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760B1 -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760B1
KR102354760B1 KR1020207013303A KR20207013303A KR102354760B1 KR 102354760 B1 KR102354760 B1 KR 102354760B1 KR 1020207013303 A KR1020207013303 A KR 1020207013303A KR 20207013303 A KR20207013303 A KR 20207013303A KR 102354760 B1 KR102354760 B1 KR 10235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cartridge
sheet member
cap
s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303A (ko
Inventor
다쿠야 다지마
나오키 야마모토
세이지 도쿠모토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44Micromachined materials, e.g. made from silicon wafer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or compri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한다. 카트리지는,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한다.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캡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활성 성분의 투여를 보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부를 통하여 활성 성분을 투여하기 위한 시트 부재가 알려져 있다. 시트 부재의 예로서,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첩부제 (貼付劑) 와, 하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시트가 있다.
국제 공개 제2002/002177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2013/187392호 팜플렛
사용자는 손으로 또는 어떠한 보조구를 사용하여 시트 부재를 피부에 붙이거나 대거나 함으로써,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한다. 그러나,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할 때에 힘을 주는 정도는 개개의 사용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시트 부재의 적용의 정도도 사용자마다 상이해지고, 나아가서는 활성 성분의 투여에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로서,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캡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카트리지와 연결되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押下)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카트리지는, 시트 부재와,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시트 부재를 향해 힘을 부여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어플리케이터와 연결되고, 어플리케이터가 힘을 카트리지에 부여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카트리지가,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어플리케이터가,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캡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되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터가 카트리지와 연결된 다음에 캡이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하에서, 시트 부재가 굽힘부에 의해 구부려져 피부에 적용된다. 이 구조에 의해, 누가 이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해도,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시트 부재에 가해진 상태로, 시트 부재가 피부에 적용된다. 적용시에 시트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되므로,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와 함께 사용하는 마이크로니들·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의 6 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트리지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트리지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트리지의 6 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의 6 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는 천자 (穿刺) 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변형예에 관련된 카트리지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어플리케이션·키트의 개요]
어플리케이션·키트는, 생체 내에 임의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약제) 을 투여하기 위한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할 때에 사용하는 보조 기구이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키트를 사용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시트 부재를 적용하는 경우보다 적절한 힘으로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시트 부재가 피부에 적용된다」는 표현은, 시트 부재가 피부에 접하는 것을 적어도 나타낸다. 시트 부재는, 평면 형상을 나타내고, 되접거나 피부의 표면 형상에 추종하거나 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다. 시트 부재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첩부제나 마이크로니들·시트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의 일례로서 마이크로니들·시트를 나타낸다.
[마이크로니들·시트]
도 1 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와 함께 사용되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띠상 (가늘고 긴 사각형) 을 나타낸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시트 본체 (91) 와, 이 시트 본체 (91) 에 형성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92) 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변을 따른 방향을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또는 시트 본체 (91)) 의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단변을 따른 방향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을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또는 시트 본체 (91)) 의 폭 방향이라고 한다. 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또는 시트 본체 (91)) 의 두께 방향이라고 한다.
각 마이크로니들 (92) 의 두께 (두께 방향을 따른 길이) 는 시트 본체 (91) 의 두께와 동일하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92) 은, 시트 본체 (91) 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2 이상의 마이크로니들 (92) 이 정렬하도록 형성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사용을 위해서 제공되는 시점에서는, 각 마이크로니들 (92) 은, 시트 본체 (91) 의 주면 (91a) 으로부터 일어서 있지 않고, 주면 (91a) 을 따라 누운 상태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92) 의 각각의 선단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시트 본체 (91) 의 일단 (도 1 에서는 좌방향) 을 향한다. 혹은, 각 마이크로니들 (92) 과 시트 본체 (91) 가 이루는 각도가 0°또는 대략 0°라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니들 (92) 의 선단의 방향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사용될 때의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진행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일부의 마이크로니들 (92) 의 방향이 다른 마이크로니들 (92) 의 방향과 달라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및 마이크로니들 (92) 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수용성 고분자, 다른 금속, 다른 수지, 생분해성 소재, 세라믹, 또는 생체 흡수성 소재 중 어느 것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및 마이크로니들 (92) 을 제조해도 된다. 혹은, 이들 재질을 조합하여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및 마이크로니들 (92) 을 제조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 (92) 은 에칭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시트가 금속이면 약액으로 그 시트를 부분적으로 녹임으로써 마이크로니들 (92) 을 형성할 수 있고, 시트가 비금속이면 레이저로 그 시트를 부분적으로 자름으로써 마이크로니들 (92)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는, 마이크로니들 (92) 의 주위에 공극이 생긴다. 물론, 레이저 가공 및 에칭 이외의 수법에 의해 마이크로니들 (92) 을 형성해도 된다. 어느 쪽이든, 마이크로니들 (92) 을 미리 시트의 주면 (91a) 으로부터 일으켜 둘 필요가 없으므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용이하게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 (92) 은 삼각 형상이지만,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은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의 예에서는, 마이크로니들 (92) 의 크기 및 방향이 균일하지만, 그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일방이 균일하지 않아도 된다. 마이크로니들 (92) 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그 선단부의 각도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또는 20°여도 되고, 그 각도의 상한은 예를 들어 150°또는 120°여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있어서의 마이크로니들 (92) 의 분포는 균일해도 되고 균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길이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1 이상의 마이크로니들 (92) 을 포함하는 영역과, 마이크로니들 (92) 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이 교대로 존재하도록, 시트 본체 (91) 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92) 이 형성되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치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두께의 하한은 5 ㎛ 여도 되고 20 ㎛ 여도 되며, 두께의 상한은 1000 ㎛ 여도 되고 300 ㎛ 여도 된다. 길이의 하한은 0.1 ㎝ 여도 되고 1 ㎝ 여도 되며, 길이의 상한은 50 ㎝ 여도 되고 20 ㎝ 여도 된다. 폭의 하한은 0.1 ㎝ 여도 되고 1 ㎝ 여도 되며, 폭의 상한은 60 ㎝ 여도 되고 30 ㎝ 여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길이 및 폭의 하한은 활성 성분의 투여량을 고려하여 정해지고, 길이 및 폭의 상한은 생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진다.
마이크로니들 (92) 에 관한 파라미터도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바늘의 높이의 하한은 10 ㎛ 여도 되고 100 ㎛ 여도 되며, 그 높이의 상한은 10000 ㎛ 여도 되고 1000 ㎛ 여도 되며 500 ㎛ 여도 된다. 바늘의 밀도의 하한은 0.05 개/㎠ 여도 되고 1 개/㎠ 여도 되며, 그 밀도의 상한은 10000 개/㎠ 여도 되고 5000 개/㎠ 여도 된다. 밀도의 하한은, 1 mg 의 활성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바늘의 개수 및 면적으로부터 환산한 값이고, 밀도의 상한은, 바늘의 형상을 고려한 후의 한계값이다.
피부에 적용하는 활성 성분의 준비 방법으로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자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 (92) 자체에) 미리 활성 성분을 내포시켜 두는 수법과,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자체에 미리 활성 성분을 코팅해 두는 수법과, 마이크로니들 (92) 을 피부에 천자하기 전에 그 피부 상에 활성 성분을 도포해 두는 수법과, 마이크로니들 (92) 을 피부에 천자한 후에 그 피부 상에 활성 성분을 도포하는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미리 활성 성분을 코팅한다면, 소정의 점도의 코팅액을 가능한 한 균일한 두께로 시트 전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92) 의 선단이 시트 본체 (91) 의 일단을 향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니들 (92) 이 주면 (91a) 을 따라 누워 있기 때문에), 그 균일한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코팅은 스크린 인쇄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자체에 활성 성분을 내포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생분해성의 시트 또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주면 (91a) 이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된 형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의 재질의 예로서 PET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지만, 그 재질은 전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이나 다른 종류의 수지 등을 사용하여 박리 라이너를 제조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테이프나 점착제 등에 의해 이 박리 라이너의 편면에 고정 또는 가부착된다.
각 마이크로니들 (92) 은, 어플리케이션·키트에 의해 구부러지기 전에는 시트 본체 (91) 의 주면 (91a) 을 따라 누운 상태에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키트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마이크로니들 (92) 이 다른 것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나 의복 등) 에 닿거나 걸리거나 할 걱정이 없다. 그 결과, 마이크로니들 (92) 의 취급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보관이나 반송, 사용 직전의 준비 등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키트의 구성]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6 면도이다. 도 3 에서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생략하였다. 어플리케이션·키트 (1) 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2) 와, 이 카트리지 (2) 에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터 (3) 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 (3) 의 바닥부에 카트리지 (2) 를 장착함으로써, 카트리지 (2) 및 어플리케이터 (3) 의 세트가 어플리케이션·키트 (1) 로서 기능한다. 사용자는 이 어플리케이션·키트 (1) 를 피부 상에서 움직임으로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에 적용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적용을 마친 다음에는, 사용자는 카트리지 (2) 를 어플리케이터 (3) 로부터 떼어내고 새로운 카트리지 (2) 를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함으로써, 다른 새로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터 (3) 는 반복 이용이 가능한 기구인데 반하여, 카트리지 (2) 는 일회용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터 (3) 측을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상측으로 정의하고, 카트리지 (2) 측을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하측으로 정의한다. 또,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사용시에,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2) 의 내부로 진입하는 측을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후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측을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앞측으로 정의한다. 또,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폭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정의된 방향을, 어플리케이터 (3) 단체 (單體) 및 카트리지 (2) 단체의 설명에서도 사용한다. 도 2 에서는,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후측이 앞쪽에 위치하도록 그려져 있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4 는 카트리지 (2) 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카트리지 (2) 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카트리지 (2) 의 6 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에서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생략하였다. 도 6 에서는, 우측면도와 대칭인 좌측면도를 생략하였다. 카트리지 (2) 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와, 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본체 (10) 를 구비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 에 장착됨으로써 카트리지 (2) 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 (10) 는, 어플리케이터 (3) 의 바닥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바닥부) 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소형의 부품이다. 카트리지 본체 (10) 는, 지지판 (11) 및 1 쌍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를 구비한다.
지지판 (11) 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평판이다. 지지판 (11) 의 상면의 폭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폭에 따라 설정되고, 이 설정에 의해, 피부에 적용되기 전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흔들거림없이 전방으로 곧바로 진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 (11) 의 상면의 폭을 규정하기 위해서 가이드 (13) 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본체 (10) 는, 진행되어 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구부림으로써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에 적용하는 직선 형상의 굽힘부 (14) 를 구비한다. 굽힘부 (14) 의 폭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굽힘부 (14) 는 지지판 (11) 의 전단 (앞측의 직선 형상의 한 변) 이다. 단, 굽힘부 (14) 의 구체적인 형상 또는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굽힘부 (14) 는 가늘고 긴 원기둥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판 (11) 의 하면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 (端) 을 카트리지 (2) 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로 (15) 가 형성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제 1 단 부근에는 그 클로 (15) 에 대응하는 관통공 (93) 이 형성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제 1 단을 지지판 (11) 의 상면에 싣고 굽힘부 (14) 까지 끌어내고, 굽힘부 (14) 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구부려, 지지판 (11) 의 하면으로 옮겨진 관통공 (93) 을 클로 (15) 에 걺으로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 에 미리 장착된다. 카트리지 본체 (10) 에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보다 확실하게 장착하기 위해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제 1 단의 부근이 점착제 또는 접착제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 (10) 의 하면에 고정되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주면 (91a) 이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박리 라이너가 위를 향한 상태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지지판 (11) 의 상면에 실린다.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사용시에는, 그 박리 라이너는 굽힘부 (14) 의 부근에서 시트 본체 (91) 로부터 벗겨지고, 굽힘부 (14) 에 의해 구부러진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주면 (91a) 이 피부와 서로 마주 본다.
1 쌍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는, 어플리케이터 (3) 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으로, 지지판 (11)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된다. 각각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는, 카트리지 본체 (10) 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N 자 형상 또는 역 N 자 형상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는, 지지판 (11) 의 단부에 형성된 역 U 자 형상의 끼워맞춤부 (16) 와, 이 끼워맞춤부 (16) 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 (17) 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 (16) 의 외측의 벽에는 클로 (18) 가 형성된다.
[어플리케이터의 구성]
도 7 은 어플리케이터 (3) 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어플리케이터 (3) 의 내부 구조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어플리케이터 (3) 의 6 면도이다. 도 10 에서는, 우측면도와 대칭인 좌측면도를 생략하였다. 어플리케이터 (3) 는, 세로로 긴의 직방체상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와, 그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정상부를 덮도록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에 장착된 캡 (30) 을 구비한다. 캡 (30) 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캡 (30) 은 그 높이 방향을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바닥부를 향해 또는 그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평행이동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에 대한 캡 (30) 의 이동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와 캡 (30) 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압축 스프링 (40) 에 의해 제어된다. 압축 스프링 (40) 은,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 (30) 에 부여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에 대한 캡 (30) 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탄성 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 (40) 은 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지만, 압축 스프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 (40) 의 일단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상면에 장착되고, 타단은 캡 (30) 의 천장에 장착된다.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 (30) 에 부여할 수 있다면, 압축 스프링 (40) (탄성 부재) 의 구체적인 장착 위치는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40) 의 일단이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 장착되어도 된다.
압축 스프링 (40) 의 탄성력에 의해, 캡 (30) 이 바닥부를 향해 일정 이상의 힘으로 눌리지 않는 이상, 캡 (30) 은 바닥부로부터 멀어진 상태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 (30) 에 외력이 가해져 캡 (30) 이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상태를 「압하 상태」라고 한다. 또, 캡 (30) 이 바닥부를 향해 이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 (캡 (30) 이 압축 스프링 (40) 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멀어진 상태) 를 「비압하 상태」라고 한다. 어플리케이션·키트 (1) 로 치환하여 말하면, 압하 상태는 캡 (30) 이 카트리지 (2) 에 가까워진 상태이고, 비압하 상태는 캡 (30) 이 카트리지 (2) 로부터 멀어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비압하 상태는 어플리케이터 (3) 및 캡 (30) 의 자연스러운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 (40) 의 구조 또는 탄성력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2) 로부터 피부에 적용될 때에 그 시트 부재에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설계되어도 된다.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바닥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카트리지 (2) 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1 쌍의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가 형성된다. 각각의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는,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의 끼워맞춤부 (16) 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측이 열린 상자 형태를 나타낸다.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벽에는,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의 클로 (18) 와 걸어 맞춰지는 클로 수용부 (22a) 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클로 수용부 (22a) 는 관통공이다.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바닥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름판 (23) 이 형성된다. 전후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누름판 (23) 은,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된 카트리지 (2) 의 굽힘부 (14) 의 근처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름판 (23) 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통과 가능한 만큼의 약간의 거리만큼 굽힘부 (14) 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누름판 (23) 은,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된 카트리지 (2) 의 지지판 (11) 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갖는다. 누름판 (23) 의 바닥면의 조금 위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라이너 배출구 (23a) 가 형성된다. 이 라이너 배출구 (23a) 는, 누름판 (23)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이고, 굽힘부 (14) 에서 시트 본체 (91) 로부터 벗겨진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박리 라이너를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라이너 배출구 (23a) 의 폭은 박리 라이너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는, 스토퍼 (50), 캠샤프트 (60) 및 저항부 (70) 를 수용한다. 스토퍼 (50) 는,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누름으로써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진행을 방해하는 기계 요소이다. 캠샤프트 (60) 는, 그 스토퍼 (50) 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 요소이다. 저항부 (70) 는 카트리지 (2) 상에서 진행하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대해 저항을 부가하는 기구이다. 스토퍼 (50) 및 저항부 (70) 는 모두 바닥부에 형성되고, 스토퍼 (50) 는 저항부 (70) 보다 뒤에 위치한다.
스토퍼 (50) 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스토퍼 (50) 의 하단은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나타내고, 이 하단이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닿는다. 스토퍼 (50) 의 상단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내측을 향해 L 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50) 는,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압축 스프링 (41) 을 개재하여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내에 장착된다. 압축 스프링 (41) 의 일단은 스토퍼 (50) 의 상면에 장착되고, 타단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천장에 장착된다. 압축 스프링 (41) 은, 바닥부를 향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스토퍼 (50) 에 부여한다. 그 때문에, 스토퍼 (50) 는 비압하 상태에서는 압축 스프링 (41) 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에 가까워진다. 압축 스프링 (41) 은, 스토퍼 (50) 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 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 (41) 은 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지만, 압축 스프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카트리지 (2) 가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된 경우에는, 비압하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 (50) 는 카트리지 (2) 의 지지판 (11)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세게 눌린다. 그 때문에, 비압하 상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지지판 (11) 과 스토퍼 (50) 에 의해 확실하게 사이에 끼여,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굽힘부 (14) 로 진행되는 것이 방해된다. 여기서, 「진행이 방해된다」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를 억지로 끌어당기지 않는 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를 굽힘부 (14) 로 진행시킬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압축 스프링 (41) 의 구조 또는 탄성력은, 비압하 상태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이 의도치않게 진행되지 않을 정도의 가압력이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에 가해지도록 설계되어도 된다.
캠샤프트 (60) 는,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막대상의 부재이다. 캠샤프트 (60) 는, 회전축 (61) 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캠 (62) 과, 회전축 (61) 의 외주면에 제 1 캠 (62) 으로부터 약 180°떨어져 형성된 제 2 캠 (63) 을 구비한다. 제 1 캠 (62) 은, 캡 (30) 의 내벽에 형성된 노치 (32) 에 끼워진다. 제 2 캠 (63) 은 스토퍼 (50) 의 L 자 형상의 상단 아래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캠 (62) 및 제 2 캠 (63) 은 모두, 캠샤프트 (60) 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클로이지만, 캠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제 1 캠 (62) 및 제 2 캠 (63) 의 구체적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캠샤프트 (60) 는 캡 (30) 이 바닥부를 향해 눌렸을 때에 작동한다. 비압하 상태에서는, 제 2 캠 (63) 은, 바닥부에 세게 눌린 스토퍼 (50) 의 상단 아래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캡 (30) 을 밀어 누름으로써 캡 (30) 이 압축 스프링 (40)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하면 (즉, 어플리케이터 (3) 가 압하 상태가 되면), 노치 (32) 의 상단이 제 1 캠 (62) 에 닿아서 제 1 캠 (62) 을 밀어 누른다. 이에 따라서 캠샤프트 (60) 가 회전하여, 제 1 캠 (62)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캠 (63) 이 둘레 방향을 따라 위로 이동하여, 스토퍼 (50) 를 위로 움직인다. 이 제 2 캠 (63) 의 움직임에 의해, 스토퍼 (50) 는 압축 스프링 (41)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끌어 올려진다. 즉, 스토퍼 (50) 는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사용자가 캡 (30) 의 압하를 멈춤으로써 캡 (30) 이 압축 스프링 (40) 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즉, 어플리케이터 (3) 가 비압하 상태로 돌아오면), 노치 (32) 에 의한 제 1 캠 (62) 의 밀어 누름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서 캠샤프트 (60) 가 역회전하여, 제 2 캠 (63) 이 둘레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토퍼 (50) 가 압축 스프링 (41) 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다.
저항부 (70) 는,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롤러 (71) 와, 롤러 (71) 의 상방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압축 스프링 (72) 과, 압축 스프링 (72) 의 탄성력을 롤러 (71) 에 전달하는,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전달부 (73) 를 구비한다. 압축 스프링 (72) 의 일단은 전달부 (73) 의 상면에 장착되고, 타단은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중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 칸막이판 (도시 생략) 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 스프링 (72) 은 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지만, 압축 스프링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선형의 코일 스프링이어도 된다. 카트리지 (2) 가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된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 (72) 의 탄성력은 전달부 (73) 을 경유해 롤러 (71) 로 전해져, 그 결과, 롤러 (71) 는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세게 눌린다. 즉, 압축 스프링 (72) 은, 롤러 (71) 를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향해 세게 누르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롤러 (71) 는 누름 부재의 일례이다. 롤러 (71) 는,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구름 마찰, 미끄럼 마찰 등의 저항을 부가하면서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원활하게 내보내기 위해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단, 롤러 (71) 의 회전은 필수는 아니다. 롤러 (71) 는 압축 스프링 (72) 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판 (11) 을 향해 세게 눌리기 때문에,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지지판 (11) 과 롤러 (71) 에 의해 사이에 끼인다. 이와 같이 탄성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가해지는 저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 (72) 의 탄성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진행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편, 그 탄성력이 지나치게 약하면, 카트리지 (2) 상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느슨해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에 적절히 적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 (92) 이 충분히 일으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압축 스프링 (72) 의 구조 또는 탄성력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느슨함없이 팽팽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키트 (1) 를 적절히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도 된다.
어플리케이터 (3) 및 카트리지 (2) 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 재료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이어도 되고, 금속이어도 되고, 다른 종류의 수지 등이어도 되며,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치수 (어플리케이터 (3) 및 카트리지 (2) 의 치수) 는 임의의 기준으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폭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폭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또,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높이 및 전체 길이 (전후 방향을 따른 길이) 는 그 조작성을 고려하여 결정해도 된다.
[어플리케이션·키트의 사용 방법]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서,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 은, 어플리케이션·키트 (1) 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 는 천자의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에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를 꽂아 넣음으로써, 카트리지 (2) 를 어플리케이터 (3) 에 장착한다. 이 꽂아 넣기에 의해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의 클로 (18) 가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의 클로 수용부 (22a) 에 걸리고, 이로써 어플리케이터 (3) 및 카트리지 (2) 가 일체화되어 어플리케이션·키트 (1) 가 된다. 카트리지 (2) 의 지지판 (11) 의 상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니들 (92) 의 선단은 굽힘부 (14) 쪽 (즉, 전방) 을 향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 (3) 를 피부 (S)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부분을 적용하고자 하는 부위에) 놓는다. 어플리케이터 (3) 를 피부 (S) 상에 놓기만 한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터 (3) 는 비압하 상태 (자연 상태) 에 있다. 이 비압하 상태에서는 스토퍼 (50) 가 압축 스프링 (41) 에 의해 카트리지 (2) 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세게 눌리고,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스토퍼 (50) 및 지지판 (11) 에 의해 확실하게 사이에 끼인다. 그 때문에, 굽힘부 (14) 로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진행이 방해된다. 또,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지지판 (11) 과 롤러 (71) 에 의해 사이에 끼인다.
또한, 이 후의 어플리케이터 (3) 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피부 (S) 상에서 빗나가지 않도록,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일단 (처음부터 피부 (S) 에 접하는 단부) 에 점착제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 (30) 을 높이 방향을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를 향해 누르면서,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 내로 끌려 들어오도록 어플리케이터 (3) 를 움직인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는 캡 (30) 을 피부 (S) 의 거의 바로 위로부터 누르면서 (화살표 101 을 참조) 어플리케이터 (3) 를 앞으로 움직인다 (화살표 102 를 참조).
캡 (30) 이 눌리면, 노치 (32) 가 제 1 캠 (62) 을 바닥부를 향해 누르므로 제 1 캠 (62) 이 둘레 방향을 따라 내려간다. 이에 따라서 캠샤프트 (60) 가 회전하여, 제 2 캠 (63) 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온다. 그 결과, 제 2 캠 (63) 과 걸어 맞춰져 있는 스토퍼 (50) 도 올라가, 스토퍼 (50) 와 지지판 (11) 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압하 상태에서는 이와 같이 스토퍼 (50) 가 끌어 올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캡 (30) 을 누르면서 어플리케이터 (3) 를 앞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스토퍼 (50) 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 지지판 (11) 상에서 나아간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저항부 (70)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러 (71)) 를 지나 굽힘부 (14) 에 도달한다. 굽힘부 (14) 에 도달하기까지는, 마이크로니들 (92) 은 주면 (91a) 을 따라 누운 상태에 있다.
압축 스프링 (72) 은, 캡 (30) 이 눌리고 스토퍼 (50) 가 끌어 올려졌을 때에도 계속해서 롤러 (71) 를 지지판 (11) 을 향해 세게 누른다. 따라서, 압하 상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터 (3) 가 앞으로 움직여지고 있는 동안에도, 저항부 (70) 는, 굽힘부 (14) 로 진행되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 저항을 부가한다. 그 결과,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에는 장력이 가해지고, 이로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느슨해지지 않고 굽힘부 (14) 까지 안내되어 피부 (S) 에 적용된다.
압하 상태하에서 진행되어 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는 굽힘부 (14) 에 의해 약 180 도 구부러진다 (반전한다). 그러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니들 (92) 이 주면 (91a) 으로부터 일으켜지고, 일어선 마이크로니들 (92) 이 피부 (S) 에 찔린다. 어플리케이터 (3) 와 피부 (S) 의 사이에 있어서 한번에 일어서는 마이크로니들 (92) 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폭 방향을 따른 1 열분이다. 굽힘부 (14) 는, 마이크로니들 (92) 과 주면 (91a) 이 이루는 각도를 크게 하며, 그 커진 각도는 당연히 0 도보다 크고 또한 180 도 미만이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면 (91a) 으로부터 일어선 마이크로니들 (92) 이 피부 (S) 에 찔릴 때의 천자 각도 (θ) (마이크로니들 (92) 과 피부 (S) 가 이루는 각도) 도 0 도보다 크고 또한 180 도 미만이다. 천자 각도의 하한은 20 도, 34 도, 또는 40 도여도 되고, 그 각도의 상한은 160 도, 140 도, 또는 100 도여도 된다. 마이크로니들 (92) 을 피부 (S) 에 찌를 수 있다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굽힘부 (14) 에 의해 구부러지는 각도는 180 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각도는 예를 들어 135 ∼ 180 도의 범위여도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35 도, 150 도, 165 도, 또는 175 도여도 된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키트 (1) 를 피부 (S) 상에서 움직이고 있는 동안에는 누름판 (23) 이 피부 (S) 에 닿고, 피부 (S) 는 누름판 (23) 에 의해 당겨진다. 그 결과, 마이크로니들 (92) 이 적용되려고 하는 피부 (S) 의 부분이 누름판 (23) 에 의해 늘려지므로, 굽힘부 (14) 에 의해 일으켜진 마이크로니들 (92) 이 피부 (S) 에 찔리기 쉬워진다. 즉, 이 누름판 (23) 에 의해 마이크로니들 (92) 의 천자를 보다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키트 (1) 를 원하는 거리만큼 움직임으로써, 그 거리의 범위에 있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92) 이 피부 (S) 에 찔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적용 면적을 조정하여 원하는 양의 활성 성분을 투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바로 벗겨내도 되고, 소정의 시간에 걸쳐서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 (S) 에 계속해서 적용해도 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 (S) 에 적용하기를 마친 다음에는, 사용자는 카트리지 (2) 의 손잡이 (17) 를 카트리지 (2) 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가볍게 누르면서 카트리지 (2) 를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카트리지 (2) 를 어플리케이터 (3) 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키트 (1) 는 첩부제의 적용에도 사용할 수 있다. 첩부제는, 점착제층이 위를 향한 상태로 미리 카트리지 (2) 에 세트된다. 사용자는 캡 (30) 을 카트리지 (2) 를 향해 누르면서 어플리케이션·키트 (1) 를 앞으로 움직인다. 이 조작에 의해, 굽힘부 (14) 에 있어서, 점착제층 (첩부제의 작용면) 이 원호의 외측을 향하도록 첩부제가 꺾여 구부러져, 그 첩부제가 피부에 부착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로서,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캡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카트리지와 연결되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카트리지는, 시트 부재와,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시트 부재를 향해 힘을 부여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어플리케이터와 연결되고, 어플리케이터가 힘을 카트리지에 부여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에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카트리지가,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어플리케이터가,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캡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되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시트 부재를 구부린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어플리케이터가 카트리지와 연결된 다음에 캡이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하에서, 시트 부재가 굽힘부에 의해 구부러져 피부에 적용된다. 이 구조에 의해, 누가 이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해도,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어플리케이터로부터 카트리지를 경유하여 시트 부재에 가해진 상태로, 시트 부재가 피부에 적용된다. 적용시에 시트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 이상의 수준으로 유지되므로,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적용에 있어서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가 첩부제인 경우에는, 누가 이 어플리케이션·키트를 사용해도, 첩부제에 주름을 생기게 하지 않고 점착제층을 확실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시트 부재가 마이크로니들·시트인 경우에는, 누가 이 어플리케이션·키트를 사용해도, 마이크로니들을 시트의 주면으로부터 일으켜 세워 그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에 확실하게 찌를 수 있다.
추가로, 시트 부재가 미리 장착된 카트리지가 어플리케이터와는 별도의 기구로서 준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트 부재 자체를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하지 않고, 단순히 카트리지를 어플리케이터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시트 부재를 간단히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에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캡이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압하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상의 시트 부재를 누르고, 압하 상태에서는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토퍼와, 캡이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스토퍼를 시트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했을 때에, 스토퍼를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에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캡이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압하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상의 시트 부재를 누르고, 압하 상태에서는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토퍼와, 캡이 탄성력에 의해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스토퍼를 시트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고, 캡이 탄성력에 저항하여 바닥부를 향해 이동했을 때에, 스토퍼를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캡을 바닥부를 향해 움직이지 않으면 (즉,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시트 부재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의도하지 않는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에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카트리지 상의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에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카트리지 상의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진행되는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함으로써 그 시트 부재에 장력이 가해지므로, 시트 부재가 느슨해지지 않고 진행되고, 그 결과, 시트 부재를 일정한 힘으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에서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카트리지의 근처에 위치하는 누름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누름판이,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카트리지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가져도 된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에서는, 어플리케이터가,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카트리지의 근처에 위치하는 누름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누름판이,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카트리지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이 누름판에 의해, 시트 부재가 적용되려고 하는 피부의 부분이 늘려지므로, 시트 부재를 피부에 확실히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터에서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바닥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커넥터여도 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카트리지를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카트리지에서는,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굽힘부가 지지판의 직선 형상의 일단이어도 된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에서는, 카트리지가,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굽힘부가 지지판의 직선 형상의 일단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 있어서는, 지지판의 일단을 굽힘부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시트 부재를 구부리기 위한 부품을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카트리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련된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지지판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커넥터여도 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카트리지를 어플리케이터에 장착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로서 스프링을 나타냈지만, 탄성 부재는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터의 구성 요소로서 채용되는 탄성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 (예를 들어 고무) 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관통공 (93) 과 카트리지 본체 (10) 의 클로 (15) 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 에 고정되지만, 고정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과 카트리지 본체 (10) 의 지지판 (11) 의 하면에 얇은 자석을 설치하고, 쌍방의 자석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카트리지 본체 (10) 에 고정시켜도 된다.
시트 부재의 진행을 방해하기 위한 스토퍼, 그 스토퍼를 제어하기 위한 캠샤프트, 및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는 모두 생략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는 마이크로니들·시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키트는, 첩부제를 포함한 다른 종류의 시트 부재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및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2) 가 각각 1 쌍의 커넥터이지만, 카트리지와 어플리케이터를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측 커넥터 및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의 일방이 하나의 볼록 형상의 구조이고, 타방이, 그 볼록 형상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목 형상의 구조여도 된다.
도 13 을 참조하면서, 카트리지의 하나의 변형예인 카트리지 (2A) 를 설명한다. 도 13 은, 변형예에 관련된 카트리지 (2A) 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2A) 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시트 부재) 와, 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지지하는 카트리지 본체 (10A) 를 구비한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A) 에 장착됨으로써 카트리지 (2A) 가 형성된다. 도 13 에서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생략하였다. 카트리지 (2A) 는, 카트리지 (2) 와 비교하여 일부의 구조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특히 카트리지 (2) 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본체 (10A) 는, 어플리케이터 (3) 의 바닥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터 본체 (20) 의 바닥부) 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소형의 부품이다. 카트리지 본체 (10A) 는, 지지판 (11A) 및 1 쌍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를 구비한다. 지지판 (11A) 의 구조는 지지판 (11) 과 상이하지만, 1 쌍의 카트리지측 커넥터 (12) 의 구조는 카트리지 (2) 의 경우와 동일하다.
지지판 (11A) 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사각 형상의 평판이다. 지지판 (11A) 의 상면의 폭은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폭에 따라서 설정되고, 이 설정에 의해, 피부에 적용되기 전의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흔들거림없이 전방으로 곧바로 진행시킬 수 있다. 지지판 (11A) 은, 상방을 향해 (바꾸어 말하면, 어플리케이터 (3) 의 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형성되는 점에서, 카트리지 (2) 의 지지판 (11) 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지지판 (11A) 은, 적어도 일부가 만곡함으로써 그 볼록 형상을 형성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지지판 (11A) 에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이 만곡하고, 중앙부는 평판 형상이다. 그러나, 지지판의 볼록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지판의 전체가 만곡함으로써 그 볼록 형상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볼록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지지판의 형상이 생체의 형상에 한층 더 가까워지기 때문에, 피부와 시트 부재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 (10A) 는, 진행되어 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구부림으로써 그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피부에 적용하는 굽힘부 (14A) 를 구비한다. 상하 방향을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 (10A) 를 본 경우에는, 굽힘부 (14A) 는 직선 형상을 나타낸다. 전후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본체 (10A) 를 본 경우에는, 굽힘부 (14A) 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판 (11A) 의 볼록 형상에 대응하여 곡선 형상을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굽힘부 (14A) 는 지지판 (11A) 의 전단 (앞측의 한 변. 이 한 변은, 상하 방향을 따라 카트리지 본체 (10A) 를 본 경우에, 직선 형상을 나타낸다) 이다. 단, 굽힘부 (14A) 의 구체적인 형상 또는 구조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굽힘부 (14A) 는 가늘고 긴 원기둥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지지판 (11A) 의 하면에는,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을 카트리지 (2) 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로 (15) 가 형성된다. 클로 (15) 의 구조는 카트리지 (2) 의 경우와 동일하다. 마이크로니들·시트 (90) 의 제 1 단을 지지판 (11A) 의 상면에 싣고 굽힘부 (14A) 까지 끌어내고, 굽힘부 (14A) 에 의해 마이크로니들·시트 (90) 를 구부려, 지지판 (11A) 의 하면으로 옮겨진 관통공 (93) 을 클로 (15) 에 걺으로써, 마이크로니들·시트 (90) 가 카트리지 본체 (10A) 에 미리 장착된다. 이 장착 방법도 카트리지 (2) 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다른 측면에 관련된 카트리지에서는, 어플리케이터 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볼록 형상에 의해, 피부와 시트 부재의 밀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1 : 어플리케이션·키트
2, 2A : 카트리지
3 : 어플리케이터
10, 10A : 카트리지 본체
11, 11A : 지지판
12 : 카트리지측 커넥터
13 : 가이드
14, 14A : 굽힘부
15 : 클로
20 : 어플리케이터 본체
22 :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
23 : 누름판
30 : 캡
50 : 스토퍼
60 : 캠샤프트
62 : 제 1 캠
63 : 제 2 캠
70 : 저항부
90 : 시트
91 : 시트 본체
91a : 주면
92 : 마이크로니들
93 : 관통공

Claims (16)

  1.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로서,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상기 캡의 사이에서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상기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되고,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압하 상태에서는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를 누르고, 상기 압하 상태에서는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토퍼와,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바닥부를 향해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의 근처에 위치하는 누름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갖는, 어플리케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커넥터인, 어플리케이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가,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커넥터인, 어플리케이터.
  8.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상기 시트 부재를 향해 힘을 부여하는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와,
    상기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기 힘을 상기 카트리지에 부여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고,
    상기 굽힘부가 상기 지지판의 직선 형상의 일단이고,
    상기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상기 지지판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형성되는 1 쌍의 커넥터인,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형성된, 카트리지.
  10.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연결 가능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시트 부재를 피부에 적용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굽힘부와,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트리지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캡과,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와 상기 캡의 사이에서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상기 캡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측 커넥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바닥부를 향해 이동한 압하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가, 진행되어 온 상기 시트 부재를 구부리는, 어플리케이션 키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비압하 상태에서는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를 누르고, 상기 압하 상태에서는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스토퍼와,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부재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캡이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바닥부를 향해 이동했을 때에, 상기 스토퍼를 상기 시트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샤프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키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키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본체가, 상기 카트리지 상의 상기 시트 부재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 키트.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의 근처에 위치하는 누름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어플리케이터측 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카트리지의 하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키트.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굽힘부가 상기 지지판의 직선 형상의 일단인, 어플리케이션 키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시트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굽힘부가 상기 지지판의 직선 형상의 일단인, 어플리케이션 키트.
KR1020207013303A 2017-11-30 2018-11-06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KR102354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0459 2017-11-30
JP2017230459 2017-11-30
PCT/JP2018/041241 WO2019107092A1 (ja) 2017-11-30 2018-11-06 アプリケー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303A KR20200070303A (ko) 2020-06-17
KR102354760B1 true KR102354760B1 (ko) 2022-01-21

Family

ID=6666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303A KR102354760B1 (ko) 2017-11-30 2018-11-06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42505B2 (ko)
EP (1) EP3718595B1 (ko)
JP (1) JP6914359B2 (ko)
KR (1) KR102354760B1 (ko)
CN (1) CN111405924B (ko)
TW (1) TWI727225B (ko)
WO (1) WO2019107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1251A1 (de) * 2019-02-21 2020-08-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pplikator für Mikronadelpflaster
CN112755380A (zh) * 2021-01-06 2021-05-07 青岛市中医医院(青岛市海慈医院、青岛市康复医学研究所) 一种中医心内科药物外敷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550A (ko) * 2000-06-30 2003-01-29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첩부제 첩부용 보조기구
US20030211619A1 (en) * 2002-05-09 2003-11-13 Lorin Olson Continuous strip of fluid sampling and test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packaging and using the same
WO2007002522A1 (en) 2005-06-27 2007-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needle cartridge assembly and method of applying
JP5144510B2 (ja) * 2005-06-27 2013-02-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適用装置
AU2009249610B2 (en) * 2008-05-21 2014-01-16 Theraject,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olution perforator patches and uses thereof
KR20110138685A (ko) * 2010-06-21 2011-12-28 (주)라피앙스 니들 스탬프
WO2012046816A1 (ja) 2010-10-07 2012-04-12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WO2013015136A1 (ja) * 2011-07-27 2013-01-31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TWI583412B (zh) * 2012-06-12 2017-05-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Micro Needle Cloth
US9913970B2 (en) * 2012-12-21 2018-03-1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Ltd. Applicator
JP6125880B2 (ja) * 2013-04-03 2017-05-10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EP3011993B1 (en) * 2013-06-19 2019-10-0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pplicator
CN105555353B (zh) * 2013-09-18 2019-01-01 考司美德制药株式会社 一种微针贴应用装置以及一种贴支架
WO2016088886A1 (ja) * 2014-12-05 2016-06-09 久光製薬株式会社 マイクロニードルデバイスシステム
EP3260159A1 (en) * 2015-02-13 2017-12-27 MEDRx Co., Ltd. Microneedle insertion device and microneedle patch application device
JP6676644B2 (ja) * 2015-09-02 2020-04-08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US11446478B2 (en) * 2016-02-05 2022-09-20 Passport Technologies, Inc. Transdermal permeant application device
JP6621905B2 (ja) * 2016-02-24 2019-12-18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EP3831438A1 (en) * 2016-04-29 2021-06-09 Sorrento Therapeutics, Inc. Microneedle array assembly and fluid delivery apparatus having such an assembly
WO2018116990A1 (ja) 2016-12-20 2018-06-28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16355A1 (en) 2020-10-08
KR20200070303A (ko) 2020-06-17
CN111405924A (zh) 2020-07-10
CN111405924B (zh) 2022-03-04
TW201924737A (zh) 2019-07-01
US11642505B2 (en) 2023-05-09
EP3718595B1 (en) 2023-09-13
EP3718595A4 (en) 2021-09-01
JP6914359B2 (ja) 2021-08-04
EP3718595A1 (en) 2020-10-07
WO2019107092A1 (ja) 2019-06-06
TWI727225B (zh) 2021-05-11
JPWO2019107092A1 (ja)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9223B2 (ja) 薬物送達装置
EP3011993B1 (en) Applicator
US7909791B2 (en) Insertion device for infusion sets
KR102354760B1 (ko) 어플리케이터, 카트리지 및 어플리케이션·키트
US20110137257A1 (en) Inserter for Transcutaneous Device
JP6872595B2 (ja) アプリケータ
KR102297238B1 (ko) 어플리케이터
EP3011992B1 (en) Applicator
TW201829014A (zh) 敷貼器
JP7045972B2 (ja) アプリケータ、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キット
EP2368590A1 (en) System for dosing
JP6944540B2 (ja) アプリケー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