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15B1 -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15B1
KR102356215B1 KR1020150140730A KR20150140730A KR102356215B1 KR 102356215 B1 KR102356215 B1 KR 102356215B1 KR 1020150140730 A KR1020150140730 A KR 1020150140730A KR 20150140730 A KR20150140730 A KR 20150140730A KR 102356215 B1 KR102356215 B1 KR 102356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ub
blower
vehicle
whee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926A (ko
Inventor
윤서준
유형석
이동연
정재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워 휠에 스커트부를 연장하여 차 실내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고, 블로워의 하부 케이스에 모터 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부의 형성으로 블로 모터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13)을 구비한 모터(12)와, 상기 모터(12)를 둘러싸아 고정하고 있는 모터 하우징(18)과, 상기 축(13)에 고정되어 있는 휠 허브(5)와, 상기 휠 허브(15)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로 휠 밴드(17)에 의해 복수의 휠 블레이드(16)로 이루어져 상기 휠 허브(15)에 고정되어 있는 블로워 휠(14)과, 상기 모터 하우징(18)에 부착된 블로워 케이스(19)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11)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로서, 상기 휠 허브(15)에 스커트부(20)가 연장되어 있고 경사부나 경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Ca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로워 휠의 휠 허브에 스커트부를 연장하여 블로워 어셈블리로부터 모터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고, 블로워 어셈블리의 하부 케이스에서 모터 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부를 형성하여 블로워 모터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 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하나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차량용 공조 장치는 통상 난방 장치와 냉방 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 장치는, 블로워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 공조 장치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코어 유니트가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워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 공조 장치와,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 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 장치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폭우와 같은 가혹한 자연환경이나 고압 세차 및 엔진 룸의 세차와 같은 사용자 환경 등으로 인하여 차량이 허용하는 설계된 수분 유입량 이상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압 세차로 인하여 카울 탑 커버 메쉬측으로 고압수가 직접 분사되거나 대쉬 패널을 통하여 공조 장치 내로 물이 침투하고 이어서 블로워 어셈블리의 블로워 모터 측으로 물이 침투하게 된다.
이렇게 공조 장치 내로 유입된 물은 블로워 휠을 지난 후, 블로워 케이스를 타고 공조 장치의 히터 케이스로 이동하고 드레인 호스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차 실내로 유입된 과도한 양의 수분은 공조 부품 내로 침투하게 되고 이러한 수분은 블로워 모터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 부식 및 동절기에 빙결에 의한 블로워 모터의 고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블로워 모터의 브러시로 물이 침투하게 되면 브러시 홀더가 녹아 고장이 발생하여 블로워 모터에 고장을 일으키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워 어셈블리(1)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1)는 모터(2)의 축(3)에 블로워 휠 허브(5)가 고정된다. 상기 블로워 휠 허브(5)에 고정된 휠 밴드(7)에 휠 블레이드(6)가 일정 간격, 일정 방향으로 부착되어 블로워 휠(4)이 구성된다. 상기 모터(2)의 회전에 의해 블로워 휠(4)이 회전되어 공기를 일정 방향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2)는 모터 하우징(8)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 하우징(8)의 주연부에는 블로워 케이스(9)가 장착되어 있다. 외부나 차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블로워 휠(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로워 케이스(9)의 안내를 받아 공조 장치 내로 유입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상기 블로워 케이스(9)의 상부로 유입된 물이 블로워 휠(4)을 통하여 블로워 케이스(9)의 하부로 고이게 된다. 이때, 유입된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 모터(2)와 블로워 휠(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모터(2) 내부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특히, 블로워 케이스(9)와 모터(2) 사이의 간극이 협소할 경우, 스크롤 시작점에서 물의 유입 발생 빈도가 높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과도한 양의 수분은 공조 부품 내로 침투하여 블로워 모터(2) 내부 부식 및 동절기에 빙결에 의한 블로워 모터(2)의 고장이 발생되며, 블로워 모터(2)의 브러시로 물이 침투하여 브러시 홀더가 녹아 블로워 모터(2)에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워 휠 허브의 주연부에 스커트부를 연장 설치하고 블로워 케이스의 배수 구멍의 일측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외부 유입 수분이 모터 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블로워 어셈블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모터를 둘러싸아 고정하고 있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축에 고정되어 있는 휠 허브와, 상기 휠 허브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로 휠 밴드에 의해 복수의 휠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휠 허브에 고정되어 있는 블로워 휠과, 상기 모터 하우징에 부착된 블로워 케이스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로서, 상기 휠 허브에 스커트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블로워 케이스와 모터 하우징이 만나는 부분에 상기 블로워 케이스로부터 연장된 경사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의 스커트부와 상기 경사부의 각도(α)는 동일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의 스커트부와 상기 경사부의 각도(α)를 다르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의 끝단부 아래 방향으로 블로워 케이스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의 끝단부에서 약간 떨어져 블로워 케이스에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의 스커트부는 휠 허브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의 스커트부는 휠 허브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허브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휠 허브의 스커트부는 휠 허브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밴드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스커트부의 외측단의 직경(A)은 블로워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의 경사부의 내측단의 직경(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스커트부(20)에 대응하는 스크롤 케이스 확관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로워 어셈블리(11)의 휠 허브(15)로부터 스커트부(20)를 연장시킴으로써 블로워 어셈블리(11)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모터(12)의 중심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모터(12)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블로워 어셈블리(11)의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와 더블어 블로워 케이스(19)에 형성된 배수구(21)에 형성된 경사부(22)나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에서 약간 떨어져 블로워 케이스(19)에 형성된 경사판(24)이 협동하여 블로워 어셈블리(11)의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모터(12)의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블로워 어셈블리(11)의 모터(12)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휠의 휠 허브에 스커트부가 연장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휠의 휠 허브에 스커트부가 연장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의 배수구에 형성된 경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휠의 휠 허브에 스커트부가 연착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의 배수구의 경사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 2 내지 도 4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휠의 휠 허브에 스커트부가 부착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블로워 어셈블리와, 배수구와, 배수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 개방 선택에 따라 외기나 차량의 실내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블로워 어셈블리(11)를 통하여 공조 장치 내로 유입된다. 상기 블로워 어셈블리(11)에는 모터(12)의 축(13)에 블로워 휠 허브(15)가 고정된다. 상기 블로워 휠 허브(15)에 고정된 휠 밴드(17)에 휠 블레이드(16)가 일정 간격, 일정 방향으로 부착되어 블로워 휠(14)이 구성된다. 상기 휠 밴드(17)는 도면상에서 볼 때, 휠 블레이드(16) 위와 아래에 부착되어 휠 블레이드(16)를 고정한다. 상기 모터(12)의 회전에 의해 블로워 휠(14)이 회전되어 공기를 일정 방향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12)는 일정 형태의 모터 하우징(18)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 하우징(18)에는 블로워 케이스(1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블로워 케이스(19)의 상방에는 개구가 있으며 도어가 설치되어 공기 유입을 차단하거나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축(13)을 구비한 모터(12)와, 상기 모터(12)를 둘러싸아 고정하고 있는 모터 하우징(18)과, 상기 축(13)에 고정되어 있는 휠 허브(15)와, 상기 휠 허브(15)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로 휠 밴드(17)에 의해 상기 휠 허브(15)에 고정되어 있는 블로워 휠(14)과, 상기 모터 하우징(18)에 부착된 블로워 케이스(19)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11)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로서, 상기 휠 허브(15)에 스커트부(20)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20)의 연장에 따라 유입된 수분을 모터(12)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가이드되게 된다.
상기 블로워 케이스(19)와 모터 하우징(18)이 만나는 부분에 상기 블로워 케이스(19)로부터 연장된 경사부(21)를 더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수구(21)는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 아래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스커트부(20)와 간격을 두고 중첩되어 형성된 경사판(2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와 경사부(22)나 경사판(23)에 의해 모터(1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커트부(20)는 상기 휠 허브(15)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는 휠 허브(15)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허브(15)에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는 휠 허브(15)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밴드(17)에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에서 약간 떨어져 블로워 케이스(19)에 배수구(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21)의 안측으로 경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 아래 방향으로 블로워 케이스(19)에 배수구(24)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경사판(23)이 일정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스커트부(20)와 함께 상기 경사부(22)나 경사판(23)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모터(12)의 중심부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잘 차단 해 줄것이다.
상기 스커트부(20)의 외측단의 직경(A)은 블로워 케이스(19)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1)의 경사부(22)의 내측단의 직경(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직경(A)에서 직경(B)을 뺀 거리만큼 스커트부(20)와 경사부(22)가 중첩하는 부분이 되게 된다.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와 상기 경사부(22) 또는 경사판(23)은 동일한 각도(α)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각도(α)는 시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각도(α)를 다르게 하여 모터(12)로 유입되는 물을 더욱 잘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20)에 대응하는 스크롤 케이스 확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관부(25)에 의해 유체의 유동과 습기의 유동이 잘되게 하며 습기가 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잘 차단되게 해준다.
11 : 블로워 어셈블리 12 : 모터
13 : 축 14 : 블로워 휠
15 : 휠 허브 16 : 휠 블레이드
17 : 휠 밴드 18 : 모터 하우징
19 : 블로워 케이스 20 : 스커트부
21, 24 : 배수구 22 : 경사부
23 : 경사판 26 : 확관부

Claims (11)

  1. 축(13)을 구비한 모터(12)와,
    상기 모터(12)를 둘러싸아 고정하고 있는 모터 하우징(18)과,
    상기 축(13)에 고정되어 있는 휠 허브(15)와,
    상기 휠 허브(15)에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로 휠 밴드(17)에 의해 복수의 휠 블레이드(16)로 이루어져 상기 휠 허브(15)에 고정되어 있는 블로워 휠(14)과,
    상기 모터 하우징(18)에 부착된 블로워 케이스(19)를 구비한 블로워 어셈블리(11)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에 스커트부(20)가 연장되며,
    상기 스커트부(20)에 대응하는 스크롤 케이스 확관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케이스(19)와 모터 하우징(18)이 만나는 부분에 상기 블로워 케이스(19)로부터 연장된 경사부(2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와 상기 경사부(22)의 각도(α)는 동일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와 상기 경사부(22)의 각도(α)를 다르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 아래 방향으로 블로워 케이스(19)에 배수구(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로부터 연장된 스커트부(20)의 끝단부에서 약간 떨어져 블로워 케이스(19)에 배수구(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는 휠 허브(15)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는 휠 허브(15)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허브(1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허브(15)의 스커트부(20)는 휠 허브(15)와 별개로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휠 밴드(17)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10.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20)의 외측단의 직경(A)은 블로워 케이스(19)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1)의 경사부(22)의 내측단의 직경(B)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11. 삭제
KR1020150140730A 2015-10-07 2015-10-07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356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30A KR102356215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공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30A KR102356215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공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26A KR20170041926A (ko) 2017-04-18
KR102356215B1 true KR102356215B1 (ko) 2022-01-28

Family

ID=5870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30A KR102356215B1 (ko) 2015-10-07 2015-10-07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235423A1 (ja) * 2018-06-05 2021-05-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送風装置、流体制御装置
CN108826779B (zh) * 2018-06-14 2020-12-25 天津浩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的简易吹风设备
KR102592167B1 (ko) * 2018-07-25 2023-10-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134A (ja) * 2000-02-01 2001-08-0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JP2005240640A (ja) * 2004-02-25 2005-09-08 Denso Corp 送風機
JP2006228521A (ja) 2005-02-16 2006-08-31 Panasonic Ev Energy Co Ltd ファン構造及び電池パック
JP2008280928A (ja) 2007-05-10 2008-11-20 Denso Corp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469B2 (ja) * 1999-02-17 2004-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多翼送風機
KR101950301B1 (ko) * 2013-01-31 2019-02-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3134A (ja) * 2000-02-01 2001-08-0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JP2005240640A (ja) * 2004-02-25 2005-09-08 Denso Corp 送風機
JP2006228521A (ja) 2005-02-16 2006-08-31 Panasonic Ev Energy Co Ltd ファン構造及び電池パック
JP2008280928A (ja) 2007-05-10 2008-11-20 Denso Corp 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26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215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US20120292949A1 (en) Panel element for arrangement on a water box of a motor vehicle body
CN101855099B (zh) 用于控制汽车中的空调设备的方法
KR100791674B1 (ko) 송풍기 및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 장치
JP2013124670A (ja) 熱交換器のファンユニット
JP2016121574A (ja) 車載ラジエータ用ファンシュラウド
WO2018180980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080027512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061842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200003381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13431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867847B2 (ja) 電動ファン装置
CN111867861B (zh) 车辆空调用空气吹送装置
JP201522482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3365858A (zh) 用于机动车辆的空调机组的装配有导流器的空气进气口
US20170136849A1 (en) Water tank cover for a motor vehicle
KR20170051807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2015052293A (ja) 送風機
KR100633412B1 (ko) 버스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의 응축수 비산장치
KR101567247B1 (ko) 차량의 블로워 흡기구 수밀 장치
JP7029307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200900109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78982B1 (ko) 차량용 디프로스터
KR100644472B1 (ko) Hvac 소음 개선을 위한 블로어 휠의 듀얼 밴드의 구조
KR2016012288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