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06B1 -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06B1
KR102356306B1 KR1020200075176A KR20200075176A KR102356306B1 KR 102356306 B1 KR102356306 B1 KR 102356306B1 KR 1020200075176 A KR1020200075176 A KR 1020200075176A KR 20200075176 A KR20200075176 A KR 20200075176A KR 102356306 B1 KR102356306 B1 KR 10235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sheet
spoke
spokes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306B9 (ko
KR20210157197A (ko
Inventor
정진선
Original Assignee
유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06B1/ko
Priority to PCT/KR2021/007585 priority patent/WO2021256866A1/ko
Publication of KR2021015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06B1/ko
Publication of KR10235630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0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successively moulded portions rigidly join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2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curing tyres on rim or wheel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7Retreading solid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류공정을 포함한 제조공정효율이 향상된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은 압출 조건 및 가류 조건 개선을 통해 품질 완성도를 높일 수 있고 효율적인 연속 공정을 통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on-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공정이 개선된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어는 공기압 타이어이다. 그런데, 이러한 내부 공기압 구조의 차량용 타이어는 타이어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성능발휘 및 안전성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공기압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주행중에 지면 굴곡 또는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충격으로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비공기압 타이어는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와 달리, 압축공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설계방식이기 때문에 공기압 손실 또는 부족함으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
비공기압 타이어는 종래에도 다양하게 제안되었는 바, 그 중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8-0038274호의 경우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본체 및 접지면으로 기능하는 원주방향 연장형 크라운 부분과 그에 접하는 연장형 사이드월로 구성된 기술이다.
비공기압 타이어의 경우, 기존 공기압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이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트레드와 휠 사이에 스포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비공기압 타이어는 스포크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 충격 완충효과, 주행능력 등이 결정된다. 이러한 스포크는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의해 제조되는데, 타이어 성능을 만족시키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스포크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2035호 : 비공기압 휠 일체형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압출 공정 및 가류공정이 개선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비공기압 타이어를 제작할 수 있는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은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위스포크를 사출 성형하는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휠의 폭에 대응되거나 넓은 폭이 형성되게 상호 중첩된 다수의 상기 단위스포크들을 열 융착하여 상기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일정한 폭의 외주면을 갖는 일체의 스포크를 형성하는 스포크 열융착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트레드용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에 일정 시간 이상 에어 및 스팀 압력을 가하는 가류 공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는 카본마스터 배치를 공급하여 상기 스포크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 부착을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쿠션 검을 성형하거나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압출하는 압출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열 가압하여 상기 트레드용 시트의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성형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드부착단계는 상기 쿠션검과 접촉면적 증가를 위해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스포크표면가공단계와, 표면 가공된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쿠션검과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스포크에 부착된 상기 쿠션검의 원주방향 둘레로 상기 스포크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시트 형태의 보강층을 부착하는 보강층 부착단계와, 상기 쿠션검에 부착된 상기 보강층의 원주방향 둘레로 다른 하나의 쿠션검과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절단하는 트레드용시트 전처리단계와, 상기 보강층의 둘레에 부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쿠션검의 원주방향 둘레로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용 시트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드용 시트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트레드용 시트는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에 대해 104 내지 108%의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류공정단계는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가 수용되는 챔버 내의 온도를 설정한 기준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예열단계와, 상기 챔버가 상기 기준온도로 예열되면, 엔벨로프에 삽입된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상기 챔버 내로 이송시켜 상기 챔버를 밀폐한 후, 상기 챔버 내부압력이 설정된 제1압력으로 도달 시까지 상기 엔벨로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 사이에 진공압을 유지시켜 상기 엔벨로프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밀착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압력이 상기 제1압력으로 도달되면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 사이의 압력을 상기 챔버내부 압력 대비 ±1.2kgf/cm2가 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챔버 내의 가류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보다 5도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가류 초기설정단계와, 상기 챔버 내부가 설정한 상기 가류온도로 상승될 때 까지,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챔버 둘레로 형성된 스팀관에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가 상기 가류온도로 도달되면 상기 스팀관에 스팀압력을 절반 또는 절반이하로 낮춘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가류하는 가온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은 압출 조건 및 가류 조건 개선을 통해 품질 완성도를 높일 수 있고 효율적인 연속 공정을 통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의 트레드 제조 및 부착단계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비공기압 타이어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공기압 타이어(1)는 도 3을 참고하면, 휠(2)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된 스포크(3)와, 스포크(3)의 둘레에 위치되게 스포크(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부착되는 제1쿠션 검(5)과, 제1쿠션 검(5)의 둘레에 위치되게 제1쿠션 검(5)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부착되는 보강층(6)과, 보강층(6)의 둘레에 위치되게 보강층(6)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쿠션 검(7)과, 제2쿠션 검(7)의 둘레에 위치되게 제2쿠션 검(7)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부착되어 제1쿠션 검(5), 보강층(6) 및 제2쿠션 검(7)을 감싸는 트레드용 시트(8)를 구비한다.
스포크(3)는 복수의 단위스포크(4)가 중첩되어 열 융착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각 단위스포크(4)는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게 일정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4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은 크게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S10)와, 스포크 열츙착단계(S20)와, 트레드 제조 및 부착단계(S30)와, 가류공정단계(S80)를 포함한다.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S10)는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2)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는 복수의 단위스포크(4)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단위스포크(4)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체(Thermo 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hermo 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TPU), 열가소성 올레핀 탄성체(Thermo 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열가소성 아마이드 탄성체(Thermo Plastic Polyamide Elastomer, TPA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plastic Elastomers)를 포함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스포크(4)는 단일의 사출금형(미도시)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단위스포크(4)는 원주방향 및 폭 방향으로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서 외주면 사이에 폭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완충부(4a)가 단위스포크(4)의 폭 방향으로 이중으로 배출되게 형성된다.
스포크 열융착단계(S20)는 휠(2)의 폭에 대응되거나 넓은 폭이 형성되게 상호 중첩된 다수의 단위스포크(4)들을 열 융착하여 휠(2)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일정한 폭의 외주면을 갖는 일체의 스포크(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스포크 열융착단계(S20)에서 복수의 단위스포크(4)를 열판 융착기에 투입한 후, 복수의 단위스포크(4)간의 접촉부가 서로 섞이게 복수의 단위스포크를 가압 용융 시킨 후, 용융된 접촉부가 경화되도록 압착 냉각 시킴으로써 복수의 단위스포크(4)가 일체화 된 스포크(3)를 형성시킬 수 있다.
스포크(3)는 단위스포크(4)들 사이에 방열홀(a)에 일부 개방되는 완충공간이 형성된다.
트레드 제조 및 부착단계(S30)는 스포크(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미도시)가 형성된 트레드용 시트(8)를 제작하여 스포크(3)의 외주면에 트레드용 시트(8)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트레드 제조 및 부착단계(S30)는 고무에 고농도의 배합제를 이겨 넣어 분산 시킨 카본 마스터 배치(C.M.B)(미도시)를 공급하여 스포크(3)에 트레드용 시트(8) 부착을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제1 및 제2쿠션 검(5,7)을 성형하거나 트레드용 시트(8)를 압출하는 압출단계(S40)와, 트레드용 시트(8)를 열 가압하여 트레드용 시트(8)의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성형단계(S50)와, 스포크(3)의 외주면에 스포크(3)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트레드용 시트(8)를 부착하는 트레드 부착단계(S60)를 포함한다.
압출단계(S40)는 스포크(3)에 트레드용 시트(8)를 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쿠션검(5,7)을 제조하거나 트레드용 시트(8) 제조를 위한 카본 마스터 배치를 제1 및 제2압출기로 공급하는 카본마스터배치 입고단계와; 제1압출기(미도시)를 통해 카본 마스터 배치를 일정한 폭을 갖는 제1 및 제2쿠션검(5,7)을 압출하는 쿠션검 압출단계와, 제2압출기(미도시)를 통해 카본마스터 배치를 일정한 폭을 갖는 트레드용 시트로 압출하는 트레드용 시트 압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쿠션검(5,7)과 트레드용 시트(8)는 제1 또는 제2압출기의 성형조건을 달리하여 동일한 제1 또는 제2압출기에서 각각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쿠션검(5,7)은 제1 또는 제2압출기를 통해 압출 시 트레드용 시트(8) 보다 점착성이 우수한 고무성분을 더 포함하여 압출성형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압출기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본마스터 배치 또는 고무성분 등의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와, 호퍼에 투입된 원료를 압출하는 압출 스크류와 원료를 스팀으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압출기가 적용될 수 있다. 압출 시 압출압력은 450톤의 압력으로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 후 170도에서 30분 동안 가류시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용 시트는 최대 길이 3400, 최대 폭 350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레드 성형단계(S50)는 트레드용 시트 공급단계(S51)와, 트레드 패턴 형성 가압단계(S55)를 포함한다.
트레드용 시트 공급단계(S51)는 제2압출기에서 압출 성형된 트레드용 시트(8)를 이송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트레트 패턴 성형용 금형장치(미도시)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트레드 패턴 형성단계(S55)는 트레드 패턴 성형용 금형장치의 하부금형의 캐비티에 트래드용 시트(8)를 수용시킨 후, 트레드 패턴이 형성된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트레드용 시트(8)를 열 가압 함으로써 트레드용 시트 일면에 일정한 패턴의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트레드부착단계(S60)는 스포크표면가공단계(S61)와, 제1접착제 도포단계(S63)와, 보강층 부착단계(S65)와, 제2접착제 도포단계(S67)와, 트레드용시트 전처리단계(S69)와, 트레드용 시트부착단계(S71)를 포함한다.
스포크표면가공단계(S61)는 제1쿠션검(5)과 접촉면적 증가를 스포크(3)의 외주면에 요철(미도시)이 형성되게 스포크(3)의 외주면을 샌딩(Sanding) 가공하는 단계이다.
스포크표면가공단계(S61)는 샌딩(Sanding) 가공 공정 후 요철이 형성된 스포크의 외주면을 용제(Solvent)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착제 도포단계(S63)는 요철이 형성된 스포크(3)의 외주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쿠션검(5)을 부착 시킨 후, 제1쿠션검(5)의 외주면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보강층 부착단계(S65)는 스포크(3)에 부착된 제1쿠션검(5)의 원주방향 둘레로 스포크(3)에 대응되거나 적은 폭을 갖는 시트 형태의 보강층(6)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보강층(6)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틸벨트, 아라미드 벨트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층(6)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비하는 경우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스포크(3)의 외경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보강층(6)은 폭 방향 양끝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와이어와, 양단에 복수의 와이어를 감거나 고정하도록 보강층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고정부(미도시)가 포함되는 편하중방지부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편하중방지부재는 차량의 주행중 지면상태 또는 지게차와 같은 특수목적 차량의 경우 좁은공간에서 큰 방향전환이 필요한 극한 상황에서의 운전상황으로 타이어(1)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타이어(1)의 팽창을 제한함으로써 타이어(1)의 원형 복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접착제 도포단계(S67)는 보강층(6)의 외주면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쿠션검(7)을 부착 시킨 후, 제2쿠션검(7)의 외주면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트레드용시트 전처리단계(S69)는 트레드용 시트(8)를 스포크(3)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절단하는 단계이다.
트레드용 시트 전처리단계(S69)에서 트레드용 시트(8)는 스포크(3)의 원주길이에 대해 104 내지 108%의 길이로 절단되는 데, 105%의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용 시트부착단계(S71)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2 쿠션검(7)의 원주방향 둘레로 트레드용 시트(8)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트레드용 시트부착단계(S71)에서, 스포크(3)는 휠에 대응되며 회전가능한 원통형 틀(미도시)에 장착되고, 가압롤러(미도시)가 트레드용 시트(8)를 가압한 상태에서 원통형 틀이 회전되면서 트레드용 시트(8)가 스포크(3)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가류 공정단계(S80)는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에 고온에서 일정 시간 이상 에어 압력을 가하는 단계이다.
가류 공정단계(S80)는 예열단계와, 가류 초기설정단계와, 가온가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열단계는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 내의 온도를 설정한 기준온도(120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예열단계에서 챔버 내에 챔버 둘레를 따라 형성된 스팀관(미도시)에 스팀을 공급하여 스팀관을 가열함으로써 챔버 내부를 예열한다.
가류 초기설정단계는 챔버가 기준온도인 120도로 예열되면, 엔벨로프(미도시)에 삽입된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를 챔버 내로 이송시켜 챔버를 밀폐한 후, 챔버 내부압력이 설정된 제1압력(4.3kgf/cm2)으로 도달 시까지 엔벨로프와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 사이에 진공압을 유지시켜 엔벨로프에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를 밀착시키고, 챔버 내부압력이 제1압력(4.3kgf/cm2)으로 도달되면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 사이의 압력을 챔버내부 압력 대비 ±1.2kgf/cm2가 되도록 설정(예 3.1kgf/cm2)하며, 챔버 내의 가류온도를 상기 기준온도(120도)보다 5도이상 높은 온도(125도)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엔벨로프는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8)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스포크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직경 중심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8)는 엔벨로프의 수용공간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엔벨로프와 밀착되고, 엔벨로프의 수용공간에 일정압력(예, 3.1kgf/cm2)이상 발생되면서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에는 내부공간에 제1압력 형성을 위한 에어컴프레서와,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에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이 장착될 수 있다.
가온가압단계는 챔버 내부가 설정한 가류온도(125)로 상승될 때 까지, 챔버 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챔버 둘레로 형성된 스팀관(미도시)에 고압(5kgf/cm2)의 스팀을 공급하고, 챔버 내부가 가류온도(125로)로 도달되면 스팀관에 스팀압력을 절반(2.5kgf/cm2) 또는 절반이하(1.8~2.4kgf/cm2)로 낮춘 상태에서 트레드용 시트(8)가 부착된 스포크(3)를 가압하는 단계이다.
스팀관에는 증기 상태의 내압매체를 공급되는데, 내압매체는 포화증기(Saturated Steam)나 고온수 또는 질소(N2)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챔버로 공급된 내압매체는 챔버와 연통되는 배출튜브를 통해 배출된다.
스팀관은 가류초기 고압(5kgf/cm2 이상)의 스팀에 의해 챔버 내부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킨 후, 저압(2.5kgf/cm2)의 스팀에 의해 챔버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2개 이상의 상이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챔버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가류공정단계(S80)에서, 일반적으로 고압 스팀으로 가류온도(125도) 도달시까지 30분을 넘지 말아야 하며 저압 스팀으로 가류시간을 120분으로 하여, 총 가류시간이 150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가류기 첫 구동 또는 동절기에는 가류시간을 180분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 내에서 가류공정이 완료된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1)는 휠 결합단계(S90)에서 휠과 결합되며, 밸런스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은 압출 조건 및 가류 조건 개선을 통해 품질 완성도를 높일 수 있고 효율적인 연속 공정을 통해 제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0 :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
S20 : 스포크 열융착단계
S30 : 트레드 제조 및 부착단계
S80 : 가류공정단계
S90 : 휠 결합단계

Claims (5)

  1.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위스포크를 사출 성형하는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휠의 폭에 대응되거나 넓은 폭이 형성되게 상호 중첩된 다수의 상기 단위스포크들을 열 융착하여 일정한 폭의 외주면을 갖는 환형 형상의 일체의 스포크를 형성하는 스포크 열융착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트레드용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에 일정 시간 이상 에어 및 스팀 압력을 가하는 가류 공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류공정단계는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가 수용되는 챔버 내의 온도를 설정한 기준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예열단계와,
    상기 챔버가 상기 기준온도로 예열되면, 엔벨로프에 삽입된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상기 챔버 내로 이송시켜 상기 챔버를 밀폐한 후, 상기 챔버 내부압력이 설정된 제1압력으로 도달 시까지 상기 엔벨로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 사이에 진공압을 유지시켜 상기 엔벨로프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밀착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압력이 상기 제1압력으로 도달되면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 사이의 압력을 상기 챔버내부 압력 대비 ±1.2kgf/cm2가 되도록 설정하며, 상기 챔버 내의 가류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보다 5도 이상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가류 초기설정단계와,
    상기 챔버 내부가 설정한 상기 가류온도로 상승될 때 까지, 상기 챔버 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챔버 둘레로 형성된 스팀관에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가 상기 가류온도로 도달되면 상기 스팀관에 스팀압력을 절반 또는 절반이하로 낮춘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를 가류하는 가온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2. 삭제
  3.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위스포크를 사출 성형하는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휠의 폭에 대응되거나 넓은 폭이 형성되게 상호 중첩된 다수의 상기 단위스포크들을 열 융착하여 일정한 폭의 외주면을 갖는 환형 형상의 일체의 스포크를 형성하는 스포크 열융착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트레드용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에 일정 시간 이상 에어 및 스팀 압력을 가하는 가류 공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는
    카본마스터 배치를 공급하여 상기 스포크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 부착을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쿠션 검을 성형하거나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압출하는 압출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열 가압하여 상기 트레드용 시트의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성형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검과, 시트 형태의 보강층을 부착 후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부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부착단계는
    상기 쿠션검과 접촉면적 증가를 위해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게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스포크표면가공단계와, 표면 가공된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쿠션검과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스포크에 부착된 상기 쿠션검의 원주방향 둘레로 상기 스포크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시트 형태의 상기 보강층을 부착하는 보강층 부착단계와, 상기 쿠션검에 부착된 상기 보강층의 원주방향 둘레로 다른 하나의 쿠션검과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절단하는 트레드용시트 전처리단계와, 상기 보강층의 둘레에 부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쿠션검의 원주방향 둘레로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용 시트부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용 시트 전처리단계에서, 상기 트레드용 시트는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에 대해 104 내지 108%의 길이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4. 삭제
  5.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휠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측이 관통되며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게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완충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위스포크를 사출 성형하는 단위스포크 사출성형단계와;
    상기 휠의 폭에 대응되거나 넓은 폭이 형성되게 상호 중첩된 다수의 상기 단위스포크들을 열 융착하여 일정한 폭의 외주면을 갖는 환형 형상의 일체의 스포크를 형성하는 스포크 열융착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가 형성된 트레드용 시트를 제작하여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가 부착된 상기 스포크에 일정 시간 이상 에어 및 스팀 압력을 가하는 가류 공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 제작 및 부착단계는
    카본마스터 배치를 공급하여 상기 스포크에 상기 트레드용 시트 부착을 위한 일정한 폭을 갖는 쿠션 검을 성형하거나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압출하는 압출단계와,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열 가압하여 상기 트레드용 시트의 일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노면에 접하는 트레드를 형성하는 트레드 성형단계와, 상기 스포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검과, 시트 형태의 보강층을 부착 후 상기 스포크의 원주길이보다 길게 연장된 상기 트레드용 시트를 부착하는 트레드 부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층은 폭 방향 양끝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와이어와, 보강층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와이어를 연졀하는 고정부가 포함하는 편하중방지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KR1020200075176A 2020-06-19 2020-06-19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KR10235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76A KR102356306B1 (ko) 2020-06-19 2020-06-19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PCT/KR2021/007585 WO2021256866A1 (ko) 2020-06-19 2021-06-17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76A KR102356306B1 (ko) 2020-06-19 2020-06-19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197A KR20210157197A (ko) 2021-12-28
KR102356306B1 true KR102356306B1 (ko) 2022-01-27
KR102356306B9 KR102356306B9 (ko) 2022-08-16

Family

ID=7917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176A KR102356306B1 (ko) 2020-06-19 2020-06-19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6306B1 (ko)
WO (1) WO20212568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050A (ja) * 2010-05-28 2011-12-08 Toyo Tire & Rubber Co Ltd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7349B1 (ko) * 2017-11-16 2019-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2951A (ja) * 2006-11-29 2008-06-12 Yokohama Rubber Co Ltd:The 非空気式タイヤ
KR101682505B1 (ko) * 2011-02-22 2016-12-0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비공기압식 타이어 부재용 폴리우레탄 주조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25079A (ja) * 2012-12-26 2014-07-07 Bridgestone Corp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252035B1 (ko) 2013-01-23 2013-06-04 김영진 비공기입 휠 일체형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050A (ja) * 2010-05-28 2011-12-08 Toyo Tire & Rubber Co Ltd 非空気圧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7349B1 (ko) * 2017-11-16 2019-05-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866A1 (ko) 2021-12-23
KR102356306B9 (ko) 2022-08-16
KR20210157197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7087B (zh) 轮胎及轮胎的制造方法
JP5960776B2 (ja) タイヤ
AU718004B2 (en) Vulcanized innerliner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for pneumatic tyres
JP5661631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5512195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2004161000A (ja) 環状のエラストマのタイヤ構成部材を形成する方法
EP2960078B1 (en) Tire, tire manufacturing devic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2014169080A (ja) タイヤ、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JPH03148302A (ja) 空気入りタイヤ
US5015315A (en) Method of making a pneumatic tire
CN100556677C (zh) 模制和固化车轮轮胎的方法和装置
JP644467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56306B1 (ko) 비공기압 타이어 제조방법
JP2011207165A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JP252818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98090B1 (ko) 트레드부와 결합력 향상을 위해 이중사출된 스포크부를 갖는 비공기압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KR102463868B1 (ko) 고하중 차량용 휠 일체형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US20170232696A1 (en) Tire manufacturing method and tire
JP5441792B2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US2007018206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pport body for pneumatic run flat tire
JP2002144444A (ja) 安全タイヤ用空気のうの製造方法および空気のう
JP2011207154A (ja)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タイヤ
KR102254051B1 (ko) 트레드부와 스포크부 결합력이 향상된 비공기압 타이어와 이의 제조방법
JP2023087596A (ja) タイヤ、及びタイヤ製造方法
KR20240030504A (ko) 타이어 제조용 스티쳐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쳐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