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5398A -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5398A
KR20200115398A KR1020200120033A KR20200120033A KR20200115398A KR 20200115398 A KR20200115398 A KR 20200115398A KR 1020200120033 A KR1020200120033 A KR 1020200120033A KR 20200120033 A KR20200120033 A KR 20200120033A KR 20200115398 A KR20200115398 A KR 2020011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label paper
heat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20012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5398A/ko
Publication of KR2020011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5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and glued or otherwise sealed to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78Shrunk on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그 개봉의 유무를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의 박리 상태나 파손 상태로 확인할 수가 있고, 뚜껑을 개봉할 때는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는 뚜껑과 함께 제거된다. 때문에, 용기 본체를 처분할 때 용기 본체에는 뚜껑은 물론 종래와 같이 뚜껑의 잔재물인 링과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를 남기지 않기 때문에, 별도로 이들을 제거할 필요성도 없다. 따라서 처분된 용기 본체를 재활용하여서 다시 용기 본체의 재질로 수평적 재활용하는 일이 종래보다 대단히 경제적이고 재활용 제품도 고품질화를 이룰 수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뚜껑(1)은 그 외주면이 각도 θ1(단, 0≤θ1〈60°)만큼 경사지고,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외주면도 각도 θ2(단, 0≤θ2〈60°)만큼 경사지면서, |θ1- θ2|≤15°이고, 상기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경사진 외주면에 걸쳐서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가 부착되거나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피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Easy to Recycling Plastic Bottles or Containers}
본 발명은, 액체류 또는 분말을 포장하는데 사용하는 병이나 통 타입의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류나 주류 등과 같은 액체류 이외에도, 분말상의 식품이나 의약품 또는 화학품 등을 포장하는데 병 또는 통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스와 생수 등 음료수류와 도수가 낮은 주류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페트병만 하더라도, 2017년도 국내 생산량은 29여만톤에 달한다(환경부).
이와 같은 페트병도, 용기 본체의 재질로서는 투명성과 강도가 뛰어난 페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만, 뚜껑의 재질로서는 투명성은 떨어지나 성형성이 양호한 폴리프로필렌(PP)을 주로 사용하고, 제품 설명용의 라벨지는 물보다는 비중이 높지만 투명성이 뛰어난 폴리스틸렌(PS)을 사용하기도 하고 용기 본체로 사용하고 있는 페트 재질의 재활용성을 고려하여서는 투명성은 떨어지지만 물보다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PE)을 최근에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페트병만 하더라도 이와 같이 용기 본체와 뚜껑 및 라벨지로 각각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은 서로 다르다.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페트병을 사용하고 나서 폐기 처분할 때는, 뚜껑(11)은 제거된다고 하여도 제품의 개봉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뚜껑(11)의 잔재물인 링(15)과 제품 설명용 라벨지(13)는 여전히 부착이 된 채 남아 있다. 이들은 소비자에 의해서는 제거하기도 매우 어렵다.
그래서, 페트병의 용기 본체를 회수하여서 다시 페트병의 용기 본체의 재질로 수평적 재활용하기 위해서는(Bottle to Bottle), 용기 본체(17)에 남겨져 있는 이와 같은 뚜껑(11)과 링(15) 및 점착제를 포함한 라벨지(13)를 완전히 제거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일본에서는, 이들 중에서도 특히 뚜껑(11)은 소비자에 의해서 제거되는 경향이 크지만, 그래도 남아 있는 것에 대해서는 고 임금의 인력을 동원하여서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전적으로 기계적인 처리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기계적인 처리 방법은, 뚜껑(11)과 링(15) 및 라벨지(13)가 대부분 그대로 붙어있는 채로 회수해 온 페트병을 파쇄하고 나서, 풍력에 의한 선별과 세척 및 물과의 비중 차 등을 이용해 가면서 반복된 선별 공정을 통하여서 이들 뚜껑(11)과 링(15) 및 라벨지(13)의 재질을 분리해 내고 있다. 하지만, 이로부터 회수한 페트 플레이크(PET Flake)에는, 링(15)과 라벨지(13) 및 뚜껑(11)으로 사용하였던 플라스틱 재질은 여전히 고 농도로 남아 있고, 페트 재질도 과도한 약품처리에 의해서 가수분해가 되어 저 분자화 되기도 한다. 때문에,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페트병의 재료로나 의류용 섬유 등의 재료로는 재활용할 수가 없다.
더욱이, 페트병에 대한 이와 같은 기계적인 처리 방식은, 처리 공정수가 너무 과다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처리상에서는, 화학약품인 가성소다를 사용하는 회수만도 12회에 이르기도 한다(EBS 방송. 김포시 처리업자). 때문에, 설비비 등에 투자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부담은 크고,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길며, 생산성도 저조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잡다하게 회수해온 페트병(페트비중:1.29~1.40)들 중에는 페트병과 그 비중이 비슷한, 예를 들면, PVC(비중:1.16~1.45), PVA(비중:1.21~1.31), PS(비중:1.04~1.07), AS(비중:1.08~1.1), ABS(비중:1.0~1.15), POM(비중:1.41~1.425), PMMA(비중:1.17~1.2), 폴리이미드(비중:1.33~1.43), 폴리우레탄(비중:1.12~1.24) 등이라도 혼합되어 있어도, 페트의 재질만을 선택적으로 분류해낼 수도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10-2020-0047464호와특허출원번호 제10-2020-0104425호를 개시하였다.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개봉유무를 확인할 수가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면서, 종래와 같이 뚜껑의 잔재물인 링을 용기 본체에 남기지도 않는 구조이다. 때문에 페트병을 재활용 처리함에 있어서는, 링을 제거하기 위한 분리 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20-0047464호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에 대해서는 제거 또는 박리가 아무리 용이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고 하여도, 소비자는 본인이 직접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식 결여에 의해서, 결국은 플라스틱 재활용 처리업자에 의해서 제거하지 아니하면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기를 재활용함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첫째, 플라스틱 용기를 개봉하기 전에, 미리 용기의 개봉 유무를 확인할 수가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둘째, 사용이 끝난 용기 본체를 폐기 처분할 때는, 용기 본체에는 종래와 같이 뚜껑의 잔재물인 링과 라벨지 등을 일체 남기지 않게 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기는,
뚜껑(1)은 그 외주면이 각도 θ1(단, 0≤θ1〈60°)만큼 경사지고,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외주면도 각도 θ2(단, 0≤θ2〈60°)만큼 경사지면서, |θ1- θ2|≤15°이고, 상기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경사진 외주면에 걸쳐서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를 부착하거나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를 입혀서 피팅하여 해결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1)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를 박리하거나 파열하지 않는 한, 용기 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원천적으로 마시거나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소비자는 뚜껑을 개봉하기 전에,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가 뚜껑이나 용기 본체로부터 박리되어 있거나 또는 파열의 상태를 보고, 용기의 개봉 유무 내지 제품의 정상상태를 판단할 수가 있다.
2) 뚜껑을 개봉함에 있어서, 라벨지는 용기 본체로부터는 박리되었지만 뚜껑에는 그대로 부착되어 있거나, 사용 방법 등이 미숙하여서, 라벨지가 용기 본체가 아니라 뚜껑에서 먼저 박리되어서 용기 본체에는 그대로 부착된 채 남아 있거나 또는 라벨지가 파열되어서 용기 본체와 뚜껑에 각각 부착이 된 채 남아 있을 때에도, 라벨지의 어느 한쪽 끝은 손잡이처럼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나머지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를 제거해 내는 일이 대단히 용이하다.
때문에, 사용하고 난 플라스틱 용기는, 뚜껑은 뚜껑대로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는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대로 분류해서 처분하는 일이 매우 용이해서, 용기 본체로 사용하였던 것은 다시 용기 본체의 재질로(Bottle to Bottle), 뚜껑으로 사용하였던 것은 다시 뚜껑의 재질(Cap to Cap)로, 플라스틱의 수평적 재활용하는데 공헌할 수가 있고,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는 고형연료(SRF 또는 RDF)의 원료로도 이용할 수가 있다.
3)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가 뚜껑의 외주면에 구성되어 있어서 뚜껑을 개방하는 것이 어려울 때는,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의 목 또는 구멍에 손가락을 넣어서 레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를 먼저 박리하거나 파열한 후에 개방할 수도 있다.
도 1은, 뚜껑(1)과 용기 본체(7)를 분리해서 나타내고 있는 플라스틱 용기의 일 예로서, 뚜껑 외주면의 경사 각도는 θ1이고, 용기 본체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는 θ2이다.
도 2는, 뚜껑(1)과 용기 본체(7)를 체결부(13)를 통해서 체결한 상태로서, 동 도(a)는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에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아래쪽의 경사진 외주면에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의 하단부 또는 중단에서 하단부를 부착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동 도(b)는 경사진 뚜겅(1)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7) 어깨 아래쪽 경사면에 걸쳐서 열수축성 라벨지(23)를 입혀서 열로서 피팅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뚜껑(1)에 라벨지(3)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일 예로,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의 하부에는 상부와 같이 골이나 산(9)을 구성하지 않고 평탄한 평탄부(10)을 구성하여서 뚜껑(1)과 라벨지(3) 사이에 점착제(4) 사용 시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뚜껑(1)의 단부에는 커터(12)도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용기 본체(7)의 외주경과 높이를 일정하게 구성하면서, 뚜껑(1)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 어깨(2) 이하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2에 변화를 주었을 때,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이들에게 부착되는 양상을 묘사하고 있다. 동 도(a)는 뚜껑 외주면의 연장선과 용기 본체의 어깨 아래쪽 외주면의 연장선은 동일 선상이 되도록 구성한 일 예(θ=θ1=θ2)로서, 이때 부착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일직선 상태로 평탄하고, 동 도(b)는 θ1〈θ2일 때를 나타내고 있는 일 예로서, 이때 부착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 는 뚜껑(1)의 단부에서 꺾이게 되고, 동 도(c)는 θ1〉θ2일 때를 나타내고 있는 일 예로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어깨(2) 부분에서 꺾이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종래 페트병을 처분할 때, 용기 본체(17)에는 뚜껑(11)은 제거되어 있기도 하지만, 뚜껑(11)과 함께, 뚜껑의 잔재물인 링(15)과 라벨지(13)를 대부분 남기고 있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을 들어서 설명한다.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
본 발명에서의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제품 설명용 용도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제품의 개봉상태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도 내재하고 있다. 그래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뚜껑(1)과 용기 본체(7)에 걸쳐서 부착과 융착을 하거나 또는 열로서 피팅을 하여 사용한다. 뚜껑(1)과 용기 본체(7) 어느 한쪽 이상에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박리되어 있거나 또는 파손이 되어 있어도, 제품에 대한 클레임의 대상이라고도 할 수가 있다.
라벨지(3)와 열수축성 라벨지(23)의 부착 일 예를,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라벨지(3)로서 뚜껑(1)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7) 어깨(2) 이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서, 도 3에서는 뚜껑(1)에 점착제(4)를 사용해서 부착하고 있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2(a)에서는 레이저를 도입해서 용기 본체(7)에 융착(5)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물론, 라벨지(3)를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의 전면과 용기 본체(7) 어깨(2) 이하 외주면의 전면에 걸쳐서, 도 2(b)에서 나타내고 있는 열수축성 라벨지(23)를 입혀서 피팅한 것처럼, 완전히 감싸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라벨지(3)의 재질로서는 종래부터 사용해 오고 있는, 예를 들면, 투명성이 뛰어나면서 물보다는 비중이 높은 폴리스틸렌이나 페트 등과, 물보다는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열수축성 라벨지(23)로서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텔, 열수축성 폴리에틸렌, 열수축성 폴리스틸렌, 열수축성 PVC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가능하면,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뚜껑의 재질과는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뚜껑(1)과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면, 재활용상에서 이들을 서로 분리해 내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라벨지(3)의 형상에도 제약을 두지는 않는다. 하지만, 뚜껑(1)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7)상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1과 θ2를 각 10° 이하로 가파르게 설정하고, 여기에 라벨지(3)를 점착제(4)나 또는 레이저를 도입해서 부착(5)하고자 할 때는, 라벨지(3)의 형상도 사각형이나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을 도입하여도 문제는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뚜껑(1) 외주면의 면적이 용기 본체(1) 어깨(2)이하 외주면의 면적보다는 대단히 좁기 때문에,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을 하면 제품 설명을 위한 기재 공간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열수축성 라벨지(23)를 도입할 때는, 도 2(b)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경사진 뚜껑(1)의 외주면 전체와 용기 본체(7) 어깨(2) 이하 외주면 전체가 감싸지도록하면서, 뚜껑(1)의 평탄한 정점부도 포함되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의 열수축성 라벨지(23)의 형상은, 부채꼴 형상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열수축성 라벨지(23)를 도입할 때는, 용기 본체(7)의 목(6) 주위에 손가락 정도 크기의 구멍(24)을 준비해 놓는 것도 좋다. 뚜껑(1)을 개방할 때 열수축성 라벨지(23)가 방해가 되어서, 어린이나 노약자 등은 뚜껑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이때는 이 구멍(24)을 통해서 손가락으로 열수축성 라벨지(23)를 파열하고 뚜껑을 개방하면 한층 수월해 진다.
<뚜껑>
뚜껑(1)의 일 예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뚜껑(1)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등 종래부터 사용해 오고 있는 플라스틱이면 문제가 없다. 물론, 금속류(예, 스틸 알루미늄(합금)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뚜껑(1)에 있어서 그 외주면은, 각도를 θ1만큼 경사지게 구성한다. 여기서, 경사 각도 θ1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하지만, 0°이상 6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진 뚜껑(1)의 외주면에는, 용기 본체(7)와 체결하고 나서, 제품을 설명하는 라벨지(3)의 상단부를 부착한다. 뚜껑(1) 외주면에 라벨지(3)의 상단부를 부착할 때는, 용기 본체(7)에 사용하는 점착제보다는 점착력이 보다 강한 점착제(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뚜껑(1)을 개봉할 때에, 용기 본체(7)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3)의 하단부 또는 중단에서 하단부가 뚜껑(1)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3)의 상단부 보다는 보다 쉽게 박리되어서, 박리된 라벨지(3)는 뚜껑(1)과 함께 용기 본체(7)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용기 본체(7)를 재활용함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뚜껑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할 정도로 부착력이 있어도 곤란하다. 그리고 레이저를 도입해서도 라벨지(3)를 뚜껑 외주면에 점이나 선의 형태로서 용착(5)할 수도 있다.
한편, 점착제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뚜껑(1)과 라벨지(3) 사이에 그 부착력을 보다 높여 주는 방법도 필요하다. 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경사진 뚜껑(1)의 외주면의 전면에 걸쳐서 골이나 산(9)을 구성하는 것보다는, 일정한 부분에 평탄부(10)를 구성하여서 여기에도 점착제(4)를 사용해서 부착하거나 레이저로 용착하는 일이다.
이와 같이 해서, 경사진 뚜껑(1) 외주면에 강 점착력의 접착제로 부착된 라벨지(3)는, 뚜껑(1)을 개봉할 때는, 뚜껑에 가해지는 개봉 압력(악력)에 의해서 뚜껑(1)과 함께 회전해 가며 용기 본체(7)에는 뚜껑(1) 보다는 약 점착력의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3)의 하단이나 중단에서 하단부를 박리하면서 뚜껑(1)과 함께 용이하게 제거해 낼 수가 있고, 뚜껑(1)과 용기 본체(7) 외주면에 열수축성 라벨지(23)가 피팅되어 있을 때는, 뚜껑(1)의 단부에서 용기 본체(7)의 하부쪽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성해 놓은 재봉선(25. 절취선)을 따라 가며 파열을 일으켜서 이 또한 용이하게 제거해 낼 수가 있게 된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7)의 일 예를 도 1~2와 도 4에 나타내었다.
용기 본체(7)의 재질로서는, 페트 이외에도, 종래부터 사용해 오고 있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7)에 있어서도, 그 외주면은 각도를 θ2만큼 경사지게 구성한다. 여기서도 경사 각도 θ2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하지만, 뚜껑(1) 외주면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0°이상 60°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용기 본체(7)에 있어서 개구부가 구성되는 체결부(13)를 수직으로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뚜껑(1)의 외주면과 같이 경사지게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용기 본체(7)의 외주경과 용기 본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면서, 뚜껑(1)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1에 대해서 용기 본체(7) 어깨(2) 이하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2에 변화를 주었을 때,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이들에게 어떻게 부착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묘사하고 있다. 동 도(a)는 θ1=θ2이면서 뚜껑(1) 외주면의 연장선과 용기 본체(7)의 어깨 아래쪽 외주면의 연장선을 동일 선상에 구성하고 있는 일 예이다(θ=θ1=θ2). 이 때는 여기에 부착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평편하다. 그러나 동 도(b)와 같이 θ1〈θ2일 때나 동 도(c)와 같이 θ1〉θ2일 때는, 뚜껑(1)의 외주면의 연장선과 용기 본체(7)의 어깨 아래쪽 외주면의 연장선은 동일 선상에 구성할 수가 없다. 때문에,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뚜껑(1)의 단부에서 꺾이기도(b) 하고 어깨(2) 부분에서 꺾이기도(c) 해서, 이들 부분에서는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는 울 수가 있고 단차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울거나 단차가 지는 것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θ1과 θ2의 경사 각도를 설정할 때 가능하면 그 차이를 1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한다면 10°정도 이하로 줄이면 좋고, 뚜껑(1)의 외주면의 연장선과 용기 본체(7)의 어깨 아래쪽 외주면의 연장선도 가능하면 동일 선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이 꼭 구성해야 된다고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본체(7)에, 소정의 주수나 생수 등 필요한 내용물을 충진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7)의 체결부(13)와 뚜껑(1)의 체결부를 체결하고,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에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라벨지(3)의 하단부 또는 중단에서 하단부는 용기 본체(7)의 어깨(2) 이하의 경사진 외주면에 부착을 하며, 열수축성 라벨지(23)를 도입하였을 때는 용기 본체(7)와 뚜껑(1)에 씌우고 나서 열이나 수증기를 이용하여서 피팅을 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7)의 경사진 외주면에 라벨지(3)의 하단부나 또는 중단에서 하단부를 부착할 때도 점착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레이저를 도입하여 용착(5)하여도 된다. 그리고 점착제 또는 레이저를 도입해서 라벨지(3)의 하단부나 또는 중단에서 하단부를 용기 본체(7)의 외주면에 부착할 때는, 사용이 끝난 용기 본체(7)를 폐기 처분할 때에 용기 본체(7)에는 라벨지(3)가 붙어서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재활용상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박리가 용이하면서 물에도 잘 용해될 수 있는 약 점착성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레이저를 도입하여 용착할 때에도, 용착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 타입으로, 최소한의 개소에만 용착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가 있다.
한편, 뚜껑(1)과 용기 본체(7) 사이에 라벨지(3)가 부착되어 있거나 열수축성 라벨지(23)가 피팅되어 있어서 뚜껑(1)을 개방하는 것이 힘이 들거나 불편하다면, 뚜껑(1)과 용기 본체(7)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의 목(6) 부분이나 구멍(24)에 손가락을 넣어서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를 먼저 제거한 후에 뚜껑(1)을 개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라벨지(3)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를 뚜껑(1)이나 용기 본체(7)로부터 박리하거나 제거하지 않는 한, 용기 본체(7)에 들어있는 내용물 자체를 꺼낼 수가 없는 구조이다. 때문에, 뚜껑(1)이나 용기 본체(7)로부터 라벨지(3)의 어느 한쪽 이상을 제거하거나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를 파열하는 것은 필수사항이다. 그 결과,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을 소비하고 나면, 용기 본체에 남는 것은 용기 본체 뿐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에는 그 어떠한 이종의 플라스틱 재질도 포함되어 있거나 남기지도 않는다. 따라서 이들을 처분할 때도,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는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대로 뚜껑은 뚜껑대로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쉽게 분별하여서 처분할 수가 있다. 종래의 그 어떤 방법에 비해서도 매우 간단하게 플라스틱을 재질별로나 용도별로 분리 처분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 처분할 때, 뚜껑은 뚜껑대로 용기 본체는 용기 본체대로 그리고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는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대로 분리를 해서 회수를 가능케 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도 최소한 소비자에 의해서 용기 본체만이라도 뚜껑과 라벨지가 제거되도록 하여서 회수를 가능케 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수평적 순환사회를 실현하는데 이바지할 수가 있다고 할 수가 있다.
플라스틱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를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를 개입해서 밀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들로부터 라벨지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가 박리되어 있거나 또는 파손의 유무 상태를 보고서 플라스틱 용기의 개봉 유무를 확인할 수가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고 있고, 플라스틱 용기를 개봉할 때도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 또는 피팅되어 있는 열수축성 라벨지가 우선적으로 박리되거나 파열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용기 본체에는 그 어떠한 뚜껑의 잔재물이나 라벨지의 잔여물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의 잔여물도 남기지 아니해서, 용기 본체를 재활용함에 있어서 경제성은 물론 품질면에서도 극대화를 이룰 수가 있고, 플라스틱의 수평적 순환사회를 실현하는데 이바지 할 수가 있다.
1, 11: 뚜껑 2: 어깨
3, 13: 라벨지 4: 점착제
5: 레이저 용착부 6: 목(넥)
7, 17: 용기 본체 9: 골 또는 산
10: 평탄부 12: 커터
13: (용기 본체) 체결부 23: 열수축성 라벨지
24: 구멍 25: 재봉선(절취선)
θ : 뚜껑 외주면의 경사각도와 용기 본체 어깨 이하 경사각도가 동일 선상일 때의 경사 각도
θ1: 뚜껑 외주면의 경사 각도
θ2: 용기 본체에 있어서 어깨 이하 외주면의 경사 각도

Claims (1)

  1. 뚜껑(1)은, 그 외주면이 각도 θ1(단, 0≤θ1〈60°)만큼 경사지고,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외주면도 각도 θ2(단, 0≤θ2〈60°)만큼 경사지면서,
    |θ1- θ2|≤15°이고,
    상기 뚜껑(1)의 경사진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7)에 있어서 어깨(2) 이하의 경사진 외주면에 걸쳐서는 제품 설명용 라벨지(3)가 부착되거나 또는 열수축성 라벨지(23)가 피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KR1020200120033A 2020-09-17 2020-09-17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KR20200115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33A KR20200115398A (ko) 2020-09-17 2020-09-17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33A KR20200115398A (ko) 2020-09-17 2020-09-17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98A true KR20200115398A (ko) 2020-10-07

Family

ID=7288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33A KR20200115398A (ko) 2020-09-17 2020-09-17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5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57B1 (ko) * 2021-03-31 2022-01-20 장동민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57B1 (ko) * 2021-03-31 2022-01-20 장동민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WO2022211412A1 (ko) * 2021-03-31 2022-10-06 함상진 원터치 제거식 용기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4418A1 (en)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TW201144165A (en)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CN102177077A (zh) 用于容纳材料的容器
KR20200115398A (ko)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US20210276763A1 (en) PET Bottle for Efficient Recycling Comprising an Easily Removable Label and a Cap without a Retainer Ring
WO1994019242A1 (en) Reusable container with an inner liner, and a method for making such a container
EP2054308A1 (en) Collapsible bottle
EP0421590A1 (en) Tamper-evident container
US20090136701A1 (en) Stretch sleeve label
JP2006306431A (ja) シュリンクフィルム
JP2016020216A (ja) ラベル付きガラス容器、及びその梱包品
Zając et al.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in the Logistics Supply Chain–Overview
WO2017187313A1 (en) Bottles and containers with visible trace of use
US20220380106A1 (en) Recycling Enhancement For Flexible Packaging
CN211996954U (zh) 一种具防伪功能的桶装水瓶盖热封贴
CN201980555U (zh) 密封容器防伪结构
US20240052208A1 (en) Linerless self-adhesive material with wash-off properties
CN216103695U (zh) 一种酒瓶外接防伪装置
EP4366949A1 (en) Labels of laminated paper with shrinkable or non-shrinkable polymeric film
JP3134645U (ja) 分別リサイクル推進用ペットボトル
JP2571912Y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用ラベル
JP2009280236A (ja) ボトル容器
CA2135660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pack
KR20220145015A (ko) 제거가 용이하고 접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는 pet 용기 라벨
KR19980015747U (ko) 열을 이용하여 병에서 부착물을 제거하는 방법