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807A -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807A
KR20170051807A KR1020150152949A KR20150152949A KR20170051807A KR 20170051807 A KR20170051807 A KR 20170051807A KR 1020150152949 A KR1020150152949 A KR 1020150152949A KR 20150152949 A KR20150152949 A KR 20150152949A KR 20170051807 A KR20170051807 A KR 2017005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wheel
mot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형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1807A/ko
Publication of KR2017005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모터의 텅 앤 그루브 측에 고이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고 모터의 몸통 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와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블로어 모터와, 상기 블로어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을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휠의 하단으로부터 송풍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블로어 모터 측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휠 연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기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1)는 송풍장치(20) 및 공조 유닛(40)으로 구성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와, 내,외기 전환도어(25) 및 블로어(26)를 구비한다. 송풍기 케이스(22)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24)(23)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25)는 내,외기 유입구(24)(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휠(26)는 내,외기 유입구(24)(23)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공조 유닛(40)은 공조 케이스(49)와,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49)는 송풍장치(2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다.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는 공조 케이스(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4) 또는 외기유입구(23)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모터(27)와, 상기 블로어 모터(27)의 회전축(271)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26)을 구비한다. 또한, 인테이크 유닛과 송풍기 케이스(22)가 마주보며 결합되는 부위인 송풍기 케이스(22)의 상부측에 인렛링이 형성되며, 공기유입구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5)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2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9)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거나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송풍기 케이스(22)에 형성된 텅 앤 그루브(221) 측에 물이 고이는 경우 배수되는 구조가 없어, 고인 물이 모터의 쿨링 홀(29) 측으로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블로어 휠(26)의 하부 측으로 물이 튀여 블로어 모터(27)의 몸통 부분으로 직접적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쿨링 홀(29)을 통해 또는 블로어 모터(27)의 몸통 부분으로 들어간 수분은 외부로 배수되지 못하고 모터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텅 앤 그루브 측에 고이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고 모터의 몸통 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와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블로어 모터와, 상기 블로어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을 포함하며, 상기 블로어 휠의 하단으로부터 송풍기 케이스와 마주하는 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블로어 모터 측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휠 연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모터의 텅 앤 그루브 측에 고이는 물이 쿨링 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 송풍기 케이스의 상면 측으로 넘쳐 흐르거나 튀어 올라 모터 몸통 측으로 직접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휠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1)는 송풍장치(20) 및 공조 유닛(40)으로 구성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와, 내,외기 전환도어(25) 및 블로어(26)를 구비한다. 송풍기 케이스(22)는 상부 측에 내,외기 유입구(24)(23)가 형성되고, 내,외기 전환도어(25)는 내,외기 유입구(24)(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로어 휠(26)은 내,외기 유입구(24)(23)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9) 측으로 강제 송풍한다.
공조 유닛(40)은 공조 케이스(49)와,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를 구비한다. 공조 케이스(49)는 송풍장치(2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다.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는 공조 케이스(49)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거친 냉풍과 히터코어(42)를 거친 온풍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여 토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20)는 상부 양측에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가 형성되고,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회하면서 내기유입구(24)와 외기유입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을 구비한다. 송풍장치(20)는 송풍기 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기유입구(24) 또는 외기유입구(23)로부터 유입되는 축 방향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모터(27)와, 상기 블로어 모터(27)의 회전축(271)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26)을 구비한다. 공기유입구의 상단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 필터(28)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5)의 개폐 선택에 따라 블로어 휠(26) 측으로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9)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거나 온도조절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로어 휠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위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휠 연장부(300)를 구비한다. 휠 연장부(300)는 블로어 휠(126)의 하단으로부터 송풍기 케이스(122)와 마주하는 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휠 연장부(300)는 블로어 모터(127) 측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한다.
블로어 휠(126)은 휠 프레임부(1265)와, 상기 휠 프레임부(1265)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으로 형성되는 휠 몸체부(1263)를 구비한다. 휠 프레임부(1265)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휠 몸체부(1263)를 지지한다. 휠 프레임부(1265)에는 블로어 모터(127)의 회전축(1271)을 삽입시켜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1261)이 형성된다.
휠 몸체부(1263)는 블로어 휠(126)의 날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고, 휠 프레임부(1265)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블로어 휠(126)은 내,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축 방향으로 유입시켜 반경 방향으로 송풍하게 된다.
상기 휠 연장부(300)는 휠 몸체부(1263)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휠 연장부(300)가 휠 몸체부(1263)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물 유입 차단 수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블로어 휠(126)과 마주하는 송풍기 케이스(122)의 상면 측에서 튀기는 물이 블로어 모터(12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휠 연장부(300)의 구성을 통해 별도의 물 유입 차단 수단을 별물로 제조하거나 송풍기 케이스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휠 연장부(300)는 휠 몸체부(1263)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휠 연장부(300)는 휠 몸체부(1263)의 하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되, 도 6에 도시된 평면도 상에서 휠 몸체부(1263)의 나선 형상과 대응되게 나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블로어 휠(126)의 하단 부위에 블레이드 형태의 휠 연장부(300)를 구성함에 따라, 블로어 휠(126)의 회전시 내,외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 속도 및 풍량 등 공조 성능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블로어 모터로의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블로어 휠(126)의 회전시 송풍기 케이스(122)와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송풍기 케이스(122)에 쿨링 홀(129)이 구비된다. 쿨링 홀(129)은 송풍장치로부터 공조 유닛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형성되며, 유동되는 송풍 공기의 일부를 블로어 모터 측으로 안내하여 블로어 모터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송풍기 케이스(122)에는 블로어 휠(126)의 둘레를 따라 요홈 형태의 텅 앤 그루브(211)가 형성된다.
상기 쿨링 홀(129)의 적어도 일 측에는 배수 홀(220)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 상에 형성된다.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은 쿨링 홀(129)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고,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의 높이 방향으로 단차부를 두어 형성된다. 배수 홀(220)은 쿨링 홀(129)의 양측에 형성된다.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 측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켜 물이 쿨링 홀(129)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텅 앤 그루브(211) 측에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차오른 물은 온전히 형합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넘쳐 흘러 쿨링 홀(129) 및 블로어 휠(126)의 하부 부위의 모터 몸통 부분으로 넘쳐 흘러가게 된다.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에 고인 물이 쿨링 홀(129) 측으로 넘치기 전에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 높이를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물이 쿨링 홀(129)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전술한 휠 연장부(300)는 고인 물이 송풍기 케이스(122)의 상면을 통해 모터 몸통 측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튀어올라 모터 내부로 침투하는 것도 함께 방지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2 : 송풍기 케이스 126 : 블로어 휠
1261 : 결합공 1263 : 휠 몸체부
1265 : 휠 프레임부 127 : 블로어 모터
1271 : 회전축 129 : 쿨링 홀
210 : 측벽 211 : 텅 앤 그루브
220 : 배수 홀 300 : 휠 연장부

Claims (6)

  1. 내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내기 유입구와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122)와, 상기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블로어 모터(127)와, 상기 블로어 모터(127)의 회전축(1271)에 결합되는 블로어 휠(126)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휠(126)의 하단으로부터 송풍기 케이스(122)와 마주하는 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블로어 모터(127) 측으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휠 연장부(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휠(126)은 휠 프레임부(1265)와, 상기 휠 프레임부(1265)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으로 형성되는 휠 몸체부(1263)를 구비하고; 상기 휠 연장부(300)는 휠 몸체부(1263)의 하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연장부(300)는 휠 몸체부(1263)의 형상에 대응되는 나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케이스(122)에 쿨링 홀(129)이 구비되고, 상기 쿨링 홀(129)의 적어도 일 측에 배수 홀(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홀(220)은 블로어 휠(126)의 둘레를 따라 송풍기 케이스(122)에 형성된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은 쿨링 홀(129)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220)은 텅 앤 그루브(211)의 측벽(210)의 높이 방향으로 단차부를 두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0150152949A 2015-11-02 2015-11-02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70051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49A KR20170051807A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949A KR20170051807A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07A true KR20170051807A (ko) 2017-05-12

Family

ID=5874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949A KR20170051807A (ko) 2015-11-02 2015-11-02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18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6675A (zh) * 2018-12-26 2020-07-07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双层结构的车辆用空调装置的送风单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6675A (zh) * 2018-12-26 2020-07-07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双层结构的车辆用空调装置的送风单元
CN111376675B (zh) * 2018-12-26 2023-09-26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双层结构的车辆用空调装置的送风单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6726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820793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70051807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498721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US10132332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47737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US10137756B2 (en) Rotary door for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the rotary door
KR2016002395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7061842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140095626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512337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056763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941042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26505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6962843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156631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115036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송풍기
KR20160065231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988343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60122880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9118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20150130574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20160111849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103285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24229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