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740B1 -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 Google Patents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740B1
KR102355740B1 KR1020210082276A KR20210082276A KR102355740B1 KR 102355740 B1 KR102355740 B1 KR 102355740B1 KR 1020210082276 A KR1020210082276 A KR 1020210082276A KR 20210082276 A KR20210082276 A KR 20210082276A KR 102355740 B1 KR102355740 B1 KR 10235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opper
fabric
manufacturing
micr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경
Original Assignee
유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경 filed Critical 유민경
Priority to KR102021008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7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1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twis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사와 일반사 및 식물섬유를 혼방하여 구리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가지며 세탁내구성이 높아 다양한 섬유제품, 구체적으로 가방 손잡이에 활용이 가능한, 구리사 혼방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MANUFACTURING METHOD OF COPPER YARN BLEND FABRIC AND BAG HAND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리사와 일반사 및 식물섬유를 혼방하여 구리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가지며 세탁내구성이 높아 다양한 섬유제품, 구체적으로 가방 손잡이에 활용이 가능한, 구리사 혼방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로서, 다양한 소재와 색깔을 갖는 직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된다.
상기 직물은 직조기에서 원사를 직조하여 얻어진 섬유 원단 형태의 것으로, 이러한 직물은 의류 및 침구 등의 각종 섬유용품을 제조하는데 원재료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다수의 직물은 기능성이 부여되지 않은 단순 가공 공정과 재봉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기 때문에, 각종 유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일반인들의 건강과 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따라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섬유제품의 위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있어왔다. 이는 섬유제품내에서 세균등의 미생물은 인체의 분비물과 주변의 적당한 환경조건에 의해 서식하면서 악취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하고 의류 등의 섬유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며 수술복, 위생거즈와 같이 극도의 청결함이 보장되어야 하는 섬유제품이 세균으로 오염되어 이로 인한 2차 감염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항균성을 부과하는 섬유제품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병원복, 위생복, 보호복의 소재로는 면직물이나, 면/폴리에스테르 혼방직물을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종래소재들은 항균성이 매우 나빠서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으며 병원복 및 위생복소재로 면직물을 사용할 경우 항균성이 떨어지는 문제 외에도 발한으로 인한 중량증가로 쾌적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알려져 있는 섬유제품에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항균제로 후 가공처리를 함으로써 섬유의 표면에 항균작용을 하는 화합물로 피막을 도포하는 방법과, 합성섬유의 방사공정에서 항균제를 혼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유기수은 화합물, 할로겐 페닐계 화합물, 제 4급 암모늄염기가 있는 계면활성제, 유기동 화합물 등으로 섬유에 처리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들 방법은 안정성 문제, 내세탁성이 약한 문제, 효과가 불충분한 문제 등이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상기 후가공 처리방법의 개선책으로 항균제를 방사공정에 투입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유기화합물을 방사공정에 투입할 경우 항균제 자체가 높은 온도에서 견디지 못하고 분해되거나 섬유의 색 변화를 야기시키며 물성변화의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항균처리 방법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양전하를 띄는 금속인 구리을 연신하여 구리사로 제조하고 이를 일반섬유와 함께 혼방하여 항균성 구리사 혼방 원단을 제조한 후 이를 항균성시험 및 세탁내구성 시험을 거친 결과 구리사 원단이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45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리사와 일반사 및 식물섬유를 혼방하여 구리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가지며,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구리사 혼방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구리 섬유를 연신하여 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연신된 구리 극세사 2 내지 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일반사와 1:10 내지 1:30중량비로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 섬유 및 마섬유를 1:4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섬유를 방적하여 제1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 및 제1 혼방사를 1:1 내지 3:1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방사를 위사 및 경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극세사는 50㎛ 내지 70㎛ 의 직경으로 연신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사는, 한지,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리사 혼방 원단을 포함하는 가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황색포도상구균 또는 폐렴균과 같은 유해균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구리사 혼방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균 능력이 우수한 구리사 혼방 원단으로 가방 손잡이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갖는 구리사 혼방 원단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원의 일 측면은, 구리 섬유를 연신하여 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연신된 구리 극세사 2 내지 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일반사와 1:10 내지 1:30중량비로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 섬유 및 마섬유를 1:4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사 및 제1 혼방사를 1:1 내지 3:1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방사를 위사 및 경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리사 혼방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구리 섬유를 연신하여 구리 극세사를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금속 극세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는 50㎛ 내지 70㎛ 의 직경으로 연신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극세사가 50㎛ 미만의 직경으로 연신될 경우 세탁내구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70㎛ 초과의 직경으로 연신될 경우 극세사에 사용되는 구리의 양이 늘어나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며, 상기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질감이 뻣뻣해져 의복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신된 구리 극세사 2 내지 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한다. 만약 상기 극세사가 2가닥 미만일 경우 권축성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으며, 4가닥 초과일 경우 상기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질감이 뻣뻣해져 의복으로 가공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리사를 일반사와 1:10 내지 1:30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한다. 만약 상기 구리사와 일반사가 1:10 중량비의 미만으로 합사될 경우 상기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착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1:30 중량비의 초과로 합사될 경우 상기 제1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항균 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를 제조한 뒤 복합사의 집속력을 향상시키고, 제직 공정의 용이성을 위해 연사 공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연사는 약 200 내지 약 800 TPM의 꼬임수로 연사될 수 있으며, 상기 꼬임 시 꼬임의 방향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반사는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사 또는 합성섬유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지,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뽕나무 섬유 및 마섬유를 1:4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한다. 상기 방적은 짧은 섬유를 조작하여 일정한 굵기의 기다란 실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적은 통상적인 방적을 위한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적기를 이용하여 방적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복합사 및 제1 혼방사를 1:1 내지 3:1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혼방사를 제조한다. 만약 상기 제1 복합사와 제1 혼방사가 1:1 중량비의 미만으로 합사될 경우 상기 복합사 및 혼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착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3:1 중량비의 초과로 합사될 경우 상기 복합사 및 혼방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세탁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혼방사를 위사 및 경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기 또는 편기를 이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이중직, 파일직, 익직, 크레이프직,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조직일 수 있고, 상기 여러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 조직이라 할 때 상기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 방법은 통상적인 삼원 조직 각각의 제직 방법에 의하며, 삼원 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 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조직을 배합하거나 색상을 달리한 원사를 사용하여 직물에 무늬를 구현하여 문직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비 직물, 자카드 직물, 색사와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비 직물은 비교적 간단한 무늬를 가지는 원단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약 20 내지 약 40올의 위사에 의해서 완성되는 극히 작은 무늬와 바둑 무늬의 표현에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케(pique)직, 버즈아이(birds-eye)직, 와플 클로스(waffle cloth)직, 허케백(huekaback)직, 크레이프직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자카드 직물은 상기 도비 직물과는 다르게 큰 무늬 또는 곡선의 표현이 구현 가능한 직물로, 예를 들어, 브로케이드(brocade), 대머스크(damask), 티피스트리(tapestry)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색상과 조직의 배합에 의한 문 직물은 색사와 평직, 바스켓직, 능직 등의 조직의 배합에 의해 작은 기하학적 무늬를 가진 직물을 만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조가 되는 두 가지 색사를 경위사 모두 한올씩 교대로 배정하고 평직으로 제직하면 경방향 또는 위방향의 가는 줄무늬를 만들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에 대조되는 두 가지 색사를 사용하고 평직 또는 바스켓 조직으로 제직하면 크로우즈풋(crowfoot) 무늬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경위사에 대조가 되는 두가지 색사를 4올씩 교대로 배열하고, 2/2 능직으로 제직하여 연결되지 않은 4각 별모양의 무늬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가는 줄무늬를 경방향 및 위방향 교대로 배치하면 체크무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통상적인 직물 제조 후 염색 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발호, 정련 및 표백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각각의 공정은 통상적인 탈호, 정련, 표백 공정의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여 구리사 혼방 원단을 수득한다.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방법은 종래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업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약 1 회 내지 약 10 회 세탁 후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해 건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구리사 혼방 원단을 포함하는 가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방 손잡이는 통상적인 가죽 내지 섬유 재질의 손잡이 몸체에 구리사 혼방 원단 커버를 덧씌우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죽은 인조가죽 내지 천연가죽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합성피혁, 스플릿, 에나멜가죽, 소가죽, 양가죽, 염소가죽, 돼지가죽, 말가죽, 악어가죽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한지,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직경 2mm로 인발된 순동선(pure copper wire)을 세선 및 극세선 공정을 통하여 섬유로서 사용가능한 굵기인 직경 50㎛의 구리 극세사를 얻었다. 상기 극세사 2가닥을 합연하여 구리사를 제조하고, 상기 구리사와 면 섬유를 1:10으로 합사하여 400TPM의 꼬임을 주어 연사함으로써 제1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뽕나무 섬유와 마섬유를 1:7 중량비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섬유를 방적하여 제1 혼방사를 제조한 후, 상기 제1 복합사 및 제1 혼방사를 1:2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 혼방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2 혼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고, 이를 공업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약 3 회 세탁한 뒤 건조하여 구리사 혼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구리사 혼방 원단을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구리 극세사의 직경을 60㎛로 변경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제2 혼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직물은 공업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약 3 회 세탁한 뒤 건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혼방 원단을 제조하고, 이를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구리사를 12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45 필라멘트수)로 대체하여 제1 복합사를 제조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제2 혼방사를 경사 및 위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직물은 공업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약 3 회 세탁한 뒤 건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혼방 원단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세탁 치수변화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혼방 원단에 대해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KS K ISO 3759:2014/0577:2014/6330:2011에 의거하여 세탁 치수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은 40℃의 온도에서 기계세탁을 진행하고(8B), 빨랫줄에 건조하였다. 상기 시험에 따른 결과값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웨일 방향 (%) 코스 방향(%)
실시예 1 -0.6 -3.2
실시예 2 -1.1 -4.3
비교예 -1.5 -6.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의 구리사 혼방 원단의 경우, 비교예의 혼방 원단에 비해 낮은 세탁 치수변화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혼방 원단에 대해 한국의류시험연구원의 KS K 0693:2016에 의거하여 균주 1(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및 균주 2(ATCC 4352, klebsiella pneumoniae, 폐렴균) 2 가지 균주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TWEEN80 (0.05%)를 사용하였으며, 세탁은 KS K ISO 6330: 2011에 의거하여 40℃의 온도에서 기계세탁을 진행하고(8B), 수평망에 건조하였다. 측정 결과값은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균주 구분 시험결과
Blank 3회 세탁 후
실시예 1 균주 1 초기 균수 1.6×104 1.6×104
18 시간 후 1.2×107 2.5×103
정균 감소율(%) - 99.9
균주 2 초기 균수 1.6×104 1.6×104
18 시간 후 3.1×107 < 10
정균 감소율(%) - 99.9
실시예 2 균주 1 초기 균수 1.9×104 1.9×104
18 시간 후 1.2×106 3.1×103
정균 감소율(%) - 99.7
균주 2 초기 균수 1.9×104 1.9×104
18 시간 후 3.1×107 < 10
정균 감소율(%) - 99.9
비교예 균주 1 초기 균수 1.6×104 1.6×104
18 시간 후 8.5×107 5.1×107
정균 감소율(%) - 40
균주 2 초기 균수 1.6×104 1.6×104
18 시간 후 4.7×107 4.1×107
정균 감소율(%) - 12.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의 구리사 혼방 원단의 경우, 비교예의 혼방 원단에 비해 황색포도상구균 및 폐렴균 모두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구리 섬유를 연신하여 극세사로 제조하고 상기 연신된 구리 극세사 2 내지 4가닥을 꼬아 합연사를 통해 구리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구리사를 한지, PLA(Poly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사와 1:10 내지 1:30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1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뽕나무 섬유 및 마섬유를 1:4 내지 1:1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섬유를 방적하여 제1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복합사 및 제1혼방사를 1:1 내지 3:1 중량비로 합사하여 제2혼방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혼방사를 위사 및 경사로 포함시켜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을 세탁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는 50㎛ 내지 70㎛ 의 직경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210082276A 2021-06-24 2021-06-24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KR10235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76A KR102355740B1 (ko) 2021-06-24 2021-06-24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276A KR102355740B1 (ko) 2021-06-24 2021-06-24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740B1 true KR102355740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276A KR102355740B1 (ko) 2021-06-24 2021-06-24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7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07A (ko) 1998-11-18 1999-02-25 추헌곤 고온 여과 집진용 세라믹 필터
KR20000067042A (ko) * 1999-04-22 2000-11-15 노성훈 항균성 동사 편직물
KR200292132Y1 (ko) * 2002-05-16 2002-10-14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항균성, 방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07A (ko) 1998-11-18 1999-02-25 추헌곤 고온 여과 집진용 세라믹 필터
KR20000067042A (ko) * 1999-04-22 2000-11-15 노성훈 항균성 동사 편직물
KR200292132Y1 (ko) * 2002-05-16 2002-10-14 주식회사 유니트레이드 항균성, 방충성 및 대전방지성 등이 우수한 직물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59216A (zh) 起绒织物及其制造方法
KR102169890B1 (ko) 친환경 의류용 원단 제조방법
WO2008130099A1 (en) Sanitary cloth made of hemp
JP7297264B2 (ja) 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織物を含む繊維製品
CN110670194B (zh) 一种抑菌纱线的制备方法
CN111945269A (zh) 一种复合纱线及其制备方法
CN104975364B (zh) 一种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US20170204540A1 (en) Highly absorbent, super-soft and functionalized composite yarn, textile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CN104233604B (zh) 一种含中空纤维的面料及其生产方法
KR102355740B1 (ko) 구리사 혼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가방 손잡이 원단
CN112609289A (zh) 一种棉天丝混纺染色牛仔布及加工工艺
KR101611405B1 (ko) 고신축성 린넨 환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67169A (zh) 一种吸湿抗菌涤纶面料及其制备方法
JP6280414B2 (ja) 抗菌性布帛
CN110644117A (zh) 一种双层双弹灯芯绒及其工艺流程
US7578148B2 (en) Color-fast stretch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211264A (ja) 弾性複合紡績糸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866792A (zh) 一种鞋面用网布的生产工艺
CN110271250B (zh) 一种柔性吸湿排汗的弹性织带及其制备方法
KR102199366B1 (ko) 재활용 기능성 의류 제조방법
KR200450156Y1 (ko) 폴리우레탄함침 스웨드타입 트리코트 경편직물
CN212560591U (zh) 羊毛混纺纱线
JPH04272212A (ja) 天然石を含有する人造繊維およびその繊維製品
KR102400704B1 (ko) 헴프를 포함하는 혼방사, 이를 포함하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05574A (ja) ポリアミド繊維織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