PXG2_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PXG2_1)은,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화소 그룹들(PXG2) 중 제1 표시 영역(DA1)에 가장 인접한 화소 그룹으로 정의되고, 제4 그룹(PXG2_4)은,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제2 화소 그룹들(PXG2) 중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화소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그룹(PXG2_1)과 제2 그룹(PXG2_2) 사이의 간격(x1)은 제2 그룹(PXG2_2)과 제3 그룹(PXG2_3) 사이의 간격(x2)보다 클 수 있다. 제2 그룹(PXG2_2)과 제3 그룹(PXG2_3) 사이의 간격(x2)은 제3 그룹(PXG2_3)과 제4 그룹(PXG2_4)의 간격(x3)보다 클 수 있다. 즉, 인접한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간격들은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2 표시 영역(DA2)의 단위 면적당 배치되는 화소들의 개수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의미일 수 있다.
이 때, 제2 화소들(PX2) 위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는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표시 영역(DA2) 위에 배치된 회절 패턴들(DIP)에 의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줄어들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간격들이 가변함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 예들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회절 패턴들(DIP'') 사이의 간격들은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즉, 간격들은 d1 > d2 > d3 > … > dn-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회절 패턴들(DIP'')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경계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제1 지점(P1')까지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제1 지점(P1)부터 제2 표시 영역(DA2)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즉, 제1 회절 패턴들(DIP1'') 내지 제3 회절 패턴들(DIP3'')의 높이들은 h1 >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고, 제3 회절 패턴들(DIP3'') 내지 제n 회절 패턴들(DIPn'')의 높이들은 h3 > h4 > h5 > … > hn-1> hn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간격들은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즉, 제2 화소 그룹들(PXG2) 사이의 간격들은 x1 > x2 > x3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들이 배치된 제2 표시 영역(DA2) 상에 회절 패턴들(DIP)을 배치하여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를 줄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배치 구조를 갖는 회절 패턴들(DIP, DIP', DIP'') 또는 제2 화소 그룹들(PXG2)에 의해 제2 표시 영역(DA2)의 선명도가 점차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 사이의 선명도 차이가 더욱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회절 패턴들은 서로 다른 형상들을 갖는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A1: 제1 표시 영역
DA2: 제2 표시 영역 PX1, PX2: 제1 화소, 제2 화소
PXG1, PXG2: 제1 화소 그룹, 제2 화소 그룹
DIP: 회절 패턴

Claims (20)

  1.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큰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터 제2 표시 영역의 제1 지점까지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제1 지점부터 제2 표시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들은 복수 개의 화소 그룹들로 그룹핑되고,
    상기 화소 그룹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각각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각각은 다각 기둥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되고 제2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의 높이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의 높이들은,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경계부터 제2 표시 영역의 제1 지점까지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제1 지점부터 제2 표시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의 높이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높아지는 표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은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17.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화소들;
    상기 제2 표시 영역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2 화소들 위에 배치된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들은 복수 개의 제1 화소 그룹들로 그룹핑되고,
    상기 제2 화소들은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로 그룹핑되고,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화소들의 배치 밀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화소들의 배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화소 그룹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넓어지는 표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회절 패턴들 사이의 간격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가변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012995A 2020-02-04 2020-02-04 표시 장치 KR20210099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95A KR20210099679A (ko) 2020-02-04 2020-02-04 표시 장치
US17/117,627 US11672144B2 (en) 2020-02-04 2020-12-10 Display device
CN202110152484.1A CN113224116A (zh) 2020-02-04 2021-02-04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995A KR20210099679A (ko) 2020-02-04 2020-02-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679A true KR20210099679A (ko) 2021-08-13

Family

ID=7706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995A KR20210099679A (ko) 2020-02-04 2020-02-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72144B2 (ko)
KR (1) KR20210099679A (ko)
CN (1) CN1132241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8504B2 (en) * 2021-10-14 2023-12-19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066A (ko) 2016-03-24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및 그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2375975B1 (ko) 2017-04-28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KR102357521B1 (ko) 2017-06-02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6923B1 (ko) 2017-09-20 2023-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KR102418724B1 (ko) 2017-12-05 2022-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24116A (zh) 2021-08-06
US11672144B2 (en) 2023-06-06
US20210242432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1098A1 (en) Display module and system applications
US8902135B2 (en) Pixel structure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11573671B2 (en) Touch sensing unit including connection line coupled to multiple blocks of touch sensing electrodes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10456B2 (en) Display device having sensing detec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00097850A (ko) 표시 장치
CN110061040B (zh) 一种显示装置
KR20210035382A (ko) 표시 장치 및 캐리어 패널
US20230368729A1 (en) Display, display fabr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15220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10099679A (ko) 표시 장치
US1129510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3937135A (zh) 显示面板
KR20210128554A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20240008338A1 (en) Display device
US11474639B2 (en) Electronic device
US11436861B2 (en) Display device
US20220085121A1 (en) Display device
KR20220027356A (ko) 표시 장치
KR20210157527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220014351A (ko) 표시 장치
KR20210104192A (ko) 표시 장치
KR20230156203A (ko) 표시 장치
KR20240020300A (ko) 표시 장치
KR20230100790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