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257B1 -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257B1
KR102354257B1 KR1020210042067A KR20210042067A KR102354257B1 KR 102354257 B1 KR102354257 B1 KR 102354257B1 KR 1020210042067 A KR1020210042067 A KR 1020210042067A KR 20210042067 A KR20210042067 A KR 20210042067A KR 102354257 B1 KR102354257 B1 KR 10235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rapping paper
lid
incis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민
함상진
Original Assignee
장동민
함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민, 함상진 filed Critical 장동민
Priority to KR102021004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257B1/ko
Priority to JP2023557696A priority patent/JP2024512513A/ja
Priority to EP22781531.3A priority patent/EP4317014A1/en
Priority to CN202280024648.5A priority patent/CN117120340A/zh
Priority to US18/280,633 priority patent/US20240158150A1/en
Priority to PCT/KR2022/004318 priority patent/WO20222114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5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glued or otherwise sealed to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78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retained or enclosed in a folded-over or doubled c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2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 B65D71/04Arrangements of flexible binders with protecting or supporting elements arranged between binder and articles or materials, e.g. for preventing chafing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3/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 B65D73/0064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by or suspended from a tag-like element
    • B65D73/0071Packages comprising articles attached to cards, sheets or web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by or suspended from a tag-like element the tag-like element being doubled-over to engage the upper par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자연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폐기시 포장지를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뚜껑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지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One-touch extraction wrapper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자연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일회용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폐기시 포장지를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뚜껑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지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용기는 대부분 한 번 사용 후 재활용되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용기는 대부분 그 표면에 용기에 함유된 물질의 광고문구나, 성분 및 함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포장지가 부착되어지는데, 통상 포장지는 용기 몸체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용기와 동일한 재활용 처리 공정을 거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포장지는 양면이 코팅된 종이나, 필름형태의 면에 인쇄내용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용기에 접착하기 위해 유성 성분의 접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일회용 용기는 그 재질이 폴리에스터수지인 것이 대부분인 반면 부착물인 포장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크로라이드재 수지필름이어서 용기의 재활용시 이를 분리 하여야만 하는것이 불가피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용기와 그 용기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필름, 즉 포장지를 분리하는 경우 용기와 포장지의 비중이 동일하기 때문에 비중분리법으로의 분리작업은 불가능하고, 더구나 전술한 바와같이,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에는 포장지가 접착제에 의해 용기의 외면에 완전히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며, 수작업 및 고가의 장비에 의존할수 밖에 없어 그에따른 작업시간, 인건비등의 과다소모로 인해 채산성이 맞지 않아 용기 재활용 측면의 견지에서 보아 실현 불가능한 문제에 직면하여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포장지는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띠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외면에서 이를 분리, 제거하기가 곤란하고 번거로우며, 그대로 재활용 소재와 혼합하여 세척할 경우, 재활용될 소재에 이물질이 함유되게 되므로서 소재의 질을 떨어뜨리고, 상기의 이물질이 많을 경우에는 애써 분리한 소재를 폐기해야만 하여 용기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용기 본체에서 포장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분류해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회용 용기의 사용자의 경우 용기를 처리할 때 포장지를 일일이 벗겨내는 것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그대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재활용 업체에서는 용기에서 포장지를 일일이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용기를 재활용하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이 현실이고, 이는 재활용의 취지에서 비춰볼 때에도 합리적이지 못하였다.
공개실용 20-2020-000052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자연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폐기시 포장지를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뚜껑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지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포장지에 있어서, 용기 뚜껑의 상면과 용기 본체 하면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뚜껑과 본체 중 어느 한 곳에 접착점을 형성하여 뚜껑의 회전 시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지의 표면에는 용기에 함유된 물질의 광고문구가 프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포장지는, 포장지의 상부를 구성하며 용기 뚜껑 주변 외측을 감싸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하부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외측을 감싸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상단부와 중간부 사이 경계지점을 구성하고, 상기 중간부의 전폭은 상단부의 전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지는 열수축에 의해 용기의 표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착수단은 용기 뚜껑의 상면에 대응되는 지점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자연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용기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폐기시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뚜껑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지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도 1a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a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접착수단이 형성된 포장지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열수축에 의해 용기의 표면으로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노치가 적용된 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노치를 통해 포장지가 절단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뚜껑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용기에 함유된 물질의 성분 및 함량, 광고문구, 상표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용기 외측에 감싸지는 용기 포장지(10)(이하, 포장지(10)라 함)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로서, 용기에 밀봉된 내용물의 개봉 전 용기 뚜껑(1)이 용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의 외측을 감싼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포장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되,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1)을 용기 본체(2)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뚜껑(1)의 회전방향에 연동해 절단됨으로써 자연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용기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10)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포장지(10)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10)는 뚜껑(1)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10)를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구조가 되어 용기의 폐기시 포장지(10)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10)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10)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10)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크게 본체(2), 상기 본체(2)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1) 및 본체(2)와 뚜껑(1)을 연이어서 감싸는 포장지(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기는 병, 캔 등의 다양한 용기 구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본체(2)는 상단에 주둥이를 구성한 통상의 병 구조로 이루어지고, 뚜껑(1)의 경우, 주둥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2)의 내부를 개폐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용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과 본체(2)를 포함하는 캔 형태의 용기로 예시될 수도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a에 도시된 통상의 병 형태의 용기에 적용된 포장지(1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포장지(10)에 그 주된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 포장지(1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뚜껑(1)의 상면과 용기 본체(2) 하면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단일의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뚜껑(1)과 본체(2) 중 어느 한 곳에 접착점을 형성하여 뚜껑의 회전 시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포장지(10)에는 용기 뚜껑(1)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접착수단(12)이 마련되어 뚜껑(1)의 외면에 부착 고정되고, 경로 상에 절취선(11)이 마련되어 뚜껑(1)의 회전 시 절취선(11) 부분이 절단되어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통상의 포장지는 용기 본체(2)의 중간 부분 외주면에 그 둘레를 따라 감기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경우, 포장지가 용기에 견고히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와 포장지 사이에 소량의 접착제를 발라 포장지를 용기 본체(2) 외면에 고정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를 다 사용한 뒤, 재활용 전 포장지의 제거를 위하여 포장지 일부분을 별도 칼이나 가위 등으로 절단하고, 접착제에 의해 용기에 부착된 부분은 포장지를 잡고 강제적으로 뜯어내었는데, 이때, 접착제의 과도한 접착력에 의해, 용기 본체(2)로부터 뜯겨나가지 못한 포장지의 잔여물이 용기 본체(2)의 외면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에 상당히 잔류하게 된다. 이 경우, 고착된 잔여물은 사람의 손으로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별도 약품처리나 세척을 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10)의 경우, 종래 포장지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것이 아니라, 용기 뚜껑(1)의 상면과 용기 본체(2) 하면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구조이고, 동시에, 용기 본체(2)에 접착수단(12)이 부착되지 아니하고, 단지, 뚜껑(1)에 접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제거시 본체(2)에 잔여물을 남기지 않으며, 충분한 고정력을 보장함과 동시에, 뚜껑(1)의 회전 시 절취선(11)을 기준으로 그 경로가 분절되어 용기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10)는 뚜껑(1)의 상면과 본체(2)의 하면 및 본체(2)의 마주보는 양 측면을 연속적으로 감는 구조로서, 포장지(10)에 감기지 아니한 본체(2)의 마주보는 양 측면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포장지(10)가 본체(2) 둘레를 따라 감기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포장지(10)를 보다 평면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포장지(10)에 프린팅된 각종 정보를 왜곡 없이 표출시킬 수 있고, 또한, 각종 정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절취선(11)은 포장지(10)의 경로가 쉽게 절단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미세한 점들이 관통되어서 하나의 선을 이룬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취선(11)을 기준으로 포장지(10)를 절단하게 되면 포장지(10)의 경로가 손쉽게 완전히 분절될 수 있다.
절취선(11)은 하나만 형성되는 것을 기본 실시예로 하나, 경우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아예 형성되지 아니할 수도 있는 택일적인 구성이다.
한편,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1)을 용기 본체(2)로부터 회전 분리시키면 뚜껑(1)을 비틀림 중심점으로 하여 포장지(10) 자체가 용기 외측에서 비틀리게 된다. 이렇게 포장지(10)가 비틀리게 되면 절취선(11) 부분에서 절단이 유도되는데, 이때, 절단의 신속성을 고려하여 절취선(11)의 형성 위치는 용기 뚜껑(1)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뚜껑(1)의 회전에 연동하여 포장지(10)가 비틀리게 되면 뚜껑(1)과 멀어지는 하부로 갈수록 그 비틀림력이 약하게 전달되거는바, 만일, 절취선(11)이 상대적으로 본체(2)의 하단 측에 치우쳐 형성될 경우, 예컨대, 뚜껑(1)의 한 바퀴 정도의 회전에 따라 비틀려 절단될 것이, 적어도 이보다 더 많은 뚜껑(1)의 회전이 수반되어야 절단되는 등 포장지(10)의 절단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절취선(11)이 뚜껑(1)의 하단과 동일선상의 높이에 형성될 경우 뚜껑(1)을 회전시키면 이에 비틀리는 포장지(10)의 절취선(11) 부분에서 곧바로 절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지(10)의 절단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포장지(10)의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경우에 따라, 절취선(11)을 대체하여 노치(11')가 포장지에 적용될 수 있다.
노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0)의 폭방향 끝단 부위에서 폭방향 중심을 향해 삼각형 형태로서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포장지(10)의 절단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노치(11')는 포장지(10)의 서로 마주보는 폭방향 끝단 부위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노치(11')는 서로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뚜껑(1)을 회전조작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노치(11') 꼭지점(11'') 기준으로 포장지(10)의 절단이 유도되어 다른 나머지 하나의 노치(11') 꼭지점(11'')에서 절단이 완료될 수 있다.
이에, 절단선이 한 쌍의 노치(11')를 잇는 획일적인 직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지(10)의 절단 과정에서 불특정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절단이 깔끔하게 되지 아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치(11')는 전술한 절취선(11)과 달리, 포장지(10)의 폭방향 끝단 부위에 함몰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식별이 용이하며, 이에, 필요에 따라 뚜껑(1)을 별도로 개폐시키지 않고서도, 노치(11') 부분을 기준으로 포장지(10)를 절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에서 포장지(10)를 용이하게 제거해낼 수 있다.
노치(11')는 절취선(11)과 마찬가지로 뚜껑(1)의 하단과 동일선상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치(11')는 삼각형 형태 외에, 포장지를 일정 길이 절단시켜 놓은 칼집 형태로 예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포장지(10)는 접착수단(12)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용기와 단순 접촉하여 슬립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뚜껑(1)과는 접착수단(12)에 의해 접착되고, 뚜껑(1)을 제외한 본체(2) 부분에서는 접착되지 아니한 상태로 단순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포장지(10)의 제거시 본체(2) 표면에 접착수단(12)이 남는다거나, 접착수단(12)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포장지(10) 잔여물이 남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통상 뚜껑(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평평하고, 측면은 파지력 보강을 고려해 널링이 형성된다. 이때, 접착수단(12)이 뚜껑(1)의 측면 부분에 적용될 경우 널링 부분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포장지(10)가 쉽게 떨어지는 등 충분한 접착력이 보장되지 못한다거나, 접착수단(12)이 널링의 홈 사이 사이에 파고들어가 추 후 뚜껑(1)에서 접착수단(12)을 제거하는 과정이 용이치 못하게 된다.
그리고, 뚜껑(1)을 회전 조작하기 위해서는 대게 뚜껑(1)의 측면을 강하게 파지하여야 하는바, 접착수단(12)이 뚜껑(1)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뚜껑(1)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손의 파지력에 눌려 널링 사이 사이에 고착되어 쉽게 제거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뚜껑(1)은 한 번 사용하고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 내 내용물을 모두 소진할 때까지 몇번이고 반복적으로 조작되어야 하는데, 만일, 접착수단(12)이 뚜껑(1)에 잔류하게 되면 반복 사용에 따른 불쾌감을 유발하고, 그 주변으로 각종 먼지가 쉽게 부착되는 등 위생적인 관리가 힘들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1)의 측면에 접착수단(12)이 마련되지 아니하고, 뚜껑(1)의 상면에 대응되는 지점, 예컨대, 뚜껑(1)의 원형 상면과 대응하는 원형의 형태로만 형성되도록 하여 포장지(10)의 고정력을 보장하면서도, 뚜껑(1)의 반복 사용에 따라 쉽게 훼손되지 않으며 이에, 추 후 뚜껑(1)에서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접착수단(12)을 뚜껑(1)의 상면에만 형성하게 되면 손의 파지력 등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훼손되지 않고, 이에 접착수단(12)의 제거가 용이하다. 동시에, 본체(2)에는 별다른 접착수단(12)의 흔적을 남기지 않게 되어 재활용 원료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추 후 뚜껑(1)에서도 접착수단(12)을 보다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본체(2)의 재활용 외, 뚜껑(1)의 재활용까지 충분히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포장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에 의해 용기의 표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진 포장지(10)를 용기에 감고 그 주변으로 열처리를 수행하게 되면 포장지(10)가 열수축되면서 용기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용기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포장지(10)의 전폭(W)은 포장지(10)의 전 길이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포장지(10)의 전폭(W)은 뚜껑(1)의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포장지(10)의 전폭(W)이 뚜껑(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뚜껑(1)에 접착수단(12)이 형성될만한 충분한 접착면적을 확보할 수 없어 포장지(10)의 접착력을 보장할 수 없게 되며 동시에 포장지(10)가 뚜껑(1)을 충분히 감싸지 못하기 때문에 뚜껑(1)에 접착된 부분이 뚜껑(1)의 회전조작시에 뚜껑(1)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의 포장지(10)는 포장지(10)가 뚜껑(1)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구조기 때문에 접착수단(12)의 접착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뚜껑(1)을 회전조작함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손을 포장지(10)에 충분히 접촉시킨 상태에서 뚜껑(1)을 회전조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뚜껑(1)에 포장지(10)를 보다 직관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포장지(10)가 전 길이에서 동일한 전폭(W)을 가지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충분한 양의 광고문구를 필요로 한다거나, 획일적인 포장지(10) 외형 디자인을 변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포장지(10)의 개별 구간에서 전폭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포장지(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0)의 상부를 구성하며 용기 뚜껑(1) 주변 외측을 감싸는 상단부(13) 및 상기 상단부(13)의 하부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2)의 외측을 감싸는 중간부(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때, 상기 중간부(14)의 전폭(W2)은 상단부(13)의 전폭(W1)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단부(13)에서부터 중간부(14)로 갈수록 전폭을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중간부(14)에 충분한 광고문구가 삽입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단부(13)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폭을 가지도록 하여 제조 측면에서의 원료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때, 상단부(13)의 최소 전폭(W1)은 뚜껑(1)의 직경과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11)의 경우 상기 상단부(13)와 중간부(14) 사이에 위치하여 상단부(13)와 중간부(14)의 경계지점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착수단(12)이 뚜껑(1)의 상면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뚜껑(1)에만 접착점을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사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뚜껑(1)의 상면에는 절개돌기(1a)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돌기(1a)는 뚜껑(1)의 회전조작시 포장지(10)가 이와 연동하여 비틀림이 가해질 수 있도록 포장지(10)를 뚜껑(1)에 보다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술한 절취선(11)과 더불어 포장지(10)를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불측의 사유로, 뚜껑(1)을 회전조작하였을 때 절취선(11)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절개돌기(1a)가 포장지(10)를 찢게 함으로써 뚜껑(1)과 연동하여 포장지(10)를 절단해낼 수 있다.
뚜껑(1)의 상면에 절개돌기(1a)가 형성되는 관계로 본 실시예에서 접착수단(12)은 본체(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지(10)에는 상기 절개돌기(1a)가 삽입되는 절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개구(15)는 절개돌기(1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로 포장지(10)의 일부가 절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돌기(1a)는 절개구(15)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춘다.
절개돌기(1a)가 절개구(15)를 관통하여 있기 때문에 뚜껑(1)을 회전조작하게 되면 뚜껑(1)이 회전방향을 따라 포장지(10)를 말아서 견인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포장지(10)에 비틀림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절개구(15)를 기준으로 포장지(10)가 찢겨질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10)를 용기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해낼 수 있게 된다.
절개돌기(1a)는 일례로, 뚜껑(1)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1b) 및 상기 수직판(1b)의 상단에서 뚜껑(1)의 상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는 수평판(1c)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판(1c)이 뚜껑(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거리 평행이동되어 포장지(10)의 절개구(15)를 일정 부분 가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뚜껑(1)의 회전을 제외한 불측의 사유로 절개구(15)가 찢겨나가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절개돌기(1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수직판(1b) 및 상기 제1 수직판(1b)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1 수직판(1b)을 교차하여 상기 뚜껑(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2 수직판(1c)을 포함하는 구조로 예시될 수도 있다. 제1 수직판(1b)과 제2 수직판(1c)이 서로 교차하여 '+'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판(1b)과 제2 수직판(1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10)가 상기 절개돌기(1a)를 외측으로 커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포장지(11)에는 상기 절개돌기(1a)가 대응되는 지점에 보조절취선(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절개돌기(1a)가 보조절취선(16)을 관통하게 되면 보조절취선(16) 부분이 전술한 절개구(15)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도 14에 도시된 상태의 포장지(10)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아래로 잡아 당겨 보조절취선(16)을 통해 포장지(10)를 관통하여 절개돌기(1a)를 외부로 노출되게 한 뒤 뚜껑(1)을 회전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용기의 유통과정에서 절개돌기(1a)가 임의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다.
한편, 포장지(10)는 용기 뚜껑(1)의 상면과 용기 본체(2) 하면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감기는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뚜껑(1)의 상면을 감은 뒤 자유단 형태의 양 단이 본체(2)의 외면에 접착 고정되는 형태로 예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장지(10)의 원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조원가 절감과 원료 소모 방지에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지(10)의 작용을 도 1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먼저 용기에 밀봉된 내용믈을 개봉하기 위해 용기 뚜껑(1)을 용기 본체(2)로부터 회전 분리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뚜껑(1)을 감싼 포장지(10)의 외측 부분을 매개로 뚜껑(1)의 양 측면을 파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뚜껑(1)을 회전시키면 포장지(10)의 상단 부분이 뚜껑(1)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포장지(10)의 하단 부분은 본체(2)의 하면에 걸림 지지되어 있고, 포장지(10)의 상단 부분이 뚜껑(1)과 함께 회전하므로, 포장지(10)에 비틀림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비틀림 변형에 의해 포장지(10)가 절취선(11)을 기준으로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때, 포장지(10)는 본체(2)에 어떠한 접착점을 형성하고 있지 않고 단순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2)에서 가볍게 박리되고, 뚜껑(1)을 본체(2)에서 완전히 제거하게 되면 포장지(10)는 이와 함께 용기에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즉, 뚜껑(1)의 원터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10)를 손쉽게 제거가 가능한 구조가 되어 포장지(10)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용기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10)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10)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10)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장지(10)가 제거된 용기의 회수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어 용기의 재활용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포장지
11: 절취선
12: 접착수단

Claims (5)

  1. 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포장지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용기 뚜껑의 상면과 본체의 하면 및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을 연속적으로 감는 폐쇄 띠 형태로서, 포장지에 감기지 아니한 본체의 마주보는 양 측면을 완전히 개방시키며, 뚜껑에만 접착점을 형성하여 뚜껑의 회전 시 용기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포장지의 용기 뚜껑과 접하는 내측면에는 접착수단이 마련되어 뚜껑의 외면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접착수단은 뚜껑의 상면에 대응되는 지점에 뚜껑의 원형 상면과 대응하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경로 상에 절취선이 마련되어 뚜껑의 회전 시 절취선 부분이 절단되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는,
    포장지의 상부를 구성하며 용기 뚜껑 주변 외측을 감싸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하부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외측을 감싸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취선은 상기 상단부와 중간부 사이 경계지점을 구성하고,
    상기 중간부의 전폭은 상단부의 전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4.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 및 청구항 2의 포장지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에는 절개돌기가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에는 상기 절개돌기가 삽입되는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돌기는 절개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210042067A 2021-03-31 2021-03-31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35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67A KR102354257B1 (ko) 2021-03-31 2021-03-31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2023557696A JP2024512513A (ja) 2021-03-31 2022-03-28 ワンタッチ除去式容器包装紙およびこれを含む容器
EP22781531.3A EP4317014A1 (en) 2021-03-31 2022-03-28 One-touch-removable container packaging film, and container comprising same
CN202280024648.5A CN117120340A (zh) 2021-03-31 2022-03-28 一触去除式容器包装纸及包括该包装纸的容器
US18/280,633 US20240158150A1 (en) 2021-03-31 2022-03-28 One-touch-removable container packaging film, and container comprising same
PCT/KR2022/004318 WO2022211412A1 (ko) 2021-03-31 2022-03-28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67A KR102354257B1 (ko) 2021-03-31 2021-03-31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257B1 true KR102354257B1 (ko) 2022-01-20

Family

ID=8005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067A KR102354257B1 (ko) 2021-03-31 2021-03-31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8150A1 (ko)
EP (1) EP4317014A1 (ko)
JP (1) JP2024512513A (ko)
KR (1) KR102354257B1 (ko)
CN (1) CN117120340A (ko)
WO (1) WO20222114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412A1 (ko) * 2021-03-31 2022-10-06 함상진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30153177A (ko) 2022-04-28 2023-11-06 함지혜 탄성재질 포장지의 원터치 제거가 가능한 일회용 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506A (en) * 1980-03-12 1983-05-10 The Mead Corporation Multi unit package incorporating wrap-around handle
KR102026585B1 (ko) * 2019-04-29 2019-09-27 이차운 기획상품 묶음용 판촉 띠지
KR20200000522U (ko) 2018-08-30 2020-03-10 연기만 원형 및 원형과 접한 4방향 커팅라인(Cutting Line)이 형성된 비닐포장지
KR20200115398A (ko) * 2020-09-17 2020-10-07 김현수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760A (ja) * 1993-10-18 1995-05-02 Otsuka Pharmaceut Co Ltd シュリンク包装体およびキャップ
KR101935459B1 (ko) * 2018-07-03 2019-01-04 김기구 우유팩 캐리어
KR102354257B1 (ko) * 2021-03-31 2022-01-20 장동민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506A (en) * 1980-03-12 1983-05-10 The Mead Corporation Multi unit package incorporating wrap-around handle
KR20200000522U (ko) 2018-08-30 2020-03-10 연기만 원형 및 원형과 접한 4방향 커팅라인(Cutting Line)이 형성된 비닐포장지
KR102026585B1 (ko) * 2019-04-29 2019-09-27 이차운 기획상품 묶음용 판촉 띠지
KR20200115398A (ko) * 2020-09-17 2020-10-07 김현수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412A1 (ko) * 2021-03-31 2022-10-06 함상진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30153177A (ko) 2022-04-28 2023-11-06 함지혜 탄성재질 포장지의 원터치 제거가 가능한 일회용 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20340A (zh) 2023-11-24
US20240158150A1 (en) 2024-05-16
WO2022211412A1 (ko) 2022-10-06
JP2024512513A (ja) 2024-03-19
EP4317014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257B1 (ko)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US7374633B2 (en) Extended wrap label
EP1755980B1 (fr) Dispositif d"ouverture et de refermeture de conditionnement et conditionnement equipe d"un tel dispositif
KR100712084B1 (ko) 포장용기
JP2002274534A (ja) 包装用容器
KR100525793B1 (ko) 밀봉 라벨
US5203492A (en) Packing container
JP2007008532A (ja) 包装容器
JP4557233B2 (ja) 筒状ラベル付き容器及び筒状ラベル
JP4494915B2 (ja) 易開封性包装体
JP3692590B2 (ja) 口栓付き液体紙容器
JP2004142818A (ja) シーリングラベル
JP2005255218A (ja) 密封包装体
KR20230153177A (ko) 탄성재질 포장지의 원터치 제거가 가능한 일회용 병
US10683153B2 (en) Auto opening cigarette pack outsert
US20140008422A1 (en) Envelopes and Mailers
KR200396626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 랩
TWM548667U (zh) 可快速封裝與開啟包裝體的封裝帶
JP2006306442A (ja) 易開封性及び易ラベル剥離性ガラス瓶
JP2004182256A (ja) ラベル付き容器
CN216685592U (zh) 一种封口贴及容器
JPH09290826A (ja) 口栓付き液体紙容器
EP3909887A1 (en) Closure label for packages of wet wipes or similar products and package
KR100424435B1 (ko) 뜯는 선이 새겨진 봉투봉합용 테이프
KR20240028098A (ko) 간편 개봉구조를 포함하는 스낵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