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83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83B1
KR101911883B1 KR1020120068329A KR20120068329A KR101911883B1 KR 101911883 B1 KR101911883 B1 KR 101911883B1 KR 1020120068329 A KR1020120068329 A KR 1020120068329A KR 20120068329 A KR20120068329 A KR 20120068329A KR 101911883 B1 KR101911883 B1 KR 10191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main body
inlet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326A (ko
Inventor
홍순래
한성석
정윤섭
김용호
정재원
윤서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8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실과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컷오프부에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도입구에 방지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송풍실과 일측에 송풍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송풍실에서 송풍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스크롤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12)과 배출구(16) 사이의 경계에 컷오프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컷오프부(18)의 일측에 일정크기로 구비되어,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30)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바이패스통로(42) 구비된 공기도입구(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구(40)에는,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지커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BLOWER OF CAR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실과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컷오프부에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도입구에 방지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와, 상기 송풍기 유니트에 의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Evaporator)와, 엔진을 냉각시킨 고온의 냉각수가 순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와 열교환되어 온기를 형성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와, 상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 사이에 구비되어 개도량을 조절함에 따라 냉기와 온기의 혼합으로 적정온도의 혼합공기를 형성하는 템프도어와, 상기 템프도어를 통해 형성된 혼합공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춰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모드도어들을 구비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 난방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 유니트에는 차량의 실내공기(이하, "내기"라 함) 또는 실외공기(이하, "외기"라 함)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내외기 전환 유니트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풍기 유니트는, 내측에 송풍실(12)이 구비되고 유입구(14)와 배출구(16)가 구비된 스크롤 케이싱(Scroll Casing, 10)과,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의 송풍실(12)에 구비되는 송풍팬(20)과, 상기 송풍팬(20)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에 일측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송풍모터(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에는, 상기 송풍실(12)과 배출구(16)의 경계부분에 컷오프부(Cut Off, 18)가 구비된다.
상기 컷오프부(18)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시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컷오프부(18)의 일측에는 배출구(16)로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도입구(4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도입구(40)는, 상기 송풍모터(30)가 구비된 측으로 유입공기를 유도하는 바이패스통로(42)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모터(30)에는, 스크롤 케이싱(1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상기 송풍모터(30)를 보호하도록 하는 모터커버(32)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커버(32)는, 상기 바이패스통로(42)와 연통되어, 상기 바이패스통로(42)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모터(30)를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풍기 유니트는, 상기 송풍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송풍팬(20)이 회전하면서, 내외기 전환 유니트의 개방된 도어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이하, "송풍공기"라 통칭함)를 유입한다.
이렇게, 유입된 송풍공기는, 스크롤 케이싱(10)의 유입구(14)를 통해 송풍실(12)을 거쳐 배출구(16)로 배출되어, 차량용 공조장치 내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송풍실(12)을 거쳐 배출구(16)로 배출되는 송풍공기의 일부는, 상기 컷오프부(18)에 구비된 공기도입구(40)로 진입되고, 상기 공기도입구(40)의 바이패스통로(42)를 통해 송풍모터(30)로 유입되어, 송풍모터(30)를 냉각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는, 송풍팬(20)의 회전력으로 유입되는 송풍공기에 수분 또는 응축수가 포함되어 있어, 컷오프부(18)의 공기도입구(40)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가 바이패스통로(42)를 통해 모터커버(32)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수분 또는 응축수는, 상기 송풍모터(30)로 침투되어 결국 상기 송풍모터(30)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송풍실과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컷오프부에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도입구에 방지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 또는 응축수가 송풍모터로 침투되어 송풍모터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송풍실과 일측에 송풍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송풍실에서 송풍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스크롤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과 배출구 사이의 경계에 컷오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컷오프부의 일측에 일정크기로 구비되어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바이패스통로 구비된 공기도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구는,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지커버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공기도입구와 소통되도록 구비되는 도입공간;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컷오프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입공간으로 송풍공기가 진입되도록 연통된 통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송풍실에서 배출구로 배출되는 송풍공기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유선형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돌기의 끝단에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도입구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단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구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본체의 하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구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기구와 공기도입구 사이에 높이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기구는, 송풍공기의 진입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본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실과 배출구 사이에 구비된 컷오프부에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도입구에 방지커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방지커버에 의해 상기 공기도입구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풍모터로 수분 또는 응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풍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유니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유니트의 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유니트의 컷오프부와 방지커버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일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유니트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 전환 유니트를 통해 송풍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기 유니트와, 상기 송풍기 유니트에 의해 유입된 송풍공기를 냉각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Evaporator)와, 엔진을 냉각시킨 고온의 냉각수가 순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와 열교환되어 온기를 형성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와, 상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 사이에 구비되어 개도량을 조절함에 따라 냉기와 온기의 혼합으로 적정온도의 혼합공기를 형성하는 템프도어와, 상기 템프도어를 통해 형성된 혼합공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춰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모드도어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 유니트는, 스크롤 케이싱(10)과,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의 송풍실(12)에 구비되는 송풍팬(20)과,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송풍팬(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은, 내측에 송풍실(12)이 구비되고, 일측에 내외기 전환 유니트를 통해 송풍공기가 상기 송풍실(12)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14)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송풍실(12)에 유입된 송풍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구(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의 송풍실(12)과 배출구(16)의 경계에는 컷오프부(1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컷오프부(18)에는, 일정크기의 공기도입구(40)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도입구(40)로 도입된 공기가 송풍모터(30)로 도입되도록 유도하는 바이패스통로(42)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도입구(40)에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는 도입되지 않고 송풍공기만 도입되도록 유도하는 방지커버(50)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커버(50)는, 일단이 상기 컷오프부(18)에 밀착되는 밀착면(51)이 구비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내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도입공간(54)과, 상기 본체(52)에 구비되어 컷오프부(18)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56), 및 본체(52)의 일측에 구비되는 통기구(58)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52)는, 일단에 밀착면(51)이 구비되고, 타단에 막혀있는 유선형의 외주면(53)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면(51)은, 컷오프부(18)에 밀착되어, 상기 도입공간(54)과 공기도입구(40) 사이를 소통하는 송풍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외주면(53)은, 송풍실(12)에서 배출구(16)로 배출되는 송풍공기와 간섭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입공간(5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2)의 밀착면(51)에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공기도입구(40)와 연통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입공간(54)은, 통기구(58)에서 상기 공기도입구(40)로 송풍공기가 소통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56)는, 본체(5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걸림돌기(55)와, 상기 걸림돌기(55)의 끝단에 구비되는 걸림단턱(55)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5)는, 공기도입구(4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방지커버(50)의 고정력이 증가하도록 복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55)는, 양단에 대향되게 구비되며 상,하에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단 각각에 걸림돌기(5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단턱(57)은, 상기 걸림돌기(55)의 끝단에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55)가 공기도입구(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공기도입구(40)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55)의 걸림단턱(57)이 걸림에 따라 방지커버(5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56)는, 돌기(55) 및 걸림단턱(57)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56)는 컷오프부(18)에 방지커버(5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56)는, 상기 본체(52)의 밀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컷오프부(18)에 접착고정하거나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58)는, 송풍팬(20)을 통해 유입된 송풍공기의 일부가 진입되어, 상기 도입공간(52)을 통해 컷오프부(18)의 공기도입구(40)로 진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58)는, 도입공간(54)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52)에서 일정크기로 도입공간(54)과 연통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통기구(58)는, 최상단부가 상기 공기도입구(40)의 최하단부와 동일하거나 낮도록 구비하여,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가 통기구(58)와 공기도입구(40)의 높이차이에 의해 진입이 방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기구(58)는, 상기 본체(52)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하고, 송풍공기의 진입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사선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기구(58)를 통해 진입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모터(3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송풍팬(20)이 회전하여, 강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스크롤 케이싱(10)의 일측에 구비된 내외기 전환 유니트의 개방모드에 따라, 내기 또는 외기의 송풍공기가 상기 스크롤 케이싱(10)의 유입구(14)를 통해 송풍실(12)로 유입된다.
유입된 송풍공기는 송풍실(12)에서 배출구(16)로 배출되어, 차량용 공조장치 내에 송풍공기를 토출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실(12)과 배출구(16)의 경계면에는 컷오프부(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컷오프부(18)에는 일정크기의 공기도입구(40) 및 상기 공기도입구(40)를 커버하는 방지커버(50)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컷오프부(18)를 지나는 송풍공기의 일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커버(50)의 통기구(58)로 진입된다.
이렇게 진입된 송풍공기는, 도입공간(54)을 거쳐 공기도입구(40)로 진입되어, 송풍모터(30)를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는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상기 통기구(58)와 공기도입구(40)와의 높이편차에 의해 생성된 벽을 넘지 못하고, 송풍공기만 상기 공기도입구(40)로 진입된다.
이에 따라,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가 공기도입구(40)를 거쳐 송풍모터(30)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8: 컷오프부 40: 공기도입구
50: 방지커버 51: 밀착면
52: 본체 53: 외주면
54: 도입공간 55: 걸림돌기
56: 고정부 57: 걸림단턱
58: 통기구

Claims (7)

  1. 내측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송풍실과 일측에 송풍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송풍실에서 송풍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스크롤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실(12)과 배출구(16) 사이의 경계에 컷오프부(18)를 구비하고,
    상기 컷오프부(18)의 일측에 일정크기로 구비되어, 송풍공기의 일부가 도입되어 송풍모터(30)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바이패스통로(42)가 구비된 공기도입구(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도입구(40)로 도입되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지커버(50)가, 상기 공기도입구(40)에 조립되며,
    상기 방지커버(50)는,
    공기 흐름방향 상류측에 조립되는 길이보다 하류측에 조립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본체(52)와;
    상기 본체(52)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공기도입구(40)와 소통되도록 구비되는 도입공간(54);
    상기 본체(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컷오프부(18)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56);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입공간(54)으로 송풍공기가 진입되도록 연통된 통기구(58)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58)는,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본체(52)의 하방에 구비되고, 통기구(58)와 공기도입구(40) 사이에 높이편차를 가지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통기구(58)는, 최상단부가 상기 공기도입구(40)의 최하단부보다 낮게 구비되어, 송풍공기에 포함된 수분 또는 응축수가 상기 통기구(58)와 공기도입구(40)의 높이차이에 의해 진입이 방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52)는, 송풍실(12)에서 배출구(16)로 배출되는 송풍공기의 흐름을 간섭하지 않도록 유선형의 외주면(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6)는, 상기 본체(52)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55); 및
    상기 돌기(55)의 끝단에 단차지게 구비되어 상기 공기도입구(40)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단턱(5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58)는, 송풍공기의 진입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본체(52)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20120068329A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191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329A KR101911883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329A KR101911883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26A KR20140001326A (ko) 2014-01-07
KR101911883B1 true KR101911883B1 (ko) 2018-10-25

Family

ID=5013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329A KR101911883B1 (ko) 2012-06-26 2012-06-26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908B1 (ko) * 2014-09-17 2017-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름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504A (ja) 2000-09-27 2002-04-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001541A (ja) 2005-06-27 2007-01-11 Denso Corp 送風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2010059825A (ja) 2008-09-02 2010-03-18 Denso Corp 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2504A (ja) 2000-09-27 2002-04-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001541A (ja) 2005-06-27 2007-01-11 Denso Corp 送風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2010059825A (ja) 2008-09-02 2010-03-18 Denso Corp 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326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744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9186954B2 (en) Blower unit
JP2006082725A (ja) 空調装置
CN111247013A (zh) 车辆用空调装置
CN108698479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9118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JP200809597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0842210B1 (ko) 블로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4068644A (ja) 遠心送風機
KR20140095626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0612919B1 (ko) 차량용 화생방 겸용 공조장치
KR101450597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566310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378598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12337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JP3995340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76116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115036A (ko)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송풍기
WO2021100629A1 (ja) 車両用空調装置の二層流送風装置
KR1025315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장치
KR100694614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EP3718798B1 (en) Air blowing device for vehicle air-conditioning
JP2004098782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